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 론

Ⅷ. 결 론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통일은 남북한의 화해와 협력을 증진하면서 남북 연합 단계를 거쳐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다. 화해 협력 단계는 남북한이 상호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분단상태를 평화적으로 관리하면서 각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상호 적대감과 불신감을 해소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의 남북한은 본격적인 평화공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남북한의 평화공존 상황에서 교육은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이 다. 남북한의 교육은 다방면의 교류와 협력이 활성화되면서 기능적인 통 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남북의 교육체제가 유기 적인 결합과 통합을 통하여 교육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 다. 남북한의 평화공존 상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그리고 평화공존 상황에 서 교육의 과제를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가 현재 북한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고자 한다.

먼저 남북한 교육의 차이와 이질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그것을 이해 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남북한 교육의 차이 와 이질성을 전적으로 부인한다고 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은 없 다. 이미 남북한은 분단 50여 년에 걸쳐 상당한 수준에서 이질화가 진행 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이질화는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 교육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형성하였으며, 발전하였다. 남 북한의 교육은 서로 다른 이념과 제도를 지향하고 있으며, 나름대로의 특 성과 장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한은 우선 다른 쪽의 교 육이 나름대로의 배경과 논리를 가지고 변화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인정 하고, 그러한 과정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남북한은 우선 상대방에 대한 왜곡과 비방의 교육을 중단해야 한 다. 현재 남북한의 교육에는 각기 자기 쪽은 전적으로 올바르고 다른 쪽 은 전적으로 그르다는 식의 편향적인 요소들이 있다. 또한 상대방에 대한

왜곡과 비방의 요소도 있다. 특히 북한의 교육에서 남한에 대한 왜곡과 비방의 내용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편향성과 왜곡된 요소를 시정 하는 것이 남북한 교육통합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남북한 교육 당국자간 교류와 협의가 필요하다. 남북한은 교육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통하여 서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상호 시정 하고 보완할 수 있는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의 남북 관계에서는 이 과정이 가장 절실하다. 남북의 분단 상태에서 상호 대화와 왕래, 접촉이 단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이것이 남북 상호 간의 불신과 오해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남북의 교 류와 협력이 가능한 분야부터 시작하고, 서로의 관심사가 합치되는 사업 부터 교류와 협력이 시도되어야 한다.

셋째, 남북한 교육의 통합 관점에서 남북한 교육의 동질성에 대한 이해 가 필요하고, 이를 보편적인 가치 기준에서 발전하고 보완할 수 있는 방 안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남북한 교육의 동질성을 발 견하고 이를 발굴해 나가면서 상호 간의 화합과 통합의 가능성을 모색하 는 노력을 기우려야 한다. 남북한의 이질성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지만 동 질성에 대한 분석과 동시에 이것을 남북한 교육의 통합 요소로서 발전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나아가 남북한 교육에는 동질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것이 남북 통합 의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남북한의 언어와 역 사, 전통문화, 생활관습, 도덕규범 등 많은 부문에서 동질성을 찾을 수 있다. 남과 북은 하나의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생활해 온 한 민족이라는 사실이 동질성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과거의 유산과 현재의 생활방식, 미래의 사회상에 기초하여 남북한의 동질성을 발굴하고 이것을 승화 발전시켜 나가려는 노력을 남북한 모두 기우려 나가야 한다.

넷째, 북한 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북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전개되어야 한다. 북한 교육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사 실은 교육제도의 골격, 그리고 문헌상으로 나타나 있는 공식적인 교육이 념과 정책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북한 교육의 현실과 실상 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많다. 북한 교육의 현장을 조사할 수

결 론 171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인사들이 북한 교육의 현장을 방문하는 것도 엄격 히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북한 사회와 북한 교육에 관한 심층적인 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북한 교육에 관한 자료뿐만 아니라 북한의 각 분야에서 실상 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실태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자료는 북한의 공식적인 문헌으로부터 시작하여 신문, 잡지, 단행본, 교과서 등 이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북한 사회의 실상을 그대로 파악할 수 있는 실 태조사 자료가 더욱 중요하다. 탈북자, 또는 중국 거주 북한 주민들을 통 하여 북한 사회와 교육에 관한 자료와 정보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대한 정부와 민간단체, 그리고 정보 수집 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나아가 북한 교육의 분야별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지금 까지 북한 교육에 관한 연구는 주로 총론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대부 분이다. 즉 북한 교육의 이념과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여 교육제도나 교육 과정, 아니면 교원, 학생 등에 관한 연구 분야가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별 연구라 하더라도 총론의 연장선상에서 유사한 자료를 조합 하고 재해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을 탈피하여 학교 급별, 교육 구성원별, 영역별로 보다 세분화된 주제를 중심으로 심층적으 로 분석하는 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광식 외(1994). 통일후유증 극복방안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강무섭·홍영란(1994). 남북한 교육학술 교류협력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

육개발원.

강우철 편(1992). 분단국의 역사교과서 비교. 서울 :교학사. 고대평화연구소 편(1990). 북한교육의 조명. 서울: 법문사. 공성진 외(1994). 미리 가 본 통일한국. 서울:동화사. 교육정책자문회의(1990). 남북통일에 대비하는 교육방안. 구종서 외(1996). 남북한 통일시나리오. 삼성경제연구소.

김남식 외(1990). 북한사회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현장문학사. 김도태(1991). 재야 통일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김동규(1990). 북한의 교육학. 서울: 문맥사.

김동규(1992). “남북통일 이후의 학교교육 이념 및 제도에 관한 모델 연 구”. 북한통일연구논문집(6). 통일원.

김동규(1992). “남북한 학교교육의 실태 비교와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 모델 연구”, 도산학술논총 2, 도산아카데미연구원.

김동규(1999). 북한학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완 외(1991). 남‧북한 교육통합 정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형찬 외(1990). 북한의 교육. 서울: 을유문화사.

문용린 외(1990). 남북통일에 대비하는 교육방안. 교육정책자문회의.

문용린(1991). “통일후의 교육체제 구상”. 통일한국의 미래상과 삶의 양

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문용린 외(1995). 남북통일 대비 교육 준비에 관한 교육전문가의 의견조 사 연구. 서울대학교.

참 고 문 헌 173

박영호(1994). 통일 이후 국민통합 방안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박용헌(1992). “남북통일의 전망과 교육통합”, 교육행정학연구회 ’92 연

차대회 기조강연 논문.

박용헌(1994).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통일 환경변화와

통일교육 발전 방향. 통일원.

박재윤·박영숙(1994). 분단 및 통일국가 교육통합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박재윤(1992). 통일에 대비한 교육정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안기성 외(1998). 남북통일이후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의 역할. 서울:집 문당.

역사문제연구소(1995). 분단 50년과 통일시대의 과제. 서울 : 역사비평 사.

윤덕희 외(1992). 남북한 사회·문화 공동체 형성방안. 민족통일연구원.

이삼열(1992). “평화교육의 철학과 실천방법”. 최상용 편, 현대 평화사상 의 이해. 서울 : 한길사.

이용필(1992). 남북한 통합론. 서울 : 인간사랑.

이우영(1995). 통일문제에 대한 세대간 갈등 해소 방안. 민족통일연구 원.

정석홍(1990). “민족동질성 고양을 위한 교육전략 ; 교육제도적 측면”.

교육학연구 제28권 제3호. 한국교육학회.

정세구(1980). 남북한 정치사상 교육 비교연구. 국토통일원.

정용길 외(1996). 통일 상황 대비 교육통합 단기대책 연구. 교육부.

조정원(1989). 남북한통합론. 서울 : 희성출판사.

최영표·한만길(1994). 남북한 교육제도 통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최영표·한만길·홍영란(1993). 통일에 대비한 교육정책 연구Ⅱ. 한국교육

개발원.

최운실·한만길·홍영란(1995). 남북한 학생과 주민의 통일사회적응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1994). 통일대비 교육부문 대책 종합연구(Ⅵ)-급변상황 에 의한 통일시의 남북한 교육통합방안.

한국정치학회 편(1993). 통일한국의 새로운 이념과 질서의 모색」 한국정 치학회.

한만길(1997). 통일시대 북한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한만길 외(1998). 북한교육 현황 및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

한만길 외(2000). 북한 교육 관계 법령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만길 외(2000). 남북한 화해협력 촉진을 위한 통일교육의 과제. 통일 연구원.

한만길·최영표(1994). 남북한 교육과정 교과서 통합 방안연구. 한국교육

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