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 추진사례 시사점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현황분석

2) 해외 추진사례 시사점

첫째, 해외 선행사례들을 살펴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달리 공공 데이터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사용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낮은 활용도의 원인으로서 데이터 접근의 어려움, 데이터 포맷의 상이함과 데이터 제공서비스 자체에 대한 홍보부족 등이 있다. 정보의 신뢰성 확보는 품질관리에 대한 인식제고와 위치 정확성 수준에 대한 기대를 좀 더 다양화하는 부분, 즉 정확한 위치좌표를 요구하는 측량학적 마인드가 필요한 곳은 그것을 유지하되,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속성정보를 즉시 파악하고자 하는 상황에서는 위치정보의 정확도는 어느 정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등의 융복합 서비스를 위한 여러 기준의 품질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해외 선진사례들의 경우 ‘데이터 준비성의 우월성’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의 흔적은 표준화 작업에 대한 국가차원의 투자와 격자체계 등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홍보하고 기존에 있는 정보자원을 재가공 활용하기 위한 체계의 마련과 더불어 모바일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을 통계로 만들 수 있는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내는 이유로는 제공되는 데이터의 질과 양의 한계, 기타 포맷의 데이터들과의 연계에 대한 적극성 부족,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의 동시사용에 방해되는 공간단위의 상이함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다양한 단말기기와의 연계 활성화를 지적할 수 있다. 오늘날 스마트사회의 일반 시민은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스마트 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단말기를 자유자재로 사용하거나 보유하고 있다. 더 이상 기존의 개인PC 중심의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제공에 국한되지 않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다양한 단말기기 를 이용한 정보활용 기반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향후 사용자의 다양한 참여,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의 기반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즉, 지금처럼

일방향적 데이터 수집, 보급, 활용의 형태가 아닌 시민 민간 기업의 참여형 환경 구축 필요하다. 대표적 선행 사례로서 ‘Fix my street’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창구로써 확장된 좋은 실행사례 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연구개발비 자체의 용어를 R&D (Research and Development)에서 R&SD (Research and Solution Development)로 문제해결을 이슈화하는 2012년의 흐름과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으로 국민 공감을 끌어내기 위한 전략에 모바일과 문제해결은 융복합 서비스의 키워드이다.

넷째, 자료 가공방향에 대한 서비스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점, 선, 면 단위의 정보 제공은 웹기반의 정보 검색체계의 표준인 RDF 형태의 자료 변환을 시도함과 동시에 고급의 분석정보를 제공하고 수집하기 위한 체계이자 위치정보와의 연계를 위한 국가차원의 격자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다섯째, 공공 주도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발굴 및 보급의 노력을 들 수 있다. 국가 공간 정보 서비스의 국내 환경과 앞으로 발전 방향이 논의되었다면 과연 해외의 움직임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국내 환경에서 소화될 수 있는 부분을 사례 분석을 통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해외 선진사례조사 를 통해 국가 공간정보서비스의 확대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참여와 환경 활용으로 인한 활용가치가 있는 서비스로의 구축이 가능하다 는 점이다.

<그림 3-8> 국내외 사례분석의 시사점 종합

스마트 도시 환경은 누구에게나 접근성과 개방성, 그리고 맞춤성과 실시간성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자신이 있는 위치뿐만 아니라 그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지역 사회, 사람들, 그리고 자신의 데이터까지 서로 연결된 수많은 가치가 있는 정보들이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시스템만 구축이 되어서도 안 되며, 국가 정보화만으로도 그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보급, 활용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기술적 환경이 마련이 된다면 국가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서비스부터 공공이 선도적으로 기반마련 및 시범서비스 확대적용을 통해 향후 민간서비스 분야로 전도해가는 환경이 조성되 어야 할 것이다.

chapter 4

스마트사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