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서비스 변화전망

1) 추진배경

(1) 본 연구와의 관련성

2012년 진행한 본 연구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Ⅳ)』를 통해 공공 부문에서의 다양한 융복합 공간정보 사업 및 서비스 모델 발굴과 융복합 공간정보 서비스 모델개발방법론이 연구되었으며, 특히 이에 대한 구체화된 분야로서 5대 주요 선도사업을 선정하였다. 이번 실험사업은 5대 주요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 의료·관광’ 분야를 대상으로 삼아 시스템 구현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일환으로 가시화된 실질적 모델을 테스트하기 위해 용역 형태로 발주하게 되었다.

의료·관광산업은 일반적으로 의료서비스 수요자가 타지방이나 타국에서 원하 는 의료서비스를 받는 행위를 말하나 최근 들어 쇼핑/오락/레저 등 관광활동과

20) 추가사항은 ‘부록(Ⅴ)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실험사업 흐름’ 내용 참조

적극 결합하는 추세이며, 의료·관광서비스의 가장 대표적 사례는 의료·관광 (Medi-tourism)21)서비스로서 그 수요의 주요 원인은 의료수요자와 의료제공자 간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되고 있다.

본 실험사업에서는 차후 확장단계인 스마트 의료․관광 분야를 목표로 삼아 우선 1차적인 범위로 ‘자연치유공간’에 대한 개념을 서비스모델로 삼아 시스템화하는 방향으로 내용적 범위를 삼아 추진하였다.

(2) 제주도 기반 의료·관광서비스 추진의 필요성

스마트 의료·관광공간은 발전된 첨단 u-IT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수요자 개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시․공의 제약을 최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을 말한다. 공간 조성의 의도에 따라 의료 및 쇼핑/오락/레저 등 기타 서비스를 함께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고, 인간 활동의 수요변화에 따라 의료+기타활동의 융복합 범위가 무한 확대 가능한 창의공간으로 자리매김이 가능하다. 의료·관광공 간은 다음과 같은 추진 의미를 갖는다.

첫째, 국내외적인 고령화 추세 심화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과 장수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수요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발전된 스마트 정보기술을 활용한 의료·관광서비스 추진을 통한 대응에 의미가 있다.

둘째, 공간정보 인프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세계수준으로 발전된 IT기술과 의료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융합시장 창출 및 세계시장 선도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첨단 의료서비스 관련 의료법 관련제도 개정(`10. 4월) 및 글로벌시장 선도를 위한 국가적 지원강화, 관련 계획수립 및 추진방안 구체화의 움직임이 많다.

넷째, 제주도는 국내 최고의 관광․휴양․정보화 도시이자 제주대병원 등 국제수준 의 의료시설, JDC의 지역개발의지 및 JTP의 자체 연구개발 기능 등 의료·관광 공간 창출에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21) 의료·관광은 2009년 5월 개정된 의료법에 의한 “의료여행 또는 국제보건진료”, 즉 국 경을 넘는 보건치료의 의미를 포괄하여 타지방 또는 타국에 옮겨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 을 말함

(3) 의료·관광서비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의 핵심적 역할

의료·관광서비스의 근본적 필요성은 인간의 건강관리 또는 회복을 위한 의료서 비스의 공급자에 해당하는 병원 또는 기타 시설의 입지와 그것의 수혜자로서 국민의 거주 또는 활동지역 간 공간적 불편 또는 제약에 주로 의거한 바, 융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의 기반인프라로서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의료시설에 대한 위치(공간정보), 잠재적 의료서비스 수요자의 분포(보건행정정보), 인구의 사회경제적 분포(통계행정 정보) 등이 함께 구축 및 제공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였다.

(4) 3차년도 실험사업(공간정보 융복합 활용플랫폼)과 연계성

첫째, 의료·관광서비스 추진을 위해 다양한 공간․속성데이터들을 융합 및 중첩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종의 데이터 간 융복합이 가능한 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과년도에 실험사업을 통해 구축된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플랫폼’은 의료시설, 의료수혜자로서의 국민 그리고 그들의 사회경제적 분포와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필수불가결의 정보인프라에 해당한다.

둘째, 의료·관광서비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사회의 이동성, 맞춤성, 실시간성 등 주요 특성기반 데이터들의 종합 활용이 필요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구현과 제공을 위해서는 과년도 실험 구축된 융복합 인프라의 활용이 요구된다.

셋째, 기 구축 융복합 플랫폼은 서버환경 중심의 융복합 활용기반을 제공하는 한계를 가지나, 모바일기기 상 데이터 활용, 즉 API 기반의 민간지도 활용 등이 얼마든지 가능하여 본 플랫폼이 가지는 일부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다.

넷째, 기 구축 융복합 플랫폼은 향후 ‘스마트 의료·관광정보 시스템센터’ 등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역할이 가능하며, 다양한 데이터군의 시계열 축적과 융합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 융복합 플랫폼으로서 그 확장 가능성이 크다.

(5) 본 실험사업의 향후 연계가능성

첫째, 제주도 전역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의료·관광공간을 계획 및 추진할 수 있다. 글로벌 시대의 의료·관광산업 선도를 위한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스마트 의료·관광공간 추진방안 및 관련기관 간 협력방안 등을 마련하여 제주도 전역으로 산업기반을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스마트 의료·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추진 계획, 스마트 의료·관광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적 기반, 중장기 스마트 의료·관광서비스 수요 모니터링 등이 추진될 수 있다.

둘째, 제주도 기반의 국내 최초 ‘스마트 의료·관광정보 시스템센터’를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관련 데이터 군을 확보하고 기타 관계 기관들과의 데이터 협력관계 및 산업적 유대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에 설치된 기존 센터들22) 과는 ‘스마트화’와 ‘글로벌화’ 등의 측면에서 특화된 제주 기반의 국내 최초 의료·관 광정보센터를 구축할 수 있다. 즉, 본 센터를 기반으로 국내외 고객 유치등록 기관 홍보, 스마트의료·관광 상품 정보제공, One-stop 패키지 서비스 개발 및 보급, 통역지원, 공동 마케팅, 스마트 의료·관광 전문 코디네이터 양성교육 등을 추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