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변화전망

3) 추진결과 및 시사점

(1) 추진결과

가. 서비스모델 방향 설정

실험사업은 「스마트 의료·관광 공간 기반구축을 위한 자연치유공간서비스 구축」 기술용역으로 발주되었으며, 세부 과업 진행 방향은 ‘위치기반 자연치유지 식 공유체계를 중심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위치기반 자연치유지식 공유체계에 대해, ‘위치기반’의 대상공간을 ‘제주특별자치 도’로, ‘자연치유지식’이라는 콘텐츠 내용을 ‘에코힐링’ 개념으로, ‘공유체계’에 대한 시스템적 사항을 ‘스마트 서비스’로 각각 해석하여 실험사업의 주요 서비스 모델 방향을 ‘제주 에코힐링 스마트 서비스’로 설정하였다.

<그림 4-9> 실험사업 서비스모델 방향

실험사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서비스에 대한 이름은 ‘스마트 에코힐링 포유(가칭)’

서비스로 정하였다. 이번 실험사업에서는 제주도 일부 지역을 공간적 대상으로 삼아 진행하게 되나 향후 지역 확대를 고려하여 ‘제주도’라는 명칭을 배제하였으며, 서비스 UI 상에서도 전국 확대 및 콘텐츠 확장을 고려한 설계를 반영하였다.

에코힐링의 개념을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4가지의 ‘유(癒 : 병 나을 유, 遊 : 놀 유, 裕 : 넉넉할 유, You : 당신)’ 요소로 파악하여 ‘포 유’라는 별칭을 설정하였으며, 개념적으로 치유, 여행, 여가, 자신을 위한 서비스임을 강조하였다. 본 서비스모델은 정보의 실시간성, 현장성, 맞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자 스마트폰 단말기를 겨냥한 모바일 웹 환경 서비스를 지향함으로써 스마트한 에코힐링 정보 제공 서비스 형태를 취하였다.

<그림 4-10> 실험사업 서비스모델 명칭 및 의미

나. 서비스용 데이터 구축

실험시스템용 서비스 데이터는 크게 기본공간정보와 서비스 콘텐츠로 나눌 수 있다. 기본공간정보는 공간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맵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서비스 콘텐츠는 에코힐링 속성을 가진 특화 콘텐츠라 할 수 있다.

공간정보는 원내 확보된 공간정보 부재에 따라 외부에서 Open API 형태로 제공하는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구축하게 되며, 모바일 웹용 2차원 맵은 민간기업 인 KT 사의 올레맵, 웹서비스용 3차원 맵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포털에서 제공하 는 맵을 사용하였다.

<그림 4-11> 실험사업 서비스 구현을 위한 데이터 구축결과

KT 맵은 다양한 플레이스네임 표기 및 맵 컨트롤 기능 제공 측면에서 우수하여 선택하였으며, 국토포털 3차원 맵은 현재 국토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맵 이외의 정보(인문지리정보 등)를 향후 활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서비스 콘텐츠는 실제 현장 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기반으로 하여, 이를 스토리텔 링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에코힐링 콘텐츠를 에코힐링 스팟(포인트형 데이터, 70개소), 에코힐링 트레일(라인형 데이터, 10개소), 에코힐링 존(에어리어형 데이터, 3개소)으로 나누고, 이들을 스토리텔링 형태(10개)로 묶어 사용자들이 쉽고 재미있고 유익하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서비스 콘텐츠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일반적인 POI 정보가 담고 있는 정보와 차별화 하여 에코힐링 컨셉에 맞춘 별도의 속성을 정의하였다. 에코힐링에 관련된 효과와 함께 평균 체류시간 등의 속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취향 및 일정에 맞춘 맞춤형 정보 검색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2) 서비스 흐름

‘스마트 에코힐링 포 유’ 서비스는 에코힐링 스토리를 통해 에코힐링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사용자가 직접 에코힐링 방문 계획을 세우는 것을 서비스 모델로 삼았다.

에코힐링 테마의 종류는 신체적 치유, 정신적 치유, 상호 관계 개선 등 3가지 유형에 따라 구별하였으며, 이를 선택할 경우 좀 더 자세한 케이스에 대한 스토리텔링 을 제시하고, 해당 스토리텔링을 구성하는 각종 공간에 대한 연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방문 목적 및 여유 시간에 따라 맞춤형 에코힐링 공간을 추천하고 이에 대한 방문 동선을 추천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생성한 에코힐링 플랜 정보는 다시 스토리텔링 콘텐츠 형태로 가공하 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사용자들이 열람하면서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그림 4-12> 실험사업 스토리보드

(3) 시사점

본 실험사업 진행을 통해 도출한 공간정보 융복합에 따르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간정보 및 타 정보의 융․복합에 있어서 중요하게 도출되는 요소는 기존의

타 정보에 공간정보를 어떤 형태로 결합하느냐에 대한 방법적인 부분과, 어떤 서비스 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활용적인 부분과, 결과물의 형태를 어떤 형태로 제공할 것인가 하는 속성적인 부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로 공간정보에서는 점, 선, 면에 대한 분류를 통해 진행하고 있으나, 본 실험사업 모델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서귀포자연휴양림’ 내에 4개의 산책 코스가 선 형태로 존재하며, 그 안에 별도의 지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면 단위 공간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서비스 모델에 따라 점 형태의 데이터 내에서 다시 점, 선, 면 형태의 데이터를 내포하는 형식을 갖추게 됨으로써, 단층적 공간정보가 아닌 계층적 공간정보 형태로 인식해야만 가능한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에코힐링이라는 주제를 서비스 컨셉으로 삼아 융복합 콘텐츠를 구축하면서 기존 POI에 정의되지 않았던 다양한 서비스용 속성을 재정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기본적인 POI 이외에 메타데이 터 형태의 서비스용 속성 부여를 통하여 서비스 모델에 따른 활용성에 근간을 둔 가공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에코힐링 존에 대해 일반적인 수치지도나 항공사진 방식의 지도 이외에 별도의 이미지맵을 구축하여 기존 맵과 결합된 모델을 구현해 보았으며, 이러한 형태는 더욱 다양한 공간정보를 서비스에 맞게 표현하는 데 있어서 참조할만한 가치가 있는 사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한 정보의 속성으로 정의한 정보의 현장성과 실시간성 확보를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사용자 단말기 환경에 있어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휴대성과 현장성이 강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정보 역시 현장성과 실시간성을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사용자 위치기반 서비스의 강화는 물론, 정보 업데이트 주기가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환경에 맞는 서비스 발굴과, 실시간 정보 반영이 가능한 DB 구조가 요구된다. 콘텐츠 데이터의 경우에 있어서도 일회성으로 DB에 구축하는 데이터보다는 관련 기관 및 정보제공자 와 연계된 형태의 실시간 반영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가 요청되며, 사용자들의 참여 정보도 이러한 정보 흐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추세다.

셋째,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화 요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단방향적으로 제공되는 일괄적인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 및 특성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역시 다양한 속성 분류를 통해 체계화되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사업에서는 각종 POI를 신체적 치유, 정신적 치유, 관계 개선이라는 항목으로 나누고 평균체류시간 등의 요소를 더하여 사용자 관심 경로를 에코힐링 플랜으로 수립하는 흐름에 대해 테스트해 보았지만, 이 역시 목적에 따라 더욱 세분화하여 속성을 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구축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요구에 맞는 정보만을 선별하여 취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지능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속성과 요구를 파악한 서비스 데이터화 방식이 지속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그림 4-13> 본 사업의 추진범위 및 향후 추진방향

끝으로, 본 실험사업은 스마트 의료·관광의 작은 요소에 해당하는 에코힐링이란 분야에 대해서 다룬 것으로, 이 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분야의 단계별 확장 모델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공간적으로는 자연치유공간 에서 출발하여, 비의료치유공간, 준의료치유공간, 의료중심공간으로 확대 발전하 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 역시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확대해 나갈 수 있다.

chapter 5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