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 양성교육과정

대학교육의 자율화로 인하여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규정은 폐지되었다. 특히 비교적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원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교육대학과 달리 사범대학과 일반대학의 교 육과정의 편성・운영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교육과정에 대한 사항은 대학의 자율에 맡겨 편성・운용되고 있다. 그래 서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이 최소 120학점에서부터 160학점에 이르기까 지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 교직의 경우 교원자격검정령시행규칙에 의거하 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수학점의 기본구조나 편제는 일 정하게 정해져 있으나 운용의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은 일반교원의 양성과 동 일하게 사범대학 및 일반대학의 교직과정 설치학과에서 양성되고 있다.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은 일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 외에 교직이라는 계열 을 별도로 구분하여 교양과목, 교직과목, 전공과목이라는 구조의 틀을 가 지고 있다.

교양과목은 지도적 인격도야에 필요한 교과인데, 종합대학 내의 교양과 목과 특별한 구분 없이 학과가 속한 학문계열에 따라 선택과목 이수학점 이 조금씩 달리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공과목은 학과의 전문 학술

연구에 필요한 교과로, 표시과목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습득할 수

부전공 과목 23~31학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반대학의 교직과정은 일반 대학의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으면서 별도로 교직과정의 과목영역을 이수 해야 한다. < 표Ⅳ- 3> 에서 보듯, 교직과정이수자가 이수해야할 교직과목 은 교직이론(14학점 이상, 7과목 이상), 교과과목(4학점 이상, 2과목 이 상), 교육실습(2학점, 4주) 등 세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이수학점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교 양과목은 전공과목과 관련하여 전공내용을 심화시킬 수 있는 교과목으로 편성되어야 하지만, 그러하지 못할 경우도 있어 상대적으로 교원양성교육 과정에서 전공교과교육의 비중을 약화시킬 우려도 있다.

또한 교원 양성교육과정에서 교육실습은 교육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그러나 현행 교직과목에서 교육실습은 극히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실습은 2학점으로 4학년 때 4주간 실시하고 있어 본 래 취지인 유능한 교원으로 교육현장에 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교 과지도, 생활지도, 학생이해 및 사무처리 등의 현장경험을 습득시키려는 데 있으나 실습기간이 너무 짧다.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지침・

운영에 의하면, 전문교과의 학습활동 중 실험・실습 및 실기의 비율은 50%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직업교육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기관의 교 육과정에 전공교과에 대한 실험・실습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다. 예 를 들어 이수학점이 160학점(2,976시간)인 충남대학교 공업교육학부의 수 업구성의 비율을 보면, 교양과목이 42학점(768시간), 교직이 22학점(288시 간), 전공이론이 77학점(1,248시간), 전공실습이 21학점(672시간)이다(충남 대학교, 1998). 전공과목 중 전공실습의 비율은 27.3%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졸업 이수학점이 140학점인 교직과정이 설치된 일반대학의 실정 은 이보다 미미하다. 그래서 이들 출신의 대부분은 교원으로서 교수능력 뿐 아니라 실업계 고등학교 교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기지도 능 력이 결여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의 직업교육교원 양성과정에서 보면, 재학기간 중 일정기간을 전공과 관련한 산업현장에서의 실습을 의무화하 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 나라의 경우 일부 시행하는 학과도 있지만 형식 에 치우친 실정이고, 대부분은 산업 현장과 관련된 실습을 하지 않고 있 다(이무근, 1996). 이로 인해 직업교육교원들은 담당 전공교과를 가르치고 있지만, 이들 교과 내용이 산업현장의 어떤 직무와 관련되어 있는지 무엇 이 중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는 현실감각에 둔감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원을 가르치는 대학교 교원이 전공에 대한 학문적 이론과 더불어 뛰어난 실기지도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또한 양성교육프로그램이 이론중심의 수업에서 탈피하여 현장실습중심으 로 전환되어야 하며, 산학협동에 의해 산업체. 시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 는 연계망이 조성되어야 한다.

교원교육과정은 전공교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직과목을 강조 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직과목의 일부는 직업교육교원의 자질 함양에 부 적합하게 운영되고 있다. 교직이론 중에서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 사, 교육심리 등은 순수 교육학을 전공한 교수가 전담하여야 할 교과목이 다. 그러나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등은 순수 교육 학 전공교수보다는 교과교육 전공교수가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직업교육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이 순수 교육학에서 다루고 있 는 것과 기본적으로 다르며, 특히 직업교육에서는 실험실습교육이 강조되 기 때문에 교수방법 상에서 일반교과와는 강조점이 달라야 한다. 교육사 회 역시 교육의 사회학적 관점에서 넓은 지식을 얻을 수 있으나 직업교 육과 관련한 산업사회의 변화, 학교와 산업사회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전 무하기 때문에 전공교과와 관련한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다(이무근, 1996) 고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