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되었다.

지속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현장 데이터 작성, 논의를 통한 정보 교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수회 개최 등을 실시함과 동시에, 쇠고기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연구 프로젝트의 신청과 평가를 거쳐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2020년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 프로젝트가 실시되었다.

・ 콜로라도 주립 대학 마스터 이리게이터(Master Irrigator) 프로젝트

지하수에 의존하는 지역의 생산자가 생산성 및 수익성을 유지하면서 소비 에너지와 물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툴과 전략을 수립한다.

・ 육용우에서의 탈질소 프로바이오틱스9)와 질산염의 효과에 관한 조사 프로젝트 육용우에서 메탄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탈질소 프로바이오틱스와 질산염 투여에 의한 효과를 검증한다.

위해서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포괄적인 식품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국내 및 국제적인 조치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 혁신 미션(AIM4C) 및 식량 안전보장과 자원보전을 위한 지속적 생산성 향상에 관한 코얼리션(SPG 코얼리션)에 노력함과 동시에, 식육・

식조 처리・가공시설을 중심으로 서플라이 체인 강화를 꾀하고 있다.

또 미국 내에서는 축산업계도 기후변동 대책을 마주 하면서 SDGs 달성을 위한 2030년까지 ‘행동의 10년간’을 통해 정부, 업계단체, 생산자, 기타 관계자, 축산업계가 일체가 되어 대응을 하고 있다.

식품 시스템은 식품의 생산, 가공, 수송, 소비에 관련된 일련의 흐름을 지칭하는 인간의 모든 생활에 관여하고 있다. 식품 시스템의 건전성은 인간뿐 아니라 환경, 경제, 문화의 건전성에도 크게 관련된다. 그러나 세계는 식품 시스템이 취약한 곳도 많아, 교육, 건강, 경제, 또 인권, 평화가 위협 받고 있다. 특히 COVID-19 확산으로 식품 시스템의 취약성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미국 내 업계는 UNFSS의 의의 중 하나인 ‘식품 시스템에 관한 논의를 극적으로 높 이고, 국가, 지역, 기업, 시민, 업계 관계자 등 모든 사람이 식품 시스템의 힘을 활용 하여 2030년까지 10년간 SDGs 달성을 위한 방향을 정하는 중요한 기반 구축’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 정부, 업계단체, 생산자, 기타 관계자, 축산업계가 일체가 되어 대응을 진행해 나가는 가운데, 어떠한 진척, 성과가 보고될지, 축산물 수급과 관련하여서도 주목되는 바이다.

[부록 1] 미국 낙농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데이터

미국 낙농업계는 원유(原乳) 생산에 사용하는 자원, 영양분의 유출, GHG 배출이 70년 전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즘도 원유 생산 효율과 사료 생산 효율 향상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 근거로 꼽히는 2020년

「애니멀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된 워싱턴 주립 대학의 쥬디스 캡퍼(Judith Capper) 교수 등의 논문 중 일부를 소개한다.

이 논문에는 2007∼17년 미국의 원유 생산 현장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통, 가공 및 소매에 관한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았다.

2007년과 2017년을 비교하면(이하 동일), 우선 젖소 사육 마릿수는 919만 마리에서 939만 마리로 2.2%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1마리당 연간 유량은 9.2톤에서 10.4톤으로 13.6% 증가하였다. 그 결과 연간 원유 총생산량은 8,420만 톤에서 9,770만 톤으로 16.0% 증가하였다(부록 그림 1-1 ~ 1-3). 에너지 보정 우유(energy corrected milk, ECM10))로 환산하면, 100만 톤의 ECM을 생산하기 위한 젖소의 필요 마릿수는 22만 4,500마리에서 16만 8,000마리까지 25.2% 감소한 것에 맞먹는다(부록 그림 1-4).

<부록 그림 1-1> 젖소 사육마릿수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10) 에너지 보정 우유(ECM)는 우유, 지방, 단백질을 기반으로 우유에 있는 에너지의 양을 결정하고, 3.5퍼센트의 지방과 3.2퍼센트의 단백질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지식은 젖소가 어떻게 성과를 나타내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더 많은 정보에 입각한 경영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준다. 에너지 보정 우유(ECM)에 대한 방정식은 ‘ECM = 0.327 × milk pounds + 12.96 × fat pounds + 7.2 × protein pounds’이다.

<부록 그림 1-2> 1마리당 연간 유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3> 원유 총생산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4>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한 필요 마릿수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또한, 사용하는 자원으로서 100만 톤의 ECM을 생산하기 위한 사료는 190만 톤에서 157만 톤으로 17.4% 감소하였고, 토지 사용은 24만 8,000 헥타르에서 19만 6,000헥타르로 21.0% 감소하였다(부록 그림 1-5, 1-6). 물 총 사용량도 2,330억 리터에서 1,620억 리터로 30.5% 감소하였다(부록 그림 1-7). 또한 이 물 감소량은 2007년 시점에서 원유 생산량으로 산출한 경우 2,930만 가구의 연간 사용량에 해당한다.

<부록 그림 1-5>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한 필요 사료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6>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한 필요 토지면적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7>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한 필요 물의 양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이어 100만 톤의 ECM을 생산하기 위해 배출되는 총분뇨량은 343만 톤에서 272만 톤으로 20.7% 감소하였다(부록 그림 1-8). 이는 100만 톤의 ECM을 생산하기 위한 젖소 마릿수와 사료 사용량 감소에 상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질소 배출량도 2만 톤에서 1만 6,500톤으로 17.5% 감소, 인 배출량 역시 2,200톤에서 1,880톤으로 14.5% 감소하 였다(부록 그림 1-9, 1-10). 다만, 질소에 의한 환경 부하, 인에 의한 부영양화를 원인 으로 생태계 및 건강에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그들을 다시 감소시키는 메커니즘 연구를 추가로 필요로 한다.

<부록 그림 1-8>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분뇨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9>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질소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10>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인의 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마지막으로, 100만 톤의 ECM을 생산하기 위해 배출되는 GHG에 대해 보면, 메탄은 4만 9,500톤에서 4만 100톤으로 19.0% 감소하고, 산화질소는 51.1톤에서 41.7톤으로 18.4% 감소하였다(부록 그림 1-11, 1-12). 그리고 GHG 총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환산으로 210만 톤에서 170만 톤으로 19.0% 감소하였다(부록 그림 1-13).

그 결과 미국의 ECM 총생산량은 24.9% 늘었지만, GHG 총 배출량은 불과 1.0% 증가에 그쳤다. 이와 같은 개선은 원유 생산효율과 사료 생산효율 향상에 따른 것이며, 젖소 마릿수 증가를 거의 보완한다.

<부록 그림 1-11>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메탄 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12>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그림 1-13> ECM 100만 톤 생산을 위해 배출되는 GHG 총량 추이

자료: 워싱턴 주립대학 쥬디스 캡퍼 교수 등에 의한 논문에 근거하여 ALIC 작성. 농축산업진흥기구 조사 정보부 국제 조사 그룹, ‘国連⻝料システムサミットを受けた米国政府の対応と米国畜産業界の動向’, 「畜産の情報」 海外 情報, 2022년 1월호에서 재인용

[부록 2] 농업 생산성이란

농업 생산성 향상, 즉 복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효율화의 필요성은 세계적으로도 논의되고 있다. 세계자원연구소(WRI)에 의한 2019년 보고서에서는 ‘천연자원의 이용 효율 향상은 식량 생산과 환경 보전 양 측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스텝이다.’라고 결론짓고 있다.

FAO도 2020년에 보고하였던 「2020년 세계 식량안전 보장과 영양의 현황(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0)」에서 “식량의 생산성 향상은 식량 가격의 적정화와 생산자 수입 증대로 이어지고, 영양가 있는 식량 공급량을 전체적으로 끌어올리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고 말하였다.

농업, 환경, 인간의 건강 등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자가 참여하여 전 세계의 식품 시스템 변혁을 지향하는 EAT 랜싯 위원회도 2019년 보고서에서 “현재 농지에서의 수확량 격차를 적어도 75% 절감하여야 할 것”이라며, 농업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호소하였다.

이 외에도 세계은행과 많은 학술 논문에서도 농업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논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일반적인 결론으로 알려져 있다.

〇 농업 생산성 지표

USDA가 1960년에 여러 요소를 가미한 생산성 통계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후 50년 이상에 걸쳐 농업 생산성에 주목하였다. 농업 생산성 향상은 자원의 공급 능력을 증가 시키고, 세계 인구의 식량 수요를 밑돌지 않도록 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다.

현재는 미국 농무부 경제 조사국이 정기적으로 ‘전체 요소 생산성(TFP)’을 측정하여 공표하고 있으며, 농업 생산에 쓰이는 토지, 노동력, 자본, 자재 등 물적 자원(총 투입 량)에 대한 농축산물 등 총생산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즉, TFP는 모든 농축수산물 등의 생산에 사용되는 모든 투입물을 가미한 TFP 향상에는 농업에 관한 기술 및 효율성 향상을 반영하고, 농업의 퍼포먼스와 생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지표인 것으로 알려졌다.

TFP는 2015년을 기준(기준치 100)으로 하고 있다. 예컨대, 2019년 TFP가 110인 경우, 2015∼19년 사이에 TFP가 10% 증가하였으며, 2019년 2015년을 비교하여, 양의 투입물에서 10퍼센트 많은 생산량을 얻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2호 (페이지 175-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