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굴 ( Crassostrea gigas )

문서에서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페이지 33-56)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굴(oyster)은 이매패강(Pelecypoda), 익형목(Dysodonta), 굴 과(Osteridae)에 속한다.

② 굴은 열대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1백20여종 정도 가 분포, 서식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③ 굴은 원래 난형(oval shape)이나 환경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 양을 나타내며, 바위 나 다른 물체에

왼쪽 패각을 부착시켜 서식한다

.

④ 굴의 패각은 왼쪽이 움푹 파인(concave) 형태로 몸체(soft body)가 그 안에 위치하며, 오른쪽은 거의 납작한 형태이다.

패각의 표면에는 수많은 얇은 잎사귀 형태의 비늘(scaly thin leaves)이 덮여있다.

그림, 참굴의 생활사. 1, 수정난, 2, 난할, 3, 담륜자 유생, 4, D상 유생, 5, 각정기, 6, 치패 (완숙한 형태), 7, 성체

⑤ 굴의 산란기는 수온이 23℃

정도로 상승한 여름철로, 수중 에서 체외수정된다. 수정난은 부화 후 담륜자와 피면자

(veliger) 유생시기를 거쳐 D상 유생으로 발전하며, 이때 해수 표면으로 부상한다. 부화 2-3 일 후면 D상 유생은 각정 기 유생으로 자란다. 수정 후 2-3 주가 지나면 270 ㎛ 정도 크기의 완숙 유생으로 성장하여

부유생활을 마치고, 해안가(intertidal zone)의 바위 표면 등에 시 멘트 물질(cementing substance)을 분비하여 부착한다.

⑥ 착생한 굴은 고착생활을 하면서 아가미(gill filament)를 이용하 여 유기물이나 미세플랑크톤(microplankton)을 걸러서 먹이로 삼는다.

(2) 종묘생산(seed production)

① 굴 양식은 전적으로 자연산 또는 양식산 굴로부터 태어난 자연 산 종묘(natural seed)에 의존한다.

② 채묘연(strings of seed collector)기는 가리비 또는 굴의 패 각들(culches)로 만들어졌으며, 이들 패각의 중앙에 구멍을 뚫 어 철사(metal wire)로 만든 줄에 묶어서 만든다. 일반적으로 길이 1.6-1.8 m 채묘기의 경우 70-80개의 패각이 붙어있으 며, 이 줄을 구부려서 두 줄로 평행하게 만들어 매단다.

③ 채묘연은 수중의 치패(spat

=full grown larvae) 출현수 가 최고에 달하였을 때 해수 중에 설치를 한다. 만일 채묘 연을 너무 일찍 설치할 경우 따개비, 저서 규조류(sessile diatoms), 혼탁물(silt) 등이

채묘연에 부착하여 굴 치패의 부착을 방해한다. 따라서, 수온과 유생의 밀도와 상태를 수시로 검사하여 채묘연의 수하시기를 결 정한다.

④ 채묘연은 얕은 바다에 대나무와 소나무로 만든 단련상(rack)에 매달리게 된다. 굴 치패는 부착 후 4-5일 이내에 2-3 ㎜ 크기로 성장하며, 가을에 10 ㎜ 정도 크기로 자라게 되면, 곧바로 양성장 으로 옮겨져 겨울과 다음해 봄에 시판될 크기로 양성된다(1년생).

⑤ 종굴 단련 (hardening)

가. 대부분의 굴의 종묘(종굴 ; seed oyster)는 겨울 동안 단련 (hardening) 과정을 거쳐 이듬해에 양성장에 옮겨지게 된다 (2년생).

나. 조간대 중간(mean tidal level)에 설치한 단련상에 채묘연을 올려놓아 주기적으로 파도와 대기 중에 노출시킨다.

다. 단련을 거친 종묘는 발육이 위축되어(stunting), 그 크기가 1 ㎝ 미만이나 환경변화와 장거리 운송에 잘 견딘다.

라. 단련을 거치지 않은 1년생 굴보다 양성장에서 성장속도가 훨 씬 빠르다.

(3) 양성

① 바닥식 양성(sowing method)는 종묘를 양성장 바닥에 뿌려 서 기르는 방법으로, 반드시 수심이 얕고 안정되고 해수 순환 이 좋은 사질의 바닥(sandy bottom)이어야 한다.

② 수하식 양식(hanging method)

가. 말목 수하식 양성(rack method) : 종묘가 부착된 수하연 (strings of culches)을 간조(low tide) 시 수심 2-4 m의 바닥에 설치해 놓은 시렁(rack)에 매달아 양성하는 방법으로, 양성장이 얕은 바다로 제

한된다.

나. 뗏목식 양식(raft method) : 3-9 m 길이의 철사로 종묘가 부착 된 36-40개의 패각(culches)을 꿰어 패각 다발을 만든 후, 그 사이에 대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관으로 간격을 주어 수하 연을 만들어 뜸통으로 연결된 대나무나 삼나무로 만든 뗏목(raft) 에 매달아 준다.

다. 밧줄 수하식 양식(long line method) : 수하연을 뜸통에 묶인 밧 줄(long line)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매달아 양성하 는 방법이다. 수심이 깊은 파도가 높은 환경으로 플랑크톤 공급이 충분하지 못하여 굴의 성장이 더디므로, 상품크기로 성장하기까 지 2-3년이 걸린다.

라. 나뭇가지식(bamboo twigs method) : 얕은 바다에 대나무 나뭇가지를 세워 치패를 부착시켜 양성하는 재래식 방법으 로, 이때 사용되는 나뭇가지는 조류 방향과 병행하여 세운다.

(4) 주의사항

① 폭우에 의한 해수의 염분 농도의 저하(비중 1.010 이하)는 굴에 게 치명적이므로, 수하연의 더 깊은 곳으로 옮겨 비중이 높은 수 층으로 이동시킨다.

② 해수의 흐름이 원만하지 못하거나 바닥에 유기물이 쌓일 경우 용 존산소가 고갈되어 저산소층(2 ppm 이하)이 형성되는데, 이는 해수 중에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를 유발하여 굴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③ 적조(red tide)는 때때로 해수 중의 용존 산소를 고갈시키며 독성 물질을 형성하여 굴의 대량 폐사를 유발

하기도 한다.

④ 패각에 구멍을 뚫어 굴을 먹어 치우는 복 족류(carnivorous gastropods)나 따개 비나 홍합 같은 부착생물은 굴 양식에 있 어 막심한 피해를 줄 수 있다.

(5) 수확과 판매

① 상품 크기로 성장한 굴은 배 위로 끌어올려져, 절단기를 이용 하여 수하연의 상부를 절단하여 수확한다.

② 수확된 굴은 인근에 위치한 가공공장(shucking house)으로 옮겨 해수로 세척하여 패각을 열어 알굴(shucked oyster =soft body)을 분리한 후, 무균 해수로 다시 세척한 다음 시 판을 위하여 캔에 포장한다. 알굴은 운송 또는 판매하는 동안 5℃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강 굴 토 굴

바 윗 굴 참 굴

(6) 국내 양식산 굴의 생산 현황

① 국내에서 서식하는 굴은 참굴(

Crassostrea gigas

), 털굴

(

Ostrea echinata

), 강굴(갈굴 ;

Crassostrea ariakensis

), 벗 굴(토굴 ;

Ostrea denselamellosa

), 바윗굴(

Crassostrea

nipponica

) 등 5가지이나, 우리나라에서 양식되고 있는 종류는 참굴 한 종으로 열성화가 초래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

② 우리나라 굴 생산량은 2006년에 31만 4천톤을 기록하였으나, 최 근에 중국산 굴(연간 3백50만톤 생산)이 세계 시장으로 대량 수출 되어 국내 수출량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미국, 캐나다, 일본, 그리고 동남아시아 등으로 주로 수출하 고 있다. 또한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수산물을 익히거나 가공하 여 섭취하지만 굴만은 예외로 날로 섭취하는 건강식품으로 많은 나 라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③ 국내의 굴 수하식 양식 방법은 지난 1930년대 최초로 보급되어 1960년대에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의 대량생산이 체계화되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참굴은 대부분 수하식 양식으로 주로 통영, 거제, 고성, 남해, 여수 등 남해안 청정해역 일대에서 생 산된다. 2005년부터 그 동안 굴양식의 불모지였던 동해안(경북 영 덕 일대)에서 최초로 참굴의 채롱식 양식이 성

공하여, 남해안에서 생산되지 않는 여름철에 도 수확이 가능하여 동해안의 우렁쉥이 양식 대체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질병명 원인 기생충 감염동물 및 부위 편모충류

퍼킨서스증

미포자충류

참굴의 난소비대증

굴 의 마 타 일 포자충 증 (=Aber disease or QX disease)

굴의 보나미아증

진균성

굴의 하프로스포로디움증 (=MSX disease)

Perkinsus

spp.

Marteilioides chungmuensis Marteilia refringens

and

M.

sydneyi

Bonamia ostreae

Haplosporidium nelsoni

and

H. costale

패류(결합조직)

참굴 (난소) 굴 (중장선)

굴(결합조직)

참굴, 바지락(결합조직) 표. 굴에 있어서 중요한 전염성 질병

그림 : 참굴난소비대증,

Marteiliodes chungmuensis에 감염된 굴

그림 : 참굴의 퍼킨서스증,

Perkinsus marinus 에 감염된 굴 그림 : 굴의 마테일포자충증,

Marteilia refringens에 감염된 굴

그림 : 굴의 보나미아증,

Bonamia ostreae에 감염된 굴의 조직

4)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1) 서식환경 및 생태

① 전복(abalone)은 복족강(Gastropoda), 원시복족목

(Archaeogastropoda), 전복과(haliotidae)에 속한다. 2월의 수 심 25 m층의 수온이 12℃가 되는 등온선(isotherm)을 경계로 북

쪽은 참전복이 속하는 한류계, 남쪽은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 복, 그리고 오분자기가 속하는 난류계로 나뉘어 분포한다.

② 서식 적정수온은 15-20℃이며, 산란기간은 가을철로 암컷의 생 식소는 짙은 녹색 또는 초록색이고 수컷은 담황

색 또는 황백색을 띤다.

③ 전복은 알에서 성체까지의 완전 양식

(complete culture)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낮은 경제성을 띠는데 그 이유는 상품으로 써 가치가 있을 크기(각장 12 ㎝, 약 250 g)까

지 자라는데 4-5년이 걸리는 느린 성장속도 때문이다

까막전복 (Haliotis discus) 시볼트전복 (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 (Haliotis diversicolor aquatilis)

* 전복의 종류 *

말전복 (Haliotis gigantea)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10 YEAR ABALONE FISHERIES COMPARISON BY

문서에서 The greatest of pearls, La Peregrina (페이지 33-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