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제의 심각성을 추가로 질문하여 이를 확신도에 반영하였다. 확신도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관리해야 할 항목에 대한 중요 성을 제시하고, 각각의 항목에 대한 중요성과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합하여 심각성에 대한 응답을 적용한 후,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 였다.

라. 행동도

행동도는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 확보를 위한 일상생활의 실천항 목들에 대한 실천정도를 의미한다. 일상생활의 실천항목에 대한 동의정 도, 행동으로 옮기기 불편한 정도, 책임의식을 느끼는 정도를 측정하여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이 때, 행 동으로 옮기기 불편한 정도는 다른 항목들과는 반대의 의미를 갖고 있 으므로, 항목 점수를 역변환하여 적용하였다.

마. 기타 측정항목

인지도, 이해도, 확신도, 행동도 측정을 위한 항목 이외에도 기후변화 에 대응하기 위한 식품안전정책 개선 필요성,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 전에 대한 여러 기관들의 대응정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안 전 분야에 필요한 인프라 등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안전에 대한 정책 마련을 위한 관련 추가 항목들을 조사하였다.

127

4

2. 조사결과 가. 총괄 조사결과

조사대상자는 전문가 및 소비자로 구성되어 있고, 조사 응답자는 총 308명(전문가 11명, 소비자 297명)으로 최종 집계되었다.

전문가 그룹에는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학계, 연구계 등의 전 문가가 포함되어 있다. 소비자에는 식품, 건설, 토목 관련 업체에 근무 하는 산업체 및 일반 국민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 산업체는 10% 정도 로 구성되어 있다.

〈표 4-2〉 조사대상자 구성분포

(단위: 명, %)

구분 응답현황 구성비

합계 308 100.0

전문가 11 3.5

소비자 297 96.4

[그림 4-1]에는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전문가와 소비자의 인식 도를 인지도, 이해도, 확신도, 행동도의 4가지 항목과 종합 인식도를 통 해 보여주고 있다. 종합 인식도는 인지도, 이해도, 확신도, 행동도의 4 가지 항목의 평균값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인지, 이해, 확신, 행동의 종합적인 인식수준 정도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종합 인식도 점수는 전문가 76.8점, 소비자 74.8점으로 나타났다.

인식도의 각 항목별 점수를 보면, 전문가에서는 인지도가 85.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해도 역시 81.8점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확신도 는 66.1점으로 가장 낮았고, 행동도 역시 74.0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

128

다. 소비자에서는 인지도와 이해도가 각각 78.5점, 78.7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고, 확신도와 행동도는 각각 71.3점, 70.7점으로 인지도와 이해 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문가의 응답자 수는 총 11명으로, 소비자 297명에 비해 너무 적은 응답자 수를 보이기 때문에 두 조사대상 그룹을 비교하는 것이 통계학 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으나, 각 항목 점수에 대해 전문가와 소비자를 비 교하여 살펴보면, 확신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소비자에 비해 전문 가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에 비해 확신도는 전문가 66.1점, 소비자 71.3점으로 소비자에 비해 전문가에서 큰 차이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전문가와 소비자의 인지와 이해 수준은 다소 높았으나,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대응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수준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림 4-1〕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도

12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