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머 리 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머 리 말"

Copied!
1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머 리 말

평생학습 시대의 학교교육의 위치는 무엇인가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 다임을 거론하면서 우리는 반드시 이 물음에 답하지 않으면 안된다 평생. 학습은 학교교육 개혁론으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우리사회, 에서는 평생학습과 학교교육의 구분을 은연중에 받아들여 평생학습은 학, 교교육 이외의 교육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리하여. 21세기 지 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의 주입보다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모방보다는 창조, 가 중요하다는 것을 누누이 역설하였으면서도 학교교육은 새천년의 담론 이 침입할 수 없는 성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학교교육이 교육 전체. 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감안한다면 학교교육을 제외한 변방에서만 평, 생학습의 기치를 내세워서는 평생학습이 본래 희망하였던 학교교육의 개 혁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를 시대의. 흐름으로부터 차단된 폐쇄적인 영역으로서가 아니라 평생학습이라는 총체 적인 틀 속에서 위치시키고 이해함으로써 학교교육의 개혁뿐만 아니라 학 교교육에서부터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전개될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고 있다 학교교육을 평생학습의 담론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 자체도. 쉽지 않은 일이지만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학교교육이 새로운 패러다, , 임의 주요한 전략적 실천영역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탐 색한다는 것은 더더욱 도전적인 일임에 틀림없다.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년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평생학습 참여 실태 및 수요 조사- 학교교육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 임 기본연구( 2005-7-3 )번 으로 진행되었으며 이희수 교수가 연구를 수행, 하였다.

(3)

본 연구는 도전적이고 지난한 작업인 줄 알면서도 그것에 헌신적으로 참여한 연구진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바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과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여러 관. 계자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년 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院 長 金 章 鎬

(4)

목 차

요 약

제 장 교육 패러다임 변환의 배경 1

제 장 교육 패러다임의 전국시대 2

개관

현상유지형 제 시나리오

현상유지형 제 시나리오 교사이탈 붕괴

학교 개혁형 제 시나리오 지역사회 센터로서의 학교 학교 개혁형 제 시나리오 초점 있는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탈학교형 제 시나리오 학습자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회 탈학교형 제 시나리오 시장 확대 모형

논의 및 시사점

(5)

제 장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제패와 변환 3

제 장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환 실현을 위한 대학의 역할 변화 4

활성화 방향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6)

표목차

< >

(7)
(8)

그림목차

[ ]

그림 Ⅰ 시대구분과 사회의 변동

그림 Ⅰ 포스트공업사회와 생활자의 개념

그림 Ⅱ 세계은행의 교육을 통한 사회발전 전략

그림 Ⅲ 평생학습체제 모형

그림 Ⅳ 고등교육과 평생학습 변화의 기본 구조

(9)

요약

【 】

교육패러다임 변환의 배경

1.

(10)

교육 패러다임의 전국 시대

2.

(11)
(12)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제패와 변환

3.

(13)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환 실현을 위한 대학의 역할 변화 4.

(14)
(15)
(16)
(17)

제 1 장

교육 패러다임 변환의 배경

제 절 지식기반경제의 도래 1

(18)

1) Boshier, R.(1998), "Edgar Faure After 25 Years: Down But Not Out,"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 eds. John Holford, Peter Jarvis and Colin Griffin, London: Kogan Page, 3-20.

2) 한국개발연구원(1999),『知識基盤經濟로의 移行을 위한 與件分析과 發展戰略(과제1)』 서울, ( : 한국개발연구원).

(19)

3) Drucker, P.,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4), pp. 6-8.

4) Drucker, P.,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4).

Drucker, P., “From Capitalism to Knowledge Society”, in Neef, Dale(ed.),

The Knowledge

5) Rutten, R.,

Knowledge and Innovation in Regional Industry: An entrepreneurial coalition

(London: Routledge, 2003), 1.

6) Jarvis, P., "Global Trends in Adult Learning and the Response of the Universities", in

Lifelong Learning and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21st Century

, eds. W. Mauch and R. Narrang(Mumbai: Department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Extension, University of Mumbai, 1998), pp. 32-42.

(20)

7) Drucker, P.,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4), 6.

8) Drucker, P.,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4), pp. 210-211.

(21)

9) Mochtan, 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Knowledge Economy." In a paper presented ASEM Initiative on Lifelong Learning Experts' Meeting. (Copenhagen, 2002), pp. 2-5.

(22)

10) Amidon, D.,

Innovation Strategy For The Knowledge Economy: The Ken awakening

(Boston: Butterworth-Heinemann, 1997), 22.

(23)
(24)

제 절 사회적 변화 2

12) 이돈희 외,『지식기반사회와 교육』(서울 교육부: , 1999), 1.

(25)

이데올로기

사회구조

경제구조

산업구조

시대

(26)
(27)

근대 사회

포스트 공업 사회

생활자서비스 소비

소비 수단

노 동 력

생 산 수 단 생산자

노동

력 생산재

소비자

(28)
(29)
(30)

제 절 교육적 시사 3

(31)
(32)

18) 한숭희,「신지식인 운동의 선결과제로서의 평생학습사회 실현」 교육마당,『 21(5월호)』, 1999.

(33)

19) Knowles, M.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

(New York: Cambridge, 1980), pp. 40-41.

20) 김영철 외,『지식기반경제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양성 방안』(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9), 쪽

15-19 .

(34)

21)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and Others,

21st Century Skills for 21st Century Jobs

(Washington: th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9).

available from http://www.vpskillsummit.org/bestprct.asp/; accessed 22 November, 2000.

(35)
(36)
(37)

제 2 장

교육 패러다임의 전국시대

제 절 위기의 증후군 1

(38)

22) 필자가Coombs에 주목하게 된 아이디어의 착상은 다음 자료에서 빌려 온 것임을 밝혀둔다. Committee for Lifelong Learning,

The Joy of Learning: A national strategy for lifelong learning

(Helsinki: Ministry of Education Finland, 1997), 24.

23) Coombs는 체제적 분석의 접근이라는 연구 방법 면에서도 탁월하지만 학교교육 위기에 대한, 희망을 사회교육에서 찾을 뿐 아니라 빈곤 타파의 희망도 사회교육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평 생교육사에 있어서 재조명 받을 만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에서는 양병찬 교수가 평생학습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Coombs의 접근을 소개하고 있다.

Philip H. Coombs,

The World Educational Crisis: A Systems Analysis

(London: Oxford Unoversity Press, 1968), pp. 162-173.

Coombs, P. and M. Ahmed, A

ttacking Rural Poverty: How Nonformal Education Can Help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4).

양병찬,「평생학습 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행정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제 권 제 호,『 』 6 1 쪽

(2000), 39-63 .

(39)

24) Illich, I.,

Deschooling Societ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71),pp. 75-79.

25) Ranson, S. ed.,

Inside The Learning Society

(London: CASSELL, 1998), 27.

26) Edgare, F. et al,

Learning To Be -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1972), pp. 181-183.

(40)
(41)

제 절 교육공학적 패러다임 2

29) Lengrand, P.,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London: Croom Helm, 1975), 25-37.

(42)

30)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inventing Schools - The Technology Is Now

(1995), available fromhttp://www.nap.edu/readingroom/books/techgap/welcome. html.

31) Branson, R. K.,“Issues in the Design of Schooling: Changing the Paradigm",

Educational Technology

, April, (1990), 7-10.

(43)

32) Means, B. and his associates.,

Using Technology to Support Education Reform

(Washington: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1993), 3.

33) Banathy, B. H.,

Systems Design Of Education - A Journey To Create The Future

(Englewood Cliffs: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1), 130-131.

(44)
(45)
(46)

제 절 3 OECD 의 네트워크 교육 패러다임

개관 1.

34) OECD,

Schooling for Tomorrow: what Schools for the Future?

(Paris: 2001, OECD).

(47)

35) OECD,

Networks of Innovation: Towards New Models For Managing Schools and

Systems

(Paris: 2003, OECD).

(48)

현상유지형 제 시나리오

2. 1

(49)
(50)

현상유지형 제 시나리오 교사이탈 붕괴

3. 2 ( - )

표 계속

< >

(51)

학교 개혁형 제 시나리오 지역사회 센터로서의 학교

4. 3 ( )

(52)
(53)

학교 개혁형 제 시나리오 초점 있는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5. 4 ( )

표 계속

< >

(54)

탈학교형 제 시나리오 학습자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회

6. 5 ( )

표 계속

< >

(55)

탈학교형 제 시나리오 시장 확대 모형

7. 6 ( )

(56)

표 계속

< >

(57)

논의 및 시사점 8.

(58)

표 계속

< >

37) 이희수 외,『학교 도서관 활성화 대책 수립계획 연구』(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02).

38) 구자억 외,『교육연구개발 연계체제 활성화 방안 연구』(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03).

39) 한숭희,「학력중심사회에서 능력중심사회로의 전환 개방적 평생교육체제와 신: ( )新학교 모형 설 계」, KEDI『 학교개혁 포럼』, 2004. 7. 9.

(59)

제 절 4 World Bank 의 지식경제형 평생학습 모델

(60)

40) World Bank,

Entering the 21st Century: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2000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

41) World Bank,

Education Sector Strategy

(Washington: World Bank, Human Development Network, 1999), 5-6.

(61)

→ ↗

(62)

42) 한국의 사례도 소개되고 있으며 한국인으로는 전임 김광조 국장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실은 책으로2003년에 출간되기 전에 이미 김 국장의 정보 제공으로 학계에서는 2002년부 터 전자 리포트 형태로 열람되고 있었다.

World Bank,

Lifelong learning in the Global Knowledge Economy: Challenges for

Developing Countries

(Washington D.C: World Bank, 2003), xxii-xxiv.

(63)
(64)
(65)

제 3 장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제패와 변환

제 절 원초적 평생교육 1

(66)
(67)

1.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R.H. Dave, UIE, 1973.

2. Lifelong education and the school: abstracts and bibliography, R.H Dave, UIE, 1973.

3. Reflections on lifelong education and the school, R.H. Dave, UIE, 1975.

4. Lifelong education, schools and curricula in developing countries, H.W.R. Hawes, UIE, 1983.

5 Lifelong education and the preparation of educational personnel, James Lynch, UIE, 1977.

6. Basic education in the Sahel countries, M.D Botti, UIE, 1978.

7. Lifelong education and community learning: three case studies in India, V. Patel, UIE, 1978.

8. Lifelong education: a stocktaking, A.J. Cropley, UIE, 1979.

9 Lifelong teacher education and the community school, Linda A.

Dove, UIE, 1982.

10. School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Uwe Hameyer, UIE, 1979.

11. Evaluation of nonformal education programs: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criterion-sampling approach, Richard J. Shavelson, UIE, 1985.

(68)
(69)
(70)
(71)
(72)

43) Finger M. & Asun J. M.,

Adult Education at the Cross roads: Learning Our Way Out

, (London: Zed Books, 2001), 19-28.

44) Faure, Edgare, et al.

Learning to Be: The World of Education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1972), 146-148.

45) Lengrand, Paul. "Lifelong Education: Growth of the Concept," in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An International Handbook

, ed. Colin J. Titmus, (Oxford: Pergamon Press, 1989), 5.

(73)

46) Dave, R. H,

Lifelong Learning and School Curriculum

(Hamburg: Unesco, 1973), 21-22.

(74)

47) Roger Boshier, "Edgar Faure After 25 Years: Down But Not Out",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felong Learning

, ed. John Holford, Peter Jarvis and Colin Griffin (London: Kogan Page, 1998), 6-10.

(75)

제 절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변환 2

48) World Bank,

Lifelong learning in the Global Knowledge Economy: Challenges for Developing Countries

(Washington D.C.: World Bank, 2003).

OECD,

Education Policy Analysis 2003

(Paris: OECD, 2003), 80.

ASEM,

Lifelong Learning in ASEM Countries The Way Forward: Final Report

(Copenhagen, 2002 August).

(76)

49) Chapman, J. and D. Aspin,

The School, The Community and Lifelong Learning

, (London: CASSEL, 1997), 3-16.

50) Delors, J. et. al,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Paris, UNESCO, 1996).

(77)
(78)

52) UNESCO,

World Education Report 2000 - The Right to Education Towards Education

for All Through Life

(Paris: UNESCO, 2000), 55-60.

(79)

53) Merriam, S. and R. Brockett,

The Profession and Practice of Adult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97), 4.

54) 한숭희,「학습생태학적 입장에서 바라본 성인 학습」 사회교육학연구,『 』 제 권 제 호, 5 1 (1999.

7), 223-244.

(80)
(81)

표 계속

< >

(82)
(83)

표 계속

< >

(84)

표 계속

< >

(85)

표 계속

< >

(86)

표 계속

< >

(87)

(88)
(89)

제 4 장

평생학습 패러다임 변환 실현을 위한 대학의 역할 변화

제 절 대학 평생학습시대 도래와 현황 1

(90)

58) 이병식,『지식사회 만들기 고등교육의 새로운 도전: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05).

(91)

59) OECD,

Education Policy Analysis

(Paris: OECD, 2005).

(92)

제 절 현황 및 문제점 2

(93)

단위 일 ( : %, )

표 계속

< >

(94)

단위 ( : %)

(95)
(96)

단위 ( : %)

(97)

단위 ( : %)

단위 개 명 ( : , )

(98)

단위 개 명 ( : , )

(99)

제 절 대학에서의 성인교육 활성화 방안 3

활성화 방향 1.

(100)

무형식/개방형

형식/폐쇄형

동질적 이질적

구조 구조

학생학생집단집단특성특성 원격 대학 평생교육 기관

직장 내 교육 프로그램(사내 대학 등)

전통적 인문 대학 대학

대학 이외의 고등교육 제도(학점은행, 독학사 등)

전통적 인문 대학 대학

대학 이외의 고등교육 제도(학점은행, 독학사 등)

(101)

•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 모두에서 졸업 시점이 다양할 수 있도록 경로를 유연화하여 운영

• 직장 내 훈련 또는 직장 내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 인의 기본기를 인정하기 위하여 선행 학습(APEL)을 인정

• 대학과 고용주 간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계획되는 직장 내 학습 프로그 램(Work-based learning: WBL)운영

• 단기과정으로 운영되는 계속 개발 과정의 인정

• 학부 또는 대학원 과정에서부터 각 과정을 독립된 단기 과정으로 모듈화 하여 운영

• 면대면 교수법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원격 교육 교재 인터넷과 다른 컴, , 퓨터 기반 자료의 활용 등 다양한 교수 방법의 개발

• 개인 주로 대기업 간부들 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제( ) 도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학습 계약제 운영

• 대학교 1학년부터 계속교육(further education) 과정까지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거나 대학이 직접 운영하는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제공

• 성인학습자들이 성인 계속 교육기관에서 대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원 하는 학점 인정 프로그램 운영

• 특정 교육 소외계층 집단을 대상으로 학점 미인정 인문 성인교육 프로그 램 운영

• 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운영

• 고도로 전문화된 수준의 직업 자격 인정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과 협력

• 주로 다양한 교육 경력을 가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학점 미 인정 아웃리치 프로그램 운영

자료: Slowey, M.(2000) "The United Kingdom Redefining the non-traditional Student: equity and lifelong learning in British higher education, 1985-2000." H. Schuetze and M.

Slowey(eds.)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er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han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Farmer, 114.

(102)

활성화 방안 2.

60) 정지선 외,『단기성인학습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대학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서울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2003).

(103)

61) 국무조정실 교육문화심의관실,『대학을 활용한 성인학습 활성화 방안』(서울 국무조정실 교육: 문화심의관실, 2005.8).

(104)

현행 제도 아래 운영되는 성인 사회인 을 대상으로 한 고등교육은 야간( ) 학과 설립취지는 직장인 등이나 대부분 입시성적으로 운영됨( ), 특수대 학원의 석사과정 전문과정 평생교육원 사회교육원 의 학점은행 기타, , ( ) , 각 과정이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학부과정을 운영 할 경우 현행 입학정원외의 별도 정 원확보 입학자격 별도의 학사운영 수업기간 수업료 등 등의 제도적, , ( , ) 보완이 되어야 할 것이나 현행의 고등교육법상 어려울 것이다 생각보, . 다 정규 학생의 신분을 얻는다는 것이 쉽지 않다 학부과정에 청강을. 허용할 경우에도 기존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바람 직하지 못할 것이다 수업의 질 교육환경 등의 문제가 있다 현재도. , . 복수전공제 채택으로 복수전공으로 듣는 학생들이 서러움과 차별을 받 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새로운 제도로 도입할 경우 현실적으로는 새. 로운 입시전형이 될 것이고 명문대학 선호현상을 극복하기 어려울 것 이다 따라서 가칭 성인학부 과정은 학점은행제 등과 연계되지 않고서. 는 사실상 도입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연령대가 문제이지만 대부분의 기업의 사원들은 대학 졸업자가 대부분 이다 기업에서 이용가치가 있는 사람들은 아마도 한가롭게 교육받도. 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대기업의 사원들이라면 수도권. 이외의 전문대학 문을 두들기지 않을 것이다 이미 전문대학 수도권. , 이외의 대학은 맘만 먹으면 누구나 진학살 수 있을 정도로 문이 충분 히 개방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별도의 제도를 만든다는 타당성에. 대해 신중해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105)

지역사회내 평생교육을 위한 대학 연계 사례

< >

Ÿ 금산군 주민: 6,500명 대상의 정보화 자격증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인근 중부대학교와 협약 체결

Ÿ 칠곡군 영남대 계명대 경북농업기술원 등의 교수진 활용하여: , , 지역수요에 따른 강좌 개설 및 학점은행제 학점

취득 여성농업인대학 경북대와 협약( : )

Ÿ 순천시 순천학 및 순천시민문화학교 운영을 위해 순천대학교와 협약: 체결,

Ÿ 광명시 광명학습원과 성공회대학간 협약:

영진전문대학 CCP 과정 교육 후 고용을 조건으로 대졸실업자: 180

명 모집

개월 단기 직업교육과정 운영 수료 후 취업 노동부 지원 사

4 , 100% (

업)

두원공대-LG필립스LCD 산학연계

: 2007년부터 연 1000~1200명의LCD산업 특화인력 양성 투입 합의,

(106)
(107)
(108)
(109)

A New Paradigm of School-based Lifelong Learning

(110)
(111)

참고문헌

(112)
(113)
(114)
(115)
(116)
(117)

- 중앙대학교 교수

평생학습의 새 패러다임과 학교교육

년 월 일 인쇄

2005 11 29

년 월 일 발행

2005 11 30 김 장 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 동

135-949, 2 15-1

홈페이지: http://www.krivet.re.kr 전 화: (02)3485-5000, 5100 팩 스: (02)3485-5200 선우인쇄 (02)2272-6105, 6106

년 월 일

1998 6 11 제16-1681호

89-8436-843-1 94370 전 권 89-8436-839-3( 5 )

참조

관련 문서

표 고용안정센터의 서비스 제공 내용에 대한 견해 표 진로개발 관련 기관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 표 우리 나라의 직업 및 고용시장 전망에 대한 견해 표 변화하는

이들 국가는 우리 나라와 유사한 상황으로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인력들이 진로개발 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정부 주도로 이들 인력에 대한

그러므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와 시 도교육청은 관심을 가지고 실업계 고등학교를 통하여 배출되는 인력의

스웨덴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사회민주주의 국가라는 특성상 공공 부분이 대단히 비대하다 이는 경제 노동시장 구조 사회적 문제해 결 교육 능력개발 등에 지대한 영향을

변수들은 수준 에서 까지 되어 있으며 은 전혀 아니다 은 아주 대단한 정도다 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교 사의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발휘하여 진로지도를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Personality) , 지배력 설득력이 있고 정치 경제적 문제에 높 은 가치를 부여하고 권력과 지도적 역할을 좋아하는 설득적 성격.. 서 일반고 학생이 중학생과 실업고에

또한 주요국에 비하여 평생학습 예산이 적은 것도 참여율 저조에 한 몫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생학습에 대한 투자 부족은 평생학습 인프라.. 의 영세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