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과 직업세계는 필연적인 관련성을 가진다. 교육은 그 자체로서의 내 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은 사회와 분리된 채 진 공상태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교육을 통하여 길러진 개인은 사회 속에 서 일정한 역할 수행하면서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의 삶은 직업을 통해서 발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이무근, 1999).

따라서 극단적인 교육철학적 입장- 예를 들어, 항존주의 또는 본질주의 같 이 교육의 내적인 가치만을 중시하는 보수주의적 입장- 을 취하는 경우를 제

16

-외한다면, 교육과 사회, 더 좁혀서 학교와 직업세계와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그 관계의 강도에 따라 대응론과 상대적 자율성론의 두 입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 대응론

전통적으로 교육의 사회적 효율성(social efficien cy )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는 학교교육이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바를 그대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실 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David Snedden과 Charles A . Pr osser같은 학자 는 이런 주장을 편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들은 교육과 직업세계가 강하게 연계되어야 하며, 학교를 일터에 맞게 바꾸어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이때 학교는 구체적인 직무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기관이며, 산업사회가 요구하 는 인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산업주의자들(indu strialist s )은 학교교육은 학습 그 자체를 위해 학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과정도 지식에 대한 탐구보다는 일터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직업세계의 변화에 주목하여 학교교육도 빠르 게 바뀌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이렇게 산업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교육을 통해 학교에서 배출된 인력은 직업세계에서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 할 수 있게 된다고 믿었다. 요약하면, Sn edden과 Pr osser같은 직업교육학자 들은 그 곳이 가정이든, 농장이든, 상점이든, 산업현장이든지 간에 일터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하다는 교육관을 가졌다.

보다 효과적인 직업훈련을 위해 이들은 학교 체제 분리론을 전개했다. 즉, 직업교육을 일반 교육체제와 분리시킬 것을 제안했다. 그들은 직업교육이 비실용적인 교육을 관리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통제되는 것을 우려하였기 때 문이다. 그들은 일터와 유사한 교육 환경에서 일터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가르치는 실천적 교육을 목표로 하였다. 직업교육은 청년들이 삶을 살아가 도록 준비시키고 시민의식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그것은 사회와 경제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Ch ang , 1992; M iller , 1990).

실제로 학교조직은 일터와 상호 대응하는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산업 사회에서 학교는 산업사회에서의 기업조직과 유사하게 위계적이고 관료적이 며, 중앙집권적으로 통제되고 순차적이고 분리된, 그리고 표준화된 공장 모 형(fact ory or cellular structur e m odel)에 따라 조직되었다(Ch ew , 1995;

S prin g , 1990; Lev in , 1995 ). 학교의 급간 위계는 산업사회의 위계질서와 상 응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되기도 한다(Bow les & Gintis, 1976).

이런 관점을 취하는 입장에서 볼 때 현대 사회는 직업 지향의 사회 (w ork - orient ed societ y )이다. 따라서 그들은 교육이 전통적인 인문중심의 관점으로부터 새로운 관점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H oern er & W eh rley , 1995 ). 즉, 전통적으로 교육은 학문 또는 내용중심 (con t en t - b a sed learnin g )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제는 일 중심 학습 (w ork - b a sed learnin g )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보면서, 일 중심의 학습은 전통 적으로 명확하게 두 개로 분리되었던 교육과 직업세계를 삶(life)이라는 하 나의 세계로 통합 또는 연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2 ) 상대적 자율성론

앞서 살펴본 Snedden과 Pr os ser 같은 산업주의적 관점을 가진 학자들과 는 달리 John Dew ey 같은 교육학자들은 학교의 일터에 대한 상대적 자율 성을 주장하였다. 그는 실용주의 교육적 관점을 견지하지만 학교가 기술을 갖춘 훌륭한 노동자를 공급함으로써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것보다는 학생에 게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형성하도록 돕는 활동을 더욱더 강조하였다.

Dew ey 의 직업교육적 목적은 학교를 개혁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직업 교육이 교육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여겼다. 전통적인 인문학 중심의 교육으로부터 탈피하여 직업이 삶의 중심이며 따라서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리고 직업교육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Dew ey 는 학습은 경험과 삶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 나 이 때 경험과 삶의 학습은 직무 특수적 이라기 보다는 광범위하고 다양

18

-한 체험을 통-한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교육 그 자체를 통-한 즐거움과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면서 인간이 총체적으로 발달할 수 있게 된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는 학습과 삶 그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었다. 따라 서 산업주의자들과는 달리 교육의 주도권은 교육자에게 있으며 학교는 직업 세계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자체의 논리를 가지고 움직이며 분리된 교육 체제와 환경을 통한 직업훈련보다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삶의 교육을 원했 다(Chan g , 1992; M iller , 1990).

실제로 학교교육은 학교 밖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자명하 다. 학교는 일터에 비해 보다 평등하고, 민주적이며,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 다. 학교교육은 학교 밖과는 달리 공유된 지식보다는 개인적 지식(shar ed cogn it ion v s . in div idu al cog nition )을, 도구 조작보다는 순수한 정신기능 (t ool m an ipu lation v s . pur e m ent at ion )을, 상황적 추론보다는 상징적 조작 (con t ex t u alized r ea sonin g v s . sy m b olic m an ipulat ion )을, 구체적인 직무능력 보다는 일반화된 학습을(situ ation - specific com pet encies v s. gener alized learnin g )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R esn ick , 1987 ). 그리고 이런 학교와 산업 의 차이가 산업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완전히 극복되어질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이런 측면에서 학교는 직업세계에 대해 상대적인 자율성을 갖 고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입장 역시 학교교육이 사회와 완전히 유리된 것이라기보다는 사회 변화에 따라 점진적 으로 변화하고 삶이 교육의 중심이어야 한다는 진보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과 직업세계는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3 ) 교육과 직업세계의 연계 방식들

앞에서 살펴본 대응론과 상대적 자율성론 두 관점은 우선 순위를 어디에 두는가에서 차이를 보일 뿐 교육이 직업세계의 변화를 반영하며 연계될 필 요가 있다는 데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두 관점은 모두 학교와 산업 이 일정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있기도 한다. 특히, 현대

사회는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교육과 직업세계는 필연적으로 차이 (g ap )를 나타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중요한 것은 개방적이고 상호 연 계된 유연한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후기 산업사회에서 교육과 일이라 는 두 세계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조화시키고 슬기롭게 극복하느냐의 문제 이다.

교육과 직업세계 사이의 필연적인 간극을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이 신속하게 직업세계의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방법이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이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 한 것 같다. 다만, 특성화된 소규모의 유연한 학교조직에서는 부분적으로 가 능할 수 있다. 움직임이 가벼운 학교는 사회 변화에도 적응하기가 쉽기 때 문이다.

둘째, 학교가 직업세계의 변화를 신속하게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면 학교 에서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교육을 우선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 관점은 전통 적이고 보수적인 관점으로 오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직업세계 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학교가 학생들에게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능 력을 함양시킨다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학교의 역할이 긍정적으로 규정 된 것이라고 보인다. 미국 S CAN S 보고서의 입장이 이런 방식으로 교육과 직업세계간의 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학교가 직업세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도 있다. 이 것 역시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매우 힘든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보수적일 수 밖에 없는 교육기관인 학교보다는 자유로운 시장 속에 있는 영리기관인 기 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학교기업(school- based en t erprises )과 기술 개발・확산 등의 방법을 통해 학교가 일터의 변화를 주 도하는 사례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을 보면, 경우에 따라서 학교가 직업세계 의 변화를 이끌 수도 있다는 적극적인 관점을 취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 될 수 있다.

결국, 이들 각각의 방법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교체 제가 이런 관점들에 터한 프로그램들 개발하고 그것들을 적절하게 조화시킨

20

-다면 학교와 직업세계간의 연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

-다면 학교와 직업세계간의 연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