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환경 실태

In document 국가 농어촌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Page 166-17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 문화환경 실태

□ 조사개요

◦ 목적: 농산어촌 마을의 문화환경 및 운영실태, 문화활동 및 인식, 문화수요 등 파악 및 농산어촌 지역의 차등적 생활기반환경에 따른 문화환경 차이 분석

◦ 대상: 농산어촌마을 이장 180명

- 마을주민들이 문화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53.9%가 30분 이상 이동해야 하지만 93%이상이 1시간 이내 관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남

◦ 생활만족도

-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도시와 가까운 도농연계형 지역일수록 상대적 박탈감 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정신적 풍요보다는 경제적 풍요와 신체적 건강을 행복 의 조건으로 생각함

42.8 41.1

16.1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 정신적으로 여유로운 삶

(n=180, %)

◦ 문화활동 장소

- 87% 이상이 마을회관(노인정)에서 문화활동, 마을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 설이용 빈도(주 1회 68%)도 높고 시설에 대한 만족도(87%) 역시 매우 높게 나타남.

새로운 문화시설에 대한 요구는 도시에 가까운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그 외 지역 에서는 기존 시설에서 충분히 문화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다는 응답임

◦ 문화활동 수요

- 체육, 건강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주로 원하고 있으며, 그 외 문화강좌 등의 문 화예술프로그램을 요구하고 있음. 도시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문화강좌 등 문화 프로그램 요구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음

◦ 문화활동 장애요인

- 문화활동을 운영하는 데 있어 약 74%는 장애가 없다고 생각하며, 장애가 있다 면 시설관련 문제, 참여/진행 인원이 부족하다 응답

- 주민 문화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제반여건 부족>맞춤 프로그램 부재>관심부족 등이 나타남

◦ 문화활동 지원기관

- 읍/면사무소, 시/군청 등이 마을과의 밀접성과 경제적 지원, 시설 지원 가능성이 높을 것 같다는 이유로 선호함

58.3

27.2

2.8 2.2 1.7 1.7 1.7

읍/면사무소 시/군청 도청/광역시청 농협 지역 문화원정부/중앙정부기관 기타

(n=180, %)

◦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 기존 지역주민들의 모임활동에 문화프로그램- 노래부르기 또는 배우기(47.2%), 전통공예술(31.1%) 등을 농번기에는 저녁시간 대(19:00~21:00 66.1%), 농한기에 는 오후시간(13:00~18:00 75%)에 마을회관 이용(77.2%)하여 공급하는 것이 좋 다는 의견

◦ 최근 5년간 농산어촌지역 지원사업

- 농산어촌 발전 관련 사업으로 시설 건립 관련 사업 지원이 65%로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 지역개발/마을 가꾸기 사업이 41.7%, 특정 프로그램 관련 사업이 20.6%를 차지함

- 시설 건립 관련 사업은 마을회관 신축보강(62.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건강증진 관련 시설 건립사업(8.5%) 등으로 나타남

- 지역개발/마을가꾸기 사업으로는 마을도로정비(35.1%), 마을경관조성(31.1%)로 나타남

- 특정 프로그램 관련 내용으로는 영농교육(40.5%), 건강강좌(27.0%), 문화강좌 (10.8%)로 나타났으며, 영농교육은 농업기술센터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활용도 및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높음

40.5

27.0

10.8 10.8

5.4 5.4 5.4

영농교육 건강강좌 문화강좌 교양강좌 생활체육강좌 정보화강좌 기타

(n=37, %)

◦ 농산어촌 발전 사업 부진 이유

-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해서(32.2%), 주민들이 관심 없음(25.6%), 내용이 농촌생 활과 동떨어져 있어 흥미유발하지 못함(13.9%)으로 응답

- 활력지역, 도농연계형 지역에서 시설에 대한 문제를, 성장촉진지역이나 농산어 촌형 지역에서 프로그램과 주민관심을 이유로 들고 있으며, 읍면사무소를 포함 하고 있는 마을에서는 프로그램이 없는 마을에서는 시설을 이유로 세움

In document 국가 농어촌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Page 166-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