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은 앞에서 살펴본 유형 I 의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미국에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시장 기구(m arket m ech anism )에 의해 이루 어져 왔다(Kariy a , 1988; Rosenb aum et al., 1988; Rosenbaum , 1996). 고등 학생들은 학교에서 직업세계에 대한 준비보다는 일반적인 교육을 중심으로 교육받아 왔다. 미국에서 중등직업교육은 1990년대 들어 더욱더 위축되었다.

1992년 현재 직업계열 (v ocat ion al t r ack )에 있는 학생은 전체 고등학교 졸업 반 학생의 12%에 불과했다. 43%가 대학준비반(college- pr ep )이었고 45%는 일반계열(g ener al tr ack )에 있다. 이것은 10년전인 1982년에 비해 직업계열은 15%가 줄어든 반면, 대학준비반은 5% , 그리고 일반계열은 10%가 증가한 수치이다(Zem sky e t al., 1998).

고등학교 졸업자들은 학교에서 직업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를 하지 않

118

-은 채 노동시장에 들어간다. 학교가 학생들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특별한 도움을 주지 않는다. 고용과정에서 고용주는 구직자의 고등학교 성적을 거 의 고려하지 않는다. 학생들은 노동시장에서 방황하면서(w alk ar ound ) 스스 로 알아서(do- it y ou r self) 구직활동을 한다. 대부분은 개인적인 접촉 (p er son al con t act s )이나 신문, 잡지 같은 대중매체의 구인광고를 통해 일자 리를 구한다. 미국에서 청년 노동시장은 매우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자가 좋은 일자리를 구하기는 어렵다 (K ariy a , 1988 ; Rosen b au m e t al., 1988 )

미국 의회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한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사실들을 발견하였다(S chool t o W ork Opportunities A ct of 1994). 첫째, 미국 고등학 생의 3/ 4이 학사학위 없이 노동시장에 들어가며, 많은 이가 산업변화에 대처 할 수 있는 학문적인 능력과 초보적인 직업 기술을 소유하지고 있지 못하 다. 둘째, 상당수의 청년, 특히 소외계층이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다. 셋 째, 청년 실업률이 너무 높으며 고졸자의 소득이 고등교육을 이수한 자들의 소득에 비해 떨어져 왔다. 넷째, 가열되는 국제 경쟁과 신기술 발달에 대응 한 노동력의 변화는 국익에 도움이 되며 비숙련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감소 시킨다. 다섯째, 미국은 청년들이 학교에서 직업세계 또는 계속교육훈련으로 효과적으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노동시장에 관한 지식, 기술, 능력 및 정보를 습득하게 하기 위해 도움을 주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체제를 결여하고 있 다. 여섯째, 미국 학생들은 높은 학업적, 직업적 수준에 도달할 수 있고, 많 은 학생들이 추상화된 교육보다는 실제적인 상황에서 배울 때 더 잘 학습할 수 있다. 일곱째, 많은 학생들이 시간제 취업을 하고 있는데 그것이 직업과 진로 계획 또는 학교교육과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덟째, 일 중심 의 학습(w ork - based learning )은 구조화된 현직 훈련과 이론 교육을 통합하 는데 이것이 학교 학습과 연계되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기술 습득을 향상시키며 긍정적인 직업 의식을 함양하고 청년들이 고기술, 고소득 직업 을 준비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아홉째, 연방정부는 현재 범주형으로 직업 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재정지원을 하며 그것의 많은 부분이 소외

계층 청년들에게 주어지고 있으나 재정지원의 전체적인 체계가 잘 조정되어 있지 못하다. 마지막으로 1992년에 약 3,400,000명의 16~24세 청년이 고등 학교를 마치지 못했고 학교에 다니지도 않고 있다. 이 수치는 이 연령대 청 년의 약 11%에 해당되는데 이것은 이 청년들이 21세기의 요구에 준비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 아래 미국은 1994년에 『학교- 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 (S ch ool- T o- W ork Opportu nities A ct of 1994)』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모 든 주와 지역 사회가 학생들이 학문적, 기술적 능력을 제고하고 계속교육과 진로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나름대로의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도 록 하기 위한 틀과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들을 제시하고 지 원하였다.

이 법을 주축으로 한 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98년 현재 모든 주와 많은 지역 사회가 연방 정부로부터 재정을 지원받아 학교- 직업세계 이행 체제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학문적 성 취도가 높아지고, 중도 탈락율이 감소되었으며, 출석률이 높아지고, 대학진 학준비가 잘 되고 있으며, 졸업률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지식과 기술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학습할 때 교수학 습 방법의 효과도 더욱 커진다는 사실도 발견되었다(Rieley & H erm an , 1998 ).

무엇보다도 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은 교육훈련의 효율성 을 제고하고 산학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Zem sky et al., 1998 ). 또한 현재 경제가 호황인 상황이기는 하지만 미국의 16세~24세 청년 실업률이 30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도(조선일보, 1999. 8. 28) 연방정부, 주정부, 그리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 정책 수 립 및 실행과 무관하지만은 않다고 보인다.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