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소비자 조사 결과

소비자 대상의 조사결과는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해 세부적으로 분석하 였고, 전문가 대상의 조사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식품 안전사고 또는 식품 안전문제와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문제의 대응 방안에 대한 기타의견에 중점을 두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림 4-1]에는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를 인지 도, 이해도, 확신도, 행동도의 4가지 항목과 종합 인식도를 통해 보여주 고 있다.

소비자의 종합 인식도 점수는 74.8점으로 나타났다.

인식도의 각 항목별 점수를 보면, 소비자에서는 인지도와 이해도가 각각 78.5점, 78.7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고, 확신도와 행동도는 각각 71.3점, 70.7점으로 인지도와 이해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와 이해 수준 은 다소 높았으나,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대응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수준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림 4-2〕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130

[그림 4-3]은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별 특 성에 따른 인식도를 보여주고 있다.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 지만, 남성보다 여성에서, 그리고 다른 연령층에 비해 50대 이상에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종합 인식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4-3〕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인식도

1) 인지도

[그림 4-4]는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별 특 성에 따른 인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여성보다 남성에서 기후변화와 식 품안전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고 (p〈0.05), 20대, 50대 이상의 인지도 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는 않았다.

131

4

〔그림 4-4〕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인지도

[그림 4-5]의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인지도를 보면, 기후변화 현상을 모르는 비율은 9.1%, 기후변화가 식품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을 모르는 비율은 7.1%로 비슷한 반면, 기후변화가 식품의 안전성 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을 모르는 비율은 16.2%로 약간 높은 수준이 었다.

〔그림 4-5〕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인지도

132

2) 이해도

[그림 4-6]은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별 특 성에 따른 이해도를 보여주고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그리고 다른 연 령층에 비해 50대 이상에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림 4-6〕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이해도

<부표 3>을 보면, 대부분의 소비자에서 온난화, 해수온도 상승, 해수 면 상승, 폭염 및 폭우, 가뭄 및 사막화 등의 ‘식품안전에 영향을 미치 는 기후변화 현상’ 및 식품매개질환 증가, 수자원 고갈, 지하수 오염, 유 해미생물 발육 촉진, 세균 및 바이러스 변동, 생태계 변화 등의 ‘기후변 화로 인한 식품안전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에 대한 이해가 80∼90%를 상회하는 반면에, 국제적인 협력, 식품안전 연구, 기 후변화 관련 취약계층 연구, DB 구축 등 정부가 수행하고 있는 ‘기후변 화에 따른 식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응노력’을 이해하는 비율은 30

133

4

∼70%정도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취약계층을 위한 연구수행은 전 문가와 소비자 모두 30%대, 식품안전의 경우 50%대로 소비자뿐만 아 니라 전문가들의 이해도도 낮았다. 따라서 정부의 대응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보다 적극적인 정책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 확신도

[그림 4-7]은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별 특 성에 따른 확신도를 보여주고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기후변화와 식 품안전에 대한 확신도가 높았고 (p〈0.05), 40대의 확신도가 다른 연령 층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림 4-7〕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확신도

<부표 6>, <부표 7>, <부표 8>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관리해야 할 항목들에 대한 필요성 응답현황을 살펴보면, 생산 단 계별 (재배, 가공, 유통, 등)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들 중에

134

서, ‘매우 높음’의 응답 비율을 보인 것은 식품이 생산되는 ‘자연 환경관 리’ 63.3%로 나타났다. 이는 식품 가공이나 판매, 가정에서의 관리 필요 성 보다 약 2배가량 높은 수치이며, 소비자들은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최우선시 되어야 할 항목을 생산지의 자연환경 관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 종류별로는 농‧수‧축산물과 유전자재조합식품 및 방사선조사식품 관리에 대해서 ‘매우 높음’이 50% 이상이었으며, 기구 및 용기‧포장과 사료는 ‘매우 높음’이 각각 33.7%와 38% 이었다. 전문가들은 농‧수‧축 산물의 관리에 대해서는 ‘매우 높음’이 70% 이상이었으나, 유전자재조 합식품과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해서는 27.3%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우선순위가 소비자와 상이하였다. 소비자는 다른 식품 에 첨가하거나 혹은 혼입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리 필요성에서는, 환 경오염물질 (다이옥신, PCBs, 프탈레이트 등)과 중금속 (수은, 비소, 납 등)에 대해서 60% 이상이 ‘매우 높음’을 응답하였다. 병원성 미생물, 곰 팡이 독소, 식품생산 유래 오염물질에 대해서도 응답자들의 50% 이상이

‘매우 높음’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매우 높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곰 팡이 독소 81.8%, 잔류농약 81.8%, 병원성 미생물 (살모넬라 등 식중 독균, 비브리오) 72.7% 항목에서 높게 나왔으며, 중금속 45.5%, 환경오 염물질 45.5%, 동물잔류의약품 54.5%로 소비자와 전문가 간의 문제 인 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에 언급되었던 멜라민 파동, 말라카이트 그린, 분유의 사카자키균 검출 등 언론에 노출 사건과 관련 이 있는 물질들에 대한 소비자들이 인식은 높지만, 실제 전문가들이 중 요하게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전문가와 소비자들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기후 변화 현상이 ‘대체로 심각하다’는 의견은 소비자 47.1%, 전문가 54.5%

로 비슷한 반면, ‘매우 심각하다’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전문가 18.2%,

135

4

소비자가 43.4%로 기후 변화에 대한 심각성은 전문가에 비해 소비자가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문제에서도 ‘대체로 심각하다’

는 소비자 53.9%, 전문가 54.5%로 유사한 반면, ‘매우 심각하다’는 전 문가 18.2%, 소비자 28.6%로 조사되었다.

4) 행동도

[그림 4-8]은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성별, 연령별 특 성에 따른 행동도를 보여주고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기후변화와 식 품안전에 대한 행동도가 높았고(p〈0.05), 40대, 50대 이상의 행동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림 4-8〕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행동도

[그림 4-9]는 일반적인 실천항목에 대한 행동, [그림 4-10]은 식품관 련 실천항목에 대한 행동의 동의 정도, 불편한 정도, 책임의식을 느끼는 정도가 높다고 응답한 비율이 나와 있다. 대부분의 실천항목에서 동의 정도가 높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책임의식을 느끼는 정도가 높다고

136

137

138

5) 정책마련을 위한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관련 인식

<부록 1>에는 정책마련을 위한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관련 인식 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부표 13>을 보면, 대부분의 전문가 및 소비자들은 기후변화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식품안전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전문가 90.9%, 소비자 94.6%).

<부표 14>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에 대한 기관들의 대응 정도 가 높은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을 보면, 전문가의 50% 이상에서 WHO, FAO 등의 국제기구(54.6%)와 환경부(54.6%)의 대응 정도가 높은 편 이라고 응답했고, 그 다음으로 식약청(36.4%), 보건복지부(18.2%), 농 식품부(18.2%)의 순이었다. 소비자에서는 50%이상이 WHO, FAO 등 의 국제기구(52.8%)의 대응정도가 높은 편이라고 응답했고, 식약청 (36.7%), 환경부(31.7%), 농식품부(29.7%), 보건복지부(29.6%)의 순이 었다. 지방자치단체(전문가 0%, 소비자 12.5%)와 식품산업체(생산, 유 통 등)(전문가 9.1%, 소비자 18.5%)의 대응 정도는 전문가와 소비자 모두에서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및 소비자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안전분야에 가장 필요한 인프라로 선택한 항목들의 현황은 <부표 15>에 기술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54.5%가 ‘부처 간 및 국제적 협력 등 체제 강화’를 가장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전문 인력 확보’(18.2%),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강화’(18.2%)가 그 뒤를 이었다. 소비자의 경우 40.4%가 ‘기후변 화 대응 정책 강화’를 가장 필요한 인프라로 꼽았으며, ‘부처 간 및 국

전문가들은 54.5%가 ‘부처 간 및 국제적 협력 등 체제 강화’를 가장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전문 인력 확보’(18.2%),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강화’(18.2%)가 그 뒤를 이었다. 소비자의 경우 40.4%가 ‘기후변 화 대응 정책 강화’를 가장 필요한 인프라로 꼽았으며, ‘부처 간 및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