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로 예상되는 과학과 기술 혁신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 예로서 화학물질과 미생물 오염물질을 물이나 심지어 토양에서 제 거할 수 있는 여과장치로서 나노기술의 발전, 오염 물질을 새로운 기술 을 사용하여 빠르게 검출, 새로운 분자생물학적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해결은 세계적인 관심사로서 국제기구는 모든 측면을 다루는 조정방법을 확보하여 국제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역 할을 담당함이 바람직하다.

다. 개선방향

이번 연구과제인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사고 위기 대응방안 연 구”를 수행하기 위한 국내 관리현황과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사고의 상관성 연구 및 대응 미흡 - 기후변화로 인한 식품안전사고 및 식품위해요소 DB 구축 - 식품안전사고 및 식품위해요소에 연구 추진

- 기후변화 민감 원료, 제품, 해충, 유통 및 보관조건 등 적응방안

2)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전략 수립 및 지원대책 부족 - 국가차원의 법적관리체계 승격(지침 및 법률에서 기본법으로)

- 식품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지자체 및 관련 산업체 노력에 대한 평가 체계 마련

- 식품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일선 위해관리기관인 지자체 및 관련 산업 체 노력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및 지원대책 마련

- 산업체의 대응노력(우수관리기준)에 대한 정부차원 지원방안 검토

151

4

-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현안문제들은 국가차원의 문제가 아닌 총체적 인 그리고 세계 공통의 화두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

- 국제협약(기후변화협약 등) 내용에 대한 이행 필요성 강화 - 비영리단체 및 소비자단체(NGO 등)의 적극적 대응노력이 필요 3) 대국민 홍보 부족

- 신뢰성 있는 정부기관을 통한 정확한 정보전달체계 마련 - 언론매체 및 대중매체 등을 통한 공익광고 제공

- 새로운 정보전달체계(SNS 등)를 활용한 적극적인 정보제공 확대 - 취학전 교육 및 초중등 교과목 내용으로의 반영을 통한 의식변화

4) 총체적인, 세계적인 공통 화두로의 인식전환 필요

5) 새로운 대응전략 및 연구방향의 창의적 발굴과 지원

- 포장재 개발에 관한 연구 확충(친환경 포장재, 유해곤충의 침투를 방 지하기 위한 신소재 포장재 등)

-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식품안전 문제 - 미생물 오염, 곰팡이 독소 병충해

- 수산물의 잔류물질 증대

- 방사성물질 등 자연재해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 수입식품

K I H A S

05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