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혁명과 도시의 기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농업혁명과 도시의 기원"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농업혁명과 도시의 기원

도시계획사 1강

가천대학교 이 우 종

(2)

1. 원시주거취락의 형성 1-1. 원시시대의 개관 1-2. 원시문명의 발달 1-3. 원시취락의 형성

2.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2-1. 고대도시문명의 발상지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2-3. 이집트의 고대도시

2-4. 인더스강 주변 고대도시 2-5. 마야문명 주변 고대도시

농업혁명과 도시의 기원

(3)

문화가 아직 발달하지 못한,

유사(有史) 이전의 시대. ≒원인 시대.

인류의 역사를 더듬어 보건대 짐승과 물고기와 조개 따위를 잡아먹고 과일을 따 먹고 하던 원시시대로부터 곡식을 심어 먹게 된 것은 훨씬 뒤의 일이요….

≪조풍연, 청사 수필≫

원시시대 原始時代

Pre-historic age

전기문화

채집생활, 20~30명 정도의 혈연중심 공동체 생활

중기문화

수렵생활 → 공동체 집단 규모가 커짐 → 長老에 의한 정치형태

후기문화

수렵, 어로 → 생활의 안정, 연령에 의한 계층 형성 → 씨족사회의 시작

1-1. 원시시대의 개관 원시주거취락의 형성

(4)

농업혁명

제1의 물결

• B.C.600년 경 신석기 문화가 일어나면서 농경과 목축을 통한 생산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인류는 새로운 발전의 전환기를 맞이함

식량의 풍부함 잉여생산물 인구의 증가 정주생활 가능 움집, 촌락 형성

가옥 형태 발전

The Agricultural Revolution

구석기 시대의 취락

강 언덕이나 산 허리의 자연동굴 주거

중석기 시대의 취락

숲속이나 산언덕의 풀밭에 구멍을 파고 사방에 기둥을 세워 풀로 지붕을 이은 수혈식(竪穴式) 가옥

신석기 시대의 취락

잘 다듬은 돌로 쌓은 가옥, 공동주거 (원형주거, 중정형)

예 ) 수혈식 가옥 - 움집 예 )영국의 스톤헨지

1-2. 원시문명의 발달 / 1-3. 원시취락의 형성 원시주거취락의 형성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17p

예 ) 동굴주거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17p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17p

(5)

2-1. 고대도시문명의 발상지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메소포타미아 문명

[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우르성 ]

이집트 문명

[나일강 주변 피라미드 ]

인더스 문명

[ 인더스강 주변 모헨조다로 ]

황하 문명

[ 황하강 주변 황하문명 ]

마야, 잉카 문명

[ 마야문명 ]

온대기후, 강 주변 위치 등 농경사회로의 정착이 쉬운 환경

문자의 발달, 왕권의 강화 등으로 인한 대규모 토목 공사 (피라미드, 지구라트) 공

통 점

(6)

2-1. 고대도시문명의 발상지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BC AD 1000

2000 3000

4000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도

지중해(Europe)

황하

중앙아메리카

에리두 우르 바빌론

맴피스 테에베

모헨조다로 헤라파

비블로스 우가릿

로마 그리스

춘추 안양

올메크

테오티와칸

(7)

은허

상읍

테오티우아칸

마추픽추 모헨조다로

하라파 우르

바빌론

멤피스

테베

• 메소포타미아 문명(우르·바빌론), 이집트 문명(테베·멤피스), 황하 문명(상읍·은허) 인더스 문명(모헨조다로·하라파), 마야잉카 문명(테오티우아칸·마추픽추)

2-1. 고대도시문명의 발상지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8)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메소포타미아의 고대도시

우르 (Ur), 우르크 (Urk), 에렉(Ereck) BC 1900년대

BC 1800년대

BC 1500년대

BC 1400 ~1200년대

BC 700년대

BC 600년대

BC 500년대

텔할말

니프르(Nippur)

Hattusa

콜사바드(Khorsabad)

바빌론

페르세폴리스(Persepolis)

(9)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우르 (Ur) : BC 1900년대

유프라테스강 서쪽 6마일 되는 곳 위치

개요 메소포타미아지역 남부에 수메르문명 시기에 세워진 도시 특징 거대한 지구라트가 우르의

주요 유적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0p

우르(ur)의 평면도

 도시의 외벽 : 평지보다 3~6m 높은 곳

 격자형 도시 및 건축물 구조

 지그라트는 6m정도 높은 지반에 건축

도시계획 특징

(10)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우르크 (Urk) : BC 1900년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하류 위치

개요 우루크의 인구는 5~8만 명, 성벽 내의 크기는 6 평방km 정도 특징 밀집된 인구와 계층화된 사회,

1/3이 도시, 1/3은 정원, 1/3은 경지

성벽과 도시주위의 운하가 나타나 있어 방어위주의 페쇄형 도시 형태를 보임 니프르(Nippur):

BC 1500년대

특징

콜사바드(Khorsabad) : BC 700년대

• 특징 : 전형적 신도시

• 면적 : 25에이커 (10만m²)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6p

콜사바드

(11)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Hattusa : BC 1400~1200년대

•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사는 초기의 소도시국가로서 요새형, 도시형을 가지고 있음

• 지형의 영향을 받아 성곽의 형태는 불규칙형으로 지어짐

• 신전이 남쪽에 집중되어 있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중심이 북에서 남으로 이동되어짐

하 투 사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6p

(12)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바빌론(Babylon) : BC 700년대

• 유프라테스강(江)을 바라보는 위치

• 바빌론은 원래 ‘신(神)의 문(問)’을 의미

• 바빌론 제1왕조의 수도가 된 함무라비 왕 때에 대제국의 중심지로 가장 번영함

 방어위주의 폐쇄형 도시형태

 성벽 내의 면적은 약 400Ha

 모든건축물이 질서정연한 격자형태 도시계획 특징

바빌론 중심부 평면도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31p

(13)

2-2.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차탈휘위크 : 약 9000년 전 (터키)

• 특징 : 차탈휘위크의 가옥구

• 5,000~10,000명 정도가 거주

• 수천세대들이 사각형의 흙벽돌 주택에서 거주하였으며, 하나의 주택에서 약 100년 정도 사용한 후에 그것을 메우거나 부숴버리고, 그 위에 새로운 주택을 건설함

•이러한 과정을 1000년간 반복한 결과, 이곳에 20미터에 달하는 높은 언덕이 형성 되었다고 함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택간에 간격이 좁아지게 되었고, 대부분의 주택은 이웃집과 벽을 맞대어 건설됨

• 주택의 지붕에 구멍이 있어 이곳으로 출입과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이용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음

•이러한 가옥구조에 대해서는 방어를 목적이였다는 견해와 기후상 필요(여름철의 햇볕 차단과 겨울철의 추위를 막기 위함)이라는 견해가 있음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32p

차탈휘위크 재현도

차탈휘위크 주택배치 형태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33p

(14)

2-3. 이집트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이집트의 고대도시

Thinis BC 2900년대

BC 2700년대

BC 2000년대 BC 1370

~1350년대

Memphis

Thesbes

Tel-el-Amarna

• 나일강의 정기적 범람으로 인한 관개의 필요성은 부락과 공공시설 건축에 엄격한 기하학적 질서를 부여

• 도시의 성벽은 주로 사막의 거친 바람에 대한

방풍역할과 동시에 도시민에게 안전한 환경조건 제시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39p

이집트 피라미드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39p

(15)

2-3. 이집트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텔엘아마르나(Tel-el-Amarna) : BC 1370~1350년대

• 궁전을 중심으로 간 대상의 형태, 축선구성 : 주거지와 신전 분리

• 완전한 장방형 형태로 격자형 도로 패턴, 격자형 도시구성에 원천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8p

텔 엘 아마르나

(16)

2-3. 이집트의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카훈 : BC 2500년대

• 일라훈 지역의 피라미드를 건설하면서 종사하는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건설

• 가로는 직선형, 중앙의 배수구

• 노예들의 도망을 방지하기 위한 골목의 도로구조

• 거주인구 2만명

• 피라미드 완성 이후 버려져 영구적 도시는 아님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9p

카훈 배치도

(17)

2-4. 인더스강 주변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모헨조다로 : BC 3000∼BC 1500년

• 모헨조다로는 ‘죽음의 언덕’이라는 뜻으로, 파키스탄의 인더스강 서쪽 연안인 신드 지방의 라르카나 지구에 있음

• 도시는 남북으로 주축이 된 큰 통로에 의하여 바둑판처럼 구획되었고, 서쪽의 중앙에는 높게 기단(基壇)을 쌓은 성채가 있음

• 가옥은 벽돌로 지어졌고, 성채는 성벽으로 둘러 싸였는데, 높이는 최고 12 m이고 남북으로 긴 모양이며, 규모는 430×230 m 정도임

• 성채 안에는 사원으로 생각되는 대규모의 건물, 큰 욕장(浴場) ·곡물창고 ·회의장 등이 있음

• 성채 ·시가지와 함께 배수설비도 완비

• 벽돌의 크기(규격벽돌; 길이 28cm, 너비 14cm, 높이 18cm)나 자 ·저울추의 출토에서 볼 수 있는 도량형의 규격화와 함께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짐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1p

모헨조다로 다로

모헨조

(18)

2-5. 마야문명 주변 고대도시 고대문명의 발상과 도시의 기원

마야문명

• 마야 문명(Maya文明)은 중앙아메리카에 케추아족이 세운 고대 문명

• 2천년 전 부터 생겼을 것이라 추측

• 300년 - 900년까지가 문명의 황금기

• 지형에 따라 모습이 갖추어진 도시 : 페루의 마추픽추 - 잉카문명의 도시가 안데스 산맥의 높은 곳에 계단식 형태로 형성됨

출처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년, 23p

마야의 피라미드

참조

관련 문서

단정하기는 어렵고 대부분의 도시공간 변화는 사회 경제 제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 ㆍ ㆍ 작용한 결과이므로 이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기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U-City 기술의 발달과

첫째, 도시재생 뉴딜은 우리나라 도시공간을 세계적인 도시정책 가치인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에 부합하도록 전환하는 정책이 되어야 한다.. 유엔은 2015년 9월 총회를 통해 2030년까지 지구촌

주 된 내용으로 건강장수도시의 개념 및 조성 필요성, 우리나라 도시의 건강장수 현황, 건강장수도시 조성 관련 국내외 사례 및 건강장수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적 과제 등을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주요 대상지역은 원도심, 산업단지, 항만, 철도역세권 등 기존 에는 도시의 핵심기능을 담당하였으나 현재 쇠퇴를 경험하고 있으며 향후 종합적인

장은 설득력을 가지고 정부에 맞서고 있다. 또한 멜 버른은 분명 고층건물에 중심을 둔 도시가 아니며, 고층과 저층 건물들, 많은 녹지 공간, 그리고 도시의 역사를

▶▶ Cervero: The idea of emphasizing visioning is another way of expressing form over function. Transportation, like any utility, is not consumed for its own sake but rather

그러나 문제는 앞으로도 우리 국토와 도시의 각종 인프라와 시설물들이 점 점 더 노후화되고, 수명의 한계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예상하기 어려운 많은 여러 가지 위험에 우리 사회가

앞으로 도시공원·녹지제도를 대폭 개선함으로 써 과거 잿빛으로 상징되던 도시의 이미지를 녹색 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주택과 단순기반시설 로 가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