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합운송 발전과정 및 유형1

복합운송의 개념 1)

인터모달리즘(Intermodalism)

1)

은 도로 철도 선박 등 개 이상의 수송수단을, , 1 이용하여 수단의 전환시 차량 혹은 컨테이너의 환적 을 통해 화물의 효율적인‘ ’ 연계수송이나 연계시스템의 운영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운송에 있어서는. 인터모달(Inter-modal)방식과 멀티모달(Multi-modal)방식이 있으며 인터모달은 2 개 이상의 교통수단간의 연계수송으로 환적(transshipment)을 위주로 한 운송방식 이고 멀티모달은 다수의 다양한 교통수단간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운송방식이다, . 따라서 복합운송체계(Integrated Transport System)는 인터모달리즘(Intermodalism) 기반의 연계운송방식에 동종 이종의 교통수단간 연계와 교통혼잡 등 수단간 연·

1) Josheph s. Szyliowiz, Intermodalism: The Challenge and the Promise를 참고하여 재정립하였음

관성을 고려하는 통합적 운송운영체계를 말한다.

그림 다수단 연계수단의 복합운송체계 개념도

< 2-1> ,

복합운송의 발전과정

2)

1)

년 복합운송

1929

2)

이라는 용어는 바르샤바 조약(Warsaw Convention)에서 최초 로 사용되었으며 일관운송(through transport)과 대립되는 개념이다. 1949년 국제 상업회의소(ICC)의 국제화물복합운송증권안에 실제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Combined transport라고 표기하다가 1980년 「UN 국제물품운송약관」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of Goods)에서

로 통일시켰다 multimodal transport .

년 영국에서 상자 를 이용한 철도 마차간의 복합운송을 통해 시작

1792 (Boxes)

-된 컨테이너 수송(Containerization)은 대량생산과 소비체제의 보편화 유통의 합, 리화 그리고 정기재래선 운영문제 해결 및 유통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였다, . 컨테이너 수송은 화물을 일정한 크기로 단위화 또는 규격화(Unitization 또는Unit 시키고 포장을 통일시킴으로써 하역의 기계화 화물사고의 방지

Load System) , ,

연계수송의 신속화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수송형태로 발전하였다.

1) 참조: World Shipping Council(www.worldshipping.org), 무안트랜스라인(www.muhantrans.com)

2) 바르샤바 조약(Warsaw Convention, 1929.폴란드 은 국제항공운송의 규칙통일에 관한 조약이며 국제) , 정세의 발달에 따라 바르샤바조약 헤이그의정서( Hague Protocol, 1955, 네덜란드 이 개정발효되었음) . 복합운송과 관련하여 UN국제복합운송조약(1980)과 복합운송증권통일규칙(1991)이 있음

미국에서 복합운송은 1960년대 컨테이너의 등장과 더불어 일반화된 개념이다. 특히 국제간 화물운송체계의 협동일괄운송개념으로 발전하여 intermodal 라고 불렀다 사실 년 미국내 연안운송에서 컨테이너가 처음 이용되 transport . 1956

었으며 용기에 의한 운송이라는 측면에서 운송수단과 관련한 복합운송과는 의미 가 달랐다. 복합운송은 재래식 단편운송(segment transport)을 일관운송 으로 바꾸어 연계운송 상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door-to-door transport)

두고 있다 그러나 복합운송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 컨테이너. 수송이라서 현재는 컨테이너수송을 복합운송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는 편이다.

화물부문 인터모달리즘 수단간 화물의 운송( , Intermodal Freight Transport)은 도 로 철도 선박 등, , 2개 이상의 수송 수단을 이용한 화물 수송으로 수단의 전환시 차량 혹은 컨테이너의 환적 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터모달 터미널은 주로 항만‘ ’ . 터미널(container sea terminal, offshore hub terminals), 철도터미널(on-dock and a

배송지 로 구분한다

near-dock rail facility), (transloading, cross-docking, warehousing) .

화물부문의 인터모달리즘 도로 철도 인터모달 터미널

-참조: Sirikijpanichkul, A. and Ferreira, L.

를 재작성함 (2005) p2

그림 화물부문의 인터모달리즘과 인터모달 터미널

< 2-2>

복합운송의 유형

3)

3)

복합운송은 주로 국제운송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유형을 살펴보면 해륙복합, 운송(Sea&Land), 해공복합운송(Sea&Air)이 대표적이며 이외에 육공복합운송,

육상복합운송 등이 있다

(Land&Air), (Land&Land) .

해륙복합운송(Sea&Land)은 선적된 화물을 환적 없이 그대로 일관운송하여 최 종 목적지까지 선박 트럭 또는 철도 등 개 이상의 상이한 운송수단에 의해 운송, 2 되는 서비스로 트럭일관수송과 열차페리운송이 있다 트럭일관수송은 화물차를. 페리에 적재하여 결합수송(Combined Transport) 하는 것으로 동력이 있는 주운송 수단에 보조운송수단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식이며 페리로지틱스 또는 카페리, 라고 한다 국내보다는 유럽 등 장거리 운송의 지리적 특성과 대륙 도서 반도. , ,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운송방식이다 열차페리운송은 열차페. 리선에 환적없이 화물열차 자체를 선적하는 해륙일관운송방식으로 철도운송과 해상운송의 장점인 저렴성과 대량수송력을 모두 가지고 있어 국제협동운송에서 주로 활용된다.

해공복합운송(Sea&Air)은 해상과 항공을 결합하여 운송시간을 단축하고 운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운송서비스로 로테르담항 스키폴공항 홍콩항 첵랍콕공, - , -항 상하이-항 푸동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등의 운송경로가 있다, - , - . 1960년대에는 해공복합운송경로로 일본에서 북미를 거쳐 유럽까지 그리고 인도에서 아랍에미 레이트를 거쳐 유럽까지 이용되었으며 당시 밴쿠버와 시애틀을 중심으로 한 유 럽행 해공복합운송도 발달하였다.

3) 부산발전연구원. 2008. "물류중심도시 실현을 위한 복합운송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항을 -중심으로”

컨테이너 운송(LOLO) 기존 페리선 운송(RORO)

트럭페리 운송-트레일러 트럭페리 운송 -일반트럭

출처 부산발전연구원: (2008)

그림 카페리 운송개념

< 2-3>

국내외 복합운송 검토

4)

4)

발틱해 연안 열차페리 서비스 (1)

발틱해 연안의 Ro-Ro선

5)

형 열 차페리 서비스는 운송속도가 매우 빠르고 탄력성이 뛰어나며 트럭, 세미트레일러 승, 용차를 포함한 어 떤 종류의 화물도 운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열차페리서비스는 1995년 월 이후 포세이돈과

1 Fincarriers Oy 가 상호협력하여

AB 독일 핀란드,

4) 참조 부산발전연구원: . 2008. "물류중심도시 실현을 위한 복합운송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 -항을 중심으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999. 열차페리를 이용한 화물수송시스템 철도기술정보지( 18 ) 5) RoRo(Roll-on/Roll-off)선은 컨테이너선의 일종으로 자동차와 같이 자체 이동능력이 있는 화물 본래의, , 화물인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과 같이 운송기기가 함께하는 화물 본래의 화물이 바퀴가 달린 트레일, 러에 실려 있어 배에 실어줄 수 있는 화물 등과 같은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을 말함

그림 열차페리 상하역 장면

< 2-4>

간에 운행하였으며 운항절차가 간 단하고 편리해서 주요 화주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복합운송의 선례 로 여겨진다.

덴마크의 열차페리사업은 초기 에는 국내의 해로운송을 담당하였 으나1872년 리틀벨트의 페리노선 을 덴마크 국철(DSB)이 인수함으

로써 덴마크 최초로 페리에 의한 열차운송이 시작되었다 덴마크 국철. (DSB)은 덴마크 독일 덴마크 스웨덴- , - 을 주요노선으로 하는 열차페리 화물운송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는 18개 노선과 26척의 선박을 투입하여 연간548회 운 항을 하고 있다 최근 스칸디나비아 반도국가들은 중장기 철도망 계획에 따라 스. 웨덴 덴마크 독일을 잇는 해저터널과 교량의 완공에 대비하여, , 철도 페리사업의 새로운 노선 개척과 부대사업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유럽지역의 열차페리 화물운송은 철도를 이용한 화물량의 증가와 환적비용 감 소 등으로 국내물류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육로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철도 를 연결하는 형태로서 국가간 공동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두바이의 해공복합운송 현황 (2)

두바이는 아시아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을 연결하는 국제물류거점지로서, 해공복합운송이 활발한 편이며 제벨알리(Jebel Ali) -항 포트라시드(Port Rashid) ,항 그리고 사자(Sharjah) -항 두바이 공항 사자- (Sharjah) 공항 간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두바이 해공복합운송은 항만에서 두바이 공항까지 30분 이내에 도착하고 항만 도착 후 공항에서 시간 이내 출발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유럽뿐만 아니라 타중4 동 지역이나 아프리카 지역의 공항까지 연계하여 신속한 화물처리가 가능하다.

년 현재 두바이 국제공항은 해공복합운송의 대표적인 허브공항이며 해공복

2006 ,

그림 열차페리 철도하차 선적장면

< 2-5>

합운송 화물이 전체 항공화물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한 중 복합운송 (3) ·

한국과 중국 간 해운항만의 협력은 급속하게 증가하는 중국교역규모 약 조( 2 억 달러 세계 위 를 보면 알 수 있다 한 중 간 피더항로는 년 현재 부

1,744 , 3 ) . · 2008

산항을 비롯한 국내 총 개 항만과 중국내8 18개 항만을 연결하여 총30개 선사가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중 항만간 물동량은. · 2003년 이후 연평균 5.2%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03년 345 TEU만 에서 2009년에는

만 를 넘어서고 있다

461 TEU .

한 일 복합운송 (4) ·

한국과 일본항만 간 물동량은 2003년 이후 연평균1.2% 수준의 성장을 보였으 며 2005년 이후3%대를 유지하면서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09년 209 만TEU로 전년대비 10.7%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약. 56개의 피더항로에

개 선사가 척의 선박을 운영하고 있다

13 54 . 최근 컨테이너 물동량이 꾸준히 증가

하는 추세로 전체 물량의 95%를 한국선사가 운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러 복합운송 (5) ·

한국과 러시아 간 복합운송경로를 살펴보면 대부분 공업단지가 위치한 마산항 에서 부산항을 거쳐 해상운송을 통해 러시아 극동지방 보스토치니항으로 이동한 후 시베리아 횡단철도(Trans Siberian Railway, TSR)를 이용하여 핀란드 하미나, 코볼라 등 물류창고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러 간 항만물동량은. · 2003년 이후 연평균 11.1%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2007년에는 전년대비43%까지 급격히 증가하여53 TEU만 의 수출입 화물이 발생했으나 2009년 현재32 TEU만 로 전년대비 45% 정도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천 ( : TEU) 구 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단위 천 ( : TEU) 구 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