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

Copied!
2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IV)

-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alizing the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 ) - Focusing on the Strategies for Convergence

GI(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

정문섭, 조춘만, 김민철, 박은지, 김지은

(2)

▪ 연구진

정문섭 연구위원 조춘만 책임연구원 김민철 연구원 박은지 연구원 김지은 연구원

▪ 외부연구진

강병기 국민대학교 교수

권준철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센터장 김태진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류승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손 철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이득우 유비스티 대표 장은미 지인컨설팅 대표 최용복 제주대학교 교수

▪ 연구심의위원

박재길 국토연구원 부원장(주심) 최병남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장 김영표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공호상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은선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이영진 경일대학교 교수 이상역 국토해양부 사무관

(3)

F I N D I N G S

주요 결론 및 정책제언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음

❶ 스마트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나라 공간정보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며, 동시에 차기정부 정보화 추진을 위한 의제를 제시해야할 필요성 이 있음

❷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방향으로의 기술 및 서비스 발굴이 필요하며, 특히 전 세계적 트렌드인 산업 간 융․복합 방향 제시가 필요

❸ 단순한 미래 예측에 그치지 않고, 실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모델을 발굴․구축하여 민간업계에 모범사례가 될 만한 사업추진이 필요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음

❶ 공간정보산업에 국한된 정책추진을 지양하고, 국가정보화 및 전자정부와의 통합을 기본으로 하는 정책 수립 및 추진 필요

❷ 공공은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글로벌, 국토, 도시 등 공간위계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사업 발굴 및 법제도 보완방안을 제시해야함

❸ 공공은 아직 체계적이지 못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모형 및 아키텍처의 수립을 통해 민간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해야함

(4)
(5)

P R E F A C E

발간사

1970년대부터 오늘에 이른 한국의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의 균형발전과 국민정주공 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토·지역·토지·주택·교통·건설경제 등에 관한 공간계획을 통하여 국민생활의 편의성과 국가경쟁력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공간계획 및 개발 경험을 글로벌 차원으로 승화시키기 위하여 개발도상국 및 중진국과 협력적 공간계획을 추진하여 글로벌 녹색공간창조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30여 년간 추진된 한국의 국가공간계획은 공간수요측면, 과학기술 측면 등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공간계획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국토균형발전모형, 신SOC 구축, 남북 간 균형개발, 동북아의 새로운 공간질서 확립, 글로벌 연성국토 의 확대 등 새로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측면의 과제를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국토공간의 계획과 이를 모형화한 국제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토공간과 이를 구성하는 인구 및 정주공간에 관련된 신뢰성 있는 국토정보와 이를 활용한 미래 첨단공간창조는 행복한 국민생활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국토공간계획 중 국토공간정보화 추진은 지도전산화, GIS활용시스템, 교통정보화 등 국토인프라사업을 통하여 국토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기여하고 있다. 토지, 주택, 건물 등 국토공간상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정보 활용사업을 추진하였다. 최근에는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 유비쿼터스(Ubiquitous),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반의 성숙으로 분야 간 융복합인 공간정보사업 추진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국토연구원에서는 1995년부터 국가지도전산화사업, 국가GIS활용체계구축사업, GIS정보화근로사업 등 다양한 지리정보구축사업을 추진하는데 기본계획 및 관련

(6)

법과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여 국가GIS사업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또한 동기간동 안 행정정보화, 통계정보화, 민간정보화 등 다양한 정보화사업이 별개로 추진되어 국가 및 민간의 빅데이터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수요에 대비한 맞춤성, 실시간성, 이동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중심의 공간정보서 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점이다. 금년도 연구에서는 지능형 교육·문화, 스마트 재난·안전, 부동산 선진화, 스마트 교통·물류, 스마트 의료·관광 등 5대 분야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체계를 구상하여 새로운 공간정보서비스 지평을 제시하였 다. 5대 분야 국토차원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모형화를 통하여 글로벌 및 지역차원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협력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초석을 놓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3차 년도까지 추진되어온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시대적 필요성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국가공간정보서비스의 새로운 도약 기회를 마련하는 연구로서, 국토의 품격 과 더불어 스마트한 활용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을 제시고 있다. 스마트사회 의 정보 활용에 대한 개개인별 수요특성과 시공간 초월성 등의 과제는 공간정보 분야 자체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위해 본 연구는 기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타 분야 콘텐츠 등을 엮어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차세대 정보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목표를 통해 가상 국토의 혁신적인 재창조와 현실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본 연구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한 정문섭 연구위원과 조춘만 박사 및 김민철, 박은지, 김지은 연구원 등 연구진의 열정과 노고를 치하하며 연구수행 과정에서 적극적인 협조를 아끼지 않은 관련기관의 공무원과 전문가 여러분에게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2년 12월 국토연구원장 박 양 호

(7)

S U M M A R Y

요약

1995년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국가공간정보사업은 측량, 지적, 원격탐사 등 주요한 기반기술 인프라의 성장을 바탕으로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행정정보 화 및 국토관리의 역량강화에 기여해 왔다. 우리나라 국가성장의 주요한 원동력인 공공인프라의 하나로서 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발전은 국토공간의 계획적 관리 및 활용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공간정보의 활용은 최근 스마트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 즉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등의 활용 일반화와 함께 현대인의 삶과 활동의 질 향상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적 인프라로써의 기능을 형성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스마트사회의 도래와 그 진전에 따라 공간정보가 기여해야할 역할과 기능에 대해 점검해보고, 특히 공간정보의 융복합 활용에 의한 다양한 콘텐츠나 통신망 등과 연계된 시대적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증진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제1장 연구개요

본 장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현방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연구흐름 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는 국토공간의 이용 및 관리의 첨단화를 위해 1차년도에 제시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와 2차년도의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개념체계, 3차년도의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주요 논리를 전개 하였다.

본 연구의 당해 연도 내용적 범위는 아래와 같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5대 선도사업 부문, 기반확충, 협력형 거버넌스체계 등 3대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8)

<그림 1> 연구수행 흐름도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콘텐츠/기술/

서비스/제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실험사업 구축 - 제주도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 서 론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정립 / 선행연구 고찰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추진 목표 추진 전략 전략별 3대 정책과제

결론 및 기대효과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4대 기반 확충

5대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선도사업 추진

협력형 거버넌스 체계 구성 운영

스마트 의료·관광

지능형 문화·교육

스마트 교통·물류

스마트 방재·안전 부동산

선진화

(9)

제2장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및 선행연구

본 장에서는 스마트사회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여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초 개념을 정리하고 관련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검토하였다. 융복합 공간정보 서비스의 개념 제시에 앞서 기초용어, 관련 개념정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조 및 메커니즘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유사 연구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차별성 을 검토하고, 향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분야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 다.

<그림 2>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의 구현절차 개념도

새로운 시대정의에 따른 공공 공간정보의 변화필요성과 이에 대응한 융복합 공간정 보서비스 추진방향 및 실현방안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로서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전 망(사공호상 외, 2007)’,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 활용(손맥 외, 2010)’ 및 ‘공간정보 활용 정부서비스 고도화(Abbas Rajabifard 외, 2010)’ 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들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필요성을 조사하고, 스마트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융복합 공간정보서 비스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과년까지 제시된 디지털통합공간 및 디지털 통합공간정보 서비스의 개념을 확장하고, 보다 광범위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방안 제시를 통해 미래 국가공간정보 정책수립에 기여코자 하였다.

(10)

제3장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분석

본 장에서는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발굴을 목적으로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최근 추진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서비스 현황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공공정보의 공유체계 마련 및 기반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는 그간 추진되어온 데이터 구축 위주의 공간정 보사업 추진으로 필요한 데이터의 최신성, 호환성 및 활용도가 떨어짐에 따라 구체적 용도에 적합한 공간정보 제공의 전문적 세분화, 민간의 공간정보사업 지원 등이 요구된다. 셋째, 국토정책 지원을 위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간정보 인프라 및 융합기술의 초석을 위해 공공 주도의 추진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넷째,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기술 개발 로드맵이 필요하고, 기존의 유관 융복합 기술 분야를 인문학, 사회학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

<그림 3> 국내외 사례분석의 시사점 종합

한편, 해외 서비스의 추진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해외 선행사례들을 살펴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달리 공공 데이터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사용도의 확연한 차이가 검토되었다. 둘째, 해외 선진사례들의 경우 ‘데이터 준비성의 우월성’을

(11)

언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의 흔적은 표준화 작업에 대한 국가차원의 투자와 격자체계 등의 가이드라인을 통한 홍보와 기존의 정보자원을 재가공 활용하기 위한 체계의 마련과 더불어 모바일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을 통계로 만들 수 있는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단말기기와의 연계 활성화’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오늘날의 스마트사회에 일반 시민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단말기를 자유자재로 사용하거나 보유하고 있어 수요자의 다양한 활용수요에 능동적인 대처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넷째, 자료 가공방향에 대한 서비스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점, 선, 면 단위의 정보 제공은 웹기반의 정보 검색체계의 표준인 RDF 형태의 자료 변환을 시도함과 동시에 고급의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수집하기 위한 체계이자 위치정 보와의 연계를 위한 국가차원의 격자체계를 수립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이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다섯째, 공공 주도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발굴 및 보급의 노력을 통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검토하였다.

제4장 스마트사회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본 장에서는 앞서 3장까지 제시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관련 기초 개념정의와 국내외 관련 추진현황 및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수요분석의 결과로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의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설문을 한 결과, 상위 분류에서 생활공간 차원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국토·도시 차원, 마지막으로 글로벌 차원으로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차원, 국토·도시 차원, 생활공간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서비스, 활용, 데이터로서, 이는 향후 대내외적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 정책에 있어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 으로 생활공간 차원의 하위분류에서는 서비스, 활용, 데이터, 기술, 협력체계, 법제도/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에서는 어린이 및 학생 등의 안전귀가를 지원하는 등의 항목들이 높은 점수를 얻어 이러한 부분의 공간정보기반구축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2)

상위분류 항목 중분류항목 가중치 전체 순위 일관성비율

글로벌 차원

법제도/정책 0.108 5

0.01

기술 0.176 4

데이터 0.178 3

협력체계 0.096 6

활용 0.209 2

서비스 0.234 1

국토정책 지원 차원

법제도/정책 0.095 6

0.00252

기술 0.172 4

데이터 0.186 3

협력체계 0.120 5

활용 0.219 1

서비스 0.207 2

생활공간 차원

법제도/정책 0.079 6

0.00727

기술 0.138 4

데이터 0.160 3

협력체계 0.102 5

활용 0.220 2

서비스 0.302 1

<표 2> 중분류 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

본 연구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현을 위하여 제주도 기반의 의료·관광관 광서비스를 실제 실험사업으로 구축 및 적용하고 제도, 기술 등의 세부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추진방안 제시에 활용코자 하였다.

<그림 4> 실험구축 내용

(13)

제주도 기반의 ‘자연치유정보 공유서비스로서 ‘스마트 에코힐링 서비스’ 실험사업 추진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정보 및 타 정보의 융․복합에 있어서 중요하게 도출되는 요소는 기존의 타 정보에 공간정보를 어떤 형태로 결합하느냐, 어떤 서비스로 활용할 것인가, 어떤 결과물의 형태로 제공할 것인가 하는 속성으로 나누어 접근해야 한다. 둘째, 스마트한 정보의 속성으로 정의한 정보의 현장성과 실시간성 확보를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화 요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단방향 적으로 제공되는 일괄적인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 및 특성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끝으로, 본 실험사업은 스마트 의료·관광의 일부 요소에 해당하는 ‘에코힐링(Eco-Healing)' 대해 다루었으며,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분야의 단계별 확장 모델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림 5> 실험사업 기대효과

(14)

제5장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및 정책과제

본 장에서는 앞장에서 제시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관련 국내외 추진 시사점과 국내 수요분석 및 실험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을 위한 기본구상과 주요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림 6>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목표 및 정책과제

‘인본주의적 디지털통합공간 창조’를 추진목표로 하여 선도사업을 통한 확산, 융복 합 공간정보서비스 기반확충과 분야 간 협력체계 구축‘을 3대 추진전략으로 설정 하였다. 또한 5대 선도사업 즉,’스마트 의료·관광‘,’지능형 문화·교육‘,’부동산선진 화‘, 스마트 방재·안전’, 그리고 ‘스마트 교통·물류’ 서비스를 도출하고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대 기반확충을 위한 정책과제로서 ‘공간정보와 인문정 보 연계활용’, ‘핵심기술 고도화 및 서비스 도출 방법론’ 그리고 ‘융복합 공간정보서 비스 구현 관련법 제정’ 등을 제시하였다.

(15)

<그림 7> 지능형 문화·교육 공간정보서비스 플랫폼

<그림 8> 서비스 아키텍처의 역할 (ITS의 예)

(16)

제6장 결론

본 장에서는 연구수행의 결론으로서 현재까지 수행된 사례조사, 스마트사회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의 기본방향과 추진전략, 실험사업을 통한 다양한 시사점 과 전문가조사를 통한 5대 추진사업 등을 종합하여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마트사회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에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연구의 특징 및 한계 제시를 기반으로 향후 개선이 요구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하였 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 정책기반 추진과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을 위해서는 공간정보와 통계데이터로 대표되는 사회․경제 데이터 간의 유기적 연계 또는 통합화 작업이 요구된다.

둘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핵심 기반기술 고도화에 정부가 정책적으로 앞장서 야 한다.

셋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발지침을 만들어 중앙 및 각 지자체에 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 주도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표준 아키텍처를 개발하고 중앙과 지자체에 적극 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공 주도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공간정보 에 관한 법률”을 전면 개편하는 것 보다,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추진체계는 부처 간 이해관계 가 첨예하게 대립될 수 있으므로 관련 부문 간 바람직한 거버넌스 추진체계가 요구된다.

(17)

C O N T E N T S

차례

주요 결론 및 정책제언 발 간 사

요 약

I. 연구개요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3. 연구범위 4. 연구방법

1) 관계기관 협동연구

2) 국내외 선행연구 조사 및 활용방안 검토

3) 국내외 국가공간정보 정책수립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4) 해외의 선진사례 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5) 실험사업 및 시사점 도출

II.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및 선행연구 1.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개념

2. 선행연구 고찰

Ⅲ.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분석 1. 국내 추진현황

2. 외국 추진사례

3. 국내외 추진현황 및 시사점

3 3 5 6 9 9 10 10

10 10

13 13 17

23 23 28 35

(18)

1) 국내 추진현황 시사점 2) 해외 추진사례 시사점

Ⅳ.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변화전망

1.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변화전망 및 수요분석 1) 디지털 컨버전스

2) 지능화 3) 소셜화

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1) 설문조사 개요

2) 분석절차와 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3.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험사업 구축 1) 추진배경

2) 추진내용

3) 추진결과 및 시사점

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및 정책과제 1. 추진목표

2. 추진전략

1) 선도 분야 발굴 및 확산

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기반 고도화 3) 분야 및 부문 간 협력

3. 전략별 정책과제 1) 5대 선도 사업 2) 4대 기반확충

3) 부문 간 거버넌스체계 구축

35 37

43 43 43 45 46 47 47 48 52 58 58 58 61 67

77 77 79 79 79 79 80 80 108 154

(19)

Ⅵ. 결론

1. 연구결론 및 기대효과 1) 연구결론

2) 기대효과 2. 연구특징 및 한계 1) 연구특징 2) 연구의 한계 3. 정책건의 및 향후과제

참 고 문 헌 SUMMARY

부 록(Ⅰ) -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조사표 및 결과 부 록(Ⅱ) -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과제 우선순위 분석결과 부 록(Ⅲ) - 에코힐링 어플리케이션 소개

부 록(Ⅳ) - 5대부문 선도사업 델파이 조사결과

161 161 161 165 166 166 167 169

171 177

183 195 215 221

(20)
(21)

| 표 | 차 | 례 |

<표 1-1> 연구목적

<표 1-2> 과년도 및 향후 연구내용 비교

<표 1-3> 협동연구 수행기관

<표 2-1> 국내 선행연구 현황

<표 2-2> 관련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표 3-1> 국내 주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사례 및 한계

<표 4-1> 중요도에 대한 척도

<표 4-2> 일관성 및 일관성비율 계산공식

<표 4-3> 상위분류 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

<표 4-4> 중분류 항목별 중요도 분석결과

<표 4-5> 상위 분류별 중분류 주요항목

<표 4-6> (글로벌 차원)하위분류 항목별 중요도 비교분석

<표 4-7> (국토정책지원 차원)하위분류 항목별 중요도 비교분석

<표 4-8> (생활공간 차원)하위분류 항목별 중요도 비교분석

<표 5-1> 교통·물류 부문 세부 서비스 도출안

<표 5-2> 미국 인구조사국의 주요 공간통계정보 서비스 종류

<표 5-3> 국내외 선행적 모바일 GIS 추진현황

<표 5-4> U-디바이스 플랫폼 개발내역

<표 5-5>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발지침 관련 주요 용어

<표 5-6> 단위행동의 식별(예)

<표 5-7> 서비스 시스템별 관련 콘텐츠 현황분석(예)

<표 5-8> 서비스 시스템별 관련 콘텐츠 개선방향(안)

<표 5-9> 신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컨셉(예)

<표 5-10> Kano 모형의 6가지 서비스분류 유형

<표 5-11> 차세대 디지털 공간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평가

<표 5-12> Kano 분류표

<표 5-13> 가상적 중국인 의료·관광객 분석 사례

<표 5-14> 킬러 서비스를 위한 기술자원 도표(예)

<표 5-15> 융복합 관련 법률 비교표

<표 5-16>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점검표

6 7 9 17 19 26 49 51 52 53 54 55 56 57 107 110 123 126 131 134 135 136 137 138 139 139 140 140 149 152

(22)
(23)

| 그 | 림 | 차 | 례 |

<그림 1-1> 연구수행 흐름도

<그림 2-1>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의 구현절차 개념도

<그림 3-1> 미국의 원유유출 방재 서비스

<그림 3-2> Direcgov의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

<그림 3-3> NYCStat

<그림 3-4> 아이티 지진대응 지도서비스 화면

<그림 3-5> 멕시코 기름유출 대응 지도서비스 화면

<그림 3-6> 미시시피주의 도시에서 NATIONAL GRID체계적용

<그림 3-7> 영국의 Ordinance Survey의 격자체계를 통한 위치정보 참조체계 안내 책자

<그림 3-8> 국내외 사례분석의 시사점 종합

<그림 4-1> AHP기법의 구조도

<그림 4-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 우선순위선정 AHP 모형

<그림 4-3> RI지수를 이용한 계층별 상대비교 과정

<그림 4-4> 의료·관광 공간의 종류 및 위계

<그림 4-5> 실험구축의 내용

<그림 4-6> 실험사업 추진절차

<그림 4-7> 실험사업 추진전략

<그림 4-8> 실험사업 기대효과

<그림 4-9> 실험사업 서비스모델 방향

<그림 4-10> 실험사업 서비스모델 명칭 및 의미

<그림 4-11> 실험사업 서비스 구현을 위한 데이터 구축결과

<그림 4-12> 실험사업 스토리보드

<그림 4-13> 본 사업의 추진범위 및 향후 추진방향

<그림 5-1>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목표 및 정책과제

<그림 5-2> 스마트 의료·관광 부문 서비스 플랫폼 구상안

<그림 5-3> 지능형 문화·교육 서비스 전체 개념도

8 16 28 29 30 32 32 34 35

39 50 50 52 62 63 64 65 67 68 69 70 71 73 78 82 84

(24)

<그림 5-4> The Forbidden City : Beyond Space and Time

<그림 5-5> 전라남도 위성영상 블로그 서비스

<그림 5-6> 지능형 문화·교육 서비스 추진방향

<그림 5-7> 지능형 문화·교육 서비스 플랫폼 구상안

<그림 5-8> 부동산 선진화 서비스 개념도

<그림 5-9> 부동산 선진화 서비스 추진주체

<그림 5-10> 부동산 선진화 서비스 플랫폼 구상안

<그림 5-11> 스마트 방재·안전 서비스 개념도

<그림 5-12> 재난관리의 3단계

<그림 5-13> 국내 ITS 현황 – 교통흐름 제어

<그림 5-14> 국내 ITS 현황 – 주의구간 관리

<그림 5-15> 지능형 대중교통서비스 예 - 대중교통

<그림 5-16> 지능형 대중교통서비스 예 – 차량, 도로

<그림 5-17> 지능형 대중교통서비스 예 - 여행정보

<그림 5-18> 스마트 교통·물류 서비스 구상도

<그림 5-19> 캐나다 Census Geography 서비스

<그림 5-20> 미국의 인구조사국 서비스

<그림 5-21> 공간통계지식체계와 지리정보과학과 관계

<그림 5-22> 공간통계지식체계의 개념구성

<그림 5-23> 공간통계지식체계의 서비스 개념도

<그림 5-24> 공간통계지식체계의 단계별 추진계획

<그림 5-25> 제주특별자치도 대상 시범사업 서비스 구동화면

<그림 5-26> 시맨틱웹 서비스를 이용한 추사 김정희 검색결과 화면

<그림 5-27> 현실공간의 정보를 스마트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그림 5-28> POS 및 주차관리 시스템

<그림 5-29> POS를 활용한 음식점·상점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제공방안

<그림 5-30> 주거 공간 건강관리‧응급서비스 시나리오

<그림 5-31> U-디바이스 플랫폼 시스템 구성

<그림 5-32> 공간 맞춤형에 대한 개념

<그림 5-33> 스마트 단말기의 공간 맞춤형 기능 블록다이어그램

<그림 5-34>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성 및 관련용어

85 86 88 89 92 94 95 97 98 103 103 104 104 105 106 108 109 111 112 113 113 114 115 119 120 122 124 125 129 130 132

(25)

<그림 5-35>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발절차(안)

<그림 5-36> 1단계 ‘도메인‧공간영역‧고객‧시스템’ 관계 도식화(예)

<그림 5-37> 서비스 그룹핑 과정

<그림 5-38> 서비스 아키텍처 시스템 모델링의 필요성

<그림 5-39> 시스템 아키텍처의 역할

<그림 5-40> 서비스 아키텍처 모델링의 기능

<그림 5-41> 서비스 아키텍처의 역할(ITS의 예)

<그림 5-42> 서비스 아키텍처 모델링(ISO 절차적 방법)

<그림 5-43> 융복합 관련 법률 체계도

<그림 5-44> 공공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성

<그림 5-45>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부문 간 거버넌스 추진체계(안)

133 134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1 156

(26)
(27)

chapter 1

연구개요

(28)
(29)

C | H | A | P | T | E | R | 0 1

연구개요

본 장에서는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구현을 위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현방 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는 국토공간의 이용 및 관리의 첨단화를 위해 1차 년도에 제시한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체계와 2차 년도의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개념 체계 그리고 3차 년도의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논리를 전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TV 등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을 활용하는 최근의 사회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정보제공 및 사람 개인의 실제 필요성에 부응한 맞춤형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의 기본방향 및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추진과정을 제시하 였다.

1. 연구배경

국가공간정보 인프라는 우리나라 국가발전의 주요한 원동력인 국가 공공인프라의 하나로서 국토의 계획적 관리 및 활용을 넘어 일반 시민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측량, 지적, 원격탐사 등의 주요기반기술 인프라의 성장을 배경으 로 한 국가공간정보 사업은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행정정보화 및 국토관리 역량강화에 이바지해왔다. 이러한 공간정보 인프라의 발전은 최근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스마트폰, 스마트TV, 스마트패드 등)과 함께 현대인의 삶과 활동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30)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사회의 발전에 따라 공간정보가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특히,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에 따라 파생되는 콘텐츠나 통신망 등과 관련된 서비스 증진방안 마련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즉, 글로벌 차원, 국토·도시 차원 및 생활공간 차원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수요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공간정보 정책 마련이 본 연구 추진의 주요 추진배경이다.

첫째, 우리나라는 UN(United Nations)과의 협력 하에 2012년 10월, UN-GGIM (지구촌공간정보관리) 포럼을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더불어 지구촌 공통 의제(기후변화, 기아와 질병 등) 해결에 필수적인 공간정보서비스를 국제적인 협력차 원에서 우리나라가 적극 지원하고 주도해야 한다. 그동안 측량분야 대표기관인 국토지 리정보원을 중심으로 PCGIAP 사무국 개설, UN-GGIM 포럼 유치 등의 성과를 이뤘지만, 측량-지적-GIS-해양 등 전체 공간정보 분야가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공간정보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등이 좀 더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 특히, 21세기 들어 지구촌 공통의 글로벌 이슈(기후변화, 재난·재해 등)에 대응하여 다양하고 질 높은 공간정보서비스의 유기적·효율적 제공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적극적으 로 대응할 수 있는 공간정보 활용체계의 마련이 시급하지만, 국가별로 상이한 국가공 간정보인프라(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로 인해 파생되는 이질성·표준 미비 등의 문제점으로, 글로벌 차원에서 강도 높은 공조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정부 또는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국토·도시 공간계획·관 리에 관한 정책들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공간정보서비스 제공 필요성이 급증하 고 있다. 지방자치시대에 있어 이와 같은 공간정보의 활용기반 마련을 위한 제도적 인 정책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국토방역체계(구제역, AI, 신종플루 등 국토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전염병 관리에 관한 국가적 대응체계), SOC 보상체계(국토 SOC 개발에 의한 토지수용비 등 보상에 관한 의사결정 지원체계), 4대강 살리기 관련 공간정보 지원 등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측량·지적 등 관계기관, 사업추진기관, 지자체 등 관계기관 간 유기적 협력체계 마련을 기초로 하여 국토·

도시공간의 효율적인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정책 현안을 지원해야한다.

(31)

셋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Smart GIS), 즉 공간정보서비스의 세계적 트렌드로 서 산업간, 서비스 간 융복합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공간정보서비스 분야의 적극적 수요대응이 필요하다. 현재 u-City 개념의 발전된 형태인 스마트 공간정보서비스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양질의 공간정보 를 언제·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거·건강·문화·교통·방 재 분야 등 생활밀착형 공간정보서비스 발굴 및 추진과 더불어, 실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통신·GIS·LBS·증강현실 기술 등 핵심 기술들에 대한 활용 고도화 필요성이 요구된다.

2. 연구목적

공간정보는 모든 사람활동의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인프라로서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반(Social Infrastructure)으로까지 승화되 고 있는 추세에 있다. 주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의 활용 활성화에 의해 붙여진 최근의 정보통신시대에 정보의 주체가 제공자에서 활용자로 중심점이 전환되어 가고 있는 것에 대한 중요한 시대적 정의의 한 방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수요를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공간정보서비스의 발전과 개념 고도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급 공간위계, 즉 글로벌, 국토․도시 및 생활공간에서 세밀하 고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의 수요를 적절히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정보 정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이상과 같은 시대적 배경 하에 본 연구 수행의 목적은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공간정보서비스 , 즉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추진방향과 실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목적 및 구체적인 추진내용은 다음과 같다.

(32)

스마트사회를 견인할 수 있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 구상을 통하여 공공과 민간의 공간 활용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표 1-1> 연구목적

첫째, 1995년부터 추진했던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을 기반으로 스마트사회를 견인할 수 있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선도사업을 제안하여 국토공간 및 도시공 간 차원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전문가 수요조사를 통하여 5대 부문(스마트 의료·관광, 지능형 문화·교육, 스마트 방재·안전, 스마트 교통·물 류, 부동산 선진화) 전략과제를 도출하여 국토 및 도시공간의 공간활용 패러다임 의 변화를 견인한다.

둘째, 전자정부 및 국가GIS사업을 기반으로 차기정부에서 추진이 필요한 공공 과 민간협력사업 발굴을 통하여 공공부문의 공간정보서비스 고도화 및 관련산업 성장동력을 제공한다. 즉, 통신망, 정보 및 활용체계 등 30여 년간 추진된 국가정보 화사업을 고도화할 차기 정보화사업 중 위치기반 융복합 공간정보화 사업을 구상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지속성장 및 글로벌화 기반을 조성한다.

셋째, 부문 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 뿐만 아니라 창의성을 갖춘 인력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한 글로벌 공간정보사회 진출의 인력기반을 조성한다. 즉, 글로벌 경제문제와 국내 성장 동력 감퇴로 인하여 매력 있는 서비스 일자리 창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에서 국내 공간정보산업의 일자리와 글로벌 일자리 창출 기반에 기여한다.

3. 연구범위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의 실제 주권이 미치는 국토공간 전역의 공중․지상․지하․해 양 공간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로 설정하여 차기정부 공간정보정책 및 정보화정책에 반영되도록 구상하였다.

(33)

연차별 연구범위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과년도까지의 연구는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의 개념과 활용, 스마트사회의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및 추진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그 구현을 위한 하부구조 정의 및 기본구상과 실제 단계별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과제의 목표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 및 활용되고 있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특성과 동향 분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통신망 등과 연계 구현이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 서비스의 실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표 1-2> 연구내용비교 참조). 본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차기 과제부터는 Rio+20시대의 글로벌 공간정보사회 리딩방안으로 구상하여, 그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표준체 계, 브랜드화 및 서비스 산업화 등에 중점을 둔 정책적 지원방안 등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디지털통합공간의 개념, 기본구상

및 실현방안

(국가GIS 활용)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구상 및 추진방안

스마트사회의 글로벌/국토/

생활공간 부문별 공간정보서비스

추진현황 및 개선방안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5대 선도부문 발굴 및 확산방안

Rio+20 시대의 글로벌 공간정보사회

리딩방안 제시

<표 1-2> 과년도 및 향후 연구내용 비교

한편, 본 연구의 당해 연도의 내용적 범위는 아래와 같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5대 선도부문 발굴 및 확산을 목적으로 한 추진방향과 실행방안 수립을 대상으로 하였다.

y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및 선행연구 고찰 y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분석

y 공간정보사회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y 스마트 자연치유공간 구현을 위한 실험사업 및 시사점

y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및 정책과제

(34)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콘텐츠/기술/

서비스/제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실험사업 구축 - 제주도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 서 론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정립 / 선행연구 고찰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추진 목표 추진 전략 전략별 3대 정책과제

결론 및 기대효과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4대 기반 확충

5대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선도사업 추진

협력형 거버넌스 체계 구성 운영

스마트 의료·관광

지능형 문화·교육

스마트 교통·물류

스마트 방재·안전 부동산

선진화

<그림 1-1> 연구수행 흐름도

(35)

4. 연구방법

1) 관계기관 협동연구

본 연구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을 위한 공간계획, 공간정보, 정보통신 인프라, 디지털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동연구 공동체를 조성 및 운영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괄기획, 정책연구 및 기술구현 등의 세부 부문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하고 정기적으로 자문위원 회를 구성 및 운영하여 연구방향 조정 및 결과검증 등을 시행하였다.

주요내용 세부 연구내용 수행기관

공간정보 융복합화 개념 정립 및 선행연구 고찰

공간정보 융복합화 관련 용어 및 개념 정립

국토연구원 공간정보 융복합화 관련 선행연구 고찰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국내외 현황 분석

국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 분석 국토연구원 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 분석 지인컨설팅

시사점 도출 국토연구원

공간정보사회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분석

공간정보사회 변화 전망 국토연구원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 분석 한국교통대학교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험구축 유비스티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구상 및

정책과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 목표

국토연구원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 전략

전략별 3대 정책과제

제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기반 확충

국민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10대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선도사업 추진 국토연구원

협력형 거버넌스 체계 구성

결론 및 정책건의 국토연구원

<표 1-3> 협동연구 수행기관

(36)

2) 국내외 선행연구 조사 및 활용방안 검토

국가GIS사업에 대한 정책, 기술, 데이터, 서비스 측면의 종합검토 및 2005년 이후 국가R&D사업을 중심으로 한 국토지능화 관련 선행 연구 및 사업 등 기존 관련연구들 을 종합 검토하였다. 또한 연구추진에 유용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본 연구의 추진을 위한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3) 국내외 국가공간정보 정책수립 사례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미국, 영국, EU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등 국내외 공간정보 정책수립 사례조사 및 동향분석을 통해 융복합 공간정보정책 추진의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이를 위하여 글로벌, 국토․도시 및 생활공간 부문으 로 공간위계를 분류하고 각 위계별 정책추진의 동향조사 및 향후 스마트 시대의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책적 방향정립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4) 해외의 선진사례 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이 연구에서 추구하고 있는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즉 실시간성, 이동성 및 개인 맞춤성 등이 골고루 충족된 해외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중장기적인 차세대 디지털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현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유럽, 미국 등 해외현황 조사 후 국내 상황과 비교 검토하여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5) 실험사업 및 시사점 도출

과년도의 실험사업을 통해 구축된 글로벌 디지털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5대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실험사업을 추진하여 스마트 의료·관광관광서비스를 추진 하였다. 이어 제도적/기술적으로 향후 극복해야 할 개선과제 등을 도출하였다.

(37)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 과제명: 서울시 혼잡통행료 제도 실시방안에 관한 연구

∙ 연구자: 교통개발연구원 (1996)

∙ 연구목적: 최적혼잡통행료 및 혼잡지역을 선정하고 이 지역에 대한 혼잡통행료 시 행방안 제시

∙ 국내외 문헌고찰

∙ 서울시 혼잡지역 및 축 분석

∙ 혼잡통행료 추정을 위한 시범교통축 및 모형정립

∙ 혼잡통행료에 대한 시민여론 조사 및 혼잡통행료 최적부과대상지역 선정

∙ 최적혼잡통행료 추정 및 효과분석

∙ 통행료 수입금 배분방안 제시

2

∙ 과제명: 서울시 혼잡통행료 징수체계 보완연구

∙ 연구자: 서울시정개발연구 원(2001)

∙ 연구목적: 남산 1, 3호선 혼잡통행료 징수사업 평가 및 징수기준 보완방안 제시

∙ 남산 1, 3호 터널에 대한 통행료 징수효 과를 교통계획적 측 면에서 평가하고(통 행속도 변화, 교통량 변화 등) 확대시행을 건의

∙ 혼잡통행료 법적근거 및 시행기준 검

∙ 시범사업 시행효과 분석 및 개선대상 파악

∙ 혼잡통행료 징수기준 보완방안

∙ 징수시스템 보완방안

∙ 혼잡통행료제도 확대

3

∙ 과제명: 혼잡통행료제도 확 대시행의 효과분석

∙ 연구목적: 혼잡통행료 제도 의 시행효과를 BRT 제도와 의 정책적 결합을 중심으로 검토

∙ 서울시 교통현황 분 석 및 전망

∙ 혼잡통행료 효과분 석 방법론 수립 및 서 울시 사례 분석

∙ 혼잡통행료제도의 국내외 사례 분석

∙ 서울시 교통현황 및 추이 분석

∙ 혼잡통행료 및 BRT 시행효과 분석

본 연구

∙ 다양한 혼잡통행료 징수방 법을 대안으로 설정하고 시 행에 따른 소득계층별, 지 역별 파급영향을 제시하며 정책도입의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

∙ 해외사례 검토

∙ 시민의식 설문조사

∙ 계량모형 구축 및 운

∙ 혼잡통행료 해외 시행 사례검토

∙ 다양한 혼잡통행료 징수대안 설정 및 평가

∙ 혼잡통행료 제도의 효율적 시행을 위 한 정책 방안 제시

<표 1-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단위: 없음)

주: 도로혼잡비용. 2012.

chapter 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및 선행연구

(38)
(39)

C | H | A | P | T | E | R | 0 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 및 선행연구

본 장에서는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 및 스마트 TV 등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대 스마트사회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을 위한 기초 개념을 정리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융복합 공간정 보서비스의 개념을 제시하기에 앞서 기초용어, 관련 개념정의 및 융복합 공간정보서비 스의 구조 및 메커니즘 등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과 비교분석하 여 그 차별성을 강조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융복합 정보서비스 분야에 대해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측하여 추가로 기술하였다.

1.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개념

1) 스마트사회(Smart Society)1)

스마트사회란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현상에서 나아가 스마트폰, 스마 트TV, 스마트패드 등 각종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일하는 방식과 생활양식, 사회문화 등 국가사회 전반의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는 사회를 말한다. 각종 스마트 기기의 사용 증가와 일상생활 의존성 향상으로 삶과 산업 전반에 큰 변화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미래 사회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스마트사회로의 변모가 예견된다. 이러

1) 정문섭 외, 20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Ⅲ)’, p15-16

(40)

한 스마트사회의 핵심 기술적 요소로는 유비쿼터스 기술(u-IT), 디지털 컨버전스 (Digital Convergence) 및 인공지능(AI) 등을 들 수 있다2).

유비쿼터스 기술이란 정보통신기술중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기술과 관련된 모든 기술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말 그대로 삶의 모든 공간에 컴퓨터가 내재된 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정보통신 관련 기술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공간 활용 및 관리 문제의 복잡성과 전문성이 심화되고, 시민의 정보에 대한 수요와 종류가 세밀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의 질은 고도화되고 종류는 다양하게 요구된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생활공간 어디에서나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 기능 내재가 요구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되고 시민 개개인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사회의 도래를 의미한다.

또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기술의 필요성은 다양해지고 복잡해 지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그에 대응하는 정보통신기능과 콘텐츠 등의 고도화로부터 기인한다. 즉 과거의 단일 정보단말기기, 콘텐츠 및 통신망 등으로는 현대인의 수요와 필요를 채우는데 많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 필요한 단말기, 콘텐츠, 통신망 등의 적절한 융복합화를 통해 이 시대에 필요한 정보 수요에 적극 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유비쿼터스 기술과 디지털 컨버전스로 인하여 정보의 교환과 흐름이 복잡해지고 개별화되어감에 따라 정보의 분량과 종류가 기하급수적,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공지능(AI) 기술은 스마트사회에 매우 필요한 기반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정보의 양과 종류의 증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통신 기기 및 이와 연결된 다양한 특수 장비들이 배치되면서 그물망처럼 연계된 사람과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포괄적이고 적절히 지능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점차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2) 손맥 등. 2010. 「스마트사회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41)

2) 디지털통합공간(Digital Convergence Space)

디지털통합(Digital Convergence)은 사회적 수요를 기반으로 기존의 개별적 정보, 콘텐츠, 통신망, IT기기 등이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나아가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현상이 실제 생활공간과 결합되어 실현되는 첨단공간을 디지털통합공간이라고 정의 한다. 디지털통합공간의 특성으로는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창조적으로 다양한 삶의 공간 구현이 가능해져 공간 활동의 질이 현격히 향상되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실용적 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통합공간’은 디지털융합기술과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 공간을 의미한다3).

3)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Convergence GIS)

공간정보서비스란 국토공간을 비롯하여 이에 관련된 속성에 관한 정보를 생산, 관리 및 유통 등과 관련된 일련의 서비스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공간정보서비스의 핵심에 해당하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시공의 제약을 초월하고 개개인별 맞춤성 에 기인한 사회적 수요에 맞게 기타 정보, 통신망 및 기기 등을 적절히 융복합 하여 구현하는 새로운 유형의 응용 공간정보서비스를 말한다.

현존하는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중 공간정보산업진흥법 제2조7항(정의)에 의하면

‘융복합 공간정보산업’이란 새로운 자료, 기기,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생산하는 산업임을 지칭하고 있다. 향후 융복합 공간정보산업의 핵심 분야로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성 있는 개념 체계 및 서비스 구성을 갖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축 및 보급을 통한 활용성 높은 정보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된다.

한편, 정문섭(2010)4)은 디지털통합공간모델을 기반으로 융복합 공간정보서

3) 정문섭 외. 2010.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Ⅱ)」 p.50.

4) 정문섭 외. 2010.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Ⅱ)」 p.49-50.

(42)

비스의 개념정의 및 구현절차 제시를 시도한 바 있다. 디지털통합공간에 의한 정보서비스, 즉 ‘디지털 통합공간서비스’는 기존 가상공간뿐 아니라 실제 물리공 간에 인간의 편의를 위하여 콘텐츠, 단말기기, 통신망 등을 내재시켜 일종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개념의 틀로서 유용하다. 이론적 배경의 측면에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는 아직까지는 명확한 법 규정이나 이론적 기반이 부족하여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다. 정문섭(2011)5)은 디지털통합 공간서비스 개념체계를 활용하여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념과 구현절차 제시 를 시도한 바 있다.

<그림 2-1>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의 구현절차 개념도

이처럼 공간정보를 기본 인프라로 하여 기타 데이터, 통신망과 콘텐츠 등을 상호 융합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초적 개념체계 위에 스마트사회의 다양한 정보수요에 부응한, 보다 실현가능하고 기능적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개발방법론 및 개발절차 마련이 요구된다.

4) 서비스 아키텍처 모델링(Service Architecture Modeling)

서비스 아키텍처는 일정한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시스템의

5) 정문섭 외. 20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Ⅲ)」. pp.62-63.

(43)

구성 요소를 규정하고, 그에 필요한 각 요소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이고 물리적으로 표현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조망이 가능한 종합적인 개략 설계도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작하는 과정인 모델링은 특정 서비스를 구현하 기 위한 시스템 구축방법의 내용, 형태, 규모 등을 정하는 과정이다. 다양한 하드웨 어 구성 요소들의 물리적 연결 그리고 데이터의 수집·가공·정보제공·정보연계 등 정보의 흐름을 표현하는 절차로 볼 수 있다.

2. 선행연구 고찰

새로운 시대정의에 따른 공공 공간정보의 변화필요성과 이에 대응한 융복합 공간정 보서비스 추진방향 및 실현방안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는 <표 2-1>과 같이 ‘국가공간 정보 전략계획 수립’,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전망’ 및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방안’ 등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구분 주요 연구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전망 ∙ 사공호상 등(2007),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국가 GIS 전략연구, 국토연구원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 활용 ∙ 손맥 등(2010), 스마트사회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전략

공간정보 활용

정부서비스 고도화 ∙ Abbas Rajabifard 등(2010), Spatially-enabled Society

<표 2-1> 국내 선행연구 현황

첫째, 사공호상 외(2007)는 GIS와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공간정보의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 대응을 위한 국가GIS 전략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정보 관련 기술발전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에 의한 공간정보 활용의 미래 사회문화 패러다임 변화를 전망하였으나, 국제간 비교를 통한 세계적 추세

(44)

반영이 연구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외 다양한 국가들에 공히 적용 가능한 연구결과 제시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추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손맥 외(2010)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정보가 세계적 트렌드로서 갖는 기대효과를 예측하고, 각 부문별 공간정보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스마트사회 구현에 필요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서비스 활용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산업, 공공부문으로 나누어 기대효과 및 추진전략을 분석하였으나, 이를 개론적으로 광범위하게 정리하여 실천 가능한 구체적 전략 제시가 향후 후속과제로 요구된다.

셋째, Abbas Rajabefard 외(2010)는 공간정보 활용능력에 관한 주요 기초개념 을 이용하여 토지 대장, 토지 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관련 공간정보 모델 및 Spatial Enablement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호주 정부의 현황이 반영된 Spatial Enablement 적용가능성 및 개발방법론을 국내 현황에 바로 적용하 는 부분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또한 토지 관리 차원에서 진행되어 범위가 한정적이며, 현재 프로세스 정립 단계로서 향후 새로운 표준, 기술, 정부 기관 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간정보 의 추진 한계와 시대적 서비스 수요를 국내적 흐름에 한정하지 않았다. 즉 스마트사회 의 공간정보서비스 필요성을 조사하고,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 스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년까지 제시된 디지털통합공간 및 디지털 통합공간정보 서비스의 개념을 확장하여 보다 광범위하고 시대적 수요에 부응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방안 제시를 통해 미래 국가공간정보 정책수립에 기여코 자 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무직가구, 부녀자가구, 노인가구 등의 비율 변화가 소득불균등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모의실험(microsimulation)을 통해 분석한다.. Expenditure Survey)의

증권예탁결제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과학문화재 단, 한국과학재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대한지적공사, 한국방송영상산 업진흥원,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품질관리 강화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고도화 및 맞춤형 기상서비스 확대 기상기후자료 활용 증진 및 융합서비스 확산.

공공 데이터 개방(정부3.0)과 행정업무 능률 향상을

현장 및 위성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경계층 바람 환경의 관측 및 분석 기술과 초고해상도 유체역학 모델링의 지역규모 적용을 위한 계산 및 이론, 그리고

둘째,티타늄의 용접에 따른 피로크랙 진전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접하 지 않은 모재 시험편과 용접재의 각 부위별로 노치를 가공한 용접재 시험 편을 통하여

그린 스마트 시티 제작에 필요한 센서를 선택하고 초코파이보드 및 마이크로비트에 연결할 수 있으며, 코딩을 통하여 그린 스마트 시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