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2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2호"

Copied!
39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2018 제7권 제1호 2018 제7권 제2호

해외곡물시장 동향

World Grain Market

2022 제11권 제2호

(3)

정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곡물시장 수급 및 가격 동향을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 해외곡물시장정보 홈페이지(http://grains.krei.re.kr)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편집 담당>

김 종 진 연 원 jkim@krei.re.kr (061-820-2382) 덕 명예선임연구위원 huhduk@krei.re.kr (061-820-2261) 박 수 연 연 원 psy0788@krei.re.kr (061-820-2045) 김 범 석 연 원 bskim89@krei.re.kr (061-820-2398)

◆ 그동안 월간으로 발간되었던 해외곡물시장동향 보고서가 2019년도부터는 격월간으로 바뀌었습니다.

(4)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31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44

해외 곡물/에너지 선물 가격 동향과 전망 62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Issue Box>

대만의 돼지고기 관련 제품 수출 확대를 위한 대응 77 브라질의 쇠고기 수급 동향 및 향후 전망 93 중국의 생우 수입 현황과 과제 132 유엔 식품 시스템 서미트(UNFSS) 회의 결과에 대한 154

미국 정부의 대응과 미국 축산업계 동향

코로나19가 각국 낙농산업에 미친 영향 185 태국 쌀 정책의 최근 동향 279

<특집 :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세계 곡물시장 위치와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세계 곡물시장 위치와 293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특집 : 코로나 관련 정보>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21) 315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22) 326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FAO 곡물시장 뉴스 331

세계 농업기상 정보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349

부 록

세계 곡물 통계 379

(5)
(6)

세계 곡물시장 동향 5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0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31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44

해외 곡물/에너지 선물 가격 동향과 전망 62

(7)
(8)

세계 곡물시장 동향

박수연, 김범석(해외곡물시장 담당자)*

1. 세계 곡물 수급 동향 1.1. 곡물 전체

1)

세계 곡물 생산량은 시간이 흐를수록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22년 3월 전 망에 의하면, 전체 곡물 생산량은 27억 9,100만 톤으로 예상된다. 소비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27억 7,400만 톤으로 추정되었고, 재고율은 28.8%로 전망되었다.

<표 1> 세계 곡물 수급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2001/02 2011/12 2016/17 2018/19 2019/20 2020/21 2021/22 (3월 전망)

생산량 1,879 2,344 2,668 2,631 2,678 2,720 2,791

소비량 1,904 2,344 2,569 2,625 2,660 2,726 2,774

재고율 28.1 20.4 31.3 30.8 30.6 29.3 28.8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그림 1> 세계 곡물 생산량, 소비량, 재고율 변화 추이

(단위: 백만 톤, %) 2,850

2,650 2,450 2,250 2,050 1,850 1,650

35 30 25 20 15 10 5 0

00/01 02/03 04/05 06/07 08/09 10/11 12/13 14/15 16/17 18/19 20/21ㅇㅇㅇ

재고율 생산량 소비량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 psy0788@krei.re.kr, bskim89@krei.re.kr 1) 곡물 전체는 밀, 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9)

1.2. 품목별 수급 동향

세계 쌀 생산량 및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 초반 쌀 재고율은 30%대를 유지해왔지만, 2010년대 초반 20% 이하까지 하락하였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 2021/22년 3월 기준 쌀은 생산량 5억 1,000만 톤, 소비량 5억 900만 톤, 재고율 36.6%로 전망된다.

세계 밀 생산량과 소비량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2011/12년 밀 재고 율은 35% 이내로 유지되었으나, 최근(2019년 이후) 35%를 초과하여 유지되고 있다.

2021/22년 3월 현재 생산량 7억 7,900만 톤, 소비량 7억 8,600만 톤, 재고율 35.6%로 전망된다.

세계 옥수수 재고율은 2010년대 초중반 10%대로 하락하였다가, 최근 다시 회복하여 20%대 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1/22년 3월 기준 옥수수 생산량은 12억 700만 톤, 소비량 11억 7,900만 톤, 재고율 25.7%로 전망된다.

세계 대두 재고율은 과거 20% 초반을 유지하다, 201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다. 2021/22년 3월 기준으로 대두 생산량 3억 7,300만 톤, 소비량 3억 7,500만 톤, 재고율 25.4%로 전망된다.

<표 2> 품목별 수급 동향

(단위: 백만 톤, %) 품목 구분 2001/02 2011/12 2016/17 2018/19 2019/20 2020/21 2021/22

(3월 전망)

생산량 399 418 452 477 510 514 510

소비량 412 413 444 468 500 510 509

재고율 32.3 18.5 23.0 30.5 37.5 37.4 36.6

생산량 584 619 651 738 776 779 779

소비량 587 616 653 713 775 785 786

재고율 34.6 24.9 30.6 34.7 37.5 35.8 35.6

옥수수

생산량 602 700 849 1,015 1,123 1,206 1,207

소비량 622 707 868 1,002 1,142 1,182 1,179

재고율 24.3 17.5 13.3 31.1 25.5 25.5 25.7

대두

생산량 185 221 265 315 366 354 373

소비량 184 216 253 316 362 364 375

재고율 20.2 25.7 28.9 24.8 28.1 24.7 25.4

자료: 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10)

2. 세계 곡물 선물/현물(FOB) 가격 동향

곡물 선물가격의 추이를 보면, 2010년대 초반부터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12/13년 급등하였다. 하지만, 이후 밀, 대두, 옥수수 모두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2년 1부터 2월은 세계 물량 부족에 대한 우려와 우크라이나-러시아 국제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그리고 글로벌 수요 강세의 영향으로 밀 뿐만 아니라 옥수수 그리고 대두 선물 가격이 모두 상승하였고, 이에 더불어 2020년 중후반부터 남아메리카 건조기후로 인한 선물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추세이다.

1월 중국과 미국이 합의한 무역협정에 따라 중국의 미국 대두 수입이 증가하여 대두 공급시장에 변화가 있었다.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미국 대두 생산량 전망치 발표에 따라 대두 선물가격은 잠시 하락하는 듯 하였으나, 우크라이나-러시아 국제분쟁으로 인한 수급 불확실성과 남미 지역의 연간 출하량 감소 전망으로 대두 선물가격은 지속 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2, 표 3).

<그림 2> 밀・옥수수・대두의 월별 선물가격 동향(2011.01~2022.03)

(단위: 달러/톤)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1/1 12/1 13/1 14/1 15/1 16/1 17/1 18/1 19/1 20/1 21/1 22/1ㅇ 주: 1) 밀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옥수수는 Chicago Yellow Corn 2등급 3) 대두는 Chicago 1등급

자료: USDA AMS January and ERS January.

(11)

최근 곡물 선물가격은 2020/21년에 비하여 밀, 옥수수, 대두의 선물가격이 모두 큰 증가폭을 보였다. 2022년 3월 기준 밀, 옥수수, 대두의 선물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88.7%, 36.7%, 18.7% 증가하였다.

곡물 현물가격의 추이를 보면, 2021년 말부터 밀, 옥수수, 대두 현물가격은 지속적 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022년 3월 또한 전월 대비 각각 25.9%, 20.1%, 6.4% 상승하였다 (그림 3, 4, 5, 표 4). 최근 쌀 현물가격 태국 장립종 쌀 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22.3%로 감소한 반면,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가격은 2022년 1월 대비 0.4% 상승을 보였다 (그림 6, 표 5).

<표 3> 곡물 선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20/21 2021/22 2021.02 2022.01 2022.02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251 331 220 296 415 31.8 88.7 40.2

옥수수2) 227 263 215 256 294 15.9 36.7 14.8

대두2) 502 569 519 584 616 13.4 18.7 5.5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임.

자료: USDA AMS February and ERS February.

<표 4> 곡물(밀, 옥수수, 대두) 현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20/21 2021/22 2021.03 2022.02 2022.03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대비 전월 대비

1) 315 417 273 390 492 32.1 79.9 25.9

옥수수2) 272 315 250 301 362 15.8 44.4 20.1

대두2) 543 620 548 632 672 14.2 22.6 6.4

주: 1) 밀의 곡물연도는 6-5월임.

2) 옥수수 및 대두의 곡물연도는 9-8월임.

자료: IGC Market Data February 2022.

(12)

<표 5> 쌀 현물가격 동향

(단위: 달러/톤)

2020/21 2021/22 2021.02 2022.01 2022.02

변동률(%) 전년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월 대비

1) 태국 453 429 552 415 429 -5.2 -22.3 3.4

캘리포니아 1023 1,205 848 1,200 1,205 17.8 42.1 0.4 주: 1) 쌀의 곡물연도는 8-7월임.

2) 쌀 현물가격 동향 출처인 USDA Rice Outlook은 3월 전망을 제공하지 않음으로 2월 동향을 제공함.

자료: USDA Rice Outlook February 2022.

<그림 3> 밀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3)

주: 1) 밀 선물은 Kansas Chicago Hard Red Winter Wheat 2등급 2) 밀 현물은 US HRW Gulf

자료: USDA AMS March and ERS March, IGC Market Data

<그림 4> 옥수수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3)

주: 1) 옥수수 선물은 Chicago Yellow Corn 2등급 2) 옥수수 현물은 US 3YC Gulf

자료: USDA AMS March and ERS March, IGC Market Data

<그림 5> 대두 월별 선물/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3)

주: 1) 대두 선물은 Chicago 1등급 2) 대두 현물은 US 2Y Gulf

자료: USDA AMS March and ERS March, IGC Market Data

<그림 6> 쌀 월별 현물 가격 동향 (2011.01~2022.02)

주: 1) 태국 100% 장립종 B등급 2) 미국 캘리포니아 중립종 1등급 자료: USDA Rice Outlook February 2022

(13)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김민수(애그스카우터 대표)*

1)

* agscouter@naver.com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빚어진 흑해 지역의 곡물 수출 중단이 세계 곡물 수급 불안을 증폭시켰으며 곡물 가격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량의 30%, 옥수수 수출량의 20%, 해바라기유 수출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흑해 지역의 공급망 붕괴로 촉발된 식량 인플레이션은 공급국들의 수출 통제와 수요국들의 식량 안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헝가리는 일찌감치 곡물 수출을 금지했으며 몰도바, 불가리아, 이집트, 터키, 아르헨티나 등이 곡물을 비롯한 유지작물 등의 수출을 제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들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 동남 아시아 국가들의 곡물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곡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은 공급 단절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체 공급처를 찾아 나서고 있다.

세계 곡물 공급의 한 축을 장식하고 있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경우 2년 연속해서 들이 닥친 라니냐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으며, 생산 초기 기대와 달리 저조한 생산 실적이 예상된다. 반면 미국의 경우 해외 수요 급증으로 인한 수출 확대로 가용 재고 물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북반구 봄철 곡물 생산 시즌이 곧 시작되겠으나, 농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생산비 상승 역시 걸림돌이 된다. 특히 세계 비료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러시아의 비료 수출 중단으로 인한 가격 폭등과 공급 부족 현상이 세계 곡물 생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의 3월 수급 전망 보고서를 통해 밀, 옥수수, 대두의 세계 수급 전망을 간략히 살펴보면, 밀의 경우 호주의 생산량이 3,630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230만 톤 늘어남에 따라 세계 밀 생산량은 7억 7,852만 톤으로 210만 톤 증가했다. 세계 밀 소비량은 80만 톤 감소했으며, 수출량도 358만 톤 줄어든 결과 세계 밀 기말 재고량은 2억 8,151만 톤 으로 전월 전망 대비 330만 톤 증가했다. 옥수수의 경우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남아공의 생산량이 줄었으나, 기타 국가들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12억 614만 톤 으로 전월 전망 대비 79만 톤 증가했다. 세계 옥수수 소비량은 145만 톤 증가했으나, 교역 량은 377만 톤 감소한 가운데 세계 옥수수 기말 재고량은 3억 97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125만 톤 감소했다. 대두의 경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각각 1억 2,700만 톤, 4,350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700만 톤, 150만 톤씩 줄어듦에 따라, 세계 대두 생산량은

(14)

1. 곡물 전체

1)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년 세계 곡물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27억 9,200만 톤으로 2.7%, IGC는 27억 9,700만 톤으로 2.5%, FAO는 27억 9,600만 톤으로 0.8% 증가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35억 9,000만 톤으로 1.6%, IGC는 35억 7,900만 톤으로 1.5%, FAO는 36억 2,700만 톤으로 0.7% 증가하겠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USDA는 27억 8,900만 톤으로 2.4%, IGC는 27억 9,100만 톤으로 1.7%, FAO는 28억 200만 톤으로 1.5% 증가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5억 500만 톤, FAO는 4억 8,400만 톤으로 각각 4.1%, 0.8% 증가 함에 반해, IGC는 4억 6,600만 톤으로 2.5%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7억 9,800만 톤으로 0.1% 감소함에 반해, IGC는 7억 8,700만 톤으로 0.8%, FAO는 8억 3,600만 톤으로 각각 0.8%, 0.6% 증가하겠다. 각 기관별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28.6%, IGC는 28.2%, FAO는 29.8%로 2020/21년 대비 각각 0.7%p, 0.3%p, 0.3%p 내렸다.

1) 곡물 전체는 쌀, 밀 그리고 잡곡의 합계를 의미함.

3억 5,380만 톤으로 1,006만 톤 감소했다. 세계 대두 소비량은 549만 톤 감소했으며, 수출 량도 640만 톤 줄었으나 공급량 감소폭이 더 커 세계 대두 기말 재고량은 8,996만 톤으로 전월 전망 대비 287만 톤 감소했다.

이와 같은 점들을 상기하면서, 이하에서는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제시하는 수급 자료들을 통해 세계 쌀, 밀, 옥수수, 대두 수급 전망을 다룬다. 주요 국가의 품목별 수급 전망에 대해서는 미국 농무부가 3월 9일에 발표한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보고서와 각종 뉴스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5)

<표 1> 세계 곡물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2,720 2,792 2.7 2,730 2,797 2.5 2,775 2,796 0.8

공급량 3,535 3,590 1.6 3,525 3,579 1.5 3,602 3,627 0.7

소비량 2,724 2,789 2.4 2,744 2,791 1.7 2,761 2,802 1.5

교역량 485 505 4.1 478 466 -2.5 480 484 0.8

기말재고량 799 798 -0.1 781 787 0.8 831 836 0.6

기말재고율 29.3 28.6 28.5 28.2 30.1 29.8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2. 쌀

2.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년 세계 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와 IGC는 5억 1,400만 톤으로 0.8%, FAO는 5억 1,900만 톤으로 0.6%

증가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의 경우, USDA는 7억 200만 톤으로 1.6%, IGC는 6억 9,400만 톤으로 0.7%, FAO는 7억 900만 톤으로 1.0% 증가하겠다.

소비량의 경우 2020/21년 대비 늘어나겠으며, USDA는 5억 1,000만 톤으로 2.0%, IGC는 5억 1,400만 톤으로 1.0%, FAO는 5억 2,000만 톤으로 1.8% 증가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USDA와 IGC는 5,1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FAO는 5,3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9%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1억 9,100만 톤으로 1.6%, IGC는 1억 8,100만 톤으로 0.6%, FAO는 1억 9,100만 톤으로 1.1% 증가하겠다. 각 기관별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37.5%, IGC는 35.2%, FAO는 36.7%로 2020/21년 대비 각각 0.1%p, 0.2%p, 0.3%p 내렸다.

(16)

<표 2> 세계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510 514 0.8 510 514 0.8 516 519 0.6

공급량 691 702 1.6 689 694 0.7 702 709 1.0

소비량 500 510 2.0 509 514 1.0 511 520 1.8

교역량 51 51 0.0 51 51 0.0 51 53 3.9

기말 재고량 188 191 1.6 180 181 0.6 189 191 1.1

기말 재고율 37.6 37.5 35.4 35.2 37.0 36.7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2.2 국가별 수급

2)

2.2.1 수출 시장

2021/22년 인도의 쌀 생산량은 1억 2,9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463만 톤, 2019/20년 대비 1,013만 톤 늘겠다. 2021/22년 인도의 쌀 생산 면적은 4,700만 ha로 2020/21년 대비 16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4.12톤으로 2020/21년 대비 0.01톤 늘겠다. 소비량은 1억 3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43만 톤, 2019/20년 대비 155만 톤 증가해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다. 인도의 쌀 수출량은 2,0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798만 톤 늘겠다. 인도산 쌀에 대한 해외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4,2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0만 톤, 2019/20년 대비 810만 톤 증가하겠다.

태국의 쌀 생산량은 2017/18년에 2,058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1,97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84만 톤, 2019/20년 대비 204만 톤 늘 겠다. 생산 면적은 1,060만 ha로 2020/21년 대비 9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82톤으로 2020/21년 대비 0.1톤 늘겠다. 소비량은 1,300만 톤으로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7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 국가별 쌀 생산량은 백미(milled rice) 기준이므로 도정 전의 쌀 생산량 즉 생산 면적과 단위당 수확량을 고려한 수확량 (rough production)과는 차이를 보임

(17)

2016/17년 1,162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1/22년 수출량은 660만 톤 으로 2020/21년 대비 54만 톤, 2019/20년 대비 89만 톤 늘겠다. 태국은 베트남과 수출 경쟁 관계에 놓여 있으며, 쌀 가격 급등 및 운임 상승은 수출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수요량 대비 공급량 증가 폭이 더 커 기말 재고량은 45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60만 톤 증가하겠다.

베트남의 쌀 생산량은 2014/15년에 2,817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2,71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9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730만 ha로 2020/21년 대비 1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96톤으로 2020/21년 대비 0.04톤 줄겠다. 소비량은 2015/16년 2,250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2,1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2019/20년 대비 25만 톤 늘겠다.

수출량도 2011/12년에는 772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6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3만 톤, 2019/20년 대비 33만 톤 늘겠다. 최근 들어 가격과 운임이 오르면서 베트남 쌀에 대한 해외 수요는 낮아지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243만 톤 으로 2020/21년 대비 21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25만 톤 증가하겠다.

파키스탄의 쌀 생산량은 87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28만 톤, 2019/20년 대비 129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340만 ha로 2020/21년 대비 2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84톤으로 2020/21년 대비 0.1톤 늘겠다.

소비량도 증가해 2021/22년에는 4,1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7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018/19년의 449만 톤을 넘어 서지 못하고 있으나, 파키스탄 정부의 수출 장려 정책으로 2021/22년에는 415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27만 톤, 2019/20년 대비 33만 톤 늘겠다. 파키스탄 쌀에 대한 해외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수입이 늘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23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5만 톤, 2019/20년 대비 120만 톤 증가하겠다.

미얀마의 쌀 생산량은 2018/19년 1,320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2021/22년에는 1,260만 톤까지 떨어지겠다. 생산 면적은 690만 ha로 2020/21년과 같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85톤으로 2020/21년과 같겠다. 소비량은 1,065만 톤으로 역대 최고인 2009/10년의 1,089만 톤에 근접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25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016/17년에 335만 톤까지 늘었으나, 2021/22년에는 190만 톤에 그치겠으며, 2020/21년과 같겠다.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공급량이 더 늘어나 기말 재고량은 12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만 톤, 2019/20년 대비 21만 톤 증가하겠다.

(18)

<표 3> 수출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인도 129.00 (▲4.63/▲10.13) 103.50 (▲2.43/▲1.55) 20.50 (▲0.30/▲7.98) 42.00 (▲5.00/▲8.10) 태국 19.70 (▲0.84/▲2.04) 13.00 (▲0.30/▲0.70) 6.60 (▲0.54/▲0.89) 4.58 (▲0.30/▲0.60) 베트남 27.19 (▼0.19/▲0.09) 21.50 (▲0.05/▲0.25) 6.50 (▲0.23/▲0.33) 2.43 (▼0.21/▲1.25) 파키스탄 8.70 (▲0.28/▲1.29) 4.10 (▲0.30/▲0.70) 4.15 (▲0.27/▲0.33) 2.35 (▲0.45/▲1.20) 미얀마 12.60 (0.00/▼0.05) 10.65 (▲0.10/▲0.25) 1.90 (0.00/▼0.40) 1.22 (▲0.06/▲0.21)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2.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1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6만 톤, 2019/20년 대비 19만 톤 줄겠다. 소비량은 583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며, 2019/20년 대비해서는 15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37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늘어남에 반해, 2019/20년 대비해서는 22만 톤 줄겠다.

나이지리아의 쌀 생산량은 5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365만 ha로 2020/21년 대비 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18톤으로 0.02톤 늘겠다. 소비량은 72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3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011/12년 320만 톤을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줄어 2019/20년에는 140만 톤까지 떨어졌으나, 2021/22년에는 220만 톤에 이르겠다.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쌀 생산량은 185만 톤에 머무는 반면, 소비량은 344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만 톤, 2019/20년 대비 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93만 톤 으로 2020/21년 대비 14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8만 톤 줄겠다. 베트남과의 자유무역협정을 맺음에 따라 유럽연합은 베트남 쌀에 대한 수요를 대폭 늘릴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은 2008/09년 3,831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줄어들고 있으나, 2021/22년에는 3,54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0만 톤, 2019/20년 대비 70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1,183만 ha로 2020/21년 대비 3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4.71톤으로 2020/21년과 같겠다. 소비량도 2013/14년 3,850만 톤까지 오른 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3,5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40만 톤

(19)

줄겠다. 수입량은 6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만 톤 늘겠다.

필리핀의 쌀 생산량은 2020/21년 1.242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21/22년에는 2만 톤 줄어 1,240만 톤에 이르겠다. 생산 면적은 480만 ha로 2020/21년 대비 4만 ha 감소하 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4.10톤으로 2020/21년 대비 0.04톤 줄겠다. 소비량은 1,49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2019/20년 대비 65만 톤 늘겠다. 쌀 수입 자유화 조치로 인해 2018/19년에는 수입량이 130만 톤에서 360만 톤으로 대폭 증가했으나, 2021/22년에는 300만 톤으로 줄겠다.

중국 정부는 수매 정책과 최저구매가격 확대 및 정책적 지원을 통해 쌀 생산을 촉 진함에 따라 2021/22년 쌀 생산량은 1억 4,89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9만 톤, 2019/20년 대비 226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2,992만 ha로 2020/21년 대비 16만 ha 줄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1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7톤 늘겠다. 소비량 은 1억 5,484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해 2020/21년 대비 455만 톤, 2019/20년 대비 961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017/18년 550만 톤을 기록한 이후 줄어들어 2021/22년에는 460만 톤에 이르겠다. 중국은 캄보디아와의 자유무역협정을 맺음에 따라 캄보디아로 부터의 쌀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의 쌀 생산량은 19만 톤으로 미미한 가운데, 소비량은 9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2019/20년 대비 3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016/17년 87만 톤까지 오른 이후 줄어 2021/22년에는 80만 톤에 이르겠다.

일본의 쌀 생산량은 199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으나, 이후 계속해서 줄어 2021/22년에는 756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1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153만 ha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6.8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2톤 늘겠다. 1980년대 중반까지 1,000만 톤을 넘었던 소비량도 계속해서 줄어 2021/22년에는 82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해서도 5만 톤 줄겠다. 1999년 쌀 수입 관세화 이후 수입량은 70만 톤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69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한국의 쌀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 600만 톤을 기록했으나, 계속해서 줄어 2017/18년 부터 400만 톤 아래로 떨어졌으며, 2021/22년에는 38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7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39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만 톤, 2019/20년 대비 15만 톤 줄겠다.

저율의 할당관세물량(TRQ)을 합친 2021/22년 수입량은 44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늘겠다.

(20)

<표 4> 수입 시장의 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2.15 (▼0.16/▼0.19) 5.83 (0.00/▼0.15) 3.75 (▲0.50/▼0.22) 1.02 (▲0.07/▼0.20) 나이지리아 5.00 (▲0.11/▼0.04) 7.20 (▲0.10/▲0.35) 2.20 (0.00/▲0.80) 0.80 (0.00/▼0.01)

유럽연합 1.85 (▼0.10/▼0.14) 3.44 (▲0.04/▲0.05) 1.93 (▲0.14/▼0.08) 1.06 (▼0.10/▼0.21) 인도네시아 35.40 (▲0.10/▲0.70) 35.60 (▼0.20/▼0.40) 0.60 (0.00/▲0.05) 3.81 (▲0.40/▲0.50) 필리핀 12.40 (▼0.02/▲0.47) 14.95 (▲0.50/▲0.65) 3.00 (▲0.80/▲0.55) 4.21 (▲0.45/▲0.61) 중국 148.99 (▲0.69/▲2.26) 154.84 (▲4.55/▲9.61) 4.60 (▲0.38/▲2.00) 113.00 (▼3.50/▼3.50) 멕시코 0.19 (▼0.01/▲0.01) 0.97 (▲0.01/▲0.03) 0.80 (▼0.01/0.00) 0.22 (▲0.01/▲0.04)

일본 7.56 (▼0.01/▼0.05) 8.20 (▼0.05/▼0.15) 0.69 (▲0.04/▼0.02) 1.85 (▼0.02/▼0.13) 한국 3.88 (▲0.37/▲0.14) 3.95 (▼0.05/▼0.15) 0.44 (▲0.01/▼0.01) 1.34 (▲0.32/▲0.20)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3. 밀

3.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년 세계 밀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USDA는 7억 7,900만 톤, IGC는 7억 8,1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각각 0.4%, 0.9% 증가하겠다. FAO는 7억 7,500만 톤으로 0.3% 감소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의 경우 USDA는 10억 6,9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0.4% 감소하겠으나, IGC는 10억 6,000만 톤으로 1.0%, FAO는 10억 6,400만 톤으로 0.8% 증가하겠다.

소비량은 2020/21년 대비 늘겠으며, USDA는 7억 8,600만 톤으로 1.4%, IGC는 7억 7,800만 톤으로 0.9%, FAO는 7억 7,300만 톤으로 1.4% 증가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2억 300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IGC는 1억 9,400만 톤으로 2.1%, FAO 역시 1억 9,400만 톤으로 2.6%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2억 8,200만 톤으로 2.8% 감소함에 반해, IGC는 2억 8,100만 톤으로 1.1%, FAO는 2억 9,100만 톤으로 1.0%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 해서 USDA는 35.9%, FAO는 37.6%로 2020/21년 대비 각각 1.5%p, 0.1%p 내렸으나,

(21)

IGC는 36.1%로 2020/21년과 같겠다.

<표 5> 세계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776 779 0.4 774 781 0.9 777 775 -0.3

공급량 1,073 1,069 -0.4 1,049 1,060 1.0 1,056 1,064 0.8

소비량 775 786 1.4 771 778 0.9 762 773 1.4

교역량 203 203 0.0 190 194 2.1 189 194 2.6

기말 재고량 290 282 -2.8 278 281 1.1 288 291 1.0

기말 재고율 37.4 35.9 36.1 36.1 37.8 37.6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3.2 국가별 수급

3.2.1 수출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밀 생산량은 1억 3,9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207만 톤, 2019/20년 대비 20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2,414만 ha로 2020/21년 대비 117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76톤으로 2020/21년 대비 0.23톤 늘겠다.

소비량은 2017/18년에 1억 3,040만 톤까지 늘어난 이후 2020/21년에는 1억 475만 톤 까지 떨어졌으나, 2021/22년에는 290만 톤 늘어 1억 765만 톤에 이르겠다. 수출량은 3,7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76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29만 톤 줄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흑해 지역의 공급 중단으로 유럽산 밀에 대한 해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기말 재고량은 95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35만 톤, 2019/20넌 대비 353만 톤 감소하겠다.

러시아의 밀 생산량이 2020/21년 8,535만 톤까지 오르겠으나, 2021/22년에는 1,019만 톤 줄어 7,516만 톤에 이르겠다. 생산 면적은 2,763만 ha로 2020/21년 대비 105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72톤으로 2020/21년 대비 0.26톤 줄겠다. 소비 량은 1990년대 초반 5,500만 톤을 넘어섰으나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줄어, 2021/22년 에는 4,175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75만 톤 줄겠다. 수출량은 2017/18년 4,145만 톤까지 오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1/22년에는 3,200만 톤으로

(22)

2020/21년 대비 710만 톤, 2019/20년 대비 249만 톤 줄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 공과 서방 국가들의 제재로 인해 수출은 둔화되고 있다. 러시아는 내수 시장 보호를 위해 유라시아경제연합으로의 수출도 중단한 상태이다. 기말 재고량은 1,30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71만 톤, 2019/20년 대비 586만 톤 증가하겠다.

우크라이나의 밀 생산량은 양호한 날씨 덕택에 3,300만 톤에 도달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758만 톤, 2019/20년 대비 383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740만 ha로 2020/21년 대비 55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4.46톤으로 2020/21년 대비 0.75톤 늘겠다. 소비량은 1990년대 초반에 2,800만 톤 가까이 올랐으나 2021/22년에는 960만 톤에 그치겠으며, 2020/21년 대비 90만 톤, 2019/20년 대비 13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0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15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02만 톤 줄겠다.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해 흑해 항구들이 폐쇄되어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은 중단된 상태이며, 밀 수출량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기말 재고량은 501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50만 톤, 2019/20년 대비 351만 톤 증가하겠다.

미국의 밀 생산량은 4,47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96만 톤, 2019/20년 대비 779만 톤 줄겠다. 생산 면적은 1,504만 ha로 2020/21년 대비 15만 ha 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2.98톤으로 2020/21년 대비 0.36톤 줄겠다. 소비량은 3,084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6만 톤, 2019/20년 대비 4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17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22만 톤, 2019/20년 대비 460만 톤 줄겠다. 흑해 지역의 공급 중단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밀이 수출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어 해외 수요는 크게 늘어나지 않겠다. 기말 재고량은 1,77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23만 톤, 2019/20년 대비 1,022만 톤 감소 하겠다.

캐나다의 밀 생산량은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운 2013/14년의 3,759만 톤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20/21년에는 회복되어 3,518만 톤까지 올랐다. 2021/22년에는 주요 산지 기상 여건이 상당히 좋지 못함에 따라 2,165만 톤까지 떨어지겠다. 생산 면적은 925만 ha로 2020/21년 대비 77만 ha 감소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34톤으로 2020/21년 대비 1.17톤 줄겠다. 소비량은 2016/17년 1,067만 톤까지 증가한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2021/22년에는 9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9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5만 톤 줄겠다. 수출량은 2020/21년 2,643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다. 그러나, 2021/22년에는 1,550만 톤으로 1,093만 톤 줄겠다. 기말 재고량은 294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75만 톤, 2019/20년 대비 256만 톤 감소하겠다.

호주의 밀 생산량은 3,630만 톤으로 역대 최고의 생산량을 기록하겠으며, 2021/22년

(23)

대비 300만 톤, 2019/20년 대비 2,182만 톤 늘겠다. 수확기에 상당히 많은 양의 비가 내려 품질은 매우 좋지 못해 제분 등급 비중이 크게 떨어졌다. 생산 면적은 1,30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2.79톤으로 2020/21년 대비 0.21톤 늘겠다. 소비량은 2018/19년 920만 톤까지 늘었으나, 2021/22년 에는 900만 톤으로 줄겠다. 수출량은 2,750만 톤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겠으며, 2020/21년 대비 365만 톤, 2019/20년 대비 1,836만 톤 늘겠다. 흑해 공급 중단으로 인한 호주산 밀에 대한 해외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말 재고량은 433만 톤으로 2020/21년과 같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65만 톤 증가하겠다.

아르헨티나의 밀 생산량은 2,0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86만 톤, 2019/20년 대비 75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650만 ha로 2020/21년 대비 10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3.15톤으로 2020/21년 대비 0.39톤 늘겠다. 소비량은 655만 톤으로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2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1,4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47만 톤, 2019/20년 대비 121만 톤 늘겠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세계 밀 가격이 폭등함에 따라 아르헨티나는 국내 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수출을 제한하는 조 치를 취하고 있어 전망과 달리 수출량은 크게 늘지 않을 수 있다. 기말 재고량은 20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만 톤, 2019/20년 대비 28만 톤 감소하겠다.

양호한 기상 여건으로 인해 인도의 밀 생산량은 1억 959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 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173만 톤, 2019/20년 대비 599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3,113만 ha로 2020/21년 대비 23만 ha 줄어든 반면,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3.52톤으로 2020/21년 대비 0.08톤 늘겠다. 소비량도 역대 최고인 1억 350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128만 톤, 2019/20년 대비 81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8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94만 톤, 2019/20년 대비 799만 톤 늘겠다. 흑해에서의 밀 공급 중단 으로 인해 인도산 밀에 대한 해외 수요는 크게 확대되고 있어 기대 이상으로 수출량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말 재고량은 2,54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38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72만 톤 증가하겠다.

(24)

<표 6> 수출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139.00 (▲12.07/▲0.20) 107.65 (▲2.90/▲0.40) 37.50 (▲7.76/▼2.29) 9.58 (▼1.35/▼3.53) 러시아 75.16 (▼10.19/▲1.55) 41.75 (▼0.75/▲1.75) 32.00 (▼7.10/▼2.49) 13.09 (▲1.71/▲5.86) 우크라이나 33.00 (▲7.58/▲3.83) 9.60 (▲0.90/▲1.30) 20.00 (▲3.15/▼1.02) 5.01 (▲3.50/▲3.51) 미국 44.79 (▼4.96/▼7.79) 30.84 (▲0.36/▲0.40) 21.77 (▼5.22/▼4.60) 17.77 (▼5.23/▼10.22) 캐나다 21.65 (▼13.53/▼11.02) 9.50 (▲0.39/▼0.25) 15.50 (▼10.93/▼8.64) 2.94 (▼2.75/▼2.56)

호주 36.30 (▲3.00/▲21.82) 9.00 (▲1.00/▲1.00) 27.50 (▲3.65/▲18.36) 4.33 (0.00/▲1.65) 아르헨티나 20.50 (▲2.86/▲0.75) 6.55 (▲0.20/▲0.20) 14.00 (▲2.47/▲1.21) 2.08 (▼0.04/▼0.28)

인도 109.59 (▲1.73/▲5.99) 103.50 (▲1.28/▲8.10) 8.50 (▲5.94/▲7.99) 25.42 (▼2.38/▲0.72)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3.2.2 수입 시장

서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64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94만 톤, 2019/20년 대비 446만 톤 줄겠다. 소비량은 3,9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5만 톤, 2019/20년 대비 113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43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61만 톤, 2019/20년 대비 567만 톤 늘겠다.

북아프리카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2,159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99만 톤, 2019/20년 대비 319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4,792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0만 톤, 2019/20년 대비 167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82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6만 톤 늘겠다.

동남아시아의 밀 수급과 관련해 소비량은 2,564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9만 톤, 2019/20년 대비 27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2,64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76만 톤 늘 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6만 톤 줄겠다.

중국의 밀 수급과 관련해 생산량은 1억 3,695만 톤으로 역대 최고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270만 톤, 2019/20년 대비 335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2,357만 ha로 2020/21년 대비 19만 ha 증가하고,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81톤으로 2020/21년 대비 0.07톤 늘겠다. 소비량은 1억 4,7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50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15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9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2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12만 톤 늘겠다.

(25)

<표 7> 수입 시장의 밀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서남아시아 16.49 (▼3.94/▼4.46) 39.60 (▲0.65/▲1.13) 24.35 (▲6.61/▲5.67) 10.64 (▲0.54/▼0.87) 북아프리카 21.59 (▲4.99/▲3.19) 47.92 (▲1.10/▲1.67) 28.20 (▼0.30/▲0.46) 13.10 (▲1.26/▼1.26) 동남아시아 0.00 (0.00/0.00) 25.64 (▲0.79/▲0.27) 26.40 (▲0.76/▼0.06) 5.16 (▼0.40/▼0.75)

중국 136.95 (▲2.70/▲3.35) 147.50 (▼2.50/▲21.50) 9.50 (▼1.12/▲4.12) 142.17 (▼1.95/▼7.85)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4. 옥수수

4.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년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늘어날 것 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12억 600만 톤으로 7.4%, IGC는 12억 700만 톤으로 6.6%, FAO는 12억 400만 톤으로 3.8% 증가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늘겠으며, USDA는 14억 9,800만 톤으로 4.8%, IGC는 14억 8,300만 톤 으로 3.7%, FAO는 14억 9,200만 톤으로 2.3% 증가하겠다.

소비량도 2020/21년 대비 늘어나겠으며, USDA는 11억 8,200만 톤으로 3.5%, IGC는 11억 9.700만 톤으로 3.8%, FAO는 12억 100만 톤으로 2.6% 증가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USDA는 2억 톤으로 9.9% 증가하겠으나, IGC는 1억 7,300만 톤으로 8.5%, FAO는 1억 8,800만 톤으로 1.6%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3억 100만 톤, IGC는 2억 8,700만 톤, FAO는 2억 9,8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각각 3.1%, 3.6%, 3.5% 증가하겠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 해서 USDA는 25.5%로 2020/21년 대비 0.1%p 내렸으나, FAO는 24.8%로 0.2%p 올렸다.

IGC는 24.0%로 2020/21년과 같았다.

(26)

<표 8> 세계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1,123 1,206 7.4 1,132 1,207 6.6 1,160 1,204 3.8

공급량 1,430 1,498 4.8 1,430 1,483 3.7 1,459 1,492 2.3

소비량 1,142 1,182 3.5 1,153 1,197 3.8 1,170 1,201 2.6

교역량 182 200 9.9 189 173 -8.5 191 188 -1.6

기말 재고량 292 301 3.1 277 287 3.6 288 298 3.5

기말 재고율 25.6 25.5 24.0 24.0 24.6 24.8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4.2 국가별 수급

4.2.1 수출 시장

미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3억 8,394만 톤에 이르겠으며, 2020/21년 대비 2,549만 톤, 2019/20년 대비 3,798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3,456만 ha로 2020/21년 대비 125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11.11톤으로 2020/21년 대비 0.35톤 늘겠다.

소비량은 3억 1,586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932만 톤, 2019/20년 대비 631만 톤 늘 겠다. 수출량은 6,3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해서는 642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837만 톤 늘겠다. 우크라이나의 수출 중단과 남미 국가들의 생산 전망 악화 등으로 인해 미국산 옥수수에 대한 해외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말 재 고량은 3,657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21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219만 톤 감소하겠다.

브라질의 옥수수 생산량은 1억 1,4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극심한 가뭄으로 생산량이 저조했던 2020/21년 대비 2,700만 톤 늘겠다. 2019/20년 대비해서도 1,200만 톤 증가하겠다. 라니냐 현상으로 인한 생산 전망 불확실성은 상존해 있으며, 최근 들어 생산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생산 면적이 2,080만 ha로 2020/21년 대비 90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48톤으로 2020/21년 대비 1.11톤 늘겠다. 소비량은 7,25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7)

2020/21년 대비 300만 톤, 2019/20년 대비 400만 톤 늘겠다.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수출 량도 4,300만 톤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2,200만 톤, 2019/20년 대비 786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52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0만 톤 증가하겠 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0만 톤 감소하겠다.

아르헨티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5,3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50만 톤, 2019/20년 대비 200만 톤 늘겠다. 라니냐 현상으로 인해 주요 산지가 건조한 날씨를 보이고 있어 예상보다 생산량은 크게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생산 면적이 700만 ha로 2020/21년 대비 50만 ha 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57톤으로 2020/21년 대비 0.35톤 줄 겠다. 소비량은 1,400만 톤으로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50만 톤씩 늘겠다. 수출 량은 3,9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60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75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103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증가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59만 톤 감소하겠다.

기상 여건 호조로 우크라이나의 옥수수 생산량은 역대 최고인 4,190만 톤에 도달하 겠으며, 2020/21년 대비 1,160만 톤, 2019/20년 대비 601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547만 ha로 2020/21년 대비 7만 ha 증가하겠다.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7.67톤으로 2020/21년 대비 2.05톤 늘겠다. 소비량은 1,09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80만 톤, 2019/20년 대비 450만 톤 늘겠다. 수출량은 2,75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64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43만 톤 줄겠다. 우크라이나는 전시 체제로 인해 옥수수를 비롯한 곡물 수출을 중단한 상태이므로 수출 실적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 인다. 기말 재고량은 43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52만 톤, 2019/20년 대비 287만 톤 증가하겠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1,6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65만 톤 줄겠 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46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은 300만 ha로 2020/21년 대비 12만 ha 감소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도 ha 당 5.43톤으로 2020/21년 대비 0.01톤 줄 겠다. 소비량은 1,3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2019/20년 대비 110만 톤 늘 겠다. 수출량은 그 해 생산 정도에 따라 증감 폭이 크며 2021/22년에는 수출량이 320 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0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65만 톤 늘겠다.

기말 재고량은 238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감소하겠으나, 2019/20년 대비 해서는 26만 톤 증가하겠다.

(28)

<표 9> 수출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출량 기말 재고량

미국 383.94 (▲25.49/▲37.98) 315.86 (▲9.32/▲6.31) 63.50 (▼6.42/▲18.37) 36.57 (▲5.21/▼12.19) 브라질 114.00 (▲27.00/▲12.00) 72.50 (▲3.00/▲4.00) 43.00 (▲22.00/▲7.86) 5.23 (▲0.50/▼0.10) 아르헨티나 53.00 (▲1.50/▲2.00) 14.00 (▲0.50/▲0.50) 39.00 (▼1.60/▲2.75) 1.03 (▲0.01/▼2.59) 우크라이나 41.90 (▲11.60/▲6.01) 10.90 (▲3.80/▲4.50) 27.50 (▲3.64/▼1.43) 4.35 (▲3.52/▲2.87) 남아공 16.30 (▼0.65/▲0.46) 13.30 (▲0.30/▲1.10) 3.20 (▼0.30/▲0.65) 2.38 (▼0.20/▲0.26)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4.2.2 수입 시장

유럽연합(27개국과 영국 포함)의 옥수수 생산량은 6,980만 톤에 도달하겠으며, 2020/21년 대비 271만 톤, 2019/20년 대비 306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923만 ha로 2020/21년 대비 7만 ha 줄어듦에 반해,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7.56톤으로 2020/21년 대비 0.34톤 늘겠다. 소비량은 7,98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20만 톤, 2019/20년 대비 8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5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1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38만 톤 줄겠다.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해 흑해 지역의 옥수수 공급이 어려워져 유럽연합은 남미로부터의 옥수수 수입을 늘리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멕시코의 옥수수 생산량은 2,7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5만 톤, 2019/20년 대비 94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720만 ha로 2020/21년 대비 6만 ha 증가하겠으며,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3.83톤으로 2020/21년과 같겠다. 소비량은 4,420만 톤으로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40만 톤씩 늘겠다.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옥수수 수입을 확대함에 따라 수입량은 늘어 1,73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80만 톤, 2019/20년 대비 77만 톤 증가하겠다.

일본의 옥수수 소비량은 1,58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45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0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1,56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2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29만 톤 줄겠다.

이집트의 옥수수 생산량은 640만 톤으로 역대 최고인 2018/19년 680만 톤에 미치지 못하겠으며, 2020/21년 및 2019/20년과는 같겠다. 소비량은 1,62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0만 톤, 2019/20년 대비 70만 톤 줄겠다. 수입량은 97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9)

7만 톤 늘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73만 톤 줄겠다.

한국의 옥수수 소비량은 1,18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17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만 톤, 2019/20년 대비 18만 톤 줄겠다.

동남아시아의 옥수수 생산량은 2,986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54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51만 톤 늘겠다. 소비량은 4,89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25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340만 톤 늘겠다. 수입량은 1,74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329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4만 톤 늘겠다.

중국의 옥수수 생산량은 2억 7,255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1,188만 톤, 2019/20년 대비 1,177만 톤 늘겠다. 생산 면적이 4,332만 ha로 2020/21년 대비 206만 ha 늘겠으나, 단위당 수확량은 ha 당 6.29톤으로 2020/21년 대비 0.03톤 줄겠다. 소비량은 2억 9,4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900만 톤, 2019/20년 대비 1,600만 톤 늘겠다. 생산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비량이 더 크게 늘어남에 따라 수입량은 2,600만 톤에 이르렀으며, 2020/21년 대비 351만 톤 줄겠으나, 2019/20년 대비해서는 1,842만 톤 늘겠다. 남미의 기상 여건 악화와 생산 부진, 물류 차질 등이 단기적으로 공급 시장을 계속해서 압박 함에 따라 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옥수수 수입을 확대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표 10> 수입 시장의 옥수수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생산량 소비량 수입량 기말 재고량

유럽연합 69.80 (▲2.71/▲3.06) 79.80 (▲2.20/▲0.80) 15.00 (▲0.51/▼2.38) 7.73 (▲0.10/▲0.35) 멕시코 27.60 (▲0.25/▲0.94) 44.20 (▲0.40/▲0.40) 17.30 (▲0.80/▲0.77) 3.18 (▲0.10/▼0.34) 일본 0.01 (▲0.01/▲0.01) 15.85 (▲0.45/▼0.10) 15.60 (▲0.12/▼0.29) 1.22 (▼0.25/▼0.17) 이집트 6.40 (0.00/0.00) 16.20 (▼0.20/▼0.70) 9.70 (▲0.07/▼0.73) 1.25 (▼0.11/▼0.48) 한국 0.08 (0.00/0.00) 11.85 (▼0.01/▲0.05) 11.70 (▼0.01/▼0.18) 1.86 (▼0.07/▼0.14) 동남아시아 29.86 (▼0.54/▲0.51) 48.95 (▼0.25/▲3.40) 17.40 (▼3.29/▲0.14) 2.87 (▼2.27/▼0.94) 중국 272.55 (▲11.88/▲11.77) 294.00 (▲9.00/▲16.00) 26.00 (▼3.51/▲18.42) 210.24 (▲4.54/▲9.71)

※ 괄호 안은 2020/21년 및 2019/20년 대비 항목별 증감을 표기한 것임.

자료: USDA, WASDE-622 MAR, 2022.

(30)

5. 대두

5.1 세계 수급

미국 농무부(USDA), 국제곡물이사회(IGC),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21/22년 세계 대두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세 기관 모두 2020/21년 대비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으며, USDA는 3억 5,400만 톤으로 3.3%, IGC는 3억 5,000만 톤으로 5.1%, FAO는 3억 5,500만 톤으로 3.5% 감소하겠다. 기초 재고량과 생산량을 포함한 공급량도 2020/21년 대비 줄겠으며, USDA는 4억 5,600만 톤으로 1.5%, IGC는 4억 400만 톤으로 4.0%, FAO는 4억 600만 톤으로 4.0% 감소하겠다.

<표 11> 세계 대두 수급 전망

(단위: 백만 톤, %)

구분

USDA IGC FAO-AMIS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2020/21 (추정)

2021/22 (3월 전망)

전년 대비

생산량 366 354 -3.3 369 350 -5.1 368 355 -3.5

공급량 463 456 -1.5 421 404 -4.0 423 406 -4.0

소비량 362 364 0.6 367 362 -1.4 370 369 -0.3

교역량 165 159 -3.6 160 159 -0.6 161 160 -0.6

기말 재고량 102 90 -11.8 54 42 -22.2 51 43 -15.7

기말 재고율 28.2 24.7 14.7 11.6 13.8 11.7

※ 기말 재고율은 기말 재고량을 소비량으로 나눈 값임.

자료: USDA PS&D, IGC, FAO-AMIS

소비량의 경우 USDA는 3억 6,400만 톤으로 2020/21년 대비 0.6% 증가함에 반해, IGC는 3억 6,200만 톤으로 1.4%, FAO는 3억 6,900만 톤으로 0.3% 감소하겠다. 교역량의 경우 2020/21년 대비 줄겠으며, USDA는 1억 5,900만 톤으로 3.6%, IGC는 1억 5,900만 톤 으로 0.6%, FAO는 1억 6,000만 톤으로 0.6%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량의 경우 USDA는 9,000만 톤으로 11.8%, IGC는 4,200만 톤으로 22.2%, FAO는 4,300만 톤으로 15.7% 감소하겠다. 기말 재고율과 관련해서, USDA는 24.7%, IGC는 11.6%, FAO는 11.7%로 2020/21 대비 각각 3.5%p, 3.1%p, 2.1%p 내렸다.

참조

관련 문서

[r]

멕시코나 칠레의 경우 그 비중은 크지 않지만 2007년 이후 미국 식품안전 검사국(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FSIS)에서 요구하는 검역기준을

농업용 기계를 통해 인력을 대체할 경우 생산 단가는 줄이고 생산 효율은 높일 수 있다 는 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주요 작물 및 중점 단계에서의 생산 기계화를 빠르게 추진하도

이로 인해 서부 폴란드에서 남동부 유럽 지역에서는 겨울 작물의 휴 면기가 평년대비 1개월 정도 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운 날씨(평년대 비 낮은

미산 옥수수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수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의 수입 수요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최근 가격 하락 조정 이후 미산 옥수수 가격

17/18년 세계 옥수수 수급과 관련해 전월 대비 미국의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와 동남아시아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약간 줄었다..

미국과 함께 세계 주요 곡물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남미 또한 가뭄으로 몸살을 겪고 있으며, 러시아를 비롯한 유럽 남부 발칸반도와 흑해지역 국가들도 가뭄으로 인하여

BM unit으로부터 Balancing Offer/Bid 선택 BM unit으로부터 Balancing Offer/Bid 선택 전력공급을 위한 부가적인 서비스(Ancillary Service) 전력공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