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Ⅰ):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Ⅰ):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Copied!
18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본연구 99- 2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I)

-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2)

기본연구 99- 2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I)

- 고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 장 원 섭

자 : 김 형 만

옥 준 필

(3)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청년들이 원만하게 직업세계 로 이행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일은 개인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런 문제 의식 아래 OE CD , AP E C 같은 국제 기구와 세계 각국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학교- 직업세계 이행(school t o w ork t r an sit ion )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많은 학자들 이 연구하고 그 연구 결과를 국가 정책과 현장 개선에 반영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에 IM F 사태로 경제 상황이 나빠지고 구조 조정이 가속화 되면서 청년 실업과 학교에서의 직업세계 준비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매우 시의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산학협동이나 진로지도의 개념을 넘어서 학교- 직업세 계 이행 '이라는 개념을 통해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를 폭넓은 시각에서 바 라보고 있다. 실제로 이 문제는 직업교육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노동시 장의 측면에서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연구진이 직업교육과 노동경제학 전공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학교- 직 업세계 이행은 우리 나라에 많이 소개는 되었으나 개념적으로나 이론적, 체 계적으로 정리되지는 않은 상태였다. 연구진은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이 연구는 이 분야의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해서 뿐 만 아니라 올바른 정책 수립과 현장 개선을 위해서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수행 과정에서 원내외의 많은 분들의 관심과 협조가 있었다. 특별히 연구가 수행되는 동안 연세대학교 교환교수로 머무르면서 이 연구를 위해 조언과 자문을 해주신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의 Br ad S agen 박사께 감사의

(4)

말씀을 전한다. 또한 면접에 성실하게 응해주어 현장의 실태와 문제점을 정 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신 많은 고등학교 및 기업체 관계자와 설문 조사에 성심껏 대답하여준 이름 모르는 청년들에게도 감사드린다. 끝으로 최선을 다해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한다. 특히 김지은 양에게 감사드리며 연구조원으로서 묵묵히 그리고 명석하게 자료를 분석하고 정리 등 모든 어려운 일들을 도맡아서 수행한 그가 연구자로서 크게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진의 연구 결과이며 본 연구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1999년 12월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원장

(5)

【 연구 요약 】

1 . 연구의 개요 이 연구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이론적 틀을 확립하고 고등학생 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과 직업세계간 의 효과적인 이행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 및 현장 개선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교육부의 『교육통계연보』, 통계청의 『고 용구조조사 보고서』, 『경제활동인구연보』 등을 분석하여 고교 졸업자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보다 합리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연구 전반에 대한 전문가의 자문 및 협조를 받았다. 또한 고등학교의 실과 및 진로 담당 교사와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 담을 실시하여 학교- 직업세계 이행 현장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15세~29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현황 및 특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유형 및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원활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2 . 학교 -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학교를 졸업한 후 직업세계로 이동하는 행위와 그와 관련된 교육훈련을 연장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 과정에는 학교에서의 직업세계 준비, 이행의 과정, 그리고 이 i

(6)

-행 결과가 포함된다.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교육과 직업세계의 필수 불가결한 연계와 협력을 위한 요구를 기반으로 그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나 학교와 사회는 필연적 인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교육과 직업세계를 효과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변화 노력으로서 직업세계를 준비하는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 들이 개발되어 실시된다. 다른 한편으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에서는 필 연적으로 노동시장 정보의 문제가 개입된다. 노동시장 정보를 획득하는 방 식은 전통적으로 공식적 방법, 비공식적 수단, 그리고 직접적 접촉 등으로 구분되어 왔다. 학교와 기업 사이의 네트워크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한 주요한 방법이다.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에 근거한 학교- 기업 사이의 제도적 네트워크 모형은 노동 공급자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결핍모형이나 노동 수 요 측면을 강조하는 기회구조 모형과는 달리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에 개 입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을 제공한 다. 3 . 학교 - 직업세계 이행의 현황 및 문제점 관련 선행 연구 및 통계자료, 고등학교와 기업체 관계자 면담, 그리고 설 문조사 분석을 통해 발견된 우리 나라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실태 및 문제 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청년 고용 환경의 변화로 인해 고졸 학력을 소유한 청년층이 직업 세계에서 가장 불안전한 이행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학력화와 교육의 인 문화 경향 등으로 인해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시기가 지연되고 있다. 둘째, 많은 고등학생들이 직업세계를 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학교를 나 서고 있다. 일반계 고교를 졸업하고 취업을 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체계적인 준비 없이 직업세계로 이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직업세계 준비를 위해서 실습위주의 교육을 선호하고 있으나 조기 취업으로 전락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현장실습이외에 다른

(7)

현장 중심 교육 프로그램도 부재한 형편이다. 비록 많은 학생들, 특히 실업계 고 교 학생들이 시간제 취업을 통해 직접 일을 경험하고 있지만 그것은 구조화되어 있지 못하며 전공과 관련되거나 건전한 일보다는 불건전한 방향으로 흐르는 경 향도 보인다. 또한 학교교육의 현장성이 부족하여 많은 학생들이 따로 사교육비 를 들여 학원 등을 통해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고교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 고등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 을 심화시키는 것이기보다는 오히려 학력주의적 사회・문화적 풍토에서 고학력 화 현상을 가중시키는 경향으로 흐르는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서 학교의 역할이 미흡하다. 고등학교에서 직 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는 비공식적인 수단과 학교를 통한 고용이 주류를 이루 고 있다. 학교에서 직업세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학생들은 연줄에 의한 비공 식적인 방법을 통해 취업 정보를 얻고 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직업세계에 대한 준비도가 높은 학생들의 고용에 있어서는 학교의 역할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학교- 기업의 네트워크가 공식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기업의 고용 사정에 따라 학교의 역할이 크게 달라지는 불안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학교의 진로 상담 체제도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여 고등학생들의 직업세계 로의 이행 과정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조기 취업함으로써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 개인적인 문제를 초 래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학생들이 졸업 이후에야 비로소 구직 활동을 시 작하여 노동시장에서 방황하면서 미취업 기간이 그들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직업세계로의 이행 결과에서 학교교육과 직업적 경험 변수보다는 개인 적인 배경 변수와 교육외적인 요인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난다. 고등학교 졸 업자의 노동시장 결과에는 학교에서의 직업 준비와 이행 과정에 관련된 요인들 보다는 성별 같은 개인적인 변수와 노동시장의 구조가 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 하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자들이 취업한 기업의 형태 및 크기, 직종은 전문대학 졸업자와 유사한 반면, 일반 대학 졸업자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고등학교 졸업 자들은 직업세계에 들어 가서 고등학교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잘 활용하지 iii

(8)

-못하고 있으며 졸업 이후에, 특히 취업 후에 받은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을 위해 더욱더 효과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자들이 직업세계에 정착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고졸 근로자들이 첫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지 못하고 이직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일차적인 원인은 고등학교 졸 업자들이 주로 근로 조건이 열악한 기업과 직종에 취업하기 때문이다. 또한 남 자의 경우 병역 의무가 이직의 주요한 사유가 되고 있다. 4 . 외국의 학교 - 직업세계 이행으로부터의 시사점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각국의 노동시장과 교육체제의 특성, 교육 및 정책 형성 문화와 크게 관련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각국은 모 두 원활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그것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 국가적인 수준에서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외국과는 다른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특성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사회・문화적 여건, 교육훈련체제, 노동시장 특성, 학교와 기업의 관계 등을 고려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 체제 를 개발하는 일이 필요하다. 5 . 학교 - 직업세계 이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언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해서는 지금과 같이 학생들 이 스스로 알아서(do- it - y our self )' 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와 사회가 적극적 이고 체계적으로 도울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이 학생 개인의 책임이라는 무관심과 방치의 자세에서 벗어나 학교, 기업, 시민, 정부를 비롯한 모든 관계자들이 책임 의식을 가지 고 지역중심으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지원 하는 일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효과적인 학교- 직업 이행 네트워크를 구축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의 교육적, 사회적, 그리고 정책적 노력

(9)

들이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모든 학생들에게 직업세계를 준비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 다. 실업계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일반계 학생들에게도 자신의 적성과 능력 에 맞는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진로 지도 및 직업기초교육을 강화할 필 요가 있다. 또한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진로 를 인식하고 탐색하며 준비하는 모든 단계의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진로 교 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직업교육은 학생들이 직업세계를 직접 체험하고 실제로 실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구체화되어 학교와 학교 밖의 여러 기관들을 통해 체계 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고등학생들이 학교에 있는 동안에도 직업세계와 긴밀한 관련을 맺으면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험 및 실습 중심의 직 업교육 네트워크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는 취업과 고등교육을 둘 다 보장하는 유연하고 다양한 체 제로 바뀌어야 한다. 학생들이 조기에 진로를 결정하기보다는 자신의 삶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여러 출구와 광범위하고 융통성 있는 경로들을 가진 체제를 통해 학생들의 삶의 기회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이행 기간의 장기화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고 등교육의 대중화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되 일과 학습의 연계를 강화하여 고교 졸업자가 취업하여 근로 경력을 가지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진학을 원하는 경 우에는 학교에서 배운 기술과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학경로 를 개발하여 직업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와 기업 사이의 네트워크와 역할 분담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체험 중심의 교육과 원활한 취업을 위해 학교와 기업은 강력한 연계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산학협력을 위해 서는 학교에서의 교육과 기업의 고용 및 훈련이 서로의 고유한 기능을 인식 하고 이해하면서 역할 분담을 통해 상호 이익을 추구할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v

(10)

-여섯째,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학생들의 원활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책임을 공유할 수 있는 지역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한다. 학교와 기업뿐만 아니라 학부모, 시민단체, 노동조합,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중앙 정부의 여러 행정부처들이 강력한 사회적 유대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상호 협력할 수 있 는 제도적 틀과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있어서 사회 전체가 지원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체제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전망 속에서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한 계속적인 연구 개발과 점검평가가 필요하다. 교육과 고용에 관한 장기적인 추적 조사와 검토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이 이루어 질 수 있 는 방안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그에 터해 기존의 체제를 수정・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11)

연구요약

I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3. 연구의 범위 10

Ⅱ .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

13 1.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 틀 13 2.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틀 16 3. 학교- 직업세계 이행 준비와 방법 23

Ⅲ . 학교- 직업세계 이행 현황

33 1. 학교- 직업세계 이행 개관 33 2.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실태와 문제점 34 3.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5

Ⅳ . 학교- 직업세계 이행 조사 결과

61 1. 면담 조사 결과 61 v ii

(12)

-2. 설문 조사 결과 69 3. 논 의 109

V . 외국의 학교 - 직업세계 이행

113 1.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유형 113 2. 미국과 일본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118 3.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정책 제안 123 4. 논 의 127

V I . 결론 및 제언

129 1. 결 론 129 2. 제 언 130

참 고

문 헌

139

A B S T RA CT

145

149

(13)

< 표 Ⅰ- 1> 조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배경 7 < 표 Ⅰ- 2> 조사 도구의 구성 및 내용 9 < 표 Ⅱ- 1> 일 중심 학습(w ork - b a sed learn in g )의 유형 24 < 표 Ⅱ- 2> 교육과 일 경험의 시차에 따른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유형 26 < 표 Ⅲ- 1>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36 < 표 Ⅲ- 2> 연령계층별 실업 추이 37 < 표 Ⅲ- 3> 학력별 실업 추이 37 < 표 Ⅲ- 4> 주요 국가의 학력별 실업률 (1995 ) 38 < 표 Ⅲ- 5> 현장실습의 본래 교육목표 기여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40 < 표 Ⅲ- 6> 고등학생들의 시간제 취업 경험 여부 40 < 표 Ⅲ- 7> 일반계 고교 직업반 학생수 현황 41 < 표 Ⅲ- 8>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42 < 표 Ⅲ- 9> 청년층(15세- 24세) 경제활동 참가율의 국제비교 (1997 ) 43 < 표 Ⅲ- 10> 대학정원과 진학률 45 < 표 Ⅲ- 11> 18세~25세 인구의 고등교육 참여율 (1996 ) 45 < 표 Ⅲ- 12> 25세 이상 인구 중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수와 비율 46 < 표 Ⅲ- 13> 고등학교 졸업자의 취업 경로 48 < 표 Ⅲ- 14> 입직경로별 비중 49 < 표 Ⅲ- 15> 학력별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 (1996 ) 51 < 표 Ⅲ- 16> 29세 이하 연령층의 연도별・학력별 이직자수 및 이직률 51 < 표 Ⅲ- 17> 사업체규모별, 근속연수별 이직자수 비중 52 < 표 Ⅲ- 18> 학력별 노동이동 희망률 (1997) 54 < 표 Ⅲ- 19> 학력별 업종별 이직률 54 ix

(14)

-< 표 Ⅳ- 1> 고교 재학 중 취업 준비 여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0 < 표 Ⅳ- 2> 취업 준비 방법의 고교 유형에 따른 차이 71 < 표 Ⅳ- 3> 고교 재학 중 자격증 취득 준비 교육 경험 여부 차이 73 < 표 Ⅳ- 4> 자격 취득 준비 방법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4 < 표 Ⅳ- 5> 자격취득 준비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격취득 여부의 차이 76 < 표 Ⅳ- 6> 개인적 배경에 따른 취득 자격의 전공 관련 정도 차이 77 < 표 Ⅳ- 7> 고교 재학 중 취업 경험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78 < 표 Ⅳ- 8> 고교 유형별・연령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1 < 표 Ⅳ- 9> 고교 유형별・성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1 < 표 Ⅳ- 10> 고교 유형별・고교 성적별 고교 졸업 후 진로 82 < 표 Ⅳ- 11> 고교 졸업자의 진로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84 < 표 Ⅳ- 12> 구인 정보 취득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87 < 표 Ⅳ- 13> 입사 방법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89 < 표 Ⅳ- 14> 입사 시기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91 < 표 Ⅳ- 15> 입사 전, 후 훈련기간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94 < 표 Ⅳ- 16> 학력에 따른 첫 직장 특성 차이 96 < 표 Ⅳ- 17> 첫 직장 특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 97 < 표 Ⅳ- 18> 개인적 배경, 학교에서의 준비와 이행 과정 특징에 따른 첫 직장 소득의 차이 98 < 표 Ⅳ- 19> 업무와 전공의 일치 정도에 대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100 < 표 Ⅳ- 20> 업무와 학력의 일치 정도에 대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101 < 표 Ⅳ- 21> 이직 여부에 따른 구직 및 첫 직장 특성 차이 105 < 표 Ⅳ- 22> 구직 과정과 첫 직장 특성에 따른 이직 경험자의 첫 직장 근속 기간 106 < 표 Ⅳ- 23> 첫 직장을 그만둔 이유 108 < 표 Ⅴ- 1>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두 가지 유형 114

(15)

그 림 차 례

[그림 Ⅱ- 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체제 14 [그림 Ⅱ- 2] 학교의 관여도와 임금지급에 따른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25 [그림 Ⅲ- 1] 인구증가율 추이 35 [그림 Ⅳ- 1] 상업계와 공업계 고교에서의 구체적 취업 준비 방법 72 [그림 Ⅳ- 2] 상업계와 공업계 학생의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 방법 74 [그림 Ⅳ- 3] 고교재학 중 취업경험의 직업생활 도움정도 79 [그림 Ⅳ- 4] 고교 유형에 따른 직업세계 준비 80 [그림 Ⅳ- 5] 학력별 첫 직장 구인 정보원 85 [그림 Ⅳ- 6] 학력별 첫 직장 입사 방법 86 [그림 Ⅳ- 7] 고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시작시기 90 [그림 Ⅳ- 8] 성별 고교 졸업 후 취업 전까지의 활동 92 [그림 Ⅳ- 9] 성별에 따른 직장 선택 기준 93 [그림 Ⅳ- 10] 취업경험여부에 따른 직장 선택 기준 93 [그림 Ⅳ- 11] 고교 졸업자의 성별 첫 직장 소득 99 [그림 Ⅳ- 12] 고교 교육 내용의 직장 업무 수행에의 도움 정도 102 [그림 Ⅳ- 13] 고교 교육과정과 직장 훈련의 직무 수행 도움정도 103 [그림 Ⅳ- 14] 현재 직장 만족도 104 [그림 Ⅳ- 15] 구인정보 취득경로에 따른 이직 경험자의 첫 직장 근속 기간 107 [그림 Ⅳ- 16] 성별에 따른 첫 직장을 그만두고 한 활동 109 [그림 Ⅳ- 17]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실태 분석을 위한 틀 110 [그림 Ⅵ- 1] 지역중심 학교- 직업세계 이행 네트워크 132 x i

(16)

-I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 연구 필요성

학교를 졸업하고 직업세계에 첫 발을 내딛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 시 기는 인생의 전환기이며 이 때 첫 번째 직업을 성공적으로 획득하는 일은 개인의 장래 경력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차종천, 1992; 장원섭, 1997)1). 만약 성공적으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청년 은 개인적으로 심리적인 충격을 받게 되며 또한 그것은 계속하여 사회적 오 점(stigm a )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진로를 선택하는 일은 인생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고등학생들은 진학과 취업의 기 로에서 중요한 선택을 하게 된다. 고등학교를 졸업 한 후 곧바로 직업세계 로 나아갈 것인지 아니면 고등교육을 마칠 때까지 취업을 연기할 것인지, 그리고 취업을 한다면 어떻게 준비하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어떤 일자리를 1) 전통적으로 사회 이동의 방식은 후원적 이동(spons or ed m obility )과 경쟁적 이동 (cont est m obility )으로 구분되었다. 후원적 이동은 기존의 엘리트에 의해 장래의 엘리트가 조기에 선발되고 길러지는 특성을 가지는데 반해 경쟁적 이동은 모든 이가 똑같은 출발점에서 동일한 규칙아래 경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로는 토너먼트식 이동(tournament mobility )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즉, 각각 의 선발 단계마다 승자와 패자 있으며, 승자만이 더 높은 단계의 경쟁을 위한 기 회를 가진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청년이 사회에서 겪게 되 는 첫 번째 경쟁 단계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학교 졸업자의 첫 번째 직업은 장래의 직업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장원섭, 1997).

(17)

구할 것인지 등은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제가 된다.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하는 일은 국가・사회적으로도 대단히 중요하다. 학교교육과 직업세계 사이의 연계가 부족할 경우 학교 졸 업자의 일터로의 원활한 이행을 저해함으로써 청년의 진로개발과 국가・사 회적 인적자원관리에 있어서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생산적인 인재가 양성되고 적성과 능력에 따라 그들이 적절한 자리에 배치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사회 전반의 조화로운 발전과 기능을 위해 국가와 사회의 중대한 과제가 된다. 결국,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 은 청년 개인적으로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화와 지식기반시대의 도래 등으로 인해 직업세계 는 빠르게 변화하지만 학교교육은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교육과 직 업세계 간의 분리와 단절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크게 제기되고 있다. 또한 고학력화와 학교교육의 인문화 경향, 그리고 IM F 체제로의 편입에 따 라 가속화된 노동시장과 고용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청년 실업(y outh un em ploy m en t )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졸 이하의 저학력 소유자와 청년들이 가장 높은 실업률을 보이고 있어 고졸 이하의 낮은 학력을 소유한 청년들의 경우 직업세계로의 이행이 가장 불안정한 구조를 드러내고 있다. (< 표 Ⅲ- 2> , < 표 Ⅲ- 3> 참고)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문제는 이미 세계적인 관심사이다. 청년 실 업의 증가와 고용불안의 해소, 그리고 기술과 직무능력 향상을 통한 원활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OE CD 국가들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의 하 나가 되고 있다(OE CD, 1994; 1996; 1998a ; 1998b ). APE C HRD 관련 회의에 서도 학교- 직업세계 이행 문제가 국가간 협력사업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에서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각 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촉진하기 위한 법적 장치까 지 마련하고 있다. 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 ch ool- t o- W ork Opp ort un it ie s A ct of 1994)』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리고 학교- 직업세계 2

(18)

-이행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직업교육 또는 교육학뿐만 아니라 사회 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이 문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 행되고 있다. 이 연구들은 현장 개선과 정책 개발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S t ern e t al., 1995; R os enb aum , 1996 ).

국내에서도 산학간의 연계와 교육훈련의 현장성 등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 이 이루어졌으며(예를 들어, 이무근 외, 1998), 한국인의 진로에 관한 연구들 을 통해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 관해서 부분적으로 파악이 가 능하다(이지연 외, 1998). 또한 학생들의 취업과 현장 적응에 대한 실증적 조사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이무근 외, 1992). 최근에는 OE CD같은 국 제 기구와 미국 등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 (s ch ool - t o - w ork t r an sit ion )' 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해 소개하고, 이 문제 를 우리 현실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다(신명훈, 1998; 오정란, 1998; 이상 오, 1998; 장원섭, 1997).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 이 분야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와 그 연구에 터한 정책 수립 및 현장 개선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 이론적 틀이 아직 정립되어있지 못하며 최근 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올바른 정책을 개발하고 현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과 관점에 터해 이 문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동시에 실증적 으로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나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이론적 틀을 확립하고 우리 나 라 고등학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이행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및 현 장 개선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19)

2 .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 연구 문제

이 연구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의 개 념적・이론적 틀을 설정하고, 고등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실태를 분석 하며,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원활 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한 정책 및 현장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기한다. 첫째, 교육으로부터 직업세계로의 이행의 개념적・이론적 틀은 어떻게 설 정될 수 있는가? 어떤 요소들이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가?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학교와 일터의 유사점과 차 이점은 무엇이고, 두 세계 사이의 연계는 어떤 이론적 관점 또는 모형들에 의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둘째, 우리 나라의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실태는 어떠한가? 고등 학생들의 교육적 전환과 직업으로의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학생들은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해 구체적으로 고등 학교에 있는 동안 어떤 준비 를 하고 어떤 경로를 통해 직업세계로 이동하는가? 즉, 누가 어떤 과정을 거쳐 노동시장에 들어가는가? 그리고 학교로부터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있어 서 문제는 무엇인가? 셋째,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체제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그 것들은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 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실태와 정 책은 어떠하며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가? 마지막으로,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우리 나라가 지향해야 할 교- 직업세계 이행 체제는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가? 4

(20)

-나 . 연구 방법 및 절차

이러한 문제들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전문가 자문 및 협의, 학교 및 기업체 관계자 면담, 그리고 청년을 대상으로 한 설 문조사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활용하였다. 1 )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먼저, 학교와 직업세계 사이의 연계에 관련된 국내외 논문, 저서, 연구보 고서 등을 수집하여 분석・정리하였다. 교육부의 『교육통계연보』, 통계청 의 『고용구조조사 보고서』, 『경제활동인구연보』, 『사회통계조사보고 서』, 노동부의 『노동력유동실태조사보고서』 등을 분석하여 학교 졸업자 의 교육적・직업적 전환의 전반적인 현황과 경로를 파악하였다. 또한 외국 의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 각종 연구물과 OE CD, N CRVE 등의 관련 보고서 및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2 )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보다 타당하고 합리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연구의 진행 과정에서 이 분야 에 관련된 국내외 전문가의 자문과 협조를 받았다. 자문과 협의의 내용은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이론적 틀 설정, 연구 운영의 방향, 연구 방 법의 타당성 및 신뢰성, 외국 사례 분석의 적절성, 그리고 정책 방향 제시의 합리성 및 현실성 등 연구 전반에 관한 사항이었다. 3 ) 현장 관계자 면담 이 연구에서는 또한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 기 위해서 25개 고등학교의 실과 및 진로 담당 교사와 12개 기업체의 인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교는 지역과 계열 등을, 기업은 지역과 주요 업종, 그리고 규모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1)

학교 면담조사 내용은 학교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학생들의 학교에서의 진로 준비 실태, 진로 상황, 기타 학생의 진로상의 문제와 개선 방안 등이었 다. 그리고 기업체 면담조사 내용은 회사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고용 경로 및 방법, 기타 고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학교에의 요구 등이었 다. 4 ) 설문조사 가 ) 조사 대상 학교에서 직업 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설문조사의 모집단은 전국에 거주하 는 15세~29세의 남녀이다. 15세~29세 청년을 조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첫째,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과정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세계 준비뿐만 아니라 고등학교를 졸업한 청년의 진로와 노동시장 행위 를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인은 대부분 20대에 첫 번째 직장 을 가지게 된다(김병숙 외, 1998). 따라서 20대 청년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 직업세계의 빠른 변화로 인해 20대 이후 의 연령대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현재의 상황에 크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 공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만 15 세에서 만 29세는 OE CD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연구를 위한 연령대로 국제 표준에도 부합한다. 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전국 행정단위별 인구 분포 현황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표본 수를 비례 할당하는 다단계 무작위 추출법 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집한 사례수는 700명이었고 전체 조 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배경은 다음의 < 표 Ⅰ- 1> 과 같다. 조사 대상 중 학력이 중졸 이하로 고등학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 우는 고등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하므로 자 료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분석에 사용한 실제 유효 표본 수는 694명이었다. 6

(22)

-< 표 Ⅰ- 1> 조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배경 (단위 : 빈도, % ) 항 목 구 분 빈 도 백분율 성 별 남자 351 50.1 여자 349 49.9 연 령 19세 미만 215 30.7 20세-24세 244 34.9 25세 이상 241 34.4 최종학력 중졸 이하 6 0.9 고교 재학 144 20.6 고교 중퇴 및 졸업 184 26.3 전문대 재학 및 졸업 117 16.7 대학 재학 이상 249 35.6 결혼여부 기혼 114 16.3 미혼 586 83.7 현재 직업 직장인 215 30.7 자영업 22 3.1 학생 336 48.0 재수생 8 1.1 전업주부 56 8.0 무직 63 9.0 계 700 100.0 나 ) 조사 방법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개인 면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 다. 면접 조사를 실시한 이유는 첫째, 지리적으로 흩어져 있는 조사 대상으 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편 조사를 할 경우 회수율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전화 조사를 활용할 경우 문항이 간결하고 수가 적

(23)

어야 하나 이 조사는 과거의 경험을 묻는 문항들이 많기 때문에 즉각적인 응답이 어려울 수 있으며 동시에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한 포괄적이고 종 합적인 조사이므로 문항 수가 전화조사로 처리하기에는 너무 많았기 때문이 다. 조사도구는 7월 5일부터 7일까지 약 3일간 사전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확 정하였고, 7월 8일부터 16일까지 본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의 선정을 위해 우선 6대 도시 및 도별로 각 인구수에 비례하도록 지역별 표본 수를 배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각 지역 내 조사 지점에서 7명~10명의 표본 을 조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 조사 지점의 수를 결정하고 각 지점 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지역내 각 조사 지점 내에서 역시 무작위로 방문대상 가구를 결정하여 한 가구당 1인의 조사 대상을 선정, 면 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 ) 조사 도구 본 연구를 위한 조사도구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총 7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학교에서의 직업세계로의 이행 준비는 응 답자가 학교를 다시는 동안 경험한 직업세계 준비를 파악할 수 있는 문항들 로 학교 계열, 직업관련 프로그램 참여, 일의 경험 등을 포함한다. 둘째, 학 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은 첫 번째 직장을 갖기까지의 구직 및 고용 과정에 관한 문항으로 구직 및 고용 방법, 구직 활동 시기, 입사 전후의 직업교육훈 련 등을 포함한다. 셋째, 학교- 직업세계 이행 결과는 첫 번째와 현재의 직업 지위를 나타내는 문항들로서 고용형태, 임금, 근로하고 있는 기업의 특성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배경은 성별, 연령, 학력, 가정 배경 등의 문항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문항의 구성 및 내용은 다음 < 표 Ⅰ- 2> 와 같다. 8

(24)

-< 표 Ⅰ- 2> 조사 도구의 구성 및 내용 구성 1. 학교에서의 직업세계 준비 학교 계열/ 유형/ 전공, 학교 성적, 재학 중 취업 경험, 자격증 취득, 재학 시 취업 준비 정도 및 내용 2.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 취업정보 수집경로, 구직활동 시기 및 방법, 입사 방법, 직 업 선택시 주요 기준, 입사 전후 직업훈련 기간 3. 직업세계로의 이행 결과 업종/ 직종, 업무와 전공 및 학력 일치도, 입사 전후 직업훈 련의 직무수행 기여도, 직장 형태, 직장 규모, 고용 형태, 직장의 월평균 소득, 직장 근무 일수, 이직 의사 및 이유, 이 직 경험 4. 개인적 배경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재 직업, 결혼여부, 진로 경로, 직장 생활 경력, 가정의 소득, 아버지의 직업 및 학력 라 )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은 SP S S for W in dow s v er sion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 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에서의 직업세계 준비 과정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항목에 대한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2 - t e st 를 실시하여 고교 교육 경험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때, 고교 재학 이상의 고 등학교 교육 경험이 있는 모든 사람을 분석 대상으로 선택하였으므로 유효 사례수는 694명이었다. 또한 고교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 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중다회귀분석(logistic multiple r egr ession ) 을 실시하였다. 이때 현재 고교 재학생을 제외한 527명의 유효 사례를 대상으 로 종속변수는 취업과 진학으로 구분되는 양분변수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수 는 범주형 변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2). 분석 과정에서 독립 변수간 상관

2)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연속 변수인 독립변수의 값 하나하나는 범주로 간주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연속 변수가 모형에 투입될 경우 교차되어 만들어지는 범주

(25)

계수를 살펴 유의미하게 높은 계수가 나타나는 경우는 모형에 함께 투입하 지 않았고, casew ise plot을 구하여 2 표준편차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치 (out lier )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해당되는 사례는 분석에서 제거하였다.

둘째, 직업세계로의 이행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역시 각 항목에 대 한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2

- t est 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검 증하였다. 입사 전・후 훈련기간과 같은 연속형 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 는 두 독립표본 t - t est나 일원분산분석(One - W ay ANOVA )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고교 졸업 후 바로 진학한 경험이 없이 직업세계에 참여 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유효 사례수는 179명이었다. 셋째, 직업세계로의 이행 결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2 - t est 를 통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 고, 각 항목들의 평균 비교에는 반복측정 분산분석법(r epeat ed m easure A N OVA )을 이용하였다. 여기에서도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 특성 분석과 동일한 대상을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유효 사례수가 179명이었다. 모든 자료 분석 과정에서의 차이 검증 혹은 유의미성 검증 결과는 유의수 준 .05, .01, .001 수준에서 판단하였다.

3 . 연구의 범위

첫째, 이 연구는 직접적인 정책 수립 또는 현장 개선 연구라기 보다는 이 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개념적, 이론적 틀을 세우고 전반적인 실태를 파 악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련된 현행 정책 분 석은 학생들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가운데 부분 의 수가 엄청나게 많아지고 충분한 사례수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해당 사례가 없 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즉 5 미만의 빈도를 가지는 범주의 수가 많으면 합 치도 지수에 심각한 왜곡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변수를 범주형으로 전환하여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였다. 10

(26)

-적으로만 다루어질 것이다. 둘째,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은 학교- 직업 , 학교- 직업- 다른 직업 , 학교- 직업- 학교- 직업 , 학교- 가정- 직업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 는데(이지연 외, 1998), 이 연구에서는 학교를 졸업한 후 첫 번째 직업을 가 지는 단계까지 만을 주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학교- 직업 세계 이행 경로와 실태를 검토할 것이다. 소수의 중학교 졸업후 취업자는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는다. 또한 고등교육 단계인 전문대학과 일반대학에 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문제는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겨둘 것이다.

(27)
(28)

Ⅱ . 학교 -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이론적 틀

이 장에서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의 개념 및 그에 관한 이론을 정 리한다. 먼저,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과 범위,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그 리고 나서 학교와 직업세계 사이의 필연적인 관계를 검토하고 학교- 직업세 계 이행의 이론적 모형들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1 . 학교 -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적 틀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은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며 다양한 측면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보는 관점과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파악되며 상이한 측면들이 강조되기도 한다. 이 절에서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 개념이 포괄하는 범위와 그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살펴본다.

가 .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개념 및 범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은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실제로 학교- 직 업세계 이행은 다양한 경로들로 나타난다. 학교를 졸업한 후 직접 취업하는 경로, 학교급간의 연계 교육 후 취업하는 경로, 그리고 졸업 후 진학하여 교 육을 더 받은 후 취업하는 경로 등 다양하다([그림 Ⅱ- 1] 참조).

(29)

[그림 Ⅱ- 1]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체제 이런 경로들 가운데 일반적으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이란 학생들이 학교에 서 취업을 준비하고 학교교육을 마친 후 직업세계로 이동하는 행위와 그와 관련된 교육훈련을 연장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되어진다(Sm ith & Roj ew sk i, 1993 )3 ). 이런 의미에서 교육적으로 광의의 접근법을 취할 때 학교- 직업세계 이행 개념은 직업을 얻기 위해 초등단계의 진로 의식화부터 대학교육과 취업후의 계속교육훈련까지를 포괄하는 의미를 가지게 된다 (H oern er & W ehrley , 1995 ).

따라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대상은 전통적인 직업 계열(v ocational t ra ck )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 계열의 학생들까지도 포함하는 모든 학생(all st u den t s )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N at ion al S ch ool - t o - W ork Office, 1997 ). 또 한 학교를 졸업한 이후 직접 직업세계로 들어가 현장 능력을 제고하려고 하 3) 이처럼 학교- 직업세계 이행은 교육과 고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따라 서 이 개념은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산학협동과 진로교육의 개념만으로는 포섭되 지 않는 학교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하나의 개념적 틀 속에서 일관성 있게 설명할 수 있다. 14

(30)

-는 현장 실습 프로그램들 외에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을 연계하기 위한 『테 크 프렢(T ech - P rep )』 같은 프로그램도 고등학교 직업 교육을 대학 수준으 로까지 연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주요한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어진다(St ern e t al., 1995).

나 .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구성 요소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은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것 을 바라보는 관점과 강조하는 기준에 따라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먼저, 미국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 to- Work Opportunities A ct of 1994 )』에서는 인문교육과 직업교육을 통합한 교실 수업인 학교중 심 학습(sch ool- based learnin g ), 현장을 학습의 장으로 하여 진로를 탐색 하고 일을 경험하는 일 중심 학습(w ork - b ased learning ), 그리고 교실과 현장 수업, 학생과 현장 근로자, 그리고 학교와 기업을 연결하는 연계 활동 (con n ect in g act iv it ies ) 등 세 가지를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구성 요소로 본 다. 이와 유사하게, Rosenbaum (1996)은 노동의 공급자로서 학교, 노동시 장에서 수요자로서 기업, 그리고 학교와 기업 사이의 관계를 학교- 직업세 계 이행의 구성 요소로 파악한다. OE CD의 N et w ork B 사업에서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노동시장과 교 육훈련 체제 등을 포함한 이행의 맥락(cont ex t of tr an sition ), 학교를 마치 고 직업을 갖기까지의 이행의 기간(dur ation of tr an sition ), 고등학교 및 노동시장에서의 교육훈련 경로(pathw ay s )를 구분하는 이행의 과정(proces s of t r an sit ion ), 그리고 직업세계에서 성공적이었는지 어떤지를 평가하기 위한 이행의 결과(outcom es of tr an sition )로 나누고 있다(P eter s son , 1998).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교육훈련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 직업세계 이 행은 교육을 중심으로 한 이행 준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 그

(31)

리고 직업세계에서의 이행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행 준비 (pr epar at ion )는 교육과 직업세계의 질적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학교 와 일터에서의 교육훈련과 연계체제에 의한 계속교육훈련 등을 통해 직업세 계로 진입하기 위한 준비 활동들을 의미한다. 이행 과정(pr ocess )은 성공적 인 전환 기회가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직업세계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구직을 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 및 고용정보의 제공,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교육훈련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취업과 고용을 지원하는 행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이행 준비와 이행 과정은 임금, 생산성, 직무 만족도 등 을 통하여 필연적으로 직업세계에서 어떤 이행 결과(out com e)를 나타냈는지 를 평가받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준비, 과정, 그리고 결과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2 . 학교 - 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틀

이 절에서는 먼저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필연적인 관계를 정리한다. 그리 고 나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이론적 모형들을 검토한다. 학 교- 직업세계 이행은 이론적 관점에 따라 상이한 모형들로 설정될 수 있다.

가 . 교육과 직업세계의 관계

교육과 직업세계는 필연적인 관련성을 가진다. 교육은 그 자체로서의 내 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은 사회와 분리된 채 진 공상태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교육을 통하여 길러진 개인은 사회 속에 서 일정한 역할 수행하면서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의 삶은 직업을 통해서 발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이무근, 1999). 따라서 극단적인 교육철학적 입장- 예를 들어, 항존주의 또는 본질주의 같 이 교육의 내적인 가치만을 중시하는 보수주의적 입장- 을 취하는 경우를 제 16

(32)

-외한다면, 교육과 사회, 더 좁혀서 학교와 직업세계와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그 관계의 강도에 따라 대응론과 상대적 자율성론의 두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 대응론 전통적으로 교육의 사회적 효율성(social efficien cy )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는 학교교육이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바를 그대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실 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avid Snedden과 Charles A . Pr osser같은 학자 는 이런 주장을 편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들은 교육과 직업세계가 강하게 연계되어야 하며, 학교를 일터에 맞게 바꾸어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이때 학교는 구체적인 직무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기관이며, 산업사회가 요구하 는 인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산업주의자들(indu strialist s )은 학교교육은 학습 그 자체를 위해 학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과정도 지식에 대한 탐구보다는 일터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직업세계의 변화에 주목하여 학교교육도 빠르 게 바뀌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이렇게 산업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교육을 통해 학교에서 배출된 인력은 직업세계에서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 할 수 있게 된다고 믿었다. 요약하면, Sn edden과 Pr osser같은 직업교육학자 들은 그 곳이 가정이든, 농장이든, 상점이든, 산업현장이든지 간에 일터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하다는 교육관을 가졌다. 보다 효과적인 직업훈련을 위해 이들은 학교 체제 분리론을 전개했다. 즉, 직업교육을 일반 교육체제와 분리시킬 것을 제안했다. 그들은 직업교육이 비실용적인 교육을 관리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통제되는 것을 우려하였기 때 문이다. 그들은 일터와 유사한 교육 환경에서 일터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가르치는 실천적 교육을 목표로 하였다. 직업교육은 청년들이 삶을 살아가 도록 준비시키고 시민의식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그것은 사회와 경제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Ch ang , 1992; M iller , 1990).

(33)

실제로 학교조직은 일터와 상호 대응하는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산업 사회에서 학교는 산업사회에서의 기업조직과 유사하게 위계적이고 관료적이 며, 중앙집권적으로 통제되고 순차적이고 분리된, 그리고 표준화된 공장 모 형(fact ory or cellular structur e m odel)에 따라 조직되었다(Ch ew , 1995; S prin g , 1990; Lev in , 1995 ). 학교의 급간 위계는 산업사회의 위계질서와 상 응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되기도 한다(Bow les & Gintis, 1976).

이런 관점을 취하는 입장에서 볼 때 현대 사회는 직업 지향의 사회 (w ork - orient ed societ y )이다. 따라서 그들은 교육이 전통적인 인문중심의 관점으로부터 새로운 관점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H oern er & W eh rley , 1995 ). 즉, 전통적으로 교육은 학문 또는 내용중심 (con t en t - b a sed learnin g )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제는 일 중심 학습 (w ork - b a sed learnin g )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보면서, 일 중심의 학습은 전통 적으로 명확하게 두 개로 분리되었던 교육과 직업세계를 삶(life)이라는 하 나의 세계로 통합 또는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2 ) 상대적 자율성론 앞서 살펴본 Snedden과 Pr os ser 같은 산업주의적 관점을 가진 학자들과 는 달리 John Dew ey 같은 교육학자들은 학교의 일터에 대한 상대적 자율 성을 주장하였다. 그는 실용주의 교육적 관점을 견지하지만 학교가 기술을 갖춘 훌륭한 노동자를 공급함으로써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것보다는 학생에 게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형성하도록 돕는 활동을 더욱더 강조하였다. Dew ey 의 직업교육적 목적은 학교를 개혁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직업 교육이 교육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여겼다. 전통적인 인문학 중심의 교육으로부터 탈피하여 직업이 삶의 중심이며 따라서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리고 직업교육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Dew ey 는 학습은 경험과 삶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 나 이 때 경험과 삶의 학습은 직무 특수적 이라기 보다는 광범위하고 다양 18

(34)

-한 체험을 통-한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교육 그 자체를 통-한 즐거움과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면서 인간이 총체적으로 발달할 수 있게 된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는 학습과 삶 그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었다. 따라 서 산업주의자들과는 달리 교육의 주도권은 교육자에게 있으며 학교는 직업 세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자체의 논리를 가지고 움직이며 분리된 교육 체제와 환경을 통한 직업훈련보다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삶의 교육을 원했 다(Chan g , 1992; M iller , 1990). 실제로 학교교육은 학교 밖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자명하 다. 학교는 일터에 비해 보다 평등하고, 민주적이며,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 다. 학교교육은 학교 밖과는 달리 공유된 지식보다는 개인적 지식(shar ed cogn it ion v s . in div idu al cog nition )을, 도구 조작보다는 순수한 정신기능 (t ool m an ipu lation v s . pur e m ent at ion )을, 상황적 추론보다는 상징적 조작 (con t ex t u alized r ea sonin g v s . sy m b olic m an ipulat ion )을, 구체적인 직무능력 보다는 일반화된 학습을(situ ation - specific com pet encies v s. gener alized learnin g )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R esn ick , 1987 ). 그리고 이런 학교와 산업 의 차이가 산업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완전히 극복되어질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이런 측면에서 학교는 직업세계에 대해 상대적인 자율성을 갖 고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입장 역시 학교교육이 사회와 완전히 유리된 것이라기보다는 사회 변화에 따라 점진적 으로 변화하고 삶이 교육의 중심이어야 한다는 진보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과 직업세계는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3 ) 교육과 직업세계의 연계 방식들 앞에서 살펴본 대응론과 상대적 자율성론 두 관점은 우선 순위를 어디에 두는가에서 차이를 보일 뿐 교육이 직업세계의 변화를 반영하며 연계될 필 요가 있다는 데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두 관점은 모두 학교와 산업 이 일정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있기도 한다. 특히, 현대

(35)

사회는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교육과 직업세계는 필연적으로 차이 (g ap )를 나타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중요한 것은 개방적이고 상호 연 계된 유연한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후기 산업사회에서 교육과 일이라 는 두 세계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조화시키고 슬기롭게 극복하느냐의 문제 이다. 교육과 직업세계 사이의 필연적인 간극을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이 신속하게 직업세계의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방법이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이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 한 것 같다. 다만, 특성화된 소규모의 유연한 학교조직에서는 부분적으로 가 능할 수 있다. 움직임이 가벼운 학교는 사회 변화에도 적응하기가 쉽기 때 문이다. 둘째, 학교가 직업세계의 변화를 신속하게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면 학교 에서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교육을 우선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 관점은 전통 적이고 보수적인 관점으로 오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직업세계 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학교가 학생들에게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능 력을 함양시킨다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학교의 역할이 긍정적으로 규정 된 것이라고 보인다. 미국 S CAN S 보고서의 입장이 이런 방식으로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학교가 직업세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도 있다. 이 것 역시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매우 힘든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보수적일 수 밖에 없는 교육기관인 학교보다는 자유로운 시장 속에 있는 영리기관인 기 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학교기업(school- based en t erprises )과 기술 개발・확산 등의 방법을 통해 학교가 일터의 변화를 주 도하는 사례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을 보면, 경우에 따라서 학교가 직업세계 의 변화를 이끌 수도 있다는 적극적인 관점을 취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 될 수 있다. 결국, 이들 각각의 방법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교체 제가 이런 관점들에 터한 프로그램들 개발하고 그것들을 적절하게 조화시킨 20

(36)

-다면 학교와 직업세계간의 연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 이라고 보인다.

나 .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이론적 모형들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이론적 관점은 매우 다양하다. 그것 은 크게 결핍 모형, 기회구조 모형, 그리고 네트워크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 다(Kariy a, 1988; Rosenbaum , et al., 1988; 장원섭, 1997)

1 ) 결핍 모형 결핍 모형(deficit m odel)은 노동의 공급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 직업 세계 이행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모형에서 청년들의 학교로부터 직업세 계로의 이행에 있어서의 성패는 학생 개인의 기술과 능력, 그리고 일에 대 한 태도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에 달려있다고 가정된다. 이런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학교가 학생들을 제대로 준비시키지 못한 상태로 노동시장에 배출 하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이론에서는 교육기관과 직업세계로 진입하는 청년 개인의 문제 를 제거함으로써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을 강구한 다. 많은 학자와 정책가들은 학교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학 생들이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갖 가지 방안들을 제시한다. 다음절에서 살펴볼 대부분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제안들이라고 볼 수 있다. 2 ) 기회구조 모형

기회구조 모형(opportunity stru ctur e m odel)은, 결핍 모형과는 대조적으 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있어서 노동의 수요측면을 강조한다. 이 관점에서 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성공을 위

(37)

한 기회 구조 자체가 다르게 분배되어 있다고 본다. 즉, 이런 관점을 가진 학자들은 노동시장의 구조가 이미 성별, 학력(學歷), 나이, 사회계급, 출신지 역 등에 따라 차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이나 태도보다는 그들의 귀속적 특성에 따라서 직업세계에서 성공할 확률 자체가 다를 수밖에 없다 고 주장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저학력자, 여성 등과 같이 불리한 조건을 가진 자들은 낮은 임금, 계속교육 및 승진 기회의 부족, 열악한 작업 환경 등을 가진 직업에 종사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불리 한 조건 또는 속성을 가진 학생들의 학교- 직업세계 이행과정은 그렇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많은 장애요인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노동시장의 수요 측면 또는 구조적 요인을 강조하는 시각은 학교-직업세계 이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들이 가진 직업적 능력이나 태도이외에 학력과 학벌, 성별, 가정 배경, 출신 지역, 나이, 군 입대와 결혼 여부, 학교 및 전공 계열 등은 그 자체로 학교 졸업자가 직업세계에서 성공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3 )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 앞에서 살펴본 두 관점은 모두 시장 모형(m arket m odel)에 근거하고 있 다. 따라서 이 두 모형은 공통적으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설명하는데 일 정한 한계를 가진다. 반면,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관한 제도적 모형 (in stit ut ion al m odel) 또는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 (social n et w ork m odel)은 시장 기제와는 다른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앞의 두 모형에서 간과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은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서 구직자와 기업만의 관계가 아니라 구직과 고용 행위에 있어서 이 둘과 그 사이에 제 삼자의 개입이라는 복합적인 관계를 가정한다. 이 모형에서는 직업세계에서 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서의 정보의 질, 신뢰성, 영향력 및 그 흐 름에 따른 구직 및 고용 방법에 주목함으로써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에 대한 역동적인 이론적 관점을 제공한다. 한마디로, 사회적 네트워크 모형은 22

(38)

-학교 졸업자와 일자리 사이의 짝짓기(j ob m at ch )과정에서 제삼자에 의한 구 직자 또는 구인자에 대한 정보 제공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 et w ork )는 개인적 네트워크(per son al netw ork )뿐 만 아니라 학교와 기업의 제도적 네트워크(in stitutional n et w ork )도 상정한 다. 개인적 네트워크는 구직자와 구인자를 연결하는 제삼자가 개인인 반면, 제도적 네트워크는 학교- 기업 연계가 장기적이고 때로는 공식화된 제도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Ⅴ장에서 살펴볼 일본의 학 교- 직업세계 이행은 많은 경우 기관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효율적인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K ariy a , 1988 ; Rosen b au m e t al., 1988; R os enb aum , 1996 ).

3 . 학교 - 직업세계 이행 준비와 방법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은 학생들이 직업세계를 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활동, 경험 및 기회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구 직 및 고용 방법들이 동원된다. 이 절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교육과 직업세 계간의 연계방식으로서 학교- 직업세계 이행의 주요한 프로그램들을 유형화 한다.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 행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가 . 학교- 직업세계 이행 준비 유형론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은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 다4).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몇 가지 기준에 의해 유형화하면 다음과 같다. 4)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예시와 내용은 부록을 참고하시 오.

(39)

1 ) 일 중심 학습의 유형

일 중심 학습(w ork based learnin g )은 전통적인 내용중심 학습(content -b a s ed learnin g )과는 달리 일터 또는 일터와 유사하게 만든 환경에서의 학습 경험과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것은 다음 < 표 Ⅱ-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교에서의 일의 경험과 직무를 통한 일의 경험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일 중심 학습은 학교기업, 진로 아카데미, 모의 기업 프로젝트 등과 같 은 학교에서의 일의 경험(school- ba sed w ork ex perien ce)과 도제제도, 산학 협동학습, OJT , 멘터십 등의 직무를 통한 일의 경험(job - based w ork ex perien ce )을 포함한다(H oern er & W ehrley , 1995).

< 표 Ⅱ- 1> 일 중심 학습(w ork - ba sed learning )의 유형

학교에서의 일의 경험 (sch ool-b ased w ork exp erience)

직무를 통한 일의 경험 (job-b ased w ork experience)

・학교기업 ・진로 아카데미 ・고객 봉사 실험실 ・직업 실험실 ・직업 시뮬레이션 실험실 ・모의 기업 프로젝트 ・상급생 및 학급 프로젝트 ・도제제도 ・산학협동학습 ・OJT ・멘터십 ・인턴십 ・일/ 학습 프로그램 ・학교 연계 여름 취업 ・지역사회 봉사 학습 ・산학 계약제

자료: Hoerner & Wehrley (1995). W ork - B as ed L earning - The K ey to S chool- to- W ork T rans ition. New York : Glencoe.

2 ) 학교의 관여도와 임금 지급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

S m it h와 R oj ew ski (1993)는 학교의 관여 정도와 임금 지급 여부에 따라 학 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구분하였다. 학교가 학생들의 학습에 얼마나 관여하는가에 따라 보면, 시뮬레이션이나 테크 프렢 등은 학교에서 크게 관

(40)

-여하는 프로그램인 반면, 인턴십, 방과후 시간제 취업은 학교에서 제한된 관 여만을 할 뿐이다. 그리고 임금 지급여부를 보면, OJT 나 시간제 취업은 학 생들이 임금이라는 형태로 보상을 받는 프로그램인 반면, 멘터십, 지역사회 자원봉사는 임금이 지급되지 않는다. 이 두 가지 기준을 통해 다시 정리하 면, 각각의 프로그램들은 다음 [그림 Ⅱ-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림 Ⅱ- 2] 학교의 관여도와 임금지급에 따른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3 ) 교육과 일 경험의 시차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 일의 경험의 시차에 따라 교 육과 일을 동시에 경험하는 프로그램과 직업을 준비하기 위해 먼저 학교교 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류될 수 있다(St ern et al., 1995). 학교교육과 일(school and w ork )을 동시에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학교에 다니 는 기간 동안 일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런 프로그램은

(41)

산학협동학습, 청년도제제도, 학교기업 등과 같이 학교가 관할(sch ool- supervised ) 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과 시간제 취업 같이 학생이 스스로 알아서 하는 비구조화된 일의 경험으로 구분된다. 직업준비를 위한 교육(school for w ork )은 학생들에게 직업세계를 준비시키기 위한 명시적인 목적을 가지고 제공되는 직업교육으로서 전통적인 또는 새로운 형태의 직업준비교육이 여 기에 해당된다. < 표 Ⅱ- 2> 교육과 일 경험의 시차에 따른 학교- 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 유형 프로그램의 예 학교교육과 일의 경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school and w ork)

학교가 관할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 (school-supervised program s) ・산학협동학습 ・도제제도 ・학교기업 학교 밖에서의 비구조화된 프로그램 (d o-it-you r self p r ogr am s)

・시간제 취업 ・자원 봉사 직업세계를 준비하기 위한 학교교육 프로그램

(school for w ork)

・교과서를 이용한 교실 직업교육 수업

나 . 학교- 직업세계 이행 과정과 사회적 네트워크

현실의 노동시장에서 일자리와 임금 등에 관한 완전한 정보란 존재하지 않으며 성공적인 학교- 직업세계 이행을 위해서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행 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따라서 구직자와 구인자들은 모두 정보를 탐 색하며 시간을 보내고 비용을 들인다. 즉, 노동시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행 위는 그 행위들의 결과로서 고용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 된다. 이 절 에서는 구직과 구인의 필수 조건으로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검토한다. 그 가운데 학교- 직업세계 이행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 회적 네트워크를 강조한다. 26

참조

관련 문서

직접 타인의 역할을 해본다는 것은 감정이입의 효과를 만들어 주어 특정 상황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어 문화적인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다.뿐만

○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기술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느끼고 창의·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계학습과 딥러닝 STEAM 프로그램 개발..

이를 통해 과학 기술를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후속 활동을 스 스로 설계해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는

체험집단은 학기 초 특활부서 [사회복지 봉사반]을 편성하여 8회에 걸쳐 특수학교를 방문하여 다양한 봉사활동을 통해 장애아동을 직접 만나고 그들 에 도움을

학교 운영 체제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학문간 경계를 넘어 자유롭게 연구하고 탐구할 수 있는 융합 학습 여건과 개방적

학생들이 우리 학교의 공간을 직접 탐색해보고 학교 공간 중에서 자 신이 바꾸고 싶은 공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공통된 아이디를 가진 학생들이 모여서 학교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광주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 사를 통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파악,분석하여 학교 정보화

가창에서 감상이란 가창을 하는 주체가 자신의 가창을 감상하는 대상과의 소통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감상은 학생들이 음악에 대한 미적 체험을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