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송체계 운영이 활발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 복합운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거점연계 측면에서의 거점입지나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다양한 스케줄 제공을 들 수 있다.

복합운송에 대한 영향요인의 중요도는 수단전환 거점연계 운영관리 순으로> > 나타났으며 이에 맞춘 도로에서 철도로의 전환 도로 철도 운영전략 물류거점의, - ,

체계 등 거점전략에 대한 대안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Hub & Spoke .

시사점 3.

앞에서 국내외 복합운송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외국의 복합운송 정책이 국내, 의 복합운송 정책의 가야할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복합운송을 활성화시키려는 정책적 목표가 뚜렷하다 과거, . 1980년대까지 는 거점물류시설과 대량운송수단을 이용한 물류비 절감을 목표로 복합운송이 이 루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는 물류비 절감과 더불어 환경적 측면에서 이 산화탄소 감축이라는 목표와 공존하다가 2000년대 이후에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가장 큰 목표로 하며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우리나라도 복합운송정책의 목. 표를 과거 물류비 절감에서 이산화탄소 감축으로 변경하였는데 이 기조를 좀 더

명확히 설정하고 지속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트럭을 이용한 도로수송에 비하여 철도 연안해운 수송의 경쟁력이 약하, , 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보완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시간적인. 측면으로 볼 때 철도와 연안해운은 트럭과의 경쟁구도를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철도와 연안해운의 수송비용을 낮춰 화물을 전환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전. 환보조금이나 철도 해운시설 확충 보조금 트럭의 통행규제와 통행료 징수 등은/ , 이러한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트럭에 대. 한 유류세를 지원하는 동시에 트럭에서 철도나 해운으로 전환하는 물동량에 대 해서 전환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이것은 정책의 방향과 우선. 순위에 혼란을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공로에서 철도나 해운으로 화물 물동량을 전환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전, 환보조금을 지급하기 보다는 장래에도 전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반시 설을 확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유럽의 마르코폴로나 영국의 사례를. , 보면 전환물동량에 대한 직접적 보조금보다는 전환을 지속시키기 위한 시설투자 에 대한 보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본이나 독일 프랑스 등은 직접, , 지원이 없고 시설비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내륙화물기지 등 물류거점시설의 확충에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복합운송과 수단전환이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철도나 연안해운 시설의 정비에 대 한 지원은 미흡하다 따라서 복합운송과 수단전환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시. 설지원금을 도입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국내 복합운송 영향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운송에 대한 영향요인이나 화주의 운송수단 선택요인을 조사한 자, 료에서 나타난 공통적 특징은 운송수단 간의 경쟁은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에 절 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복합운송을 활성화시키고 도로에서 철. 도나 연안해운으로 수단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철도나 연안해운이 도로보다 비용과 시간에서 우위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철도나 연안해운은 환적과 속도.

의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수송비용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둘째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한 복합운송 영향요인 조사에서는 복합운송을 활 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수단전환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도로에서 철. 도나 해운으로 수단전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점물류시설을 이용한 연계체 계가 확보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운영관리의 효율성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결국 수단전환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이 조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수단전환을 이. 끌기 위해서는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응답하여 앞서 복합운송의 영향요인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시사점을 종합하면 복합운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단일수송, 수단에 비하여 복합운송이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책대안과 물류환경 조성에 있어 수송비용이나. 수송시간을 보전할 수 있는 보조금 지원이나 운영효율화 방안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4

C H A P T E 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