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쇠고기 생산 동향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2호 (페이지 100-105)

3. 최근의 쇠고기 수급 동향

3.1. 쇠고기 생산 동향

3.1.1. 사육 마릿수

IBGE에 따르면, 2020년 브라질의 소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2억 1,815만 마리를 기록하였다(그림 3). 2011년 사육 마릿수와 비교하면 2.5%로 조금 증가한 수준이지만, 지난 10년간 2억 1,100만∼2억 1,800만 마리 수준에서 움직였던 것으로 보아, 정체 상태라고 볼 수 있다.

<그림 3> 소 사육 마릿수 추이

자료: IBGE.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び今後の展望’, 「畜産の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지역별로는 중서부가 최대의 육용우 사육 지역으로 사육 마릿수 전체의 34.6%를 차지하고 있다. 북부의 24.0%까지 합치면, 두 지역에서 총 사육 마릿수가 60% 정도를 차지한다. 이 밖에도 중서부 북부 지역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남부의 육용우 사육 마릿수는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주별로 보면, 중서부의 마투그루수 주가 최대이며, 고이아스 주(중서부), 파라 주 (북부), 미나스제라이스 주(동남부)로 이어진다(그림 4, 5).

최근 10년간의 사육 마릿수 증감을 보면, 파라 주, 론도니아(혼도니아) 주, 토칸친스 주(이상 북부) 및 마투그루수 주(중서부) 등에서 증가하였다.

한편, 전통적인 농목지인 남부 리우그란데두술 주 외 마투그루수두술 주(중서부) 등에서 감소하고 있다(그림 6).

<그림 4> 브라질 행정구분 및 소 사육마릿수 비율

자료: IBGE 데이터를 기초로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 び今後の展望’, 「畜産の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그림 5> 소 사육 마릿수 분포 상황

자료: Abiec.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び今後の展望’, 「畜産の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그림 6> 2020년의 주별 사육 마릿수 증감(2011년 대비)

자료: IBGE.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び今後の展望’, 「畜産の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중서부 및 북부에 있는 마투그루수 주, 마투그루수두술 주, 파라 주에서의 육용우 생산은 아마존 바이옴(생물군계8)) 바깥쪽에 위치한 지역에서 사육되어, 값싼 토지 이용과 목재업자 등에 의한 삼림 벌채 등에 의한 목초지를 확대하였다.

3.1.2. 목초지

IBGE에 따르면, 2016∼18년 브라질의 목초지 면적은 1억 1,252만 ha로 2010∼12년 이후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그림 7). 반면, 같은 해 농용지 면적은 6,648만 ha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같은 해 농지 전체에서 차지하는 목초지 면적의 비율은 2010∼12년보다 3.0%포인트 낮아진 62.9%를 기록하였다. 대두와 옥수수 생산이 증가하는 가운데, 목초지 에서 농용지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3.1.3. 쇠고기 생산

국가식량공급공사(CONAB)에 따르면, 2020년 쇠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4.3% 줄 어든 848만 3,000톤이었다(그림 8). 이는 2018∼19년까지 수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암소 도축 마릿수가 늘어 2020년의 비육소우(素牛, 송아지9)) 공급이 부족하였으며, COVID-19에 따른 국내 수요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의 쇠고기 생산은 6∼7년 주기로 알려진 캐틀 사이클(Cattle Cycle10))의 증감을

8) 바이옴(biome). F.E.클레멘츠가 1916년에 만든 용어이다. 사바나 등으로 나누어진 범위에 존재하는 생물의 군집 단위를 말한다. 그 때는 일반적으로 생물군집을 가리켰으며, 그것이 서식장소와의 관련에서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극상 으로 향하여 발전한다는 것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1939년 V.E. 셸퍼드 등이 제안한 후로는 식물군계에 대응하는 크기의 동물과 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집(생물군집: biotic formation)에 한정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클레멘츠와 셸퍼드는 식물의 극상이 상관적(相觀的)으로 특징지을 수 있고, 또 동물의 영향종에 의해서도 식별되는 단위라고 규정하여, 명명에도 그 두 가지를 조합하였다. 예를 들면, Stipa-Antilocapra 군집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이것을 군집의 기본적 단위로 하는 경우는 없고, 오히려 기후구분에 의한 바이옴형으로서 유형 구분적으로 사용된다. 또, 동식물 간의 관계도 특별히 추구되는 일이 없으며, 주로 종류조성, 생활형 또는 생활형 조성(生活形組成)・상관 등이 논의되는 경향이 짙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9) 브라질 육용우 경영에서 비육을 위한 소우(송아지)는 대략 7개월령 320kg 정도(세브계 네로레종)에서 거래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육성우에 가깝기 때문에 송아지라는 표현 보다는 비육소우라고 표현하였다(자료: 허 덕,

‘주요국 육우산업 현황’, 영남대학교 한우마이스터 교육자료(ppt자료), 2017.6.28.).

10) cattle cycle. 일반적으로는 10년 주기로 알려져 있다. 영세한 다수의 생산자들이 그해 가격의 고저에 따라 더 심고 덜 심는 현상에 따라 다음해 공급과잉과 공급부족이 반복되는 주기 변동을 비롯하여, 더 나아가 축산물의 경우엔 2∼

3년 주기의 에그 사이클, 4∼5년 주기의 피그 사이클, 10년 주기의 캐틀 사이클 등 특유의 주기 변동에 의해서도 가격 변동이 크다는 이론이 정립되어 있다(네이버 블로그 애니웨어1, https://blog.naver.com/anywear1/22014 8747616).

반복하고 있다. 2015년에는 2011∼13년의 암소 도축마릿수가 증가로 쇠고기 생산량은 감소하였지만, 2016년 이후에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림 7> 농지의 용도별 면적 추이

자료: IBGE.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び今後の展望’, 「畜産の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그림 8> 쇠고기 생산량 추이

주: 지육중량 기준

자료: CONAB.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정보부 국제조사그룹, ‘ブラジルの牛⾁需給動向および今後の展望’, 「畜産の 情報」 海外情報 2022年 2月号에서 재인용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2호 (페이지 1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