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R&D 정책 추진에 대한 시사점

문서에서 농식품 R&D 전망과 정책 과제 (페이지 61-65)

3.1. R&D를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충

농업의 외연적 성장은 농산물 생산 중심의 전통적인 농업을 확장한다는 의미를 가진다.따라서 전후방 산업의 활성화와 농업과의 연계가 핵심적인 과제로 거론되며,특히 전방 산업인 식품,바이오,에너지,환경 등의 분야 와 농업과의 연계가 강조된다.이에 비하여 농자재,시설 장비 등의 후방 산업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우리나라의 생물 다양성을 활 용하여 동식물 유전자원 이용과 신물질 개발 분야는 신성장동력으로 관심 을 가져야 할 분야이다.아울러 건강과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고조로 건강기능성 식품,질병예방용 식품 등 고기능성 건강관리 식품과 친환경, 친건강 식품 개발이 각광을 받을 것이다.정보기술과 바이오기술 등 첨단 의 융복합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여 수요를 창출하 는 것도 필요하다.

생산비 절감을 위해 효율성이 높은 농자재 및 생산기법 개발,보급도 중 요한 과제이다.고유가 및 고임금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효율성이 높은 농 기계,비료,농약 등을 개발하고,시비,방제,가온 등의 생산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생물체에는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농식품 R&D는 농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노동력을 적게 쓰거나 대체할 수 있는 농자재 기술 수요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자동화 시스템,로봇 화,대립농약과 같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농자재 개발 등이 그 예이다.

농업의 내연적 성장도 새롭게 조명되어야 한다.우리나라 농업기술이 많 이 발전했다고 하지만,농업 선진국인 네덜란드나 덴마크에 비하면 아직 농업생산성 측면에서 뒤떨어지는 실정이다.따라서 첨단과학기술을 농업 생산에 접목시켜 생산성을 제고하고,나아가 수확 후 관리기술(post-harvest technology)을 활용한 신상품 개발,특히 수출 상품화를 통해 농산물의 새

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신성장동력의 발굴과 육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연구개발(R&D)이 중요하 다.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서 농업의 미래는 신기술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즉,미래 수요에 부응하여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어 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는가가 농업의 발전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농업기 술은 개발되어 실용화되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그야말로 미래 를 위한 투자인 것이다.더욱이 농업 R&D는 민간 투자가 미흡하여 재정 지원이 불가피하며,그러한 의미에서 농업 R&D 투자는 사회간접자본 (SOC)이기도 하다.

3.2. 친환경 농식품산업 및 식품안전성 확보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식품을 공급하고,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농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 개발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생물농약,천적,유기비료 등 친환경 농자재 개발도 농식품 R&D의 중요한 영역이다.2012년부터 가축분뇨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가축분뇨의 에 너지화 및 비료 생산,바이오매스의 지역순환시스템 등 가축분뇨 활용 방 법 등이 강구되어야 한다.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생산,이력추적 기술 개발 역시 중요한 R&D 범 주이다.농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리스크 분석 기법 개발,생산,가공,유통 과정에서 오염방지 기술 및 위해요인 제거 기술 개발,우수농업생산물 관 리제도(GAP)와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HazardAnalysisandCritical ControlPoints:HACCP)의 효과적인 이행 방안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3.3. 지구온난화와 환경 및 자원 문제 대응 R&D

지구온난화에 따른 적응대책 및 방지대책 관련 R&D가 필요하다.지구

온난화에 대응하여 농산물의 생산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지기술로서 내한성,내온성,내병충해성을 갖춘 품종 및 생산기법 개발이 필요하고,방 지대책의 일환으로서 농식품 생산에서 에너지소비 절감 대책,바이오매스 활용 연구 등이 요구된다.

환경보전 및 에너지 부족시대에 대응한 농식품산업의 적응 연구도 절실 히 필요하다.난방보조 장치와 같은 에너지 절감형 농자재 개발,태양열, 지열 등 대체에너지 생산 및 이용 기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이다.

물 부족 시대에 대비한 연구,개발로는 물 공급체계 향상,빗물포집,물 관리 효율화 연구,물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관개시설,지하수 관리 기술 개 발 등이 필요하다.

문서에서 농식품 R&D 전망과 정책 과제 (페이지 6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