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디자인 프로세스와 창의력 개발 기법

3.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 기법

3.1. 개인 발상법

1) 체크리스트법(Checklist)

1937년 제너럴 일렉트릭사(General Electric Co)에서 발명공학 (invention engineering)이 시작된 이래로 창조공학(creative engineering)에서 창의성 원리에 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다.3)

체크리스트법은 아이디어 산출을 위해 사고의 출발점 또는 문제 해결의 착안점을 미리 정해 놓고 그에 따라 다각적인 사고를 전개 함으로써 능률적으로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막연하게 생각하기 보다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사항을 미리 항목별로 써 놓고 넓은 각도로 하나씩 체크하면서 아 이디어를 내고자 하는 것이 바로 체크리스트법이며 일명 설문법이 라고 한다. 이 기법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각 단계별로 여러 가지

2) 박화술, 창조성 개발기법, 서울: 학문사, 1983

3) 임연웅, 디자인 그 쓰임새와 꾸밈새, 서울: 학문사, 1997, p.249.

설문을 만들어 디자인 아이디어를 내도록 하는 것으로 아이디어가 정체되었을 때 설문에 의해 사고를 확산시키는데 유용하다.

이 방법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은 분명치 않으나 좀더 체계적으로 고안, 개량한 방법은 BBDO사의 부사장인 오스본(Alex F. Osborn)4) 이 개발한 <오스본의 체크리스트>이다. 그 후 밥 에버럴(Bob Eberle)은 발상 리스트를 기억하기 쉽도록 SCAMPER로 정리하였 다.5)

① 다른 것으로의 전용(轉用)은? - Substitute

그대로인 상태에서 새로운 사용 용도는 없는가, 개조하여 다르게 사용할 용도가 있는가, 뭔가를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사용법 등을 변경하여 현재 상태에서 바꿔서 생각해 볼 수 있다.

② 결합시키면? - Combine

새로운 것을 위해 관련 없는 이전의 아이디어나 주제를 결합시 킨다. 기능, 용도, 목적, 상품, 재료, 아이디어들을 조합할 수 있는 가, 어떤 항목이 이것과 결합될 수 있는가 생각해 본다.

③ 다른 곳에서 아이디어를 빌릴 수 없는가? - Adapt

토마스 에디슨(Thomas Alva Edison, 1847∼1931)은 “다른 사람 이 성공한 새롭고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습관적으로 찾아라. 아이 디어는 작업하고 있는 문제에 아이디어를 적용하는 부분에서만 독창적이면 된다.”고 하였다.6)

4) 오스본(Alex F.Osborn, 1988∼1966): 미국의 대 광고회사인 Batten, Barton, Durstine and Osborn(BBDO)사의 창립자의 한 사람. 뉴욕타임지에 다수의 창의 성개발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 1939년에 BS법을 자사 사원과 개발함.

5) 마이클 미칼코, 박종안, 이구연 역, Cracking Creativity: 아무도 생각하지 못하는 것 생각하기, 서울: 푸른솔, 2001, p.113.

6) Ibid., p.115.

무엇을 모방할 수 없는가, 그 밖의 이것과 비슷한 것은 없는가, 과거에 비슷한 것은 없는가, 다른 아이디어를 차용할 수 없는 가, 누군가를 보고 배울 수는 없는가 하는 점들을 체크하여 발 상한다.

④ 변경하면? - Modify

새로 생각을 해 보면 어떨까, 달리 만들 수는 없는가, 의미, 색, 움직임, 소리, 향기, 양식, 형태 등을 바꿔 보면 어떨까 하는 점들 을 체크하여 시도한다.

⑤ 확대하면? - Magnify

무엇인가 첨가 할 수 없는가, 좀 더 시간을 연장하면, 더 회수를 늘리면, 보다 강하게 하면, 보다 높게 하면, 보다 길게 하면, 보 다 두껍게 하면, 재료를 플러스 할 수 없는가, 복제는, 배가(培 加)는, 과장은, 다른 가치를 첨가하면, 과장하면 어떨까 하는 점들을 체크하며 시도한다.

⑥ 축소하면? - Minify

뭔가 줄일 수는 없을까, 보다 작게, 낮게, 짧게, 가볍게 분할하여 생략·압축하기 등을 시도해 본다.

⑦ 대용하면? - Put to other uses

누군가가 대신할 수 없는가, 무언가 대용할 수 없는가, 다른 재 료는, 다른 소재는, 다른 제조공정은, 다른 동력은, 다른 장소는, 다른 접근은, 다른 음색, 맛, 냄새는 하는 점들을 체크하며 시도 한다.

⑧ 삭제하면? - Eliminate

주제로부터 뭔가를 제거하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온다.

아이디어, 목적, 과정을 정리하여 간단하게 하면 진정으로 필요

한 부분이나 기능으로 좁혀 들어가거나 다른 과제를 위해 적합 한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이것이 보다 작다면, 무엇을 생략할까, 무엇을 뺄까, 불필요한 것 은 무엇인가, 이것을 다른 부분으로 독립시켜야 할까, 규칙이 제 거될 수 있는가 등을 질문한다.

⑨ 재배열하면? - Rearrange

형태요소를 바꾸면, 다른 패턴은, 다른 레이아웃은, 다른 순서는, 원인과 결과를 바꾸면, 페이스를 바꾸면, 스케줄을 바꾸어 보는 것이다.

⑩ 반대로 하면?- Reverse

포지티브와 네가티브를 바꾸어 보면, 반대는 어떨까, 뒤를 보게 하면 어떨까, 상하를 뒤바꾸면, 반대의 역할은, 구두를 바꾸면, 테이블의 방향을 돌려보면, 역할을 바꾸어 보는 것이다.

체크리스트법의 적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문제를 기술한다.

② 문제를 분석하고 그 대상의 현재 속성을 가능한 한 자세하게 나누어서 열거한다.

③ 열거한 속성들 중에서 한번에 하나의 속성을 택해서 차례대로 검토하며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아이디어를 내어본다.

“좀더 개선해야 할 점은 없는가?”, “왜 이런 방식으로 되어 있는 가?”, “다른 방식으로 할 수 있는가?”를 의심해 본다.

④ 속성들을 모두 검토했으면 지금까지 나온 아이디어들을 평가하 여 그중 좋은 것을 고른다.

그러나, 체크리스트법은 아이디어의 새로운 창출과 연쇄적인 파생 효과를 얻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① 체크리스트에 너무 의지하면 새로운 문제에 필요한 것들을 빠뜨 릴 우려가 있다.

② 없는 것까지 체크하고 시간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

③ 체크리스트에 너무 의지하면 자기 자신의 생각을 하지 않을 우 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에 대해 유의할 점은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폭넓은 접근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발명 아 이디어를 얻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라는 점이다.

2) KJ법

KJ법은 일본의 문화인류학자 카와키다 지로(川田二郞)7)가 창안한 방법으로 다른 말로는 ‘종이 조각법’이라고 한다. 이 기법은 각종 정 보와 조사 자료를 분류, 정리하여 그 속에서 가설을 발견해 내고자 하는 것이다.

KJ법은 관찰한 내용을 카드에 세밀하게 기록 정리하여 잘 분류하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방법은 야외나 실험실에서 관찰하고 데 이터를 수집한 후 서재에서 생각과 추론을 통해 결론을 내는 작업 을 효율성 있게 조합하기 위해 고안되어 발상의 기초자료를 제시해

7) 카와키다 지로(川田二郞): 문화 인류학자, 동경 공업대학 명예교수, 전 쓰쿠바대 학 교수, 기와키타 연구소 이사장, 히말라야 기술 협의회 대표이사. 1920년 출생.

대흥 안령이나 네팔의 학술조사에서 성과를 올렸고, KJ법을 창안, 일본 능률 협 회 경영 기술 개발상, 막사이사이상, 네팔국 훈장 두 종류를 수상, 일본 네팔협 회회장, 일본 민족 학회, 일본 지리학회 회장.

주는 아이디어 발상기법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목표의 설정, 변수와 구성 요인의 정리, 아 이디어 발상, 그리고 평가항목과 그 기준의 선정 등에 유효하게 사 용된다. 이 기법은 개인, 집단, 조직을 불문하고 인간이 미지의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달성하는 과정에 대해 질문한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KJ법의 전개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주제 선택

② 현상의 관찰

사건과 현상을 관찰하여 모든 정보를 노트에 기록한다.

③ 정보 카드화

관찰하고 정보화하여 그 내용이 쉽게 눈에 들어 올 수 있도록 정보마다 단문화한다.

④ 관계성의 발견 - 라벨 수집

작성한 카드를 모두 테이블 위에 보기 쉽게 늘어놓는다.

카드를 비교하여 관계성(동질성, 대립성)을 파악한다.

내용이 비슷한 것, 어떤 관계가 있는 것끼리 2∼3매를 모아 그것 을 소그룹으로 분류한다.

⑤ 표찰 만들기

세트로 된 카드에 왜 그것들이 모아졌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확 하게 문장으로 표현하여 카드화한다.

이를 소그룹의 대표카드(표찰)라고 부른다.

⑥ 차례차례 상위그룹으로 정리해 간다.

마지막으로 묶어진 라벨의 수가 아무리 많더라도 10묶음(1묶음 1 장의 경우도 있다.) 이내로 될 때까지 몇 번이고 실시한다.

⑦ 큰 종이 위에 그림 그리기

모조지 등을 펼치고, 몇 묶음을 우선 공간 배치한다.

전체의 의미구도가 가장 좋은 배치를 탐구해 간다.

이어서, 고차원의 묶음부터 차례로 꺼내어 최선의 공간 배치를 고려해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원래의 카드 배치까지 전개가 끝나면, 그것들을 그 위치에 붙인다. 다음은 낮은 차원의 라벨 수집 무리마다 동 그라미를 그리고 그 바깥 혹은 그 안쪽에 문패를 옮겨 써간다.

몇 개의 동그라미와 문패가 삽입되면, 그들 동그라미 사이의 관 계를 여러 가지 관련 선으로 표시한다.

⑧ 문장화, 또는 구두 발표

도해를 발판으로 하여 그 내용을 문장화한다.

혹은 도해의 해당지점을 지시하면서 관찰 대상의 본질에 접근 해간다.

KJ법은 학문 연구에는 물론이며 오늘날에는 행정, 기업, 교육, 거 의 모든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연수를 받지 않으면 충분히 구사 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특히 그 정보처리는 현실로부터의 바텀 업(Bottom Up)인데도 불구하고, 기성 개념으로부터의 분류적 탑 다운(Top Down)에 빠져버린 실수도 매우 많다.

그런 점에서 바르게 실천되면 개인, 집단, 조직의 활성화에도 매 우 유용하지만, 잘못이나 아류의 KJ법에 굳어지면 오히려 사람을

상하게 하고 조직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없지 않다.

3) 형태 분석법(Morphological Analysis)

형태 분석법은 미국의 캘리포니아 공대 프리츠 즈위키(Friz Zwicky)8) 교수가 고안한 것으로 디자인의 제안을 심성에 의하기보

형태 분석법은 미국의 캘리포니아 공대 프리츠 즈위키(Friz Zwicky)8) 교수가 고안한 것으로 디자인의 제안을 심성에 의하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