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변화전망

2) 분석절차와 방법

19) 정문섭 등. 2011.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Ⅲ)」, pp202-207

글로벌 차원, 국토정책지원 차원, 생활공간 차원에서의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또 그 안에서 세부적인 요소들과 내용들 중에 어느 것을 더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1) AHP 분석의 의미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상호 모순적인 대안들의 체계적인 평가를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 기법중 하나이다. (Saaty, 1980;

1982; 1990; 재인용). 이 기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사항들을 측정목표, 측정영역, 측정요소, 세부 대안 등을 계층적으로 구조화 하고 그 계층 안에서 계층요소들 간의 중요도를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정책 간의 우선순위를 밝혀내는 것을 말한다.

(2) AHP 분석의 틀

AHP모형의 절차는 <그림 4-1>과 같이 체계적이면서 크게 3단계로 계층화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층을 추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해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하위 계층까지 상호 비교를 실시하였다.

상호 비교측정의 목적은 중요도를 선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 척도기준인 1부터 9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을 선택하도록 하여 과년도 연구에서 밝혀진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있다.

<표 4-1> 중요도에 대한 척도

척도 정의 설명

1 동등하게 중요 A, B 두 요소가 동등하게 중요

3 약간 중요 한 요소가 다른 요소보다 약간 더 중요

5 중요 한 요소가 다른 요소보다 더 중요

7 매우 중요 한 요소가 다른 요소보다 매우 중요

9 절대 중요 한 요소가 다른 요소보다 절대적으로 중요

2, 4, 6, 8 근접한 숫자간의 중간정도로 중요 1, 3, 5, 7, 9 척도의 중간 값으로 사용

<그림 4-1> AHP기법의 구조도

계층

계층 측정영역

계층 측정요소

즉, AHP기법은 각 계층별 요소간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계층요소들을 행렬로 세워놓고 쌍대비교 함으로써 서비스 수요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기법이다.

먼저, 디지털통합공간서비스 수요 우선순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의 측정영역과 각 영역별로 6개씩의 측정요소와 측정요소 내 세부내용에 있어 서비스 10개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측정요소에서는 각 5개씩 가지고 있어 세부내용은 3개의 측정영역에서 보면 개수는 같다. 측정영역은 글로벌, 국토정책지원, 생활공간 차원으로 총 3가지로 구분하였다. 3개의 측정영역에서 측정영역별 측정요소에 동일하게 법제도/정책, 기술, 데이터, 협력체계, 활용,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한 AHP 모형은 다음과 같다(<그림 4-2>).

<그림 4-2>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 우선순위선정 AHP 모형

계층

계층 측정영역

계층 계층

부록(Ⅲ)으로 첨부된 내용 중 <표 2>, <표 3>,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수요 우선순의 목표 하에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분류 항목인 계층 2(글로벌, 국토·도시, 생활공간 차원)를 제시하였다. 또한 그 아래 중분류 계층 3에서는 대분류 항목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항목들이 구성되었고 마지막으로 최하위층인 계층 4에서는 중분류 항목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소들로 구성되 어 있다.

(3) 중요도 및 우선순위 도출방법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이전에 각 평가 요소들 사이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설문지 작성자 개개인의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방법으 로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0.1보다 작을 경우 설문지 작성자가 일관성을 있게 설문에 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관성의 정도는 일관성지수(Consistency Index)와 일관성비율(Consistency Ratio)을 통하여 측정이 가능하며, 일관성지수와 일관성비율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일관성지수 일관성비율

  

m ax 





<표 4-2> 일관성 및 일관성비율 계산공식

RI(Random index)는 표본에 대하여 1부터 9사이의 난수를 이용해서 구성한 비교행렬의 일관성지수를 경험적 자료로부터 얻은 행렬의 차원별 무작위지수를 말한다. 그리고 평가항목들은 A, 상대적 중요도를 이라는 가정 하에 계층별 쌍대비교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



<그림 4-3> RI지수를 이용한 계층별 상대비교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