•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β

=-.155, p<.001)을 미쳤다. 또한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독립변수인 자율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서보다 3단계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3단계 β=.316<2 단계 β=.342).

이러한 조건하에 3단계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β=.316, p<.001)이 유의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은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 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자율성과 주관 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4-1>는 채택되었다.

<표 4-15>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 p<.05, ** p<.01, *** p<.001

*** p<.001

<그림 4-1>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모형

단계 표준화계수

(β) t R2 F

1단계

자율성 → 스마트폰 과의존 -.166 -3.359*** .027 11.284***

2단계

자율성 → 주관적 안녕감 .342 7.270*** .117 52.859***

3단계

자율성 → 주관적 안녕감 .316 6.713***

.140 32.479***

스마트폰 과의존 → 주관적 안녕감 -.155 -3.287***

추가로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4-16>과 같다. Sobel 검정에 의한 z값은 z=2.348(p<.05)로 나타남 으로써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간접적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16>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Sobel Test

자율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부분매개효과는 자율성이 주 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자율성이 스마트폰 과의 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함께 보여 주는 것이다.

나.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세 단계의 회귀분석의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표 4-17>과 <그림 4-2>에 나타나 있다.

<표 4-17>의 결과를 보면 먼저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유능성이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능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β=-.361, p<.001)을 미쳤다. 2단계로서 독립변수인 유능성이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

Zab = 

 



a(자율성→스마트폰 과의존의 비표준화계수) -.148

b(스마트폰 과의존→주관적 안녕감의 비표준화계수) -.187

SEa : a의 표준오차 .044

SEb : b의 표준오차 .057

Zab(자율성→스마트폰 과의존→주관적 안녕감) 2.348(p<.05)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β=.376, p<.001)을 미쳤다. 3단 계로서 독립변수인 유능성과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이 동시에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유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독립변수로 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종속변수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β

=-.119, p<.05)을 미쳤다. 또한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독립변수인 유능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서보다 3단계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3단계 β=.347<2 단계 β=.376).

이러한 조건하에 3단계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β=.347, p<.001)이 유의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은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 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유능성과 주관 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4-2>는 채택되었다.

<표 4-17>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 p<.05, ** p<.01, *** p<.001

추가로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는 <표 4-18>과 같다. Sobel 검정에 의한 z값은 z=2.070(p<.05)로 나타남

단계 표준화계수

(β) t R2 F

1단계

유능성 → 스마트폰 과의존 -.361 -7.731*** .130 59.769***

2단계

유능성 → 주관적 안녕감 .376 8.122*** .142 65.960***

3단계

유능성 → 주관적 안녕감 .347 6.995***

.157 34.496***

스마트폰 과의존 → 주관적 안녕감 -.119 -2.154*

으로써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간접적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05, *** p<.001

<그림 4-2>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모형

<표 4-18>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Sobel Test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부분매개효과는 유능성이 주 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유능성이 스마트폰 과의 존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함께 보여 주는 것이다.

다.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세 단계의 회귀분석의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 Zab = 

 



a(유능성→스마트폰 과의존의 비표준화계수) -.280

b(스마트폰 과의존→주관적 안녕감의 비표준화계수) -.131

SEa : a의 표준오차 .036

SEb: b의 표준오차 .061

Zab(유능성→스마트폰 과의존→주관적 안녕감) 2.070(p<.05)

과의존이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표 4-19>에 나타나 있다.

<표 4-19>의 결과를 보면 먼저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관계성이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계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β=.113, p<.05)을 미쳤다. 2단계로서 독립변수인 관계성이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 관계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β=.176, p<.001)을 미쳤다. 3단계 로서 독립변수인 관계성과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과의존이 동시에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관계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독립변수로 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종속변수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β

=-.230, p<.001)을 미쳤다. 하지만 종속변수인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독립변수 인 관계성의 영향력이 2단계에서보다 3단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3단계 β

=.202>2단계 β=.176).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 개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4-3>는 채택되지 않았다.

<표 4-19> 관계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스마트폰 과의존 매개효과

* p<.05, ** p<.01, *** p<.001

단계 표준화계수

(β) t R2 F

1단계

관계성 → 스마트폰 과의존 .113 2.279* .013 5.195*

2단계

관계성 → 주관적 안녕감 .176 3.581*** .031 12.821***

3단계

관계성 → 주관적 안녕감 .202 4.193***

.083 18.121***

스마트폰 과의존 → 주관적 안녕감 -.230 -4.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