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책 리뷰 EU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에너지 전환 정책 리뷰 EU "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에너지 전환 정책 리뷰 EU

목 차

< >

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전환 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 2 온실가스 저감 목표와 수단

2. ··· 3 정책

3. EU ETS ··· 4 와 그 밖의 보완정책

4. EU Non-ETS ··· 5 의 수송 섹터 에너지전환

I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 7 온실가스 저감 목표와 평가

2. ··· 8 수송 별 정책방안

3. Mode ··· 9 의 빌딩 섹터 에너지전환

II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 11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2. ··· 12 주요 과제별 정책방안

3. ··· 13 의 산업 섹터 에너지전환

IV.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 15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평가

2. ··· 16 주요 과제별 정책방안

3. ··· 16 시사점

V. ··· 18

(2)

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전환 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는 세계 온실가스의 를 배출하고 있으며 에너지 관련

EU 8% , CO2

배출(energy-related CO2 emissions)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특히,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된 CO2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ㅇ

을 차지하고 있음 3/4

에너지 관련 CO2 배출에서 섹터별 비중은 2017년 기준 발전과 열

(power and heat)이 35%, 수송 29%, 빌딩 17%, 산업 13% 등 순서임 배출량은 2007-17년간 발전과 열은 27%, 산업은 23% 감소했으나, ㅇ

최근 수송에서 배출 증가로 2014년 이후 전체 배출은 1% 증가함 년 기준 달러당 에너지 관련 배출은 일본

2018 PPP CO2 EU 0.17,

미국 호주 중국 인도 임

0.24, 0.25, 0.29, 0.71, 0.9 (단위: KgCO2/USD)

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발전에서 배출량이 적은데 기인 - EU

당 배출량 미국 일본 중국

(kWh (gCO2/kWh): EU 300, 400, 500, 600)

(3)

연료별로 에너지 관련 CO2 배출 비중은 2017년 기준 석유 42%,

석탄 29%, 천연가스 28% 순서임

최근 추세를 보면 석유와 천연가스는 증가했고, 석탄은 감소했음 ㅇ

온실가스 저감 목표와 수단 2.

는 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해 년 목표치인

EU 1990 23% 2020

를 초과달성했고 년 목표는 년 대비 감축임

20% , 2030 1990 40%

월 는 를 제안 년 기후

2019.12 EU European Green Deal(EGD) , 2050 ㅇ

중립(climate-neutral)을 목표로 European Climate Law에 이를 반영

는 년 탄소중립을 장기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

* European Climate Law 2050 ,

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신규 조치 도입, 투자 촉진 등을 규정함

유럽환경청(EEA)이 회원국의 개별 전망을 취합한 전망에 따르면,

현존하는 조치를 유지할 경우 2030년 30% 감축,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면 36% 감축이 가능함 목표 미달( )

그러나, EU는 2018년 채택한 목표와 정책을 모두 실행하면 45%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4)

는 기후변화 대응이 에너지정책의 주요 원동력이며 온실가스

EU ,

저감을 ETS와 non-ETS의 두 가지로 나누어 접근하고 있음 는 역내의 대형 연소시설 EU ETS(Emissions Trading System)

ㅇ (large

combustion facilities)와 항공 섹터에 적용됨

는 수송 빌딩 농업과 폐기물이 해당하며 역내 목표를 non-ETS , ,

등 개별 회원국 역량에 맞춰 분배하는

GDP Effort Sharing

을 활용해 규제함 Regulation (ESR)

그동안 ETS가 적용되는 섹터 중 발전 섹터는 추가 정책과 결합해

온실가스 배출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산업, 항공 섹터는 미흡했음 한편, non-ETS가 적용되는 수송, 빌딩 섹터는 배출이 증가했음 ㅇ

정책 3. EU ETS (Emissions Trading System)

는 역내 배출의 에 적용되는데 천개 시설

ETS 40% , 12

□ (installations)와

백개의 항공사

14 (aircraft operators)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로 규제함

cap-and-trade instrument

배출량이 2005년을 기준으로 2020년 21%, 2030년 43% 저감토록 ㅇ

매년 cap이 감소함 차 거래기간 4

ㅇ (fourth trading phase)인 2021-30년에 cap은 연 평균 감소하게 되어 있음

2.2% (직전 거래기간은 1.74% 감소) 는 시설물과 제품 벤치마크 접근

* ETS (facility-driven and product-benchmark

을 취하는데 여러 섹터에 적용되는 기술이나 전반에

approach) value chain

걸친 측정이 어렵다는 지적도 있음

년 개정 시에 개 저소득 회원국의 발전 섹터 에너지 2018 ETS 10

전환을 지원할 목적으로 2021-30년 기간 중에 350억유로 규모의 를 도입함

Modernisation Fund

또, 2020-30년 기간 중에 5억톤 상당의 ETS auction 수익으로 ㅇ

를 조성해 재생에너지 탄소 포집 활용 저장

Innovation Fund , · ·

에너지저장 저탄소 신기술 등을 지원할 것임 (CCUS), ,

(5)

발전 섹터의 온실가스 배출은 2018년 총량의 25%를 차지하는데,

년 기간 중

2013-18 17%(1.1GtCO2-eq) 감소함 년 이후 발전소

2013

ㅇ (power generators)는 낙후지역 등 일부 예외에 부여되는 할당량(free allowances)를 제외하고 경매(auctions)로 구매 해야 함

산업 섹터의 온실가스 배출은 2018년 총량의 14%를 차지하는데,

년 기간 중 감소하는데 그쳐 기여가 낮음 2013-18 0.3%

제조업은 동일 제품을 생산하는 상위 10%

ㅇ (best performing 10%)를

벤치마크로 해서 할량량(free allowances)를 부여하는데, 이 기준에 맞춰 배출량을 줄이거나, 초과하면 배출권을 구매해야 함

항공 섹터는 2010년 수립한 효율 벤치마크에 따른 할당량

□ (free

allowances) 하에서 2011-2020년의 거래기간 동안에 배출량이 25%

증가함

는 역외 배출에 대해서는 국제항공기구 의

EU (ICAO) CORSIA

ㅇ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를 지지함 는 년부터 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량을 상쇄 ICAO 2021 2020

(offset)하려는 목표를 가짐

해운 섹터는 현재 ETS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유럽 그린 딜(EGD)은

이를 포함하는 방안을 제안함

한편, 2018년 국제해사기구(IMO)는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8년 ㅇ

대비 최소 50%를 저감하기 위한 전략을 채택함 와 그 밖에 보완정책

4. EU non-ETS

는 앞에 언급한 의 틀에서 회원국이 목표를 Non-ETS ESR(2021-30)

정해서 추진 아래 표( )

수송, 빌딩, 농업과 폐기물에 적용되는 non-ETS의 배출가스 저감 ㅇ

목표는 2005년 대비 2030년 30% 감축임

(6)

은 아래 가지 유형의 유연한 메커니즘을 가짐

ESR 3

조 회원국 간에 이 가능

- (5 ) borrowing, banking, transfer

조 일부 회원국은 년 기간 중 전체에 대해 최대 - (6 ) 2021-30 EU

의 범위에서 와 상쇄와 신규 할당이 가능함 100Mt ETS

조 회원국은 년 기간 동안 총 까지 사용이 가능 - (7 ) 2021-30 280Mt

배출이 불가피한 농업 등에 대한 배려 차원임

( )

는 탄소 유출 EU

□ (carbon leakage)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탄소국경조정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탄소 유출의 예로 개혁으로 가격이 년 유로에서 년에

* ETS ETS 2014 8 2019 28

유로로 상승하자, 전력 섹터에서 주변국으로부터 전기수입이 증가했고, 역외 주변국은 석탄발전소 건설과 EU로의 전력망 연결을 검토하고 있음

이런 새로운 매커니즘의 도입은 WTO 등 국제규범에 합치해야 ㅇ

하고, 주요 무역 파트너와도 협상해야 할 것임

년 의 환경세 2018 EU28

□ (environment tax)는 3,700억유로로 EU GDP의 총 세금과 사회기여

2.5%, (taxes and social contributions)의 6%였음

이 중 에너지세는 3,000억유로로 80%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석유 ㅇ

제품 소비세(excise duties on oil products)임. 수송 섹터 관련 세금이 나머지 20%를 차지하며, 환경오염 관련 세금은 적음

회원국은 자율적으로 과세하나, 에너지제품과 전기에 대한 세금은

최소 수준(minimum tax levels)을 설정해서 조화된 틀을 가짐

그 간 기후, 환경 관련 세금의 조화 시도는 실패하였으나, 현재 ㅇ

는 틀에서 개정을 추진 중임

EU EGD Energy Taxation Directive

(7)

의 수송 섹터 에너지전환 I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수송 섹터의 에너지소비는 2007년 436Mtoe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년 로 떨어졌다가 년에는 로 증가했음 2013 391Mtoe 2017 422Mtoe

전체 연료에서 석유류가 94%에 달해 아직 바이오연료는 미흡함 ㅇ

수송 섹터는 에너지 관련 CO2의 29%를 배출하는데, 섹터 내에서

비중은 2018년 기준 육상이 72%, 해운 14%, 항공 13% 순서임

세부적으로 육상은 승용이 화물이 를 차지하고 항공은 역외

* 44%, 27% , 90%,

역내 10%, 해운은 역외 88%, 역내 12%의 비중임

기간 중 배출량은 항공이 배로 비중은 작지만 빠르게

1990-2016 2

증가했고, 육상은 23% 증가, 해운은 19% 증가함

(8)

육상 수송의 배출량이 가장 크므로 저감의 우선순위가 높음

육상 수송 주요 연료는 디젤과 가솔린이며, EU는 디젤 비중은 ㅇ

로 중국 미국 보다 소비가 큼 67% 39%, 23%

다만 최근 연료가 가솔린으로 전환되는 추세 년 신규 등록차량의

* , (2019 59%)

바이오연료는 2003년 이후 급증했는데, 디젤과 섞어서 쓰는 바이 ㅇ

오디젤이 2017년 기준 바이오연료의 80%를 차지함

회원국 중 스웨덴 핀란드 프랑스에서 바이오연료의 - (21%), (10%),

비중이 높음 아래 그림( )

바이오디젤은 역내에서 를 조달하고 를 수입함 가솔린과 섞어 쓰는

* 64% 36% .

에탄올은 역내에서 65% 조달, 35%를 수입함

온실가스 저감 목표와 평가 2.

유럽 그린 딜(EGD)은 2050년까지 수송 섹터에서 배출가스를 90%

저감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음

이를 위해서는 내륙 화물운송의 75%를 철도로 전환

ㅇ (2016년에 10%,

나머지는 트럭 등)하고, 2025년까지 13백만 친환경차(전망치)를 위한 백만개의 충전소가 필요함

1

수송의 탈탄소화는 매우 어렵고, 목표와 실제 간에 괴리가 있음

현재 자동차 제조사가 2021년의 연료효율 목표

ㅇ (95gCO2/km)를 달성

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전기차를 판매해야 함

(9)

전기차는 가 적용되서 판매량 계산에 혜택을 - super credit system

주고 있는데, credits은 2020년 2, 2021년 1.67, 2020년 1.33임

또, 재생에너지 사용을 진흥하고 있으나 진전은 기대보다 더디고, ㅇ

첨단 바이오연료(advanced biofuels) 기술은 아직 상업화되지 못함 이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항공과 해운 섹터를 위해 중요한데 -

는 현재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EU (ReFuelEU Aviation), 해운 연료

(FuelEUMaritime) 관련 작업을 추진 중임 수송 별 정책방안

3. Mode

전기차는 2019년 기준 Battery EVs와 Plug-in Hybrid EVs를 합쳐서

백만대가 운행되고 있고 충전기는 만대가 설치되어 있음

1.3 , 18.4

전기차 비중은 노르웨이가 만대 로 최고이고 네덜란드가 임

* 55%(32.5 ) , 10%

전기차가 증가하면서 충전기당 전기차 비율은 2016년 1:4에서 ㅇ

년 로 증가했으나 아직은 목표치

2019 1:7 , (1:10)보다는 낮은 수준임

다만 전기차가 년까지 백만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에 - , 2025 13

따라, 충전기가 전기차 보급속도를 못 따라갈 가능성 있으며, 충전기가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서 장기리 여행이 어려움

이에

- EU EPBD(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Directive)는 회원국이 개 이상의 주차공간을 가진 비거주 건물에 최소 개 이상의

20 1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도입토록 함

(10)

는 년 을 발표해서 전기차 배터리 기술 EU 2018 Battery Action Plan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EU Battery Alliance가 배터리 양산 관련 프로젝트의 컨소시엄을 형성토록 지원 중임

EU RED II

□ (Renewable Energy Directive)는 연료공급자가 2030년까지 육상, 철도 수송에 쓰이는 연료의 최소 14%를 재생에너지로 공급 토록 함 (2018년 8%, 2010년 5% 도달)

이와 함께, crop-based biofuels는 2020년 육상, 철도 수송 소비의 ㅇ

이내 최대 로 제한함 1%p , 7%

또한, Clean Vehicles Directive는 친환경차의 정의를 도입하고 각 ㅇ

회원국이 공공조달 최소목표를 설정토록 함 자동차 제조사의 평균배출목표

□ (fleet-wide average emissions target)는 년 이후 로 설정됨

2021 95gCO2/km (기존에는 147gCO2/km)

이 목표를 기준으로 승용차는 2025년까지 15%, 2030년까지 37.5%

밴(vans)은 2030년까지 31%, 화물차는 2019.7-2020.6월을 기준으로 년까지 년까지 를 연료효율을 개선해야 함

2025 15%, 2030 30%

연료효율 미달 시에는 벌금 을 부과함

* (excess emissions premium)

또한, 자동차 동역학에 영향을 미치는 Weights & Dimensions ㅇ

를 개정해서 효율을 강화 중임 Directive, Energy labels for tyres

항공은 2012년 ETS가 적용되었는데 배출량의 80% 이상이 할당량

(free allowances)으로 제공되고, 54%가 항공사간 거래되었음 (2019년)

는 국제항공기구 가 채택한 신규 항공기 를

EU (ICAO) CO2 standards

년 법제화함 2019

는 연료효율을 년까지 매년 개선하는 방안 추진 중

ICAO 2050 2%

해운 섹터에서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연료에 황 사용을 퇴출

하는 방안을 2020년 시행함

또한, 신조 선박에 대한 강제적인 최소 효율기준을 적용, 2019년 ㅇ

이후 선박의 연료효율 보고 의무 등을 추진 중임

(11)

의 빌딩 섹터 에너지전환 III.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빌딩은 최종 에너지소비가 가장 큰 섹터로 에너지소비의 80%는

난방과 온수로 열 공급의 탈탄소화가 주요한 도전임

에너지 소비량은 1998-2007년 평균 434Mtoe, 2008-2017년 평균 ㅇ

로 안정적임 440Mtoe

연료별로는 2017년 기준 전기

ㅇ (가전소비 포함)가 1/3, 천연가스 1/3,

석유, 바이오에너지, 지역난방 등 나머지가 1/3을 차지함

빌딩 섹터의 온실가스 직접 배출은 1990년대초 750Mt에서 2017년

으로 감소함에 따라 에너지 관련 배출 비중도 에서

550Mt CO2 19%

로 감소했으나 배출량은 정체되었음 17%

여기에 간접 배출 300Mt을 합하면 2017년 전체 에너지 관련 CO2 ㅇ

배출의 30%를 차지함

(12)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2.

□ EU 차원에서 빌딩 섹터에 대한 특별한 기후정책 목표는 없으나, EPBD(Energy Performance in Buildings Directive)의 틀에서 정책을 추진

는 신축 건물에 대해 일부터 를

EPBD 2020.12.31 nearly zero-energy ㅇ

충족하도록 하고 있음

는 주요하게 냉난방 개보수 에너지효율 금융조달에 중점을

EPBD , ,

두고 있는데 2018년 개정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장기 개보수 전략을 세워서 개보수를 가속화하도록 함 - △

공공자금 활용 투자위험 경감 등을 통해 금융조달 원활화 - △ ,

효율 측정에 있어 투명성 제고 - △

데이터 수집 모니터링 검증 강화 - △ , ,

전기차 인프라 강화 - △

를 만들어서 정보를 수집하고 에너지효율을 측정 * Building Stock Observatory

건물의 에너지효율이 떨어지고 에너지효율이 우수한 건물 75%

(A-label)은 3% 미만임

건물의 가 에너지 요건이 느슨하거나 없었던 년 이전에 지어진 것임

* 40% 1970

건물 개수 주거용 건물 백만개 비주거용 건물 백만개

- : 301 , 46

이에 EU는 2020년 Renovation Initiative를 채택해 건물의 개보수 ㅇ

비율을 두 배로 늘리려고 함

현재 회원국의 개보수 비율은 수준이며 신규 건물보다

- 0.4-1.2% ,

기존 건물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한편, EED

ㅇ (Energy Efficiency Directive)는 회원국이 공공건물에 대해 매년 바닥면적 기준 최소 3%를 개보수토록 함

(13)

주요 과제별 정책방안 3.

의 냉방기 설치 용량은 로 미국 중국

EU 847GW 4,726GW, 2,092GW

다음의 세 번째임 (네 번째는 일본)

냉방 섹터 에너지소비는 2000-2016년 사이 연간 1.4% 증가했고, ㅇ

년까지 증가할 전망인데 과

2050 1.5% Eco-design Energy Labelling 제도가 소비 저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지역난방은 북유럽, 발틱, 동유럽 국가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데,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스웨덴에서는 최종 에너지소비의 15% 내외를 차지하고 있음

지역난방에 사용되는 연료는 2017년 기준 천연가스 37%, 석탄 ㅇ

바이오연료 폐기물 순서임 25%, 20%, 10%

바이오연료, 폐기물, 천연가스가 석유와 석탄을 대체하고 있으며, ㅇ

스웨덴, 덴마크, 프랑스, 오스트리아, 핀란드가 바이오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음

(14)

는 년 처음으로 를 발표해 EU 2016 Strategy on Heating and Cooling

관련 냉난방 정책의 통합과 지역난방, 열병합 발전을 강조함

은 열 공급이 를 초과하는 시설의 신축 개보수시에

EED I 20MW ,

열병합 발전과 비교해서 비용편익분석을 하도록 함

이상 지역냉난방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도 주변 산업시설 - 20MW

에서 폐기되는 열의 활용 가능성을 비용편익분석토록 함

는 일 이후 새로 설치되는 열계량기가 원격으로 EED II 2020.10.25

데이터를 수집해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2027.1.1 일까지는 모든 계량기를 이런 형식으로 교체토록 함

RED II

□ (Renewable Energy Directive)에 따라서 지역냉난방 공급자는 소비자에게 웹사이트, 청구서 등을 통해서 공급자의 재생에너지 비중과 에너지효율 정보를 제공해야 함

또한, 소비자가 이런 정보를 토대로 더 효율적인 경우에는 자가 ㅇ

공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

회원국은 2021-2030년 기간 중 냉난방에 있어 재생에너지 공급을 ㅇ

년 기준 연평균 늘려나가야 하고 증가분 중 폐기물은

2020 1.3%p ,

최대 40%까지만 가능함

가전과 관련해서 Ecodesign Directives는 최소 에너지효율 요건을

정하고 미달하는 경우 퇴출시키고 있음 (push the market)

은 제조사가 소비자에게 Energy Labelling Framework Regulation

에너지효율정보를 제공토록 하고 있음 (pull the market)

는 새로 를 구축

* EU European Product Database for Energy Labelling (EPREL)

(15)

의 산업 섹터 에너지전환 IV. EU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산업 섹터는 최종 에너지 소비는 크지만,

□ 에너지 관련 CO2 배출의

12.6%(400Mt)만을 차지함

산업 섹터에서는 전기, 천연가스, 석유가 주요 연료로 사용되고 ㅇ

있는데, 천연가스의 1/2, 석유의 75%가 원료(feedstock, non-energy purposes)로 사용되고 있음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1990년 3%

ㅇ (13Mtoe)에서 2017년 6%(23Mtoe)로

증가했는데, 94%가 바이오연료로 주로 제지 산업에서 쓰임

섹터별로 보면, 화학과 석유화학, 제지, 비철광물, 철강, 식음료와

담배 순서로 에너지소비가 많음

화학과 정유화학에서는 소비의 60%가 원료

ㅇ (feedstock)로 사용됨

비철광물, 철강은 소비가 크게 감소했고, 식음료와 담배는 정체됨 ㅇ

(16)

산업 섹터의 온실가스 배출은 지속 크게 감소해 왔는데, 화학과

정유화학, 비철광물, 철강이 각 20% 정도씩 배출하고 있음

화학과 정유화학은 많은 에너지원이 원료로 사용되므로 배출이 ㅇ

적고, 제지는 바이오연료와 전기를 사용하므로 배출이 적음 철강은 연료로 석탄을 사용하므로 온실가스 배출이 큼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평가 2.

□ 산업 섹터에는 ETS가 적용되지만, 특정한 배출감축 목표나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공급에 대한 목표가 있지는 않음

유럽환경청(EEA)에 따르면 2013년 이후 ETS 할당

□ (free allowances)이

반으로 줄었지만 2013-2018년 기간 중에 CO2 배출은 0.3% 감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한편, IEA는 EU가 산업 섹터에서 2040년까지 대략 32Mtoe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함 주요 과제별 정책방안

3.

에 따라 대규모 기업은 년 처음으로 에너지효율 감사를

EED I 2015

받았고, 매 년마다 감사를 받아야 함4

아직까지 에너지효율 감사가 온실가스 저감에 미치는 영향은 확실치 않음 *

(17)

기준에 부합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ISO 50001

ㅇ (EMS)를 갖추면 감사

의무가 면제되는데, 역내 ISO 취득은 2015년 10,152개에서 2018년 개로 증가함

12,845

인증수는 독일이 가장 많고,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가 뒤따름 ㅇ

수소가 산업 섹터에서 효과적인 탈탄소화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어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영국이 관련 전략을 수립함 는

EU Fuel Cell Hydrogen Joint Undertaking

ㅇ (공공 민간 파트너쉽- )을

통해 산업화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수소의 생산을 평가해 인증을 부여하는 CertifHy project를 추진 중임

다수의 회원국이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을 적용해서 가스 ㅇ

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가장 비용효과적인 방안으로 봄

* CCUS: Carbon Capture, Utilisation and Storage

현재 노르웨이에 2개의 대형 CCUS 시설이 가동되 연간 1.6Mt을

포집하고 있고, 추가로 개의 대형 프로젝트가 추진될 계획임6

이와는 별개로, 산업단지 인근에 CCUS hubs를 개발하는 방안도 ㅇ

일부 회원국에서 추진되고 있음

네덜란드가 로 로테르담에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데 주변

* CCUS Hubs Porthos

산업단지에서 파이프라인으로 CO2를 포집, 수송해 일부는 온실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지하에 저장하는 것임

영국도 를 위한 잠재 후보지로

* CCUS Hubs Teeside, St. Furgus, Grangemouth, 를 지정했음

Humberside, Merseyside, South Wales

(18)

시사점 V.

가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EU

하는 에너지 관련 CO2 배출을 낮추는 것이 핵심 과제임

가 년 목표치를 초과달성한 성과로 볼 때 그동안 의

EU 2020 , EU

관련 정책과 조치가 잘 작동해 왔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유럽 그린딜(EGD)을 제안해서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ㅇ

선도적이고 강력한 목표와 정책의지를 예고하고 있음

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정책의 가지 축은 와 로

EU 2 ETS non-ETS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분류에 따른 성과는 크게 갈림

우선 ETS가 적용되면서 강력하고 추가적인 조치가 도입된 발전 ㅇ

섹터는 배출가스를 크게 줄임

다음으로, ETS가 적용되지만 산업 섹터는 미흡했고, 항공 섹터는 ㅇ

배출이 증가해 이들 섹터가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고 있지 못함 한편, ETS보다는 느슨하고 유연한 수단인 non-ETS에 해당하는 ㅇ

수송, 빌딩 섹터는 오히려 배출이 증가함

에 속하는 산업 항공 섹터가 배출을 줄이지 못한 것으로 보아

ETS ,

할당량(free allowances)이 충분히 제공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엄격한 기준이 필요해 보임

그러나, EU는 산업 섹터에 대해서는 산업 경쟁력 유지 측면에서 ㅇ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데, 배출가스 저감과 산업경쟁력 유지의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 탄소국경조정을 논의 중임

이러한 탄소국경조정은 통상마찰을 예방하기 위해 WTO 규범에 ㅇ

합치해야 하고, 주요 무역 파트너와의 협상도 필요함

가 중점을 두는 정책 방안은 수송 섹터에서는 화물수송에서 EU

□ △

철도 비중 확대(2016년 EU 10%, 세계 평균 28%), △전기차 보급임

노후 건물 비중이 높고 회원국별로 사용하는 연료가 다양한 빌딩 ㅇ

섹터에서는 건물의 개보수 가속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산업 섹터에서는 수소 활용과 CCUS에 기대를 걸고 있음

ㅇ △ △

작성: 김용태 참사관 원소속( : 산업통상자원부),

※ ytkimm18@mofa.go.kr

참조

관련 문서

토요타는 상용시장에 집중하기 위해 연료 전지 핵심부품 판매 전략으로 전환.. EU의 에너지 시스템 통합.. II. EU 에너지 시스템 통합 내에서의 수소 전략.. 유럽연합의

ƒ 수출산업 육성정책: 해외수요 탄력성 큰 산업 다.일본주식회사형 정책 주친..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 2) 일본

노인의 의료욕구와 보건의료 실태 노인의료보장정책의 현황과 문제 노인의료보장을 위한 정책 방향!. 장기요양보호의 개념과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인허가 정책 정책 정책(admission policy) 정책 (admission policy) (admission policy) (admission policy)으로 전자는 이민자 기업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전 반적인

중국의 녹색산업 전반을 다룬 연구는 상당수 있으나 LED 산업만을 다룬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고, 그나 마도 국가 차원의 발전 전략과 현황을 대체적으로 소개하는

그러나 의회의 권위를 무시한 프라이드의 숙청을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크롬 웰 자신도 모순에 빠지게 되었다.앞서 제1절에서 살펴보았던 것처럼 크롬웰이 추

다양한 수요관리 정책 수 단들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감축하는 것이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의 내용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정책 수단들을 이용한 기본계획의 목표 달

○ 녹색생활실천운동에는 가정ㆍ사업장ㆍ공공기관 등에서 실천을 통한 에너지 절약, 탄소배출 저감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폐기물 부문에서의 온실가스배출 저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