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비혼 동거가족이 생각하는 결혼·가족관에서부터 임신·출산 및 양육과 관련된 태도를 알아보는 한편, 일반 국민의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가족 중 하나인 비혼 동거가족 이 안정된 임신·출산 및 양육과 더불어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 구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먼저 제1절에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설명 하였다. 제2절에서는 각 장마다 담고 있는 연구의 내용과 연구방법에 대 해 기술한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검토가 이루어진다. 한국 사회의 가족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리고 그 결과 가족이 얼마만큼 다양해졌는지에 대해 사 회적 변화 및 문화적 배경과 함께 살펴본다. 그리고 그 다양한 가족의 유 형별 특징도 함께 논의한다. 선행 연구는 국내의 동거 관련 연구가 부족 한 만큼 국내와 국외 연구의 동향을 각각 나누어 살펴본다. 국외 연구는 사례가 풍부한 만큼 이를 주제별로 나누어 본 연구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 들 위주로 정리한다.

제3장에서는 해외의 비혼 동거가족 현황이 어떠한지 살펴본다. 주로 OECD 자료를 활용하여, 동거의 증가 추세 그리고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동거가족의 현황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비혼 동거가족과 관련된 제도가 있는 여러 국가 중 국내에 잘 알려진 프랑스의 혼인율 및 제도 이용률 등 을 살펴보고, 제도를 소개하면서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비슷하고 다른지 를 살펴보아 시사점을 찾아본다.

제4장에서는 비혼 동거가족을 선택한 이유와 비혼 동거가족이 가지고 있는 가족과 관련된 가치관 등을 알아본다. 이를 위해 우선 여성가족패널 과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동거 중인 웅답자를 추출해 가족과 관련된 동거인들의 가치관 을 간략히 살펴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혼 동거자 대상 온라 인 조사 데이터와 동거자 대상 심층 인터뷰 자료를 통해 동거 선택의 동 기 및 가족 관련 가치관, 또는 차별이라고 느낀 경험 등 동거와 관련된 가 치관 및 경험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비혼 동거가족의 임신·출산 및 양육 경험을 알아본다. 제 4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여성가족패널과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에서 동거 중이라고 응답한 데이터를 추출해 임신·출산 및 양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해 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동거자를 대상으 로 한 온라인 조사 데이터와 동거자 대상 심층 인터뷰 자료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게 임신·출산 및 양육 경험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로짓분석을 통해 출산 의향을 알아본다.

제6장은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알아본다. 여성가족패 널,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이 그동안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알아 본다. 그 후,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 료를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내용으로 일반 국민의 인식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제7장에서는 비혼 동거가족의 결혼부터 임신·출산, 양육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분석한 내용들을 정리하고, 분석 결과와 선행 연구 및 해외 사례 등을 바탕으로 비혼 동거가족에서 출산을 유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지원 방안 및 비혼 동거가족의 안정적인 가족생활 영위를 위한 방안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헌 고찰, 통계 자료 및 기존 자료 분석, 온 라인 조사, 전화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 고찰에서는 동거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였다. 동거 관련 국내 연구에 한계가 있고, 국외에는 동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있는 관계로 국외 연구에 대한 검토에 비중을 두었다. 특히, 동거자 들을 대상으로 한 활용 가능한 조사나 참고할 만한 선행 설문 등이 없는 관계로, 본 연구의 동거자 대상 질문지 작성을 위해 국외의 문헌 검토에 집중하였다.

또한 기존의 조사 자료 및 통계 자료를 활용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다 양한 가족의 변화를 논의함에 있어서 결혼 건수 및 이혼 건수 등 통계청 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외 동거가족 수 등 현황 파악을 위해서는 OECD 자료를 활용하였고, 프랑스의 혼인 및 동거 관련 제도 등록 수 등 은 프랑스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자료 중 소수이지만 동거 사례를 추 출할 수 있는 여성가족패널과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동거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 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기존 여성가족패널과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할 수 있었다.

비혼 동거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동거 인구에 대해서는 현재 통계적인 수치가 없고 모집단 분포가 없어 대표성이 있는 표본설계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회 정서상 동거 사실을 드러내지 않은 경우가 많아 연구 대상을 찾아 설문을 하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널을 활용해 만 18~49세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동거에

대한 조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거의 없어서 온라인 조사를 통해 몇 명의 대상자가 확보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200명 의 응답자를 목표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대상 확보를 위해 현재 동거 중인 응답자에 더해 동거를 경험한 응답자까지도 대상에 포함하였 다. 또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최근의 결혼하지 않고 택하는 이성간 동거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스크리닝 문항(screening questions)을 통해 결 혼 경력이 없고, 이성과의 동거이며 2000년 이후에 동거를 한 사람들을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총 응답자 260명 가운데 추후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통해 2000년 이전에 동거가 종료된 7명의 설문 응답을 제외시킨 채 253명에 대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활용해 분석을 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2016년 7월 13일부터 9월 30일까지 1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동료 연구자 및 주변의 소개로 주로 인터뷰 대상자를 찾았 고, 온라인 설문 시 마지막에 심층 인터뷰에 응하고자 하는 응답자는 연 락처를 남기도록 해 놓아 인터뷰 대상자를 확보하였다. 심층 인터뷰 자료 는 온라인 설문자료 분석 시 함께 활용하였다.

비혼 동거에 대한 국민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8월 19일부터 8 월 22일까지 전화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7월 주민등록 인구 통계 상 17개 시도별로 20명을 우선 할당한 후 시도별, 성별, 연령별로 비례배 분법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총 분석에는 1,013명의 응답이 사용되었 다.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혼인제도 및 문화에 대한 생각, 동거 와 관련된 가치관, 그리고 동거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등을 알아보았 다.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제6장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에서 다 룬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동거가족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 자료는 없는 실정 이다. 또한 대상을 찾아 직접 설문을 실시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즉,

본 연구의 대상인 동거가족에 대해서는 모집단 분포가 존재하지 않아 대 표성을 띠는 표본설계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현재 가능한 방법인 온라인 조사를 택해 동거가족의 특성을 살 펴보았다. 하지만 온라인 조사 특성상 통계적인 대표성을 담보하기가 어 려운 점을 밝혀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