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새로운 시대정의에 따른 공공 공간정보의 변화필요성과 이에 대응한 융복합 공간정 보서비스 추진방향 및 실현방안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는 <표 2-1>과 같이 ‘국가공간 정보 전략계획 수립’,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전망’ 및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방안’ 등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구분 주요 연구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전망 ∙ 사공호상 등(2007),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국가 GIS 전략연구, 국토연구원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 활용 ∙ 손맥 등(2010), 스마트사회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전략

공간정보 활용

정부서비스 고도화 ∙ Abbas Rajabifard 등(2010), Spatially-enabled Society

<표 2-1> 국내 선행연구 현황

첫째, 사공호상 외(2007)는 GIS와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공간정보의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 대응을 위한 국가GIS 전략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정보 관련 기술발전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에 의한 공간정보 활용의 미래 사회문화 패러다임 변화를 전망하였으나, 국제간 비교를 통한 세계적 추세

반영이 연구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외 다양한 국가들에 공히 적용 가능한 연구결과 제시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추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손맥 외(2010)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정보가 세계적 트렌드로서 갖는 기대효과를 예측하고, 각 부문별 공간정보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스마트사회 구현에 필요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서비스 활용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산업, 공공부문으로 나누어 기대효과 및 추진전략을 분석하였으나, 이를 개론적으로 광범위하게 정리하여 실천 가능한 구체적 전략 제시가 향후 후속과제로 요구된다.

셋째, Abbas Rajabefard 외(2010)는 공간정보 활용능력에 관한 주요 기초개념 을 이용하여 토지 대장, 토지 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관련 공간정보 모델 및 Spatial Enablement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호주 정부의 현황이 반영된 Spatial Enablement 적용가능성 및 개발방법론을 국내 현황에 바로 적용하 는 부분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또한 토지 관리 차원에서 진행되어 범위가 한정적이며, 현재 프로세스 정립 단계로서 향후 새로운 표준, 기술, 정부 기관 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특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간정보 의 추진 한계와 시대적 서비스 수요를 국내적 흐름에 한정하지 않았다. 즉 스마트사회 의 공간정보서비스 필요성을 조사하고,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융복합 공간정보서비 스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년까지 제시된 디지털통합공간 및 디지털 통합공간정보 서비스의 개념을 확장하여 보다 광범위하고 시대적 수요에 부응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구현방안 제시를 통해 미래 국가공간정보 정책수립에 기여코 자 하였다.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chapter 3

국내외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