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머 리 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머 리 말"

Copied!
19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머 리 말

청년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의 배 이상을 기록하여 청년층의 실업문제 2 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사회적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의 . 청년실업이 인력 양성 시스템과 산업 수요 구조의 괴리라는 구조적인 요 인에 기인하고 있어 경기가 회복되어도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 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청년층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 실태를 특히 노동이동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의도 , 로 출발한 이 연구의 의의는 자못 크다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청년 . 층의 소위 과잉교육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기업과 중소기 , 업간 청년층의 노동이동 문제를 다루고 있다 또 인문사회계열 대졸 청 . 년층과 비교하여 대졸 이공계 청년층의 노동이동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년 경제 인문사회연구회의 협동연 ․ 구로 추진된 청년층의 ‘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 ( ) Ⅰ 기본연구 ( 번 로 진행되었으며 채창균 박사가 책임자로서 김안국 오호영

2005-4-2 ) , ,

과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위과제 중 하나로 진행된 것인데 이번 . , 연구를 통해 발견된 주요 사실들 (facts) 들이 정부의 청년층 취업능력 제고 를 위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크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본 연구를 성실히 수행한 연구진의 노고를 치하한다 아울러 연구진을 .

도와 통계분석 등 여러 지원 작업을 성실히 수행해준 이성재 이선영 위 ,

촉연구원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4)

마지막으로 이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연구진의 개인 의견이며 본원 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혀둔다.

년 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院 長 金 章 鎬

(5)

목 차

요 약

제 장 과잉교육과 청년층 노동이동 1

자료 구성방법

변수의 구성 및 표본의 특성

대학교육의 질과 과잉교육

제 장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2

(6)

제 장 대졸 이공계 청년층의 노동이동 3

문제 제기 선행연구의 검토 이용자료와 기초통계

취업회수 이직회수 임금수준

직종 및 업종 그리고 기업 규모

직종 및 업종 이동 지역이동

직장 이동과 노동의 지위 변화

노동이동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검토 대졸 청년층의 직장 이동 요인 분석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전공직종일치 이동과 임금수준

직장이동에 따른 전공직종일치 이동 유형

(7)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 분석

SUMMARY ․

부록 부표

참고문헌

(8)

표목차

< >

표 Ⅰ 고등교육기관의 표본추출 현황 표 Ⅰ 변수의 정의 평균 및 표준편차 표 Ⅰ 객관적 지표에 따른 과잉교육 실태 표 Ⅰ 주관적 지표에 따른 과잉교육 실태 표 Ⅰ 전문대학 과잉교육확률 로짓추정결과 표 Ⅰ 대학 로짓추정결과

표 Ⅰ 전문대학 임금함수 추정결과 표 Ⅰ 대학교 임금함수 추정결과

표 Ⅰ 이직경험 유무에 대한 이항로짓 추정결과 표 Ⅰ 첫직장과 현직장의 학력일치 상태의 이행행렬

표 Ⅱ 모집단과 표본 대학 및 졸업생의 분포 표 Ⅱ 년대 대졸자의 기업규모별 취업 상황

표 Ⅱ 노동이동 유형별 남녀 비율 수도권대학 졸업생 비율 및 평균수능점수

표 Ⅱ 노동이동 유형별 전공분포

표 Ⅱ 노동이동 유형별 첫직장 이행기간 취업횟수 실직기간

표 Ⅱ 첫직장으로 대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

표 Ⅱ 첫직장으로 중소기업에 취업한 졸업생의 노동이동유형별 특성에 대 한 다항로짓 분석결과

표 Ⅱ 임금함수 추정 수능점수 포함 표 Ⅱ 임금함수 추정 수능점수 포함 표 Ⅱ 임금함수 추정 수능점수 불포함 표 Ⅱ 임금함수 추정 수능점수 불포함 표 Ⅱ 근속에 따른 임금변화

표 Ⅱ 노동이동유형별 임금수준의 변화

(9)

표 Ⅲ 기술통계량 첫직장과 현재직장 중심 표 Ⅲ 졸업 후 청년층 남성 평균 취업회수 표 Ⅲ 취업회수 및 이직회수

표 Ⅲ 취업에 따른 각 직장 근속 평균 기간

표 Ⅲ 대졸 청년층 직장 경험 임금 근속 미취업기간 표 Ⅲ 수능점수층위별 분포

표 Ⅲ 최상위 소득자의 평균 임금 수준 표 Ⅲ 대졸 청년층 첫 직장 임금 수준 결정 요인 표 Ⅲ 직장경험 회수의 임금에의 영향 분석 표 Ⅲ 대졸 청년들의 직종 분포

표 Ⅲ 대졸 청년들의 업종 분포

표 Ⅲ 대졸 청년층 취업 기업 규모의 분포

표 Ⅲ 대졸 청년층의 업종별 직종별 일치 이동 여부 표 Ⅲ 대졸 청년층의 지역간 노동이동

표 Ⅲ 대졸 청년층의 출신대학 지역과 첫 직장 지역의 일치 정도 표 Ⅲ 지역간 이동 수도권 기준 이동

표 Ⅲ 직종 상승 이동의 추이 표 Ⅲ 기업규모이동의 추이

표 Ⅲ 직장 경험 회수별 임금 증가 첫직장 임금과 현직장 임금 비교 표 Ⅲ 대졸 청년들의 직장이동 요인

표 Ⅲ 두 번 직장 이상 경험자의 직장이동 요인 표 Ⅲ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종 이동

표 Ⅲ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업종 이동

표 Ⅲ 이공계 출신 청년들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표 Ⅲ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표 Ⅲ 첫 직장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 비교 표 Ⅲ 첫 번째 직장의 임금 회귀 분석 결과 표 Ⅲ 두 번째 세 번째 직장의 임금 회귀분석 결과 표 Ⅲ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 수준 표 Ⅲ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의 상관관계

표 Ⅲ 전체 이공계 청년들의 첫 번째 직장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

(10)

표 Ⅲ 이공계 청년들의 전공직종불일치 선택 요인 두 번째 직장 경험자

표 Ⅲ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여부에 따른 임금비교

표 Ⅲ 평균임금이상자와 평균임금이하자의 전공직종일치 기준 직장이동

유형에 따른 임금수준

(11)

그림목차

[ ]

그림 Ⅱ 노동이동유형과 그 비율

그림 Ⅱ 졸업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현재 대기업 취업자의 입사경로

그림 Ⅲ 직장 이동시 전공직종일치 변화 여부에 따른 임금상승

그림 Ⅲ 차례의 직장 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

그림 Ⅲ 차례의 직장 경험시 전공직종일치 유형별 비율

(12)
(13)

요약

【 】

과잉교육과 청년층 노동이동

1.

(14)
(15)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2.

(16)
(17)
(18)

대졸 이공계 청년층의 노동이동

3.

(19)
(20)

제 1 장

과잉교육과 청년층 노동이동

제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21)

1) 용어와 관련하여 기존연구에서 overeducation을 과잉교육 과잉학력 학력과잉 등 다양하게 사, , 용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과잉교육을 채택한다 학력, . (學力)의 사전적 의미는 학문상의 실 력 , 학습으로 쌓은 능력의 정도 를 의미함에 반하여 교육은 성숙하지 못한 사람의 심신을 발육 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계획적 조직적으로 행하는 교수적· (敎授的) 행동으로 정의되 고 있음에 비추어 실력보다는 학습기간의 의미에 가깝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22)
(23)
(24)

제 절 과잉교육의 정의 및 측정방법 2

(25)
(26)

제 절 선행연구 검토 3

5)

(27)
(28)
(29)
(30)

제 절 자료 및 변수의 구성 4

자료 구성방법

1.

(31)

단위 명 ( : , %)

8) 이밖에도 교육의 질을 측정(measure)하는 대리변수로는 흔히 학교별 교수의 평균연봉 학생, 1 인당 장학금 지급액 대학별 평가순위 등이 함께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를 모두 파, . 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교육의 질을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서 교수학생비율과 학생 인1 당 건물면적을 사용한다.

(32)

변수의 구성 및 표본의 특성 2.

9)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능평균입학성적을 구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 자료는2003학년도 전문대 및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졸업생에 따라 입학시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중간치에 해당하는 입학년도를 선택하여 대학은 졸업 년전 전문대학은 졸업5 ,

년전 수능성적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대학의 경우 학년도 졸업자 명중 년

3 . , 2003 10,605 1995

이전 입학자가 1,489 (14.0%), 1996명 년도 입학자가 2,271 (21.4%), 1997~1998명 년도 입학 자가2,410 (22.7%), 1999명 년도 입학자가3,455 (32.6%)명 등이다 둘째 졸업생의 능력을 보. , 다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개인별 입학시점에 맞춰 학교 학과별 수능평균성적을 사용해야 할 것ㆍ 이다 그러나 각 학년도간 수능성적의 절대치 비교가 곤란하다는 점과 학교 학과별 수능평균성. ㆍ 적은 단기간 내에는 비교적 안정적일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다면 특정 입학년도의 수능성적을 사 용하더라도 추정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33)
(34)
(35)

제 절 실증분석 결과 5

대학교육의 질과 과잉교육

1.

(36)
(37)
(38)
(39)

π

π β γ ε

(40)

ε

10) 직업탐색이론(job search model)에 따르면 구직행위는 기회소득 구직비용 등이 소요되는 투, 자로서 구직자 일자리 일치- (match)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변수에 포함하였다.

(41)
(42)
(43)
(44)
(45)
(46)

β γ δ ε

ε

11) 연봉임금액은 첫 직장 취업년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소득파악시점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상의 비농전산업 명목임금상승률을 곱하여『 』 2005년 값으로 수 정하여 사용한다 근로시간의 차이에 따른 임금차이를 감안하기 위해서는 임금률을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겠으나 근로시간에 대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연봉임금을 적용한다.

(47)

12) 직종 기업규모 고용형태 정규직 여부 를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추정한 결과 역시 과잉교육더미, , ( ) 의 추정계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임금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주었다 전. 문대졸 및 대졸 추정결과는<부표Ⅰ-1>, <부표Ⅰ-2>에 각각 제시되어 있다.

(48)
(49)
(50)
(51)
(52)
(53)
(54)
(55)

단위 명 ( : , %)

제 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6

(56)
(57)
(58)

제 2 장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15) 노동부의『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에 따르면』 , 2004년 현재 부족인원은 약18.0만 명인데, 그 대부분인16.8만 명이 중소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16) 2002년에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층의 월평균 임금은134만 원으로 대기업 취업 청년층(173만 원 의) 77%에 불과하다 반면 미취업 청년층의 의중임금.

은 만으로 중소기업 취업자 평균임금의 이상 높은 수준이다

(reservation wage) 162.4 20% .

중소기업에서의 취업제의를 청년 취업 희망자가 거절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할 것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대 및 대학교 졸업생의 취업실태조사

( (2003),「 」)

(59)

제 절 문제제기 1

17)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구분은 통상적인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종업원수, 300인 이상은 대기업, 인 이하를 중소기업으로 간주하였다 또 여기에서는 사업장 단위가 아닌 기업체 단위로 대

299 .

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하였다.

(60)
(61)

제 절 이용자료 2

(62)

19) 이 수능점수를 통해 개별 학생들에 대한 대학 입학 진로지도가 이루어지므로 상당히 신뢰성이, 높은 자료일 것으로 판단된다.

20) 년제 대학의 일부 년제 학과에 대해 특별한 조정을 해주지는 않았다4 6 .

(63)

단위 개교 ( : (%))

(64)

제 절 기업규모별 노동이동의 유형화 3

(65)

단위 명 ( : (%))

(66)
(67)

25) 이 경우에도 앞의 각주에서 언급했던 경계선 주변에서의 이동자수가 명에 불과하다5 .

26) 이런 점에서는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취업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이 는데 이 문제와 관련된 보다 깊이 있는 논의는 절에서 진행하기로 한다, 5 .

(68)

29.2%

(100.0%) 8,437명

대기업 29.2%

(100.0%) 8,437명

대기업

(49.2%) 14.1%

3,456명 동일 대기업

(49.2%) 14.1%

3,456명 동일 대기업

(12.9%) 904명 3.7%

다른 대기업

(12.9%) 904명 3.7%

다른 대기업

(14.8%) 1.042명 4.3%

중소기업

(14.8%) 1.042명 4.3%

중소기업

(23.0%) 1,617명 6.6%

미취업

(23.0%) 1,617명 6.6%

미취업

대기업 정착형

대기업 전직형

하향 이동형:

대기업 → 중소기업

하향 이동형:

대기업 → 미취업

70.8%

(100.0%) 20,500명

중소기업 70.8%

(100.0%) 20,500명

중소기업

(19.0%) 13.5%

3,322명 동일 중소기업

(19.0%) 13.5%

3,322명 동일 중소기업

(35.4%) 25.3%

6,205명 다른 중소기업

(35.4%) 25.3%

6,205명 다른 중소기업

중소기업 정착형

중소기업 전직형

상향 이동형

하향 이동형:

중소기업 → 미취업 (8.8%)

1,539명 6.3%

대기업

(8.8%) 1,539명 6.3%

대기업

(36.9%) 26.3%

6,458명 미취업

(36.9%) 26.3%

6,458명 미취업

현직장

첫직장

(69)

제 절 노동이동 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70)

27) 교사의 경우 고용보험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 또 의약계열 졸업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 영업을 운영하는 비율이 높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 계열의 취업률을 해석할 때 신중, 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71)
(72)
(73)
(74)
(75)
(76)
(77)

30) 앞서 첫직장에 대기업으로 취업한 그룹내에서의 비교에서 수도권 대학 졸업 여부가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못했던 것은 이들 그룹에 수도권 대학 출신자가 많은 반면 그룹내 편차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78)
(79)

제 절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동 가능성 5

(80)

1 5 0 (32 .1% ) 5 22 (3 9 %)

10 94 (4 5 .9 %) 19 1 4 (52 .7% )

29 10 (5 9 .4 %)

1 6 8 (35 .9% ) 4 30 (3 2 .8 %)

72 8 (3 0.5% ) 1 01 2 (27 .9)

1 2 20 (2 4.9 %)

9 1 (1 9 .4 %) 2 24 (1 7 .1 %)

3 78 (1 5.9 %) 52 1 (1 4.4 %)

63 9 (13 .0% )

5 9 (12 .6% )

1 36 (10 .4% )

18 5 (7 .8 %)

18 3 (5 .0 %)

13 4 (2 .7 %)

0 % 1 0 % 2 0% 3 0% 40 % 50 % 6 0 % 7 0% 80 % 90 % 10 0%

0 40 3 0 30 9 0 30 3 0 20 9 0 20 3

미취업 중소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대기업

(81)

31) 물론 보다 엄밀한 분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이 통제된 상태에서의 대기업 취업 가능 성을 중소기업 경력자와 미취업자간에 비교해야 하는데 현재의 자료 상태에서는 이를 시도하, 기가 어렵다 이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삼기로 한다. .

(82)

32) 수능성적을 통제할 경우 기대와 달리 예체능계열 졸업생의 임금수준이 인문계열 졸업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양상은 수능성적을 설명변수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사라, 진다.

(83)
(84)

β β β

(85)

β β

(86)

β β β

(87)

β β

(88)

제 절 노동이동과 임금 6

(89)

34) 산업별로 세분화해주지 않은 것은 고용보험DB상의 산업정보가 불완전했기 때문이다.

(90)
(91)

제 절 요약 및 시사점 7

(92)
(93)
(94)

제 3 장

대졸 이공계 청년층의 노동이동 35)

제 절 서문 1

문제 제기 1.

35) 노동이동에는 노동자들의 지역간 이주 산업간, (inter-industry) 이동 직종간, (occupational) 이동 직업간, (job)이동 및 기업간, (inter-firm)이동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위의. 모든 이동을 다 포함하면서 동시에 취업 실업 취업 혹은 취업 유휴화 취업 등 경제활동상, - - , - - 의 변화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노동이동을 사용하고자 한다.

(95)
(96)

36) 공공기관에의 이공계 전공자 채용목표제의 도입방안에서도 이공계 전공을 살려 직종을 고려하 는 채용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채창균김미숙김안국고상원( ․ ․ ․ , 2004참조).

(97)

선행 연구의 검토

2.

(98)
(99)
(100)
(101)

이용 자료와 기초통계 3.

37) 여성 이공계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력을 검토한 황수경(2002)은 여성 노동시장이 가지는 근본 적인 한계가 많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한계로부터 이공계 졸업여성도 자유롭기 어려움을 보이, 고 있다.

38) 2001년도 대학 졸업생 중 인문사회계는100,741 (명 여자54,521 ),명 이공계는 98,213 (명 여자 명 으로 인문사회계는 여학생 졸업이 절반 이상이었고 이공계는 여학생 졸업이 정

32,448 ) , 1/3

도였다.(『교육통계연보』, 2002 )년

(102)

변수 평균값 표준편차 N 최소값 최대값

이공계 0.662846 0.472749 21201 0 1

취업회수 1.6774680 0.9506335 21201 1 10

이직회수 0.873449 0.988745 21201 0 9

첫직장임금 1220097 497612.1 21201 500000 10000000

첫직장근속일 581.9576 439.568 20233 1 1459

현직장근속일 732.7139 420.8656 16561 8 1459

현직장임금 1405430 502487.5 16795 500000 9300000 첫직장10-29인 0.157068 0.363874 21201 0 1 첫직장30-99인 0.146644 0.353759 21201 0 1 첫직장100-299인 0.125938 0.331787 21201 0 1 첫직장300-499인 0.05646 0.230813 21201 0 1 첫직장500-999인 0.074855 0.263163 21201 0 1 첫직장1000인 이상 0.241309 0.427888 21201 0 1 현직장10-29인 0.128588 0.334754 16790 0 1 현직장30-99인 0.151281 0.358333 16790 0 1 현직장100-299인 0.135319 0.342074 16790 0 1 현직장300-499인 0.063431 0.243743 16790 0 1 현직장500-999인 0.087135 0.282042 16790 0 1 현직장1000인 이상 0.291245 0.45435 16790 0 1

첫직장 제조업 0.370778 0.483024 21196 0 1

첫직장 건설업 0.122146 0.327462 21196 0 1

첫직장 도소매음식업 0.159794 0.366424 21196 0 1

현직장 제조업 0.391291 0.488054 16788 0 1

현직장 건설업 0.10299 0.303955 16788 0 1

현직장 도소매음식업 0.155051 0.361964 16788 0 1 첫직장 고위관리직 혹은 전문직 0.094147 0.292039 21201 0 1 첫직장 준전문가 기술공/ 0.174331 0.379403 21201 0 1

첫직장 사무직 0.544172 0.498057 21201 0 1

현직장 고위관리직 혹은 전문직 0.090801 0.287334 16795 0 1 현직장 준전문가 기술공/ 0.164216 0.370482 16795 0 1

현직장 사무직 0.59875 0.490166 16795 0 1

첫직장 본사 0.887411 0.316097 21201 0 1

첫직장 광역시 0.66478 0.472079 21201 0 1

첫직장 수도권 0.644545 0.478662 21201 0 1

현직장 본사 0.872365 0.333693 16790 0 1

현직장 광역시 0.677904 0.467294 16790 0 1

현직장 수도권 0.674509 0.468572 16790 0 1

첫직장 근속 개월 19.39859 14.65227 20233 0.033333 48.63333 첫미취업기간 개월 8.326463 10.30785 11081 0 47.63333 이행기간 개월 8.55188 11.81684 21201 -7.8 40.53333

수능중하 0.278327 0.448191 14156 0 1

수능중상 0.315979 0.464921 14156 0 1

수능최상 0.195818 0.396843 14156 0 1

(103)

제 절 대졸 청년층의 취업 현황 2

취업회수 이직회수

1. ,

39) 이병희 외(2002)에서는 한국노동패널자료에서 청년층의 직장경험회수를 산출하고 있는데, 1회

회 회 로 년동안 평균적으로 회 취업한 것으로 나타나 본고의 취

41%, 2 27.8%, 3 17.2% 4 1.8 ,

업회수 경험보다 조금 더 많다 이러한 차이는 본고의 취업 경험이 고용보험. DB에서 추출된 것으로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 이외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취업 경험도 그만큼 작게 나타났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104)

단위 명 ( : , %)

40)Ellwood(1982)는 호황기에서도 청년층의 노동시장 정착도가 낮음을 보이고 있다.

(105)
(106)

단위 일 ( : )

임금수준

2.

(107)

41) 이병희 외(2002)에서「한국노동패널자료 에서 파악한 첫직장 근속 기간은」 584일로 본고의 결과와 유사하다 다만 이병희 외. (2002)에서 이행기간은268일로 본고의256일보다 약13일 더 길다 이러한 차이는 본고의 자료가 상대적으로 취업여건이 유리한 대졸자에 한정하였고 또. , 한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에 취업한 청년층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42) 한국노동패널자료를 분석한 박준성(2004)의 경우 첫 직장에서 이공계는113만 원 인문사회계 는136만 원을 받고 있는 것과 비교해 차이가 더 작다 이는 본고에서 분석한 자료가 고용보. 험이 적용되는 기업에 취업한 청년층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108)

단위 명 원 일 ( : , , )

(109)
(110)
(111)
(112)

β β

(113)
(114)

β β

(115)

직종 및 업종 그리고 기업 규모

3. ,

(116)

단위 명 ( : , %)

χ

χ

χ

(117)

단위 명 ( : , %)

χ

χ

χ

(118)
(119)

단위 명 ( : , %)

(120)

제 절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 3

직종 및 업종 이동

1.

(121)
(122)

단위 명 ( : , %)

(123)

지역이동

2.

(124)
(125)
(126)
(127)

비수도권->

비수도권

비수도권->

수도권

수도권->

비수도권

수도권->

수도권 계

(128)

직장 이동과 노동의 지위 변화

3.

(129)

단위 명 ( : , %)

X2

X2

X2

X2

X2

(130)

43) 이러한 결과는 채창균 외(2004)에서 대학생들의 규모이동에 대기업이동이 더 많다는 연구결과 와 차이가 난다 이는 채창균 외. (2004)에서 분석한 대학생이 모든 샘플인데 비해 본고에서는 인문사회계와 이공계의 남성들만 추출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라 판단된다.

(131)

단위 명 ( : , %)

X2

X2

X2

X2

X2

(132)
(133)

단위 원 명 ( : , )

(134)

제 절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 요인 분석 4

노동이동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135)
(136)

대졸 청년층의 직장 이동 요인 분석

2.

(137)
(138)

모형 I 모형II -수능 점수 통제-

β β

(139)
(140)
(141)

두번째 직장 이상 경험자

변수명 β P-값 β P-값

상수항 5.8083(0.6717) <.0001 6.1353(0.8736) <.0001 major1 0.0807(0.0345) 0.0194 0.0357(0.0357) 0.3177 이공계 -0.3803(0.0491) <.0001 -0.3635(0.0515) <.0001

10-29 -0.0308(0.0443) 0.4876 -0.0316(0.0446) 0.4785 인

30-99 -0.1663(0.0468) 0.0004 -0.1609(0.0471) 0.0006 인

100-299 -0.2189(0.0516) <.0001 -0.2102(0.0521) <.0001 인

300-499 -0.3656(0.0725) <.0001 -0.3487(0.0731) <.0001 인

500-999 -0.5484(0.0716) <.0001 -0.5328(0.0724) <.0001 인 이상

1000 -0.8417(0.0591) <.0001 -0.8161(0.0606) <.0001 관리직 혹은 전문직 -0.0882(0.0601) 0.1419 -0.1287(0.0608) 0.0343 준전문가 기술공/ -0.0311(0.0503) 0.5363 -0.0737(0.0511) 0.1487 사무직 -0.1823(0.0413) <.0001 -0.1959(0.0419) <.0001 제조업 -0.0272(0.039) 0.4852 -0.0146(0.0146) 0.7263 건설업 0.2501(0.0483) <.0001 0.1735(0.0535) 0.0012 도소매음식업 -0.1057(0.0452) 0.0194 -0.0840(0.0469) 0.0732 본사 -0.1382(0.0631) 0.0285 -0.1431(0.0633) 0.0239 광역시 -0.0948(0.0336) 0.0048 -0.0668(0.0347) 0.054 수도권 0.1446(0.034) <.0001 0.1205(0.0384) 0.0017 첫직장 근속 -0.0297(0.002) <.0001 -0.0303(0.002) <.0001 첫 미취업 기간 -0.0146(0.0022) <.0001 -0.0141(0.0022) <.0001

첫 직장 임금 -0.0447(0.0529) 0.3979

첫직장10-29인 0.068(0.0419) 0.1046

첫직장30-99인 0.0626(0.0478) 0.1902

첫직장100-299인 0.0484(0.0542) 0.3717

첫직장300-499인 -0.0778(0.0786) 0.3224

첫직장500-999인 -0.1154(0.0761) 0.1294

첫직장1000인 이상 -0.0532(0.0618) 0.3896

첫직장 제조업 0.013(0.0422) 0.7582

첫직장 건설업 0.1663(0.0528) 0.0016

첫직장 도소매음식업 -0.0099(0.0481) 0.8371

첫직장 관리직 혹은

전문직 0.1771(0.0595) 0.0029

첫직장 준전문가 기술공/ 0.1084(0.0477) 0.0232

첫직장 사무직 0.0639(0.0401) 0.1113

첫직장 본사 -0.0031(0.0647) 0.9622

첫직장 광역시 -0.0882(0.0346) 0.0107

첫직장 수도권 0.0752(0.0386) 0.0514

첫직장 광역시 -0.0882(0.0346) 0.0107

첫직장 수도권 0.0752(0.0386) 0.0514

n 8148 8145

Log Likelihood -4963.41 -4936.0027

(142)

제 절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전공직종일치 5

(143)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1.

(144)

두 번째 직장 첫 직장

고위 관리직

전문가/

기술자

준전문가/

기술공 사무직 판매서비스

직 등 기타 계 동일직종

이동비율 고위관리직 1(1.85) 7(12.96) 12(22.22) 28(51.85) 6(11.11) 54(0.82) 1.85 전문가 기술자/ 6(0.84) 150(21.01) 191(26.75) 304(42.58) 63(8.82) 714(10.84) 21.01 준전문가 기술공/ 9(0.49) 203(11.12) 747(40.91) 596(32.64) 271(14.84) 1826(27.72) 40.91 사무직 33(1.24) 213(8.01) 455(17.12) 1579(59.41) 378(14.22) 2658(40.35) 59.41 판매서비스직 등

기타 11(0.82) 86(6.44) 305(22.83) 528(39.52) 406(30.39) 1336(20.28) 30.39 계 60(0.91) 659(10) 1710(25.96) 3035(46.07) 1124(17.06) 6588(100)

카이제곱(X2): 742.1186, P- : <.0001값 세 번째 직장

두 번째 직장 고위 관리자

전문가/

기술자

준전문가/

기술공 사무직 판매서비스

직 등 기타 계 동일직종

이동비율 고위관리자 1(4.76) 2(9.52) 5(23.81) 10(47.62) 3(14.29) 21(0.81) 4.76 전문가 기술자/ 0(0) 46(17.1) 86(31.97) 116(43.12) 21(7.81) 269(10.32) 17.10 준전문가 기술공/ 3(0.36) 95(11.46) 375(45.24) 233(28.11) 123(14.84) 829(31.80) 45.24 사무직 4(0.41) 81(8.21) 197(19.96) 578(58.56) 127(12.87) 987(37.86) 58.56 판매서비스직

기타 3(0.6) 29(5.79) 159(31.74) 172(34.33) 138(27.54) 501(19.22) 27.54 계 11(0.42) 253(9.7) 822(31.53) 1109(42.54) 412(15.8) 2607(100)

카이제곱(X2): 299.398, P- : <.0001값 네 번째 직장

세 번째 직장 고위 관리자

전문가/

기술자

준전문가/

기술공 사무직 판매서비스

직 등 기타 계 동일직종

이동비율 고위관리자 1(11.11) 1(11.11) 3(33.33) 3(33.33) 1(11.11) 9(0.97) 11.11 전문가 기술자/ 0(0) 15(19.48) 25(32.47) 31(40.26) 6(7.79) 77(8.33) 19.48 준전문가 기술자/ 3(0.87) 39(11.34) 179(52.03) 81(23.55) 42(12.21) 344(37.23) 52.03 사무직 3(0.9) 36(10.84) 65(19.58) 176(53.01) 52(15.66) 332(35.93) 53.01 판매서비스직

기타 3(1.85) 6(3.7) 51(31.48) 65(40.12) 37(22.84) 162(17.53) 22.84 총합 10(1.08) 97(10.5) 323(34.96) 356(38.53) 138(14.94) 924(100)

카이제곱(X2): 125.1737, P- : <.0001값

(145)
(146)

두번째업종

첫업종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음식업 사업서비스업 계 동일업종

이동비율 제조업 1298(61.4) 148(7) 254(12.02) 414(19.58) 2114(32.12) 61.4 건설업 185(11.38) 1032(63.47) 83(5.1) 326(20.05) 1626(24.71) 63.47 도소매음식업 298(36.25) 61(7.42) 240(29.2) 223(27.13) 822(12.49) 29.2 사업서비스업 384(19.02) 208(10.3) 234(11.59) 1193(59.09) 2019(30.68) 59.09

계 2165(32.9) 1449(22.02) 811(12.32) 2156(32.76) 6581(100) 카이제곱(X2): 3449.832, P- : <.0001값

세번째업종

두번째업종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음식업 사업서비스업 계 동일업종

이동비율 제조업 443(63.74) 56(8.06) 75(10.79) 121(17.41) 695(26.66) 63.74 건설업 64(7.79) 558(67.88) 23(2.8) 177(21.53) 822(31.53) 67.88 도소매음식업 81(31.15) 20(7.69) 72(27.69) 87(33.46) 260(9.97) 27.69 사업서비스업 131(15.78) 105(12.65) 77(9.28) 517(62.29) 830(31.84) 62.29

계 719(27.58) 739(28.35) 247(9.47) 902(34.6) 2607(100) 카이제곱(X2): 1569.849, , P- : <.0001값

네번째업종

두번째업종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음식업 사업서비스업 계 동일업종

이동비율 제조업 125(58.14) 18(8.37) 32(14.88) 40(18.6) 215(23.27) 58.14 건설업 29(7.73) 261(69.6) 14(3.73) 71(18.93) 375(40.58) 69.6 도소매음식업 16(22.54) 10(14.08) 23(32.39) 22(30.99) 71(7.68) 32.39 사업서비스업 29(11.03) 38(14.45) 25(9.51) 171(65.02) 263(28.46) 65.02

계 199(21.54) 327(35.39) 94(10.17) 304(32.9) 924(100) 카이제곱(X2): 563.1889, P- : <.0001값

(147)

44)<학교 졸업 수준별 전공직종일치의 비율 자료 통계청( : ,『사회통계조사자료』, 2004)>

45) 물론 이공계열 졸업자들이 인문사회계열 졸업자보다는 취업에 있어서 학교에서 배운 것이 도움 되는 바가 많기는 하지만 이공계 인력의 배출에 드는 비용을 생각하면 그 차이가 그렇게 큰, , 것은 아니다.

학교교육의 현 직무 도움 정도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부가조사자료

< ( : ,「 」, 2002년 월6 )>

(148)
(149)

단위 명 ( : , %)

(150)

전공직종일치 이동과 임금수준 2.

단위 명 원 ( : , )

(151)
(152)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1 2 3 4 5 직장 이동 횟수

임금변화(원)

불일치->일치 일치->일치 불일치->불일치 일치->불일치

(153)
(154)

β β

(155)
(156)

β β

직장이동에 따른 전공직종일치 이동 유형

3.

(157)

0 5 10 15 20 25 30 35 1

2 3 4 5 6 7 8 유형

비율(%)

(158)

0 5 10 15 20 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유형

비율(%)

(159)
(160)

전공직종일치 선택 요인 분석

4.

(161)
(162)
(163)

β β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구분

평균 이상자

평균

이하자 구분

평균 이상자

평균 이하자

평균값 평균값 평균값 평균값

유형 1

임금증가 83890 340001 유형

5

임금증가 236636 377406 첫직장 임금 1478119 828132 첫직장 임금 1460614 843558 세번째직장임금 1562009 1168133 세번째직장임금 1697250 1220963 유형

2

임금증가 97047 452647 유형

6

임금증가 68850 450480 첫직장 임금 1415792 828198 첫직장 임금 1471397 848503 세번째직장임금 1512839 1280845 세번째직장임금 1540246 1298982 유형

3

임금증가 207949 394925 유형

7

임금증가 29595 440701 첫직장 임금 1513545 840206 첫직장 임금 1408706 842403 세번째직장임금 1721494 1235131 세번째직장임금 1438301 1283104 유형

4

임금증가 33388 435611 유형

8

임금증가 76796 425134 첫직장 임금 1556471 835490 첫직장 임금 1449593 873301 세번째직장임금 1589859 1271102 세번째직장임금 1526389 1298436

(172)

제 절 결론 6

(173)
(174)
(175)
(176)
(177)
(178)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the Youth( ):

Labor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1. Data

2. Issue of Overeducation

(179)

3. Mobility from Small- or Medium-sized Firms to Large Firms

(180)

4. Labor Mobility of Gradua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181)
(182)

부 록

< >

부록 부표

< 1>

(183)
(184)

부록 부표

(185)
(186)

β

(187)
(188)
(189)
(190)

참고문헌

(191)
(192)
(193)
(194)
(195)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년 월 일 인쇄 2005 11 29

년 월 일 발행 2005 11 30

김 장 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 동 135-949, 2 15-1 홈페이지: http://www.krivet.re.kr

전 화: (02)3485-5000, 5100 팩 스: (02)3485-5200 선우인쇄 (02)2272-6105, 6106

년 월 일 1998 6 11 제 16-1681 호

89-8436-856-3 94370

전 권

89-8436-853-9( 5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커리어넷 진로 상담 내용을 보면 위와 같은 내용의 상담을 많이 접하게 된 다 즉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 다는 호소이다

표 고용안정센터의 서비스 제공 내용에 대한 견해 표 진로개발 관련 기관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 표 우리 나라의 직업 및 고용시장 전망에 대한 견해 표 변화하는

이들 국가는 우리 나라와 유사한 상황으로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인력들이 진로개발 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정부 주도로 이들 인력에 대한

그러므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와 시 도교육청은 관심을 가지고 실업계 고등학교를 통하여 배출되는 인력의

스웨덴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사회민주주의 국가라는 특성상 공공 부분이 대단히 비대하다 이는 경제 노동시장 구조 사회적 문제해 결 교육 능력개발 등에 지대한 영향을

변수들은 수준 에서 까지 되어 있으며 은 전혀 아니다 은 아주 대단한 정도다 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교 사의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발휘하여 진로지도를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Personality) , 지배력 설득력이 있고 정치 경제적 문제에 높 은 가치를 부여하고 권력과 지도적 역할을 좋아하는 설득적 성격.. 서 일반고 학생이 중학생과 실업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