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러시아의 주요약사 러시아의 주요약사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러시아의 주요약사 러시아의 주요약사 1"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러시아의 주요약사 1

(2)

14

아 개

4C~6C 러시아인의 선조인 동슬라브족이 정착하기 시작하여 6C~8C 드네프르강 중상류 유역 및 일메니 호수 주변에 몇 개의 종족동맹을 형성

8C 루시에 노르만계 바랴그족 등장, 바랴그족과 슬라브족 간 무역 시작

862 노브고로드 류리크(바랴그족) 공국 출범

863 슬라브인에게 기독교를 포교하던 그리스 선교사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그리스문자를 토대로 키릴문자 제정

9C후반~13C초 키예프 러시아 - 882 올레그 공(公), 키예프를

수도로 지정

- 988 블라디미르 대공(大公), 비잔 틴과의 관계 강화 위해 비잔틴 황녀 안나와 혼인하면서 세례를 받고 동방 정교를 국교로 제정 - 1019 야로슬라프 현공(賢公) 치하

키예프 대공국의 황금기 도래(슬라브족 최초의 법전 「루스카야 프라브다」 편찬

※ 1147 「러시아연대기」에 모스크바 최초 등장

- 수즈달 공 유리 돌고루키가 모스크바 강 언덕 마을을 점령하고 모스크바라고 명명

제1장

1917년 혁명 이전

블라디미르 대공 야로슬라프 현공

(3)

15

1부 러의 주

1238~1480 몽고 타타르의 지배

- 1236~42 알렉산드르 넵스키 공, 몽고 지배하 국력이 약해진 러시아를 공격해 온 스웨덴과 독일에 승리

※ 13C말 넵스키 공의 막내아들 다닐, 모스크바 공국 건설 - 1328 모스크바 공국 다닐의 아들인 이반

1세(이반 칼리타), 몽고의 신임을 받아 전 러 시아 공국의 조공을 걷는 권한 수임, 대공 등극

- 1380 드미트리 돈스코이 대공, 쿨리코보 전투 등 연이은 전투에서 몽고에 승리하고 국력을 모스크바에 집중(모스크바 크레믈린 축성)

- 1480 이반 3세, 몽고에 대한 조공을 공식 거부하고 타타르 지배 종식, 루시 국명을

러시아로 개정하고 비잔틴 황제 조카와 결혼하며 모스크바를 ‘제3의 로마’ 선포하고 크레믈린 재건

1480~1613 모스크바 공국 시대

- 1533~84년 이반 4세(이반 뇌제)치하 중앙집권화 완성, 영토 확장 및 무역 확대

•1547년 황제(차르)로 등극

※ 이반 4세 사후 ‘혼돈의 시대’ 시작

- 이반 4세의 병약한 아들 표트르를 대신하여 이반 4세의 처남 보리스 고두노프가 섭정하던 중 표트르의 동생 드미트리가 사고로 사망했으나, 1603년 폴란드 지원을 받은 가짜 드미트리 등장, 보리스 고두노프를 죽이고 13년간 모스크바를 통치

- 미닌과 포자르스키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국민군이 폴란드를 물리치고, 미하일 로마노프가 황제로 추대

1613~1917 로마노프 왕조

- 1696~1725 표트르 1세(대제) 치하 적극적인 서구화개혁 실시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과 천도(1712년), 스웨덴과의 북방전쟁 (1700~1721) 승리

- 1725 표트르 대제 사후 예카테리나 1세(1725~1730), 안나(1730~

1740), 엘리자베타(1741~1762) 등 여제 시대 •1755 모스크바 대학교 설립

이반 1세 드미트리 돈스코이 대공

이반 4세

(4)

16

아 개

- 1762~1796 예카테리나 2세(대제) 치하 터키·폴란드와의 전쟁 승리 등으로 영토 확장 및 러시아의 국제적 위상 제고, 적극적 개혁정책 수행 및 법치주의 원칙을 담은 ‘훈령(나카스)’을 발표하였으나 농노 제는 오히려 강화

- 1812 나폴레옹 전쟁 승리

- 1825 젊은 귀족과 근위 장교 중심으로 군주제와 농노제 폐지 등을 요구하는 ‘데카브리스트 의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 - 1853~1856 영국, 프랑스 등

연합군과의 크림 전쟁 패배로 국제적 위신 하락 및 개혁 필 요성 대두

- 1855~1881 알렉산드르 2세하 농노제 폐지(1861), 지방·사법·교육·

군에 걸쳐 자유주의적인 대개혁을 실시하였으나 미완인 상태에서 알렉산드르 2세는 혁명세력에 의해 암살

- 1905 러·일 전쟁 패배 후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평화적 시위대 10 만 명이 페테르부르크 궁정 앞에서 평화적으로 행진하던 중 군대 의 발포로 희생당한 ‘피의 일요일’ 사건 발생

- 1914 러시아의 1차 세계대전 참전

- 1917.2월 혁명 발생으로 케렌스키 중심의 임시정부 수립, 니콜라이 2세 퇴위로 로마노프 왕조 몰락

데카브리스트의 난 피의 일요일

표트르 1세(대제) 나폴레옹 전쟁

(5)

17

1부 러의 주

레닌 정권(1917~1924)

- 1917.10월 레닌의 볼셰비키당이 임시정부를 전 복하고 공산주의 정권 수립

- 1918 독일과 브레스트 리토프스크 조약 체결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이탈했으나 혁명·반혁명 세력 간 내전 시작, 수도를 모스크바로 이전 - 1922 4년간 지속된 내전이 혁명세력인 적군의

승리로 끝나고 소비에트 정권 공식 출범

스탈린 정권(1924~1953) - 1924 레닌의 사망 이후

트로츠키와 스탈린 간 권력투쟁 시작

- 1929 트로츠키 국외 추방 - 1934 레닌그라드 당조직

제1서기 키로프의 암살 계기 대숙청 시작

- 1939 독·소 불가침 조약 체결

- 1941 독일의 소연방 침공으로 소연방의 제2차 세계대전 참전 - 1945 제2차 세계대전 종결과 함께 소연방은 세계적 강국으로 부상 - 1946 처칠의 ‘철의 장막’ 연설로 냉전 개시

제2장

소연방 시대

(공산당 서기장 재임 기준)

레닌

스탈린 트로츠키

(6)

18

아 개

흐루시쵸프 정권(1953~1964)

- 1953 스탈린 사망으로 흐루시쵸프 제1서기 취임

- 1956 제20차 당대회에서 흐루시쵸프의 스탈린 비판 비밀보고 이후 수천 명의 정치범 석방 등 ‘해빙’기 시작

- 1956 헝가리의 민중 봉기와 소연방의 무력 개입 - 1962 쿠바위기

브레즈네프 정권(1964~1982)

- 1964 흐루시쵸프 해임과 브레즈네프 제1서기(1966년 ‘서기장’으로 변경) 취임으로 ‘해빙’기가 종식되고 보수화 시작

- 1968 체코의 자유화 정책(‘프라하의 봄’)에 대해 소연방 무력 개입

안드로포프 정권(1982~1984)

- 1982 브레즈네프 사망으로 68세의 안드로포프 서기장 취임, 브레즈 네프 시기 정체와 부패에 대해 개혁의지를 보였으나 신병으로 인해 미실행

체르넨코 정권(1984~1985)

- 1984 안드로포프 사망으로 72세의 체르넨코 서기장 취임

고르바쵸프 정권(1985~1991)

- 1985 체르넨코 사망으로 53세의 고르바쵸프 서기장 취임

- 1986 체르노빌 원전사고,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정책 시작 - 1989 동유럽 국가들의 독립 선언

고르바쵸프

(7)

19

1부 러의 주

1991.8 보수파 불발 쿠데타 발생 1991.9 발트3국 독립 선언 1991.12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1991.12.8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3개국, 독립국가연합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창설 합의 1991.12.21 독립국가연합(CIS) 출범

1991.12.25 고르바쵸프 대통령 사임으로 소연방 공식 소멸 및 러시아연방(Russian Federation) 출범

제3장

소연방 해체 및 러시아연방 출범

(8)

20

아 개

집권 1기 (1991.12~1996.8, 옐친 대통령의 급진개혁정책은 보수 주의자들이 주류를 이룬 연방 최고회의와 대립) 1993.10 연방 최고회의 강제해산 조치

1993.12.12 총선시 극우민족주의자 지리노프스키의 자민당 승리 (같은 날 국민 투표를 통해 신헌법이 채택됨으로써 옐친 대통령 권한 강화)

1994.12.11 체첸사태 발생

1995.12.17 제2대 총선시 공산당 등 좌파세력이 원내다수 차지 1996.6.16 대선에서 옐친 대통령이 공산당의 쥬가노프 후보를

물리치고 재선

집권 2기 (1996.8~1999.12, 옐친 대통령 건강문제가 주요쟁점으로 부각)

1996.11 옐친 대통령 심장 수술

1997.5 러 연방과 체첸공화국 간 평화와 관계원칙에 관한 조약 체결

1999.5 러시아 하원의 옐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부결 1999.8 푸틴 연방보안부장의 총리 취임

1999.12 제3대 총선 실시

1999.12.31 옐친 대통령 사임 및 푸틴 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취임

제4장

옐친 대통령 정권

(9)

21

1부 러의 주

집권 1기 (2000.3~2004.5, ‘강력한 러시아 건설’을 추구하며 중앙 집권적 연방체제 확립)

2000.3 푸틴 대통령 당선 2000.5 푸틴 대통령 취임

2000.5 카시야노프 신임 총리 임명 및 내각 구성

2003.12 제4대 총선 실시 결과, 여당인 ‘통합 러시아당’이 압승 을 거두며 연방하원 의석(450석)의 2/3(306석)를 차지, 집권 2기 강력한 개혁 추진을 위한 정부와 의회 간 긴밀한 협력 여건 조성

집권 2기 (2004.5~2008.5, 국민 생활수준 향상 및 지속적 경제 성장, 민주주의 발전, 에너지 산업 육성을 최우선 국정 과제로 제시)

2004.3 카시야노프 총리 경질 및 프라드코프 총리 내각 구성 2004.3 푸틴 대통령 재선(71%의 압도적인 득표율 확보) 2004.5 푸틴 대통령 취임

2007.9 푸틴 대통령, 프라드코프의 내각 총사퇴를 수락하고 줍코프 연방 금융감독청장을 총리 후보로 지명

* 프라드코프 총리, 총선(07.12)과 대선(08.3) 등 중요한 정치 일정을 앞두고 대통령이 인사권 행사 등 정책결정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내각 총사퇴 건의

2007.12 제5대 총선 결과, 집권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이 64.1%

를 득표, 헌법상 헌법개정, 대통령 탄핵 등이 가능한 의회 재적 2/3 확보

2007.12 푸틴 대통령, ‘통합러시아당’등 4당 지도자와의 회합에 서 메드베데프 제1부총리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12.10) 2007.12 ‘통합러시아당’ 은 12.17 전당대회에서 메드베데프를

대선(2008.3.2) 후보로 공식 지명, 푸틴 대통령은 총리직 수락 의사 표명

제5장

푸틴 대통령 정권

(10)

22

아 개

2008.3.2 대선 결과 메드베데프 제1총리, 70.24%의 지지로 대통령 당선

2008.5.7 메드베데프 대통령 취임

2008.5.8 러 하원 압도적 표차(찬 392, 반 56)로 푸틴 총리 임명 동의안 가결

2008.5.12 푸틴 총리 내각 출범

2008.12.30 헌법 개정안에 관한 법률안 대통령 서명

※ 대통령 임기 4년에서 6년으로 연장, 하원의원 임기 4년에서 5년 으로 연장

2011.9.24 통합러시아당(여당) 전당대회에서 푸틴 총리의 대선후보 출마를 제안, 푸틴 총리는 동 제안을 수락

※ 2011.12월 총선 정당명부 1순위 등재 및 2012.3월 대선 이후 신정부 총리직 수임 제안 수용

2011.12.4 제6대 총선 결과, 집권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이 49.3%

를 득표(238석 확보), 사실상 국민의 지지 확보에 실패

※ 공산당(92석), 공정한 러시아당(64석), 자유민주당(56석) 등 야당 약진

제6장

메드베데프 대통령 정권

(11)

23

1부 러의 주

2012.3.4 대선 결과 푸틴 총리, 63.6%의 지지로 대통령 당선 2012.5.7 푸틴 대통령 취임

2012.5.8 러 하원, 메드베데프 총리 임명동의안 가결(찬 299, 반 144) 2012.5.21 메드베데프 총리 내각 출범

제7장

푸틴 대통령 정권

(집권 3기)

(12)

24

아 개

▣ 로마노프 왕조(1613~1917)

(13)

25

1부 러의 주

(14)

참조

관련 문서

[r]

이상의 논의는 두 가지 추론을 함축한다. 첫째, 러시아와의 초기 협력 비용은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상술한 러시아의 특수성으로 인해 협력 경험이 충분하 지 않은

 러시아의 경우 동북아 슈퍼그리드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에 판매하던 에너지 자원 이외에 한국, 일본, 중국 등에 안정적인 전력 수출 판로가

BODE/Sterillium 피부 소독제 Cutasept F 스프레이형 소독제 Durr Dental SE 독일 Orochemie 피부 및 표면 소독제..

▶ 러시아와 사우디의 외교관계는 러시아의 시리아 정책과 이란 핵 개발에 대한 러시 아의 태도가 결정적 원인을 제공하면서 급격히 악화됨. 그러나

유럽 및 북미 가스 전문가들은 셰일가스의 본격적인 개발 생산이 러시아의 對유럽 가스수출 에 큰 타격을 입힐 것으로 보는 반면, 러시아 전 문가들은 셰일가스의 영향이

러시아의 MIR 모듈의 사고와 같이 실제 유인우주환경과 결부시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포물선 비행기(Parabolic Flight)를 활용하여, 화성,

러시아정부는 사회보장부문의 개혁에서 기본적으로 구 체제하에서 국가가 관리 한 사회보장기금을 폐지하면서 개인연금기금으로 전환하는데 중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