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3 절 건강수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경로와 기전에 관한 통합모형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은 앞서의 관점에 따라 건강수준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과의 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각 관점이 개별적 으로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왔다. 각각의 모형들은 세부적인 면에서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 모형들은 모두 건강 불평등의 원인에 대하여 ‘중첩적’(layered)이고 ‘연쇄적’(chain-like)인 관점에 근 거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발생하는 관련 요인들과 건강수준 사이에서 존재하는 수많은 ‘중첩적’이고 ‘연관적’인 요인들을 통하여 질병이나 장애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회경제적 요인 들과 건강수준 사이에서 중첩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요인들에 대하여 건강불평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과 중재의 개입지점(entry point)이 존재할 수 있다.

각 모형들간에 찾아볼 수 있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Mackenbach et al., 2002).

① ‘생애과정 관점’이 어느 정도 견지되고 있는지의 차이점이다. 일부 모형에서 는 성인기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에 한정되어 있으나, 다른 모형들은 아동기 에 발생했던 요인들까지도 통합시켜 설명한다.

② 건강과 관련된 생물학적인 경로를 어떻게 규정짓고 있느냐의 차이점이다.

일부 모형에서는 오로지 개인의 외부에 존재하는 결정요인들만을 기술하고

있으나, 다른 모형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아 울러 질병을 가져오는 생물학적 효과를 보여준다.

③ 거시사회적 요인들과 정책들이 기술되어 있는지 여부에도 차이점이 있다.

일부 모형에서는 개인적인 수준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에 한정되어 있으나, 다른 모형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이 되는 거시적인 환경과 사회정책 들을 기술한다.

④ 사회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건강의 영향력, 즉, 역효과(reverse effect)의 기술 에서 차이점이 있다. 일부 모형에서는 역효과를 무시하거나 부정하고 있는 것에 비해 다른 모형에서는 이를 명확하게 포함하고 있다.

모형이 정책을 생성하는 데에 유용하기 위해서는 상충되는 요건들이 다루어 져 있어야 한다. 각각의 요인들에 대해서 적절한 개입지점을 가지고 있어야 하 되, 정책결정자가 이해하기에 지나치게 복잡해서는 안된다. 혹시 어떤 연구자가 생물학적 경로가 정책보다는 의료서비스의 개입에 보다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을 것이나, 모든 다른 요소들의 관련성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상기의 ①~④의 측면에서 [그림 2-1]의 Diderichen 모형(1998)은 정책적 중재 를 고려한 가장 대표적인 모형이며, [그림 2-2]의 Acheson 모형(1998)은 건강의 결정요인으로서 다양한 요인을 거시적으로 제시한 대표적인 모형이다. [그림 2-3]의 Machenbach 모형(1994)은 생애과정 관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림 2-4]

의 Marmot과 Wilkinson 모형(1999)은 건강과 관련된 생물학적 경로를 강조하여 포함하고 있다(Mackenbach et al., 2002; Acheson, 1998).

본 연구에서는 사망수준의 사회경제적 계층별 차이, 건강상태의 차이를 분석 하는데 있어서 이들 여러 가지 대표적인 모형에서 제시하는 있는 다양한 요인 들과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석모형에서 변수를 선정하였다. 즉, 임상적 위 험요인, 건강행태, 심리사회적 요인, 어릴적 폭로요인으로 분류하여 원자료(본 연구에서 이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이용가능한 변수를 선택하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찾는데 위의 모형들이 근거가 되고 있다.

〔그림 2-1〕 Diderichen의 건강불평등 설명모형: 정책적 중재를 위한 사회적

〔그림 2-3〕 사회구조가 건강에 미치는 경로: Mackenbach 모형

〔그림 2-5〕 건강의 사회적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 House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