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블록체인의 유형

문서에서 블록체인 중장기기술개발 사업 (페이지 95-99)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의 성격과 시스템 접근 범위 제한 등에 따라 공개형(Public), 허가형(Private), 그리고 중간 형태인 컨소시엄(Consortium)으로 구분된다. 공개형은 최초의 블록체인 활용사례로 인터넷을 통해 모두에게 공개 및 운용된다. 컴퓨터 파워를 통해 누구 든 공증에 참여가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확장이 어렵고 거래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허 가형은 개인형 블록체인으로 하나의 주체가 내부 전산망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컨소시 엄은 반(半)중앙형 블록체인으로 미리 선정된 소수(N개)의 주체들만 참여하여 주체들간 합 의된 규칙을 통해 공증에 참여한다. 네트워크 확장이 용이하고 거래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13)

구분 공개형(Public) 허가형(Private) 컨소시엄(Consortium)

모형

관리 주체 모든 거래 참여자 (탈중앙화)

중앙기관이 모든 권한 보유

컨소시엄에 소속된 참여자

거버넌스 한번 정해진 법칙을 바꾸 기 매우 어려움

중앙기관의 의사결정에 따라 용이하게 법칙을 바

꿀 수 있음

컨소시엄 참여자들의 합 의에 따라 상대적으로 용

이하게 법칙을 바꿀 수 있음

거래 속도 네트워크 확장이 어렵고 거래 속도가 느림

네트워크 확장이 매우 쉽 고 거래 속도가 빠름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거 래 속도가 빠름 데이터

접근 누구나 접근 가능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 가능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 가능

식별성 익명성 식별가능 식별 가능

거래 증명

PoW, PoS와 같은 알고리 즘에 따라 거래증명자가

결정되며, 거래증명자가 누구인지 사전에 알 수

없음

중앙기관에 의하여 거래 증명이 이루어짐

거래증명자가 인증을 거 쳐 알려진 상태이며, 사 전에 합의된 규칙에 따라

거래검증 및 블록생성이 이루어짐

출처 : 동 사업 기획보고서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8.

<표 2-3> 블록체인 유형별 주요 특징

13) 동 사업 기획보고서

제 2 절 블록체인 기술동향

블록체인의 개념은 ‘98년 암호학 전문가 웨이따이(Wei Dai)가 전자분산원장 시스템에 기 반한 비-머니(B-Money)라는 전자자산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98년 닉 재보(Nick Szabo)는

‘비트골드(Bit gold)’라는 분산된 전자화폐를 고안하였으며 직접 개발하지는 않았지만 비트 코인의 직접적인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사카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개발자는 ‘08년 10월 31일 암호화 기술 커뮤니티 메인에 ’비트코인 : P2P 전자 화폐 시스템‘이라는 논문을 게재 하였으며, 두 달후, ’09년 1월 3일 가상통화 비트코인을 선보임으로써 논문 속 내용을 직접 구현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은 공개형 블록체인(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에서 확장성과 효율성을 보완한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발전하였으며, 향후 사회 기반구조로써 산업 융합 등에 활용될 전망 이다.14)

세대 Blockchain 1.0 Blockchain 2.0 Blockchain 3.0 Blockchain 4.0

단계 도입기 발전기 확산기 정착기

설명

공개 블록체인 (누구나 열람 가

능)

기업형 개인 블록 체인 등장, 스마트

계약

타 산업과의 융합 국가 인프라

특징

‘09년 비트코인이 소개된 이후 공개형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통화가 ’18년

기준 비트코인 포함 1,000개이상

출현

공개형 블록체인의 단점을 개선한 허가형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이 추가된 공개 블록체인(이더리움15))

이 등장하였으며 현재 새로운 종류의 코인(토큰)

발행과 ICO16) 지속되고 있음

금융 뿐 아닌 菲금융의 全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성능, 고효율 블록체인

확산이 가속화 되는 시기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되는 수준을 넘어 인터넷과

같은 기반 기술로써 발전

활용 예 비트코인 나스닥 장외 주식

거래, 이더리움

SCM, 에너지, 물류 등

예산 관리, 투표 등 정부·공공

서비스 출처 : 동 사업 기획보고서

<표 2-4> 블록체인 기술의 단계별 발전방향

14) 동 사업 기획보고서

15) 이더리움은 이더(Ether)라는 암호화된 화폐의 송금을 기록,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과 분산 어플리케이 션(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노드)에 의해 운영되는 프 로그램으로, 코드의 실행 및 데이터 기록이 블록체인 상에 이루어짐)을 구현하기 위한 플랫폼 개발

[그림 2-2] 블록체인 기술의 변화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

16) ICO(Initial Coin Offering) :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토큰(또는 암호화폐) 발행을 통해 자금을 모집하는 것

제 3 절 블록체인 산업동향

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은 전산망의 직접적 가치 이전을 가능하게 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국제 송금, 무역 등 신뢰비 용이 높거나 중개기관의 효율성이 낮은 의료, 공공 서비스 등 정보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간단한 인증절차로 높은 보 안을 달성할 수 있고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사물인터넷, 인공 지능 등과 융합되어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17)

대상 분야 내 용

금융 해외 지불 결제, 자본시장, 무역거래, 규제 및 감리, 돈세탁 방지, 고객 인증, 보험, P2P거래 등

헬스케어 개인이력 공유 및 관리, 진료정보 보안 및 활용, 보건·복지 서비스 제공 등 물류·유통 제품의 유통 모니터링, 보관 환경 관리, 파손 정보 추적, 제품 인증마크 부여 등 공공서비스 투표관리, 인사·급여 관리 시스템, 교육콘텐츠 및 직무능력 평가, 전자문서 발급 등

자금집행·

조달 크라우드 펀딩, 지분투자, 대출, 보상 및 후원, 보험, 결제 등 스마트

팩토리

IoT기기에 대한 인증과 관리, 수집 정보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 보장, 공장 제어의 자동화와 검증 보장 등

출처 : 동 사업 기획보고서

<표 2-5> 블록체인의 활용 가능 분야

17) 한굮과학기술기획평가원, 「블록체인」,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18-01호, 2018.

제 4 절 블록체인 정책동향

문서에서 블록체인 중장기기술개발 사업 (페이지 9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