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

Copied!
1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II. 수생동물의 사육관리

III-1. 무척추 수생동물의 사육관리

1. 연체동물

1) 진주조개 (

Pinctada fucata

)

가. 서식환경 및 생태

① 진주조개(pearl oyster)는 이매패 강(Pelecypoda), 익형목(Dysodonta), 진주조개과(Pteridae)에 속한다.

② 온대성 종(temperate zone species)으로, 깨끗한 내만의 모래, 자갈 또는 암반 바닥에 서식하며, 성장 적정수온은 20-25℃이다.

(2)

* 천연 진주, 양식 진주, 핵진주 *

옛날 보물섬 이야기나 007씨리즈 중 Doctor No 에 나오는 진주로 바다의 진주 조개 에 천연으로 생성된 진주가 천연진주(natural pearl)인데,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현재 유통되는 거의 모든 진주는 양식진주(cultured pearl)인데, 진주조개에 인공으 로 핵을 삽입하면 이 핵을 진주조개가 계속 분비물로 감싸는데 이 분비물 층이 진주의 표면이 됩니다

양식장의 위치, 진주조개의 상태, 양식 기간 등에 의하여 다양한 색깔과 광택의 진주 가 생산됩니다.

양식 진주는 진짜 진주입니다. 따라서 천연 진주나 양식 진주나 똑 같은 세율이 적용 됩니다. 육안으로 천연진주와 양식진주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흔히 핵 진주라 불리는 것은 동그란 구형에 인공으로 피막을 입힌 가짜 진주로 값이 무척 싸나, 엄격한 의미에서는 진주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육안으로도 쉽게 구분이 되고, 얼마 안 가서 변합니다.

• 사진. 진주의 종류 : 아코야 (일본 및 중국 산), 남양 진주 (호주,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지 산), 남양 흑진주 (불 령 폴리네시아 산), 담수 진주 (일본, 중국, 미국 등), 마베 진주 (일본, 인도네시아, 호주 등 ) (왼쪽부터)

(3)

③ 자웅이체로 그 산란 시기

(spawning season)는 늦봄에서 초여름까지의 수온이 20-25℃

정도에서 나타난다. 부화 후 플랑 크톤 생활(planktonic life)을 하 는 D상 유생(D-shaped larvae) 에서 각정기 유생(umbo stage) 을 거쳐 착저 직전의 완숙 유생 (full grown larvae)으로 성장하 여 일생 동안 고착 생활(sessile life)을 하게 된다. 겨울에 수온이 13℃이하로 내려가면 동면을 한다.

그림, 진주조개의 발생 1, 수정난 (41x53 ㎛);

2, D상 유생 (63x80 ㎛); 3, 각정기 (각장 115

㎛); 4, 각정기 (각장 135 ㎛); 5, 각정기 (각장 225 ㎛); 6, 완숙한 유생 (각장 270 ㎛); 7, 치 패 (각장 1.1 mm)

(4)

나. 진주조개의 양식

① 양식 진주는 조개 패각(freshwater shell)으로 만든 원형의 핵(spherical nucleus)을 수술을 통하여 모패(mother shell)에 삽입한 뒤, 핵주변에 일정한 두 께의 진주층(pearl layer=nacreous

layer)을 형성할 때까지 2-3년간 모패를 수하식(hanging method)으로 양식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5)

② 모패의 양식(culture of mother shells)

가. 채 묘 : 자연산 진주조개의 유생(natural larvae) 은 종묘(seed)로서 수확된다. 삼나무의 잎(leaves

of Japanese cedar tree), 합성수지(synthetic fiber)나 패각(shell) 등의 부착기질(culch)을 이용한 일련의 채묘기(seed collector)는 대 나무로 만든 뗏목(raft)에 매달려 채묘에 이용된다. 채묘기를 바다에 넣 는 시기는 완숙한 유생의 밀도가 최고가 되는 시기(50/㎥)를 선택하여 0.5-3 m 깊이로 넣어야 한다.

나. 양 성 : 채묘 후 3주가 지나면 종묘 는 채묘기로부터 철사 채롱(steel wire basket)에 옮겨져 수하식으로 양성하게 된다. 모패로 이용되기 위하여 진주조개 는 30 g정도의 크기로 될 때까지 2년 정 도 양성하여 진주 양식업자(pearl

farmer)에게 판매된다.

그림. 진주조개 채묘기

(6)

③ 핵삽입 수술(operation)

가. 모패의 준비 : 핵을 생식선(gonad) 안에 삽입하는데, 이때 생 식선이 성숙되면 시술이 어렵고 진주의 품질이 떨어지므로, 시술 직전에 모패는 특별히 고안된 바구니에 고밀도로 넣어져 보다 수 심이 깊은 곳에 내려 보내 생리적으로 자극을 주어 생식선의 내용 물을 방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모패가 약해지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하며, 시술 전에 며칠간 좋은 조건에서 회복(recuperate)시 켜야 한다.

나. 시술 준비 : 시술 2시간 가량 전에 모패 들을 나무상자에 각정 (umbo)이 바닥에 가도록 수직(vertical position)으로 상자에 빽 빽이 채워 해수가 채워진 상자에 수용

한다. 이 때 모패 들은 패각을 벌리므 로 나무로 만든 쐐기(wooden wedge) 를 준비하였다가 열

린 패각 사이에 끼워 넣는다.

그림. 수술을 위한 진주조개 모패의 개각

(7)

다. 외투막 조각의 준비 : 2-4년생 진주조개로부터 오려낸 2-3 ㎜ 길이의 외투막(mantle) 조각(strip)을 메르브로민(merbromin=

Mercurochrome)이나 항생제 용액으로 멸균하여 시술을 통하여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다.

라. 핵 삽입 : 쐐기를 박아 패각이 열린 진주조개 모패에 직경 3-7

㎜의 핵을 삽입기(tool)를 이용하여 폐각근(adductor muscle), 중 장선(mid-gut gland), 그리고 장관(intestine) 주변에 위치한 진 주조개의 생식소 부근에 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삽입하게 된다. 한편, 준비된 외투막 조각은 핵이 삽입된 직후 핵 주변 조직 부위에 삽입한다.

(8)

그림. 외투막과 핵 삽입 지점

(9)

④ 양성(culture)

가. 수술 후 회복 : 수술을 거친 진주조개는 양성에 들어가기 이전에 2-3 주간 바구니에 담아 맑고 고요한 바다의 깊은 수심에 수하시켜, 회복기(recuperation)를 가진 후 형광투시경 검사(fluoroscopy)를 실시하여 삽입된 핵의 상태를 검사한다.

나. 양성 : 선별된 진주조개 개체들은 철사와 그물로 만들어진 진주 조개 양성용 채롱(pearl net)에 넣어져 통나무(log)나 플라스틱 뜸 (plastic buoys)으로 만들어진 뗏목(raft)에 수직으로 매달려 양성 되어진다. 또는 조개의 인대(hinge) 부근에 구멍을 뚫어 끈(nylon string)으로 로프에 연결한 후, 로프를 뗏

목에 수직으로 매 달아 양성한다.

(10)

다. 진주의 형성 : 핵을 이식한 모패(recipient shell)에서는 시술 후 7-30일 정도에 외투막 조각이 자라 핵을 둘러싼 진주낭(pearl sac) 이 형성되고, 이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탄산칼슘 등의 물질 을 분비하는데, 이 것이 겹겹이 핵 주위를 둘러쌓아 표면에 얇은 진 주층이 형성된다. 진주의 품질과 색깔은 해수 내의 먹이생물

(fertility), 수온, 조류(water current) 등의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라. 주의사항 : 밀식(over-crowded culture)을 할 경우 진주조개 의 성장에 영향을 미쳐 진주의 질이 떨어지며, 진주층 형성이 더디게 된다. 또한 질병이나 기생충(polychaete worm)이 번질 경우 전체 집단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분해물(detritus)이나 혼탁 물(silt) 등이 채롱에 퇴적되지 않게 일년에 3-5회 건져 올려 세척 한다.

그림. 진주 모패에서 진주의 형성과정

(11)
(12)

⑤ 수확 및 가공

가. 수확 : 진주조개는 폐각근을 절단하여 개각한 후, 직접 손으로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수확한다.

나. 가공 : 수확한 진주는 물로 여러 번 씻은 후 정제된 소금

(refined salt)으로 광택을 내며(polishing), 크기, 색깔, 모양, 광 택(luster) 및 기타 특징에 따라 선별(sorting)하여 경매(auction) 를 통하여 판매된다.

(13)

* 사진. 진주의 등급 : 색깔, 크기, 모양, 표면(매끄러움)에 의해 결정된다.

(14)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the most highly regarded jewel of the 16th century was found in the Perlas in 1560 by a black slave who was said to have been given his freedom in return for this extraordinary pearl. It was taken to Spain by Don Diego de Temes, who presented it to Philip II who then presented it to Queen Mary. Upon her death, the pearl

reverted to Spain and went through a succession of royal hands, hence the name La Peregrina or The Wanderer. Joseph Bonaparte, brother of Napoleon I, took La Peregrina (순교자) to France and to Prince Louis Napoleon

who in 1837 fell upon financial hardship and sold it to the Marquis of Abercorn.

The splendid Pearl finally wound up in the hands of the Duke of Abercrombie in England from whom Richard Burton purchased it ($370,000) for Elizabeth

Taylor in 1969. La Peregrina was once

lost, but she found it from her dog’s mouth. The Wanderer, is one of the

largest most perfect natural pearls ever

found, it is a magnificent white, pear- shaped pearl as big as a pigeon’s egg.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15)

800년 전의 진주, 세계 이목 집중’

원나라의 초대 황제 쿠빌라이 칸이 한때 소유했던 575캐럿 크기의 진주가 경매에 나와 보석 수집가들 의 큰 관심을 유발하고 있다고 4일 영국 인디펜던트 등의 외신이 아랍에미리트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 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위치한 경매 회사인 ‘라이프스타일 옥션’이 매물로 내 놓은 진주는 중국 황제가 마르코 폴로에게 선물했던 것으로, 중국 황제, 페르시아 왕, 쿠빌라이 칸, 마 르코 폴로 등을 거쳐 경매에 나오게 되었다는 것이 경매 회사 측의 설명.

판매용으로 나온 자연산 진주 중 ‘세계 최대의 크기’인 이 진주의 예상 가격은 800만 달러(약 75억 원)인데, 중국, 아랍, 유럽, 인도 등 세계 각

국의 보석 수집가들이 벌써부터 큰 관심 을 보이고 있다고 언론은 전했다. 진주 의 크기는 575캐럿이고 길이는 7.9cm.

지금까지 발견된 자연산 진주 중 가장 큰 종류는 지난 1934년 필리핀 팔라완섬 인근에서 발견된 ‘알라의 진주’로 길이가 24cm라고 언론은 설명했다. /팝뉴스

중국 황제가 마르코폴로에 준 ‘575캐럿 진주’, 75억 호가

(16)

The largest pearl in the world known as the “Pearl of

Allah“ or the ” Pearl of Lao Tse” was discovered off the

coast of the Middle East in 1934. This pearl is estimated

at around 60 million USD with a weight of 14.1 pounds.

(17)
(18)

2) 가리비 (

Patinopecten yessoensis

)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가리비(scallop)는 이매패강(Pelecypoda),

익형목(Dysodonta), 가리비과(Pectinidae)에 속하며, 10-30 m 정도의 수심의 자갈이나 진흙이 섞인 모래 바닥(sea bed)에서 서식하며, 적정 서식수온은 5-20℃이다.

② 자웅이체로 수컷은 유백색, 암컷은 분홍색 또는 적갈색을 띠며, 산란기는 3-6월이며 20개월 후 상품 크기(commercial size ; 길 이 10 ㎝)로 성장한다.

③ 수심이 얕은 난류해역에서 외해의 깊은 곳으로 이동하며 자란다. 수온이 20℃이상이 되는 여 름이 되면 성장을 멈추며, 미세한 부유생물 (phytoplankton ; 특히 규조류)과 유기물을 먹이로 한다.

(19)

④ 산란시기는 봄철로 수 온은 5-10℃정도이며, 수정된 알은 유생

(trochophora)으로 부화 하여 D상 유생과 각정기 유생 시기를 거치며 40일 가량 부유생활을 하며 성 장하다가, 완숙 유생(spat) 이 되면 족사(byssus)를 내어 해조류(sea weed) 등에 부착하여 자란다. 5 개월 후 0.7-1.0 ㎝로 자 라면 족사를 끊고 바닥 (sea bed)으로 가라앉아 웅덩이를 파고 저서생활 (benthic life)을 한다.

그림. 참가리비의 생활사. 1 : 알, 2 : 정자

(spermatozoa), 3 : 담륜자 유생(trochophora), 4 : 부착치패(spat ; 족사를 이용하여 해조류 등에 일시 부 착함), 5 : 치패(족사를 끊고 바닥에 착저), 6 : 어린 성체 (바닥에 몸을 묻음), 7 : 성체

(20)
(21)

(2) 채묘(seed production) ① 자연채묘

가. 채묘장은 자연산 모패가 많고 유생밀도가 높으며 채묘시설이 가능한 곳이 좋다.

나. 채묘기는 삼나무잎보다는 양파를 넣는 그물주머니 (onion net bag)에 쓰다버린 중고그물(worn-out synthetic fishing net)을 넣어 사용하며, 수표면 과 평행으로 부표로 연결된 로프에 매달아 채묘한 다.

다. 채묘기의 투입 시기는 산란 30-40일 후(4월 하순-5월 상순)이 며, 투하 수심은 5-20 m의 수층이 적당하다.

라. 여름이 되어 수온이 20℃이상이 되면, 0.7-1.0 ㎝ 크기로 자란 종묘(seed)를 수확한다. 이때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

) 유생이나 홍합, 우렁쉥이, 따개비(barnacle) 등의 부착생물이 부 착하지 않도록 제거해 주어야 한다.

그림. 참가리비 채묘기

(22)

(2) 인공채묘

a. 모패관리:산란임계 온도보다 3∼4℃ (사육수온 5℃) 낮은 순환 해수에 암수를 각각 분리 수용

b. 채란:산란임계 수온보다 1∼7 ℃ 높여 9∼15℃인 해수에 옮 겨 채란 (2∼3시간 후 방란, 방정)

c. 수정:채란 30분 후

d. 부화:채란 1∼3시간 후 수정 란을 깨끗이 씻은 후 부화 수 조로 옮겨 지수상태에

서 부화(수정 약 4일 후 부화)

e. 유생사육먹이 :

Chaetoceros, Cyclotella, Monochrysis

A-D ; 난의 발생(cleavage), E- F ; 상실 기(blastula), G ; 포배기(gastrula), H ; 담 륜자 유생(trochophora larvae), I ; 피면자 유생(veliger larvae), J ; 각정기 유생 (umbo stage larvae), K ; 완숙 유생(full grown larvae), L ; 부착 치패(spat)

(23)

(3) 채묘

a. 발생 과정을 고수온으로 유지시켜 자연에서의 30∼40일의 부유생 활을 25∼30일로 단축,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발생과정을 검경 후 채묘 시기 조정

b. 부착기는 PVC로서 피복 (coating)한 철사로 만든 각망 두장 사이에 부착 기질을 넣어 고정시킨 후 사용 (부착 기질의 독성분 제거 후 사용)

(4) 치패관리

a. 채묘 후 부착치패가 안정되면 망목 2mm인 보호망으로 부착기를 싼 후 일반 해수 중에 수하시켜 치패 성장에 따라 망목이 큰 채롱 으로 교체

b. 치패 크기가 7∼8mm시 망목 5mm 채롱, 1.5cm시 망목 1cm 채롱 에 수용 3cm 정도까지 관리(채묘 후 6개월경과 (11월경) 후에는 각장 약 3cm 크기의 종묘로 성장)

(24)
(25)

(4) 중간육성(intermediate culture)

① 각장이 7-10 ㎜로 성장한 종묘는 수하식 또는 바닥식 양성에 있어 중간육성을 하기에 적절한 크기이다.

② 채묘기로부터 참가리비 종묘를 수확할 때, 이들 채묘기로부터 홍합, 불가시리 등의 유생들을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③ 선별된 치패는 진주조개채롱에 넣어서 중간육성장에서 수하식 으로 육성한다.

④ 치패가 성장함에 따라 그물눈의 크기(mesh size)도 큰 것으 로 바뀌며, 양성밀도 또한 저밀도로 바뀌게 된다.

⑤ 중간육성은 신중히 진행되어야하는데, 바로 이 기간 중에 참가 리비의 생리적 특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만일 중간육성이 과 밀한 환경일 경우 높은 사망률과 낮

은 성장이 중간육성 후기에 나타나 게 된다.

⑥ 중간육성장으로 알맞은 환경은 고요 하고 맑은 바다가 좋다.

(26)

그림. 참가리비의 수하식 양식방법. (A), 자연채묘; (B), 중간육성; (C), 본양성 채롱

(27)

(5) 수하식 양식(hanging method) ① 양식 적지

가. 파도의 영향이 적으며 수심이 20-60 m 정도 되고, 여름철 고수 온(23℃) 기간이 2개월 이하로 가능한 짧아야 한다.

나. 저질은 평탄하여 시설물 설치가 쉬운 모래 또는 사니질이고, 담 수 유입이 적고 오염 우려가 없어야 하며, 부착생물이 적고 영양 염류가 풍부한 곳이어야 한다.

② 양식 방법 및 용기 : 원통형 칸막이채롱식(cylindrical net method), 진주조개채롱식(pearl net method), 귀매달기식(ear hang method), 그리고 평면 칸막 이 채롱식(pocket net method) 이 있는데, 원통형 채롱식이 많은 양을 양식할 수 있어서 가장 일반 적으로 사용된다.

(28)

③ 양성관리

가. 원통형 칸막이 채롱(직 경 50 ㎝, 높이 200 ㎝)은 10칸으로 되어 1단에 보통 10-15 마리 미만을 수용 하여 양성한다.

나. 양성 중 성장 정도에 따라 그물눈이 더 큰 채롱 으로 교체한다.

다. 가리비가 자라면 채롱 내 밀도를 줄여주고

(thinning out), 부착생물 을 적극 구제한다.

라. 일년 정도 지나면 상품 크기(market size)로 자 라 수확할 수 있다.

(29)

(6) 바닥양식(sowing method) ① 양식적지 조건

가. 자연산 가리비가 서식하며, 수심 10-30 m 정 도로 오염의 우려가 없어야 한다.

나. 바위가 없는 해저경사가 완만하고 저질(bottom substrate)은 사력질(모래와 자갈, 패각 부스러기)로 개펄의 함유가 30% 이 하인 곳이 좋다.

② 어장관리 요령

가. 종패(seed) 살포 전에 불가사리 등 해적생물을 적극 구제한다.

나. 어망 및 폐기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다. 양식지를 여러 곳으로 나누어 종패의 살포시기를 달리하여 연 령에 따라 수확한다(shifting culture system).

라. 자원 증식을 위해 산란기(3-6월)에는 채취를 금지한다.

③ 종패의 살포는 3-5 ㎝ 정도의 종패를 1 ㎡당 10개체 이하로 봄, 가을에 살포한다.

④ 살포 후 18-24개월이 지나면 10-12 ㎝ 정도로 자라면 수확한다.

(30)

그림. 수하양식 과정도

(31)

(7) 수확 및 주의사항

① 기생충(polychaete worm ;

Polydora ciliata

Saculina

sp.)의 감염이 알려져 있 있는데, 이들에 의한 폐사를 방지하 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transplantation), 망갈이 (net exchange) 등을 해준다.

② 수온이 23℃이상이 되거나 장마 후와 같이 염분농도가

11.5‰이하가 될 때는 모든 작업을 멈추고 수조에 넣어 충분 한 산소를 공급한다.

③ 수하식으로 양성된 가리비의 수확은 양성용 채롱을 배 위로 올려 수확하며(landing net), 바닥식

으로 양성된 가리비의 수확은 형망 (dredging net)을 이용해 수확한다.

④ 가리비 양식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종묘생산, 양성 모든 경우에 있 어 밀식 되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32)
(33)

3) 굴 (

Crassostrea gigas

)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굴(oyster)은 이매패강(Pelecypoda), 익형목(Dysodonta), 굴 과(Osteridae)에 속한다.

② 굴은 열대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1백20여종 정도 가 분포,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③ 굴은 원래 난형(oval shape)이나 환경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 양을 나타내며, 바위 나 다른 물체에

왼쪽 패각을 부착시켜 서식한다

.

(34)
(35)

④ 굴의 패각은 왼쪽이 움푹 파인(concave) 형태로 몸체(soft body)가 그 안에 위치하며, 오른쪽은 거의 납작한 형태이다.

패각의 표면에는 수많은 얇은 잎사귀 형태의 비늘(scaly thin leaves)이 덮여있다.

(36)

그림, 참굴의 생활사. 1, 수정난, 2, 난할, 3, 담륜자 유생, 4, D상 유생, 5, 각정기, 6, 치패 (완숙한 형태), 7, 성체

⑤ 굴의 산란기는 수온이 23℃

정도로 상승한 여름철로, 수중 에서 체외수정된다. 수정난은 부화 후 담륜자와 피면자

(veliger) 유생시기를 거쳐 D상 유생으로 발전하며, 이때 해수 표면으로 부상한다. 부화 2-3 일 후면 D상 유생은 각정 기 유생으로 자란다. 수정 후 2-3 주가 지나면 270 ㎛ 정도 크기의 완숙 유생으로 성장하여

부유생활을 마치고, 해안가(intertidal zone)의 바위 표면 등에 시 멘트 물질(cementing substance)을 분비하여 부착한다.

⑥ 착생한 굴은 고착생활을 하면서 아가미(gill filament)를 이용하 여 유기물이나 미세플랑크톤(microplankton)을 걸러서 먹이로 삼는다.

(37)
(38)

(2) 종묘생산(seed production)

① 굴 양식은 전적으로 자연산 또는 양식산 굴로부터 태어난 자연 산 종묘(natural seed)에 의존한다.

② 채묘연(strings of seed collector)기는 가리비 또는 굴의 패 각들(culches)로 만들어졌으며, 이들 패각의 중앙에 구멍을 뚫 어 철사(metal wire)로 만든 줄에 묶어서 만든다. 일반적으로 길이 1.6-1.8 m 채묘기의 경우 70-80개의 패각이 붙어있으 며, 이 줄을 구부려서 두 줄로 평행하게 만들어 매단다.

③ 채묘연은 수중의 치패(spat

=full grown larvae) 출현수 가 최고에 달하였을 때 해수 중에 설치를 한다. 만일 채묘 연을 너무 일찍 설치할 경우 따개비, 저서 규조류(sessile diatoms), 혼탁물(silt) 등이

(39)

채묘연에 부착하여 굴 치패의 부착을 방해한다. 따라서, 수온과 유생의 밀도와 상태를 수시로 검사하여 채묘연의 수하시기를 결 정한다.

④ 채묘연은 얕은 바다에 대나무와 소나무로 만든 단련상(rack)에 매달리게 된다. 굴 치패는 부착 후 4-5일 이내에 2-3 ㎜ 크기로 성장하며, 가을에 10 ㎜ 정도 크기로 자라게 되면, 곧바로 양성장 으로 옮겨져 겨울과 다음해 봄에 시판될 크기로 양성된다(1년생).

(40)

⑤ 종굴 단련 (hardening)

가. 대부분의 굴의 종묘(종굴 ; seed oyster)는 겨울 동안 단련 (hardening) 과정을 거쳐 이듬해에 양성장에 옮겨지게 된다 (2년생).

나. 조간대 중간(mean tidal level)에 설치한 단련상에 채묘연을 올려놓아 주기적으로 파도와 대기 중에 노출시킨다.

다. 단련을 거친 종묘는 발육이 위축되어(stunting), 그 크기가 1 ㎝ 미만이나 환경변화와 장거리 운송에 잘 견딘다.

라. 단련을 거치지 않은 1년생 굴보다 양성장에서 성장속도가 훨 씬 빠르다.

(41)

(3) 양성

① 바닥식 양성(sowing method)는 종묘를 양성장 바닥에 뿌려 서 기르는 방법으로, 반드시 수심이 얕고 안정되고 해수 순환 이 좋은 사질의 바닥(sandy bottom)이어야 한다.

② 수하식 양식(hanging method)

가. 말목 수하식 양성(rack method) : 종묘가 부착된 수하연 (strings of culches)을 간조(low tide) 시 수심 2-4 m의 바닥에 설치해 놓은 시렁(rack)에 매달아 양성하는 방법으로, 양성장이 얕은 바다로 제

한된다.

(42)
(43)

나. 뗏목식 양식(raft method) : 3-9 m 길이의 철사로 종묘가 부착 된 36-40개의 패각(culches)을 꿰어 패각 다발을 만든 후, 그 사이에 대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관으로 간격을 주어 수하 연을 만들어 뜸통으로 연결된 대나무나 삼나무로 만든 뗏목(raft) 에 매달아 준다.

(44)

다. 밧줄 수하식 양식(long line method) : 수하연을 뜸통에 묶인 밧 줄(long line)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매달아 양성하 는 방법이다. 수심이 깊은 파도가 높은 환경으로 플랑크톤 공급이 충분하지 못하여 굴의 성장이 더디므로, 상품크기로 성장하기까 지 2-3년이 걸린다.

(45)

라. 나뭇가지식(bamboo twigs method) : 얕은 바다에 대나무 나뭇가지를 세워 치패를 부착시켜 양성하는 재래식 방법으 로, 이때 사용되는 나뭇가지는 조류 방향과 병행하여 세운다.

(46)

(4) 주의사항

① 폭우에 의한 해수의 염분 농도의 저하(비중 1.010 이하)는 굴에 게 치명적이므로, 수하연의 더 깊은 곳으로 옮겨 비중이 높은 수 층으로 이동시킨다.

② 해수의 흐름이 원만하지 못하거나 바닥에 유기물이 쌓일 경우 용 존산소가 고갈되어 저산소층(2 ppm 이하)이 형성되는데, 이는 해수 중에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를 유발하여 굴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③ 적조(red tide)는 때때로 해수 중의 용존 산소를 고갈시키며 독성 물질을 형성하여 굴의 대량 폐사를 유발

하기도 한다.

④ 패각에 구멍을 뚫어 굴을 먹어 치우는 복 족류(carnivorous gastropods)나 따개 비나 홍합 같은 부착생물은 굴 양식에 있 어 막심한 피해를 줄 수 있다.

(47)

(5) 수확과 판매

① 상품 크기로 성장한 굴은 배 위로 끌어올려져, 절단기를 이용 하여 수하연의 상부를 절단하여 수확한다.

② 수확된 굴은 인근에 위치한 가공공장(shucking house)으로 옮겨 해수로 세척하여 패각을 열어 알굴(shucked oyster =soft body)을 분리한 후, 무균 해수로 다시 세척한 다음 시 판을 위하여 캔에 포장한다. 알굴은 운송 또는 판매하는 동안 5℃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48)
(49)
(50)

강 굴 토 굴

바 윗 굴 참 굴

(6) 국내 양식산 굴의 생산 현황

① 국내에서 서식하는 굴은 참굴(

Crassostrea gigas

), 털굴

(

Ostrea echinata

), 강굴(갈굴 ;

Crassostrea ariakensis

), 벗 굴(토굴 ;

Ostrea denselamellosa

), 바윗굴(

Crassostrea

nipponica

) 등 5가지이나, 우리나라에서 양식되고 있는 종류는 참굴 한 종으로 열성화가 초래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51)

② 우리나라 굴 생산량은 2006년에 31만 4천톤을 기록하였으나, 최 근에 중국산 굴(연간 3백50만톤 생산)이 세계 시장으로 대량 수출 되어 국내 수출량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미국, 캐나다, 일본, 그리고 동남아시아 등으로 주로 수출하 고 있다. 또한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수산물을 익히거나 가공하 여 섭취하지만 굴만은 예외로 날로 섭취하는 건강식품으로 많은 나 라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③ 국내의 굴 수하식 양식 방법은 지난 1930년대 최초로 보급되어 1960년대에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의 대량생산이 체계화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참굴은 대부분 수하식 양식으로 주로 통영, 거제, 고성, 남해, 여수 등 남해안 청정해역 일대에서 생 산된다. 2005년부터 그 동안 굴양식의 불모지였던 동해안(경북 영 덕 일대)에서 최초로 참굴의 채롱식 양식이 성

공하여, 남해안에서 생산되지 않는 여름철에 도 수확이 가능하여 동해안의 우렁쉥이 양식 대체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52)

질병명 원인 기생충 감염동물 및 부위 편모충류

퍼킨서스증

미포자충류

참굴의 난소비대증

굴 의 마 타 일 포자충 증 (=Aber disease or QX disease)

굴의 보나미아증

진균성

굴의 하프로스포로디움증 (=MSX disease)

Perkinsus

spp.

Marteilioides chungmuensis Marteilia refringens

and

M.

sydneyi

Bonamia ostreae

Haplosporidium nelsoni

and

H. costale

패류(결합조직)

참굴 (난소) 굴 (중장선)

굴(결합조직)

참굴, 바지락(결합조직) 표. 굴에 있어서 중요한 전염성 질병

(53)

그림 : 참굴난소비대증,

Marteiliodes chungmuensis에 감염된 굴

그림 : 참굴의 퍼킨서스증,

Perkinsus marinus 에 감염된 굴 그림 : 굴의 마테일포자충증,

Marteilia refringens에 감염된 굴

그림 : 굴의 보나미아증,

Bonamia ostreae에 감염된 굴의 조직

(54)

4)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전복(abalone)은 복족강(Gastropoda), 원시복족목

(Archaeogastropoda), 전복과(haliotidae)에 속한다. 2월의 수 심 25 m층의 수온이 12℃가 되는 등온선(isotherm)을 경계로 북

쪽은 참전복이 속하는 한류계, 남쪽은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 복, 그리고 오분자기가 속하는 난류계로 나뉘어 분포한다.

② 서식 적정수온은 15-20℃이며, 산란기간은 가을철로 암컷의 생 식소는 짙은 녹색 또는 초록색이고 수컷은 담황

색 또는 황백색을 띤다.

③ 전복은 알에서 성체까지의 완전 양식

(complete culture)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낮은 경제성을 띠는데 그 이유는 상품으로 써 가치가 있을 크기(각장 12 ㎝, 약 250 g)까

지 자라는데 4-5년이 걸리는 느린 성장속도 때문이다

(55)

까막전복 (Haliotis discus) 시볼트전복 (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 (Haliotis diversicolor aquatilis)

* 전복의 종류 *

말전복 (Haliotis gigantea)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56)

10 YEAR ABALONE FISHERIES COMPARISON BY COUNTRY (Metric tons)

World Cultured Abalone Production By

Country (Metric tons)

(57)

그림. 전복의 초기 발생 과정.

1 : 수정난(fertilized egg), 2 : 담륜자

유생(trochophora larvae ; 부화 후 19시간), 3 : 염전(torsion)이 일어나기 전의 초기 피면자 유생(early veliger stage ; 부화 후 29시간), 4 : 촉수(cephalic tentacle)가

형성되는 유영 피면자 유생(swimming veliger stage ; 부화 후 2.5일), 5 : 초기 포복 상태의 완숙 피면자 유생(full grown veliger ; 5일 경과), 6 : 주구각(peristomal shell)을 형성하는 포복 유생(creeping larvae ; 13일 경과),

7 : 호수공(respiratory pore)을 형성한 치패(young shell ; 140일 경과), 8 : 더 자란 치패(more developed young shell ; 160일 경과)

④ 산란기간 동안 전복들은 무리를 짓는 습성이 있으며, 전복의 알은 침성란으로 밝은 녹색을 띤다. 수 정된 전복의 알은 수온 20℃ 에서 13-15시간 후 부화되어 담륜자 유생이 되며, 20시간 후 피면자 유 생으로 변태한다. 피면자 유생 말 기에는 상족(epipodial foot)이 형 성되며, 이 때 바닥에 착생하게 된 다.

⑤ 전복은 주로 외양성 해역(open sea)의 수심 20 m 의 해조류

(brown algae)가 잘 발달되어 있 는 바위 지역에 서식한다. 막 부착 한 전복의 치패는 바위 밑 또는 틈 새 등의 은신처에 서식한다. 전복 은 성장함에 따라 은신처를 찾아 보다 깊은 수심으로 이동한다.

(58)
(59)
(60)
(61)

(2) 모패의 선별(selection of mature abalone)

① 환경변화에 적응성이 강한 각장 12 ㎝ 이상의 성숙한 모패 이어야 한다.

② 산란 전 4-6개월 간 사육하며, 암수의 성비는 암컷의 개체 수가 70-80% 정도가 적당하다.

③ 좋은 먹이를 충분히 공급하고, 수 온은 17-20'C 내외로 유지하고, 12시간 광주기 하에서 통기 및 충 분한 유수를 제공한다.

그림 . 전복 모패 관리 사육수조.

1, 공기호스; 2, 수온조절장치;, 3, 히터; 4, 해수공급장치; 5, 배수로; 6, 전복 은신처;

7, 스크린 그림. 전복 종묘생산을 위한 배양장의 구조.

(62)
(63)

(3) 종묘생산(production of seeds) ① 산란유발(egg collection)

가. 자외선조사 해수 자극법(treatment with UV rays)에 의한 산란유발은 해가 진 후 또는 광주기에 있어 어둠이 시작되는 때에 맞추어 시작하며, 모패는 대기 중에 0.5-1시간 정도 방 치하며 이 때 해수를 자외선으로 처리한다.

나. 저온(3℃ 이하)의 냉해수 자극법(thermal stimulation with cold water)를 이용할 경우, 산란은 30분 이내에 유발되며 2 시간 동안 지속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한다.

다. 그밖에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을 이용하여 산란을 유발하는 방법이 있다.

(64)
(65)

② 유생사육(rearing of larvae)

가. 산란이 끝난 후 난과 정충은 수거되 어 현미경 하에서 기형의 정도를 파 악한 후, 적정한 밀도를 유지하는 상 태에서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수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나. 수정이 시작된 2분 후에 수정란은 60 ㎛ 채로 거른 뒤, 멸균해수로 5-10 회 정도 세란하여 남은 정충 을 모두 제거한다. 수정란은 다시 20ℓ 수조에 수용한 후, 20℃로 온 도가 조절된 실온에서 배양한다.

다. 담륜자 유생이 약 15시간 후 출현하 면 수거하여 다른 20ℓ 수조에 옮겨 놓는다. 매 12시간마다 해수를 교환 하여 배양하며, 이때 유생은 90 ㎛ 채로 걸러서 수집한다.

Figure 4. Developmental stages of an abalone (1-polar bodies appear on the fertilized egg - 15–30 min.; 2-2-cell stage; 3–4-cell stage - 80 min.; 4–8-cell stage - 120 min.; 5–16-cell stage - 160 min.; 6-morula stage - 195 min.; 7-gastrula stage - 6 hrs.; 8-trocophore in the egg

membrane - 7–8 hrs.; 9-newly hatched

trocophore - 10– 12 hrs.; 10-early veliger - 15

hrs.; 11-late veliger - 48 hrs.)

(66)

라. 약 5일 후 완숙한 피면자 유생이 출현하며, 이 때 발(foot)이 형성되어 왕성한 유영을 보인다. 피면자 유생부터 포복 유생 (치패 ; creeping larvae)까지는 급격한 형태적 변화를 보이 는데, 이때 평형기(otolis) 및 돌기(apophysis) 등이 형성된 다. 따라서 이때 피면자 유생을 채집하여 채묘 수조(larvae settlement tank=nursery tank)로 옮기는 일은 중요하다.

Figure 4. Developmental stages of an abalone ; 12-peristomal stage - 6–8 days;

13-early larva with epipodes - 19 days;

14–15- juvenile abalone - 45 days).

(67)

마. 채묘 수조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파판(corrugated plastic sheets)이 유생 채묘기(larvae collector =settlement

plate)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파판은 부착규조(sessile

diatoms)가 표면에 자라고 있어 포복 유생이 파판에 착생할 경우 먹이로 제공된다.

⑤ 새로운 전복 종묘의 대량 생산 기술은 1974년부터 실용화되 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성 성숙 제어(maturation control), 인공 산란(artificial spawning) 유도, 치패 관리(nursery maintenance) 등에 관한 새로운 기술이 확립된 이후이다.

그림. 유생 채묘기 및 채묘 수조

(68)

(4) 일차 종묘양성(1st seed culture on sheets)

① 포복 유생이 파판에 적당한 밀도로 부착하면, 이들을 양성 수조 (culture pond)로 옮겨 유수식으로 양성한다. 어린 전복은 파판 에 부착한 부착 규조류(sessile diatoms), 미세 조류

(microscopic algae), 그리고 유기물 등을 먹이로 하여 자라게 된다.

그림. 전복 종묘생산을 위한 두가지 형태의 사육조 : (a) 직사각형 수조, 길이 20 m, 폭 1m, 깊이 0.6 m (b) 장방형 수조, 1. 중앙 분리대, 2. 주수구 (취수구), 3. 배수구, 4. 플라스틱 파판

(69)

북제주배양장 전복치패 양성동 전복치패 양성을 위한 파판

(70)

② 착생한 치패 중의 상당수는 폐사하여 파판으로부터 떨어져 나 가는데, 이는 영양상태 및 서식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기인한 다.

③ 5-10 ㎜ 이상으로 성장한 어린 전복은 파판으로부터 치패를 박리하여 이차 양성 수조로 옮긴다. 이때부터 먹이로 파래(sea lettuce), 감태(

Ecklonia cava

), 미역(sea mustard), 다시마 (kelp) 등의 해조류를 먹이로 제공한다.

(71)

(5) 이차 종묘양성(2st seed culture on shelters)

① 전복 치패의 이차양성은 전복 패각의 길이가 약 10 ㎜정도 자란 뒤 시작하는데, 파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중간육성 수조

(intermediate culture pond)에서 이루어진다.

② 여기서 어린 전복은 30 내지 40 ㎜까지 양성하여 종묘로 분양된 다.

③ 중간육성 중에는 지붕 모양의 플라스 틱판(roof-like shelter)을

은신처로 제공하여 전복이 부착하게 끔 한다.

④ 전복은 낮에는 은신처에 있다가 주로 밤에 먹이를 먹는데, 중간육성 시 해 조류가 모자를 경우 인공 배합사료 (abalone diet)를 먹이로 제공한다.

(72)

Abalone diet Brown algae (

Eisenia bicyclis

)

Brown algae (

Laminaria

sp.)

Moisture 24.8(%) 47.5(%) 42.0(%)

Crude protein 32.2 9.7 5.2

Crude fat 2.6 0.3 1.3

Crude fiber 1.5 3.1 3.5

Crude ash 8.1 12.9 16.3

Calcium 2.69 1.17 0.57

Phosphorus 0.81 0.15 0.13

NFE* 30.6 26.5 31.7

⑤ 생산된 1-3 ㎝ 크기의 종묘(seed)는 고정용기(abalone holder)에 넣어 스티로폼으로 만들

어진 용기에 담아 본 양성장으로 이 동하게 되는데, 내부는 해수로 습기 를 충분히 유지하고, 온도는 10- 15℃를 유지하여 24시간 내에 목적 지에 도달하게끔 한다.

표 3-1. 전복의 배합사료 및 해조류의 구성 성분

* NFE : nitrogen-free element

(73)

(6) 본 양성(main culture)

① 수하식 채롱 양성(hanging method)

가. 뗏목식(가두리식)은 1대(8x6 m)당 채롱(0.6x0.5x1 m)40개

시설, 밧줄 수하식은 1대(길이 100 m)당 채롱 50개 정도를 수 심 4-5 m 층에 수하한다.

나. 수용 밀도는 양성초기 치패는 7 ㎜일 때 4,000 마리/㎡, 수확 시는 10-40 kg/㎡

정도를 수용한다.

다. 먹이는 미역, 다시마, 대황(

Eisenia bicyclis

), 감태, 파래 등이 좋으며 여름 철은 3-4일에 겨울철은 7-10일에 1회 공급(공급량은 섭취량의 2-3배)한다.

라. 1 ㎝ 크기의 종묘 사육 시 각장 7 ㎝까지 성장하는데 2년 반, 각장 9 ㎝까지는 약 3년이 소요된다.

(74)

② 방류식 양성(stocking method)

가. 어린 치패의 보호, 육성을 위하여 수심 1-3 m 내외의 전복초 (abalone reefs)를 설치하고, 각장 3 ㎝이상 되는 종묘를 수심 2-3 m 정도의 다소 깊은 곳에 방류한다.

나. 방류용 상자를 침하시키거나 또는 잠수부에 의한 직접 방류 방 법을 이용한다.

다. 어장 관리는 금어기 설정, 채포 크기(각장) 제한, 어구나 어법 의 제한, 어획량 제한, 먹이가 되는 해초의 채취 금지, 천적생물 구제 등을 시행한다.

(75)
(76)

전복, 완도를 먹여 살리다

전국 생산량의 76%… 최대 산지로 먹이 많고 바닷물 깨끗… 양식에 최적 조건 '기름피해' 없는데 최근 수요 감소로 어려워

전복 명품화·유통회사 설립 등 활로 모색

4.9t 작업선을 타고 포구를 벗어나자 주변 섬들로 둘러싸인 바다는 좁은 뱃길을 빼고는 바둑판 모양의 양식시설들로 가득 차 있었다. 전복 양식장 과 전복 먹이를 기르는 미역·다시마 양식장들이다. 전복 양식장은 가로 2.2m, 세로 2.2m 크기의 가두리가 100~200칸씩 연결돼 있고, 그 사이 로 작은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여러 겹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전복 집에는 12~15㎝ 크기의 전복들 이 빼곡히 붙어 있었다. 전복집에서 떼어낸 전복은 반짝거리는 노란빛 빨 판을 급히 오므렸다. 치패(어린 전복)를 사다 넣어 3년 6개월 동안 키운 것들로, 한 칸에 1300~1500개가 자라고 있다.

완도에서는 2001년 이후 해마다 전복 양식이 크게 늘어 지난해 2686어 가가 3464t을 생산, 1282억여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국 생산량 4547t의 76%를 넘는 것이며, 완도를 포함한 전남지역 생산량은 전국의 95%를 차지한다.

완도가 전복 주산지로 떠오른 것은 다른 지역보다 먼저 해상 가두리 양식 을 시작했고, 전복 양식에 알맞은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

이곳 해역은 먹이식물인 미역과 다시마가 잘 자란다. 또 바다 밑이 게르마 늄을 함유한 맥반석 지질로 돼 있고 '잘피'라는 해초가 대량 서식해 바닷 물이 깨끗하다.(조선일보 ; 2008. 3. 4 / 동영상 참조)

전복, 완도를 먹여 살리다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동영상.flv

(77)
(78)

2. 절지동물

1)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보리새우(Kuruma prawn)은 갑 각강(Crustacea), 십각목

(Decapoda), 새우과(Panaeidae)

에 속하며, 갈색의 띠가 갑각(carapace)과 배 마디(abdominal segment) 부분에 위치한다.

② 주로 만(bay)이나 내해(inland sea) 등 난류의 영향을 받는 지역 에 서식하며, 보리새우의 산란시기는 남부의 경우 봄부터 여름까 지 지속되는 반면, 북부의 경우 9월까지 계속된다. 산란은 주로 밤 에 일어나며, 염분이 높고 수심이 깊은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서식 적정수온은 25-30℃이다.

(79)

Penaeid acute viremia (PAV) (=white spot syndrome (WSS) or white spot disease (WSD) )

The disease called

white spot syndrome (WSS) or white spot disease (WSD) (OIE)

has been prevalent among shrimp farms in East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around 1993 , and is now spreading to the Americas.

The Japanese shrimp culture industry has been hampered by the appearance of WSS since 1993.

In the beginning of the WSS epizootic, mass mortalit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farms where P.

japonicus seed stocks were imported from China. This event was followed by a rapid spread of

the disease affecting the harvesting rates of farmed kuruma prawn in all western Japan.

The etiological agent was described

as rod-shaped enveloped bacilliform virus, tentatively

named

RV-PJ

(rod-shaped nuclear virus of P. japonicus) . Later

it was renamed penaeid rod-

shaped DNA virus (PRDV) along with disease name, penaeid acute viremia (PAV).

(80)

* 보리새우과의 대표적 양식 품종 *

Fleshy prawn (=Chinese white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Kuruma prawn (Penaeus japanicus) Pacific white shrimp(Litopenaeus

vannamei)

(81)

그림. 일본 보리새우의 연간 생산량 변동.

(82)

③ 실제 산란에 앞서 보리새 우는 교미를 하는데, 수컷은 정자를 둘러싼 정포낭

(spermatophore)을 생식돌 기(petasma)를 이용하여 암 컷으로 이동시킨다. 암컷은 교미를 통해 받은 수컷의 정 포낭을 교접기(thelycum) 밑에 있는 수정낭(seminal receptacle=brood

chamber)에 보관하고 있다 가, 천천히 유영을 하며 방란 하면서 동시에 정자를 방출하 여 수정시킨다.

그림 18-3 보리새우의 생식기. 1, 제 5 걷는 다리; 2, 수컷 생식공; 3, 수컷교접기

(petasma); 4, 암컷 생식공; 5, 저장낭(교접 기)(seminal receptacle); 6, 제 1 유영지

(83)

④ 수정된 알은 수온 27℃ 에서 약 14시간 후 부화하여 노플리우 스 유생(nauplius larvae)이 된 다. 이때 노플리우스 유생은 먹이 를 먹지 않으며 난황에 저장된 영 양분을 섭취한다. 노플리우스 유 생은 6회의 변태를 거쳐 조에아 유생(zoea larvae)으로 발달하 며, 규조류와 같은 식물성 플랑 크톤을 먹이로 삼는다. 조에아 유생은 4-5일 이내에 3회 변태

를 거쳐 미시스 유생(mysis larvae)으로 발달한다. 미시스 유생 은 5일 이내에 3회의 탈피 및 변태과정을 거쳐 포스트라바

(post-larva)로 발달하며 체장은 5.0 ㎜로 성장한다.

그림. 보리새우의 생활사. 1,산란; 2,노플리우스; 3,조 에아; 4,미시스; 5, post larvae; 6,치하; 7,미성숙 성 하; 8,성하

(84)

⑤ 부화 후 15일이 지난 보리새우의 포스트라바는 수심이 깊은 외양 환경에서 수심이 낮고 염분농도가 낮은 내해로 조류(tidal current)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보리새우의 포스트라바는 부유 생활을 마치고 저서생활(sedentary life)을 시작하여 어린 성체 (juvenile stage)로 발달한다.

⑥ 이때 보리새우는 미세 갑각류(small benthos), 유기물 및 조 류 등을 먹이로 삼는다. 보리새우는 체장이 2.5 ㎝정도의 미숙 성체(adolescent stage)로 성장한다. 이들은 낮에는 모래에 파 고 들어가 서식하다 해가 지면 나와 먹이를 먹는 야행성 습성 (nocturnal habit)을 가진다. 보리새우는 성장함에 따라 내해에 서 점점 깊은 바다로 이동한다. 다 자란 보리새우는 수심이 30 m 이상 되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85)
(86)

⑦ 보리새우는 암수 모두 약 1년이 경과한 뒤 성적으로 성숙 하며, 수명은 암컷의 경우 3년, 수컷의 경우 2년이다. 그리고 보리새우의 습성은 잠복성, 추류성, 추광성, 그리고 군집성이 다.

⑧ 보리새우는 치하기에 수심이 얕은 연안 내해에서 서식하다가 가을에 수온이 하강하면 깊은 바 다인 월동장으로 이동하며,

다음해 봄에 수온 상승 시 연안 으로 이동하여 산란한다

(inshore-offshore migration). 주 서식장은 남해안 서부와 서해안 내만이나 연안 가까운 천

해로 내만이나 연안의 간석지가 발달해 있는 곳으로 외해로 통하 기 쉬운 곳이다.

(87)

(2) 보리새우의 친하 선별(collection of spawner)

① 양식업자들은 보리새우 친하를 산란기에 어판장(fish market) 에서 직접 구매하는데, 산란 직전의 평균체

중 80-100 g의 암컷을 두흉부와 복부의 상태를 보고 선택한다.

② 친하는 어판장으로부터 양식장(prawn culture farm)으로 옮겨져 평균 40-60미 정도의 친하를 100 ㎥의 종묘생산 수조 (seed production tank)에 수용한다. 수조 의 수온은 20℃ 정도를 유지시키며, 폭기를 하여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도록 한다. 일반 적으로 친하는 이송된 당일 또는 다음날 밤 에 산란한다. 다음날 모든 친하는 수조에서 제거한다.

(88)

(3) 종묘생산(production of seed)

① 종묘생산 기간 동안 수온은 반드시 20℃를 유지하여야 하며, 적정수온인 28℃ 에서 새우의 알은 산란 후 14시간 만에 부화한 다. 노플리우스 유생은 영양분을 난황(yolk sac)으로부터 흡수하 므로 먹이를 주지 않아도 된다. 노플리우스기 후반에는 유기

(organic) 및 무기비료(inorganic fertilizer)를 해수에 첨가하는 데, 이는 다음 단계인 조에아기에 유생이 규조류를 먹이로 삼으므 로 규조류의 번식을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② 노플리우스 유생은 36시간 후 조에아 유생으로 발달하는데, 조에아 유생은 비료 첨가로 인하여 수조

내에 풍부히 존재하는 규조류를 먹이로 삼는다. 대체 먹이로 로티퍼(rotifer), 알 테미아(brine shrimp ;

Artemia

salina

)의 노플리우스 유생, 또는 배합사 료(emulsified formula food) 등을

먹이로 제공한다.

Artemia spp.

(89)

Ovoviviparous (good environment) : female artemia - nauplius Oviparous (bad environment) : female artemia - resting egg (cyst)

Life cycle of Altemia

(90)

그림. 보리새우의 종묘생산 과정

③ 조에아 유생은 5일 후에 미시스 유생으로 발달하는데, 역시 규조류를 먹이로 삼는다. 미시스 유생 후기에는 알테미아의 노 플리우스 유생을 먹이로 제공한다.

(91)

④ 미시스 유생은 5일 후에 포스트라바로 발달하는데, 알테미아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포스트라바기 2-5일째까지 공급한다. 이 후 부터는 배합사료를 먹이로 공급한다. 배합사료 입자의 크기는 초 기에는 반듯이 미립자(fine particle)라야 하며, 유생이 점차 성장 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도 점차적으로 늘린다. 또는 다진 조갯살 (chopped clams), 어육(mince), 곤쟁이(tiny shrimp) 등이 먹 이로도 제공된다.

그림. 보리새우 인공 종묘생산 수조. 1, 해수공급; 2, 공기 공 급; 3, 콘크리트탱크;

4, 배수구벨브; 5, 배 수로; 6, 필터넷트; 7, 거름장치; 8, 배수 사 이폰; 9, 공기방울

(92)

⑤ 포스트라바 20일째에 보리새우는 체장 15 ㎜ 정도로 성장하는 데, 이때 양성을 위한 종묘로써 상품크기로 인정되어 팔리게 된다.

생산된 일부 종묘는 자원 증가의 목적으로 자연에 방류된다. 종묘 수송은 20ℓ의 수조에 해수 6-8ℓ를 채우고 온도를 5-10℃로 유지하여, 5,000-10,000 미 정도를 수송한다.

(93)

(3) 양성장의 입지 조건과 양성 방법

① 양성 방법은 제방식(pond culture), 가두리식(net-cage culture), 순환여과식(recirculating culture), 유수식(raceway culture), 그리고 탱크식(tank culture)이 있다.

② 가두리식 양성장은 외해성 어장으로 풍파에 의한 피해가 적으 며, 수심이 10-30 m이고 수온은 겨울철에 5℃ 이상, 여름철에 24℃ 이하인 곳이어야 한다.

③ 제방식 양성장의 경우 수심이 1-2 m로 저질은 모래층(sand layer)이어야 하고, 조류의 소통이 양호하여 환수가 용이하고 어장 관리가 편리해야 한다.

④ 양성 기간은 6개월이 적당하며, 양성 후 바닥의 먹이찌꺼기, 새 우의 배설물 등의 퇴적물을 제거한 후 바닥을 갈아주고 소독한다.

.

(94)

그림. 여러 형태의 보리새우 양식장

(95)
(96)

⑤ 종묘의 방양은 6월 중에 새우의 평균 체장이 약 0.02 g일 때 하며, 방양 7-10일 전에 물을 끌어들여 물 만들기를 한다.

⑥ 방양 시 수온차가 크지 않아야 하며 유생 방양장을 따로 마련 하는 것이 좋으나 없을 경우에는 양성장의 일부를 그물로 구획 하여 방양하고, 몇 주일이 경과한 후 평균체장 1-2 g일 때 그물 을 제거한다.

⑦ 사육

가. 먹이는 배합사료 외에도 홍합 (mussel)이나 냉동 잡새우 등을 1:3 비율로 섞어 급이한다.

나. 체중 0.5 g까지는 해수에 희석 하여 급이하고, 급이 회수는 체중 1 g까지는 하루 2-3 회, 체중 1g

이상 성장한 후에는 하루 1회(해질 무렵)씩 급이한다.

⑧ 갈파래나 파래 등 녹조류 번식으로 저질이 악화할 경우 제초 제(Deirad 2 ppm)를 살포한다.

(97)

⑨ 수차(paddle wheel)나 폭기조(propeller aerator)를 이용 하여 양성장의 용존산소량은 4 ppm 이상을 유지하고, 밀식

(overstocking)과 과다급이(excessive feeding)를 피하여 암 모니아 농도를 0.2 ppm이하로 낮춘다.

(98)

그림. 전기충격 저인망. 1, 넷트; 2, 철재 감전 틀; 3, 스키; 4, 일렉트로드; 5, 로 프; 6, 전기코드; 7, 트랜스; 8, 전원장치.

(4) 수확 및 판매

① 수확 시기는 가을이 좋으며, 상품크기는 체장은 12-13 ㎝ 이 상이고 체중은 20-25 g 정도가 적당하다.

② 면적이 좁은 못에서는 해수를 배수한 다음 손으로 수확하고, 면 적이 넓은 못에서는 정치망(set net=pond net)을 이용하고 새우 가 유영하는 밤에는 전기충격 정치망(electric shocker net)을 이용하여 수확한다.

③ 본 양성장에서 수확된 보리새우는 냉장 수조(수온 12-14℃) 에 보관된다. 냉장 수조에서 꺼낸 새우는 미리 -10 ℃에서 냉동된 톱밥(sawdust)

을 채운 박스에 포장되어 운송 된다.

(99)

그림. 보리새우 의 포장 및 수송

* 참고 사이트 : http://shellfish.cheju.ac.kr/INVT98/Shrimp

(100)

Disease name or abnormality Pathogen or cause Major reference

Infectious

Baculoviral mid-gut gland necrosis (BMN)

Penaeid acute viremia (PAV)

Penaeus monodon-type baculovirus disease Vibriosis

Fusariosis

Oomycetes infection

Microsporidiosis

Baculoviral mid-gut gland necrosis virus (BMNV) Penaeid rod-shaped DNA virus (PRDV) (= white spot

syndrome virus : WSSV) Penaeus monodon-type baculovirus (MBV) Vibrio penaeicida Fusarium solani Fusarium moniliforme Lagenidium sp.

Haliphthoros milfordensis unidentified

Momoyama (1991)

Inouye et al. (1996)

Fukuda et al. (1988)

Takahashi et al. (1985) Hatai et al. (1978)

Rhoobunjondge et al. (1978) Katsumata and Tamaki (1987) Hatai et al. (1992)

Monoyama et al. (1996)

Non infectious

Ascorbic acid deficiency Muscle necrosis

Physiolosical disorder

stress ?

Chroococcus turgides (Cyanophyta)

Monoyama et al. (1996)

Monoyama and Matsusato (1996) Monoyama (1996)

표 3-2. 일본의 양식 보리새우 (

Penaeus japonicus

)에 있어서 알려진 질병 목록

(101)

(102)

2) 참게 (

Eriocheir sinensis

)

가. 서식환경 및 생태

(1) 참게(Chinese mitten crab)는 갑각강(Crustacea), 십각목 (Decapoda), 바위게과(Varunidae)에 속하며, 기수역에서 부화하며, 성장하면서 강을 따라 소상하여 강에서 서식한다.

(2) 산란을 위해 강하구역으로 이동하여, 교미, 포란 및 산 란을 한다.

(103)
(104)

나. 종묘생산

(1) 천연종묘생산 : 자연산 종묘 수집 (2) 인공종묘생산

a. 어미게 관리 : 활력이 양호한 것 으로, 암수 공히 갑장이 5cm 이 상이며, 부속지의 결손이 없는 것 b. 포란 및 부화

- 수온 17℃전후에 담수에서 기수로 이동 (약 10~15일 소요) - 해수와 담수의 비율이 7:3으로, 비중 1.018~1.020 일 때 교미 - 교미 후 6-24 시간 내에 포란하고, 포란 후 21일경부터 부화

(105)

(3) 유생사육

a. 조에아 1-5기 → 메갈로파기 → 치게

b. 유생관리

- 수온: 20℃ 전후, 비중 1.020전후 - 치게 때 담수로 서서히 전환

- 먹이 및 공식방지 (4) 유생 단계별 먹이

a. 조에아1기~메갈로파기 : Rotifera b. 조에아4기~치게2기 : Artemia c. 메갈로파~치게6기(종묘) : 바지락 육질

d. 사육기간 전체 : 클로렐라, 부유 규 조류

(106)

(5) 공식 방지 대책

a. 조에아 4기부터 차광막 을 이용하여 은신(휴식 처)를 제공

b. 먹이를 자주 공급(충분) c. 수온의 급격한 변화에 주의

다. 양성

(1) 양식 방법

a. 간만 조차식 양식 b. 방류 재포식 양식 c. 지수식 양식

d. 순환여과식 양식 e. 노지양식

(107)

(2) 양식 순서

a. 어린 게의 수송 b. 치게 방양

c. 중간 육성지 방양 d. 영구 사육지 방양 (3) 사육환경

a. 오염이 안된 하천수나 지하수

b. 수온은 15℃이상 항상 유지

c. 은신처 제공 : PVC나 폐타이어

d. 도피방지시설

(108)

(4) 먹이 공급

a. 치게 단계 : 갈은 바지락, 조개 류의 살과 대하사료(치하1호)를 골고루 뿌려준다.

b. 중간 육성 단계 : 잡어류를 1~2 cm정도로 다져 해지기전 골고 루 뿌려준다.

c. 성장기 : 성장탈피가 자주 일어나므로, 칼슘 공급을 늘리 기 위해 조개류, 계란 껍질을 잘게 뿌려주면 좋다. 이때는 아침, 저녁으로 먹이를 공급하여 준다.

(109)

(5) 참게 양식의 장단점 a. 장점

- 잡식성에 따른 사료 용이성 - 공중 활력이 강한 내병성 - 유휴 농지 등을 활용 양식 가능

b. 단점

- 자본 회전율 저조

- 공식으로 인한 생존율 저하 - 시설비가 많이 소요

- 계획 생산이 어려움

(110)
(111)

“국산 참게 싸게 먹을 수 있겠네”

60대 농업인이 기술개발

인공 부화에 성공 대량생산 길 열려

60대 농업인이 참게를 인공부화시켜 대량 사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전남 강진군 대구면에서 친환경농사를 짓고 있는 윤도현(尹道賢·62)

씨는 지난해부터 참게 인공부화 기술개발에 나서 올 4월 인공부화를 거쳐 200만 마리의 참게를 사육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참게의 인공부화 기술은 10여년 전 수산연구기관 등에서 개발됐으나, 이후

사육과정에 어려움이 많아 실제 대량 양식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씨가 참게농법을 시작한 것은 2003년. 중국의 대규모 참게농법 현장을 견학한 후 중국에서 어린 참게를 들여와 논에 방사했으나 비용과 까다로운 통관절차로 인한 폐사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부터는 강진군농업기술센터 오상동(吳尙銅·52) 지도사의 도움을 받아 인공부화를 시도했다.

마을 인근 바닷가 양식장을 빌려 500여평의 부화장을 만들고 인공부화 기술전수를 위해 중국의 기술자를 고용하기도 했다.

사육에도 신경을 곤두세웠다. 논둑 안쪽에 60~80㎝ 깊이의 수로를 판 뒤 그 흙을 둑에 쌓고, 둑에는 비닐을 깔았다. 참게에 은신처를 제공하고, 도주를 막기 위해서였다.

수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올해는 성공해 강진·장흥·영암·신안 등 벼논 3만여평에 참게 25만마리를 공급했다.

윤씨는 “참게농법으로 재배한 친환경 쌀은 일반 쌀보다 높은 값을 받을 수 있고, 참게를 팔아서도 소득을 얻을 수 있다”며 “내년 초 다시 참게를 대량 사육해 희망 농가에 저렴하게 분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참게는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의 거의 유일한 중간숙주입니다. 참게를 게장(참고로 게장은 손질한 게 위에다 끓인 간장을 부어 만듬)으로 드시면 충란이 죽지 않아서 섭취한 인간의 몸에서 부화해서 폐나 그 이외의 장기에 기생하게 됩니다. 전라도 지방에선 폐흡충감 염자가 지금도 많습니다. 참게는 게장으로 드시면 risk가 있습니다. 아니면 Parziquantal(구충제)를 꼭 드셔야(06/25/2005 09:23:30)

참조

관련 문서

Precut(needle knife) papillotomy for impacted common bile duct stone at the ampulla. Endoscopic treatment of biliary colic resulting from hemobilia after

• 골재의 표면이 거칠수록 부착력(골재와 시멘트 풀)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 로 부순 돌을 사용한 경우가 강자갈을 사용한 경우보다 강도가

▷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스텝간의 이행은 상위 스텝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다음에 연결된 트랜지션의 이행조건이 1 로 되면 하위스텝이 활성화

타인의 아이디어나 저작물을 적절한 출처 표시 없이 자신의 것처럼 부당하게 사용하는 학문적

The 1990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for Wegener’s Granulomatosis and Churg-Strauss Syndrome (Data obtained from ref. 12, 13).. Wegener's

만성췌장염에서 초음파내시경은 췌장 실질과 췌관의 변 화를 모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민감한 영상 소견 을 얻을 수 있어 만성 췌장염의 진단, 특히 조기 만성

중국에서 조경수 또는 분재가 유통되는 경로는 생산지에서 소비자(시정공사나 조경 업체 경우 주로 자체적으로 재배하거나 혹은 생산지에서 직접 구입)로 바로

덧셈과 뺄셈보다 곱셈 이 계산 순서에서 먼저임을 이해하고 이 모든 연산보다 괄호 안을 더 먼저 계산해야 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