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결과

문서에서 농식품 R&D 전망과 정책 과제 (페이지 180-187)

5 .농식품 R&D 투자 규모 분석

5.2. 분석결과



  

   

………(15) 따라서  년도의 연구개발 스톡    은 식(1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여기에서 기술진부화율()은 노재선 외(2004)에 따라 0.143(7년)20, 시차()는 신태영(2004),서동균 외(2004)에 따라 3년을 가정하였다.

          ………(16)

연구개발투자는 1995년 이후는 과학기술처의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

를,그 이전은 농촌진흥청의 「농업생산기술평가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 구」(2000)에서 구하였다.구한 연구개발투자는 2000년 기준 GDP디플레 이터를 적용하여 불변가격으로 전환하였다.

5.2. 분석결과

5.2.1.R&D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친 영향

식(17)과 같이 파라미터를 추정한 후 식(11)을 이용하여 TFP변화율를 구 했다.그런 다음 TFP변화율을 종속변수로,연구개발스톡을 독립변수로 하 여 추정한 결과 식(1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og      log  log

  

       

………(17)

log      log

  

       

………(18)

20참고로 신태영(2004)과 서동균 외(2004)는 8년(0.125)을 가정하였다.

식(17)에 따르면 연구개발스톡이 1% 변하면 TFP는 0.05% 변하는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역으로 TFP를 1%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R&D 스톡이 20% 증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5.2.2.생산함수 추정결과

농축산업 부가가치를 종속변수로,노동투입량,고정자본스톡,연구개발 스톡을 독립변수로 추정한 결과 식(1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단,규모보 수불변을 가정하였다.

log     log  log  log

   

       

………(19)

농축산업 부가가치에 대한 연구개발스톡의 탄성치는 0.13으로 연구개발 스톡이 1% 변하면 농축산업부가가치는 0.13% 변함을 의미한다.따라서 다 른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경우 농축산업 부가가치가 1% 변하기 위해 서는 연구개발스톡이 7.7% 변해야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21.농축산업부가 가치 중 나머지 87%는 자본과 노동이 설명하는데 이 중 자본이 20%,노동 이 80%를 설명한다.

21서동균 외(2006)는 농업총생산액에 대한 연구개발스톡의 탄력성을 0.178~

0.248로 추정하였음.국민경제전체를 대상으로 한 신태영(2004)의 연구는 실질 GDP에 대한 연구개발의 탄성치를 0.139로 추정한 바 있다.농림기술관리센터 (ARPC)(2002)는 농림수산 GDP에 대한 연구개발의 탄성치를 0.106으로 추정하 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본기간,사용된 통계와 추정방법에서 차이가 나므 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5.2.3.농축산업 R&D의 농축산업GDP 성장률 기여도

앞의 식(7)을 이용하여 농가 인구 1인당 농축산업 GDP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을 계산한 결과,1980~2006년에는 자본 60.9%,R&D 35.1%로 나타 났다22.1998~2006년 기간에는 자본 56.4%,R&D 43.8%로 전체 기간에 비해 R&D의 기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1980~1995년에는 R&D의 기여 율이 41%로 1990년대 중반 이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1994년부터 농림기술개발사업이 시작되어 관련 예산이 늘어나 R&D의 효과가 가시화된 것으로 풀이된다.또한 이것은 앞으로 농업성장 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자본 못지않게 R&D 투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생산요소별 농축산업부가가치 기여율을 계산한 것이 <표 6-14>이다.

1980~2006년 농축산업 GDP성장에 대한 노동의 기여도는 마이너스인 바, 농가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더불어 농축산업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농축산 업 성장에 대한 노동기여도가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23.

따라서 농축산업의 GDP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자본과 기술 확대가 필요하다.특히 기존의 기술개발 투자에 추가적으로 미래 신성장·선도 농축 산업 육성을 위한 원천기술개발 등을 위해 R&D 투자의 확대가 요구된다.

22신태영(2009)은 농림수산업 GDP성장률에 대한 R&D 기여율을 13.3%로 계산 한 바 있다.또한 농림기술관리센터(2002)는 농림수산업 GDP 성장률에 대한 R&D 기여율을 22.3%,자본스톡 92.6%로 계산하였다.

23신태영 외(2009)는 아래 표와 같이 전산업 GDP성장(6.41%)에 대한 노동의 기여율은 0.64로,농림수산업의 기여율은 -2.56으로 분석한 바 있다.

GDP 성장률

기여도

자본 노동 R&D 오차

전산업 6.41 2.38 0.64 2.83 0.57 농림수산업 -0.60 0.37 -2.56 0.24 1.35 식품업 3.22 4.43 -1.15 0.62 -0.68 농림수산식품 0.30 1.45 -2.17 1.19 -0.16

표 6-13. 생산요소별 농가 인구 1인당 농축산업 GDP 성장률 기여도

단위:%

기간

성장률 기여율

1인당

GDP 자본 R&D 자본 R&D 오차 1980~2006 7.2 24.5 23.1 60.9 35.1 3.9 1980~1995 9.2 30.1 20.9 58.7 40.8 0.4 1998~2006 5.1 15.9 20.2 56.4 43.8 -0.2

표 6-14. 생산요소별 농축산업 GDP 성장률 기여도

단위:%

농축산업 GDP 성장률

기여도

자본 노동 R&D 오차 1980~2006 2.44 3.41 -2.51 1.93 -0.38 1980~1995 3.51 4.19 -3.27 1.60 0.99 1998~2006 1.37 2.12 0.05 1.75 -2.56

5.2.4.R&D 투자 수요 전망

식(8)을 이용하여 농축산업 부가가치의 성장률 시나리오별로 요구되는 R&D 투자 소요액을 계산하였다.이를 위해 2007년 기준 농축산업 부가가 치가 지속된다는 시나리오와 연평균 1%,2% 성장한다는 시나리오를 상정 하였다.이것을 KASMO를 이용한 「농업 및 농가경제전망 2009~2019」에 서 전망된 농가인구로 나누어 농가인구 1인당 부가가치를 구한 뒤 증가율 을 계산하였다.<표 6-15>는 시나리오별 농가인구 1인당 부가가치 증가율 을 나타낸다.예를 들면 농축산업 GDP가 2010~2020년 연평균 1% 성장하

려면 농가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농가인구 1인당 GDP는 연평균 3.8% 성장해야 한다.

식(8)에서 요구되는 R&D 투자 증가율은 미래 농축산업부가가치 증가율 에 대한 가정은 물론 농가인구 1인당 고정자본 증가율에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서는 분석기간 고정자본 연평균 증가율 10%,민간 R&D 비중을 40%,R&D 효율성이 매 5년마다 10% 향상된다는 것을 가정하여24R&D 투자 증가율을 구했다.

표 6-15. 시나리오별 농가인구 1인당 부가가치 증가율 기간 농축산업 GDP

0% 성장

농축산업 GDP 1% 성장

농축산업 GDP 2% 성장

2010~2020 2.8 3.8 4.9

2010~2015 2.8 3.8 4.8 2016~2020 2.9 3.9 5.0

표 6-16. 시나리오별 R&D 투자 증가율

단위:%

성장률

기간 0 1 2

2010~2020 4.8 9.8 14.7 2010~2015 4.7 9.6 14.6 2016~2020 4.8 9.3 13.8

<표 6-16>은 시나리오별 요구되는 농축산업 R&D 투자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분석 결과,2010~2020년간 농축산업부가가치가 매년 1% 증가하기

24R&D 효율성의 지표로서 1인당 농축산업부가가치에 대한 탄성치를 이용하였 다.가령 R&D 효율이 10% 향상되는 것은 R&D 탄성치가 10% 증가함을 의미 한다.

위해서는 R&D가 매년 9.8%씩 증가해야 한다.또한 같은 기간 농축산업부

문서에서 농식품 R&D 전망과 정책 과제 (페이지 180-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