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러시아의 사회 6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러시아의 사회 6"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러시아의 사회 6

1. 인구 2. 보건·복지 현황 3. 교육

(2)

104

러시아 개황

가. 러시아 인구 규모

러시아 총인구는 1억 4,286만 명으로 중국, 인도, 미국, 인도네시아, 브 라질, 파키스탄에 이어 세계 7위

- 최근 5년간 러시아 인구는 매년 0.5~0.6% 감소하여 동 문제가 안보·

사회 문제로 대두

러시아 인구의 감소는 구소련 해체(1991) 이후 러시아의 사회·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의 질 저하와 사회보장 체제의 약화, 각종 재해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모스크바 인구는 1,150백만 명으로 인구 규모로 세계 20대 도시로 분류

-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구는 495만 명

▣ 러시아 인구

(단위 : 백만 명) 연도 1926 1939 1959 1989 1991 1996 2002 2005 2007 2010

도시 16.4 36.3 61.1 108 109.4 108.3 106.4 104.7 103.8 105.3 농촌 76.3 72.1 56.1 39 38.9 40 38.8 38.8 38.4 37.5 총인구 92.7 108.4 117.2 147 148.3 148.3 145.2 143.5 142.2 142.8

제1장

인구

(3)

105

제6부 러시아의 사회

나. 인구 구조 및 분포 (2010년 인구센서스 결과)

1) 성별 구조

러시아 인구의 성별 구성은 남성이 6,610만 명, 여성이 7,680만 명으로, 1,000만여 명 규모의 여성 초과 구조

- 보통 남자 아이의 출생률이 2~3% 정도 높지만, 아동기, 청소년기의 남성 사망률이 여성 사망률보다 높아 20~30대가 되면 남·여 성비 가 비슷하게 되었다가, 30대 이후에는 남성 사망률의 급격한 증가 로 여초 현상 심화

2) 평균 수명 및 평균 연령

러시아 국민의 평균 수명은 66세이며, 러시아 전체 인구의 평균연령은 37.7세

3) 러 인구의 도시와 농촌 간 분포

러시아 인구의 73.7%(약 1억 백만 명)는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26.3%(약 37백만 명)는 농촌 지역에 거주

총 인구의 1/5이 13개 대도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시비 르스크, 니즈니노브고로드, 예카테린부르크, 사마라, 옴스크, 카잔, 칠리아빈스크, 로스토프나도누, 우파, 볼고그라드, 페름)에 거주

러시아의 도시인구와 농촌 인구 간 비율은 1950년대 중반까지는 농촌

인구가 도시 인구보다 많았으나, 1959년을 기점으로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를 초과

(4)

106

러시아 개황

4) 민족 분포

러시아는 약 200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인구 중 러시아 인이 압도적 다수(78%) 차지

러시아 정부는 소수 민족들의 고유 언어, 교육 및 문화 전파 활동 등 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편이나, 민족주의나 혈통주의에 대한 과도한 부각은 불허

▣ 러시아의 민족 구성 현황(2010 인구센서스 결과 기준)

2010 2002 2002년 대비

2010년 비율 인원수 (%)

(단위 : 천 명) 비율

(%)

인원수 (단위 : 천 명)

비율 (%)

총인구 142,856.50 100 145,164.30 100 98.74 러시아인 111,016 77.71 115,868.50 79.82 96.67 타타르인 5,311 3.72 5,558.00 3.83 100.65 우크라이나인 1,928 1.35 2,943.50 2.03 67.47

바쉬키르인 1,585 1.11 1,673.80 1.15 124.42 추바쉬인 1,436 1.01 1,637.20 1.13 92.31

체첸인 1,431 1 1,361.00 0.94 151.39 아르메니아인 1,182 0.83 1,130.20 0.78 212.28

모르도바인 744 0.52 844.5 0.58 78.71

벨라루스인 521 0.36 814.7 0.56 67.54

아바르츠인 912 0.64 757.1 0.52 139.17

카자흐인 648 0.45 655.1 0.45 103.02

우드무르트인 552 0.39 636.9 0.44 89.1

아제르바이잔인 603 0.42 621.5 0.43 185.03

마리츠인 548 0.38 604.8 0.42 93.96

독일인 394 0.28 597.1 0.41 70.89

(5)

107

제6부 러시아의 사회

2010 2002 2002년 대비

2010년 비율 인원수 (%)

(단위 : 천 명) 비율

(%)

인원수 (단위 : 천 명)

비율 (%)

카바르딘츠인 517 0.36 520.1 0.36 134.71

오세티아인 529 0.37 514.9 0.35 127.99

다르긴츠인 589 0.41 510.2 0.35 144.41

부랴티아인 461 0.32 445.3 0.31 106.68

야쿠트인 478 0.33 444 0.31 116.78

쿠미크인 503 0.35 422.5 0.29 152.42

잉구쉬인 445 0.31 411.8 0.28 191.45

레즈긴인 474 0.33 411.6 0.28 159.97

기타 10,049.50 7.03 5,780.00 3.98 143.21

※ 참고사항

•전체인구의 10%인 1,450만 명이 회교도 •유태인 : 23만 명

(6)

108

러시아 개황

가. 기존 복지 ·보건 제도

사회주의 체제하에서는 국가가 국민들의 모든 사회복지·보건·교육을 책임지는 제도가 유지되어 왔으며, 소련의 붕괴와 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한 이후에도 러시아의 보건·복지 정책은 여전히 국가가 보장하는 사회주의적 복지제도의 기본 골격을 계속 유지

나. 체제 전환과 보건 ·복지 체제 개혁 동향

1990년 이후 시장경제체제로의 과도기적 과정에서 높은 물가 상승률 지속과 루블화의 구매력은 크게 하락하는 한편, 국가 재정의 취약으로 국가가 국민들의 보건·복지·교육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함에 따라 국민 대다수의 생활 및 보건 수준이 악화되는 추세 지속 푸틴 대통령은 2000~2004년 1기 임기 동안 사회·복지 개혁에 조심스

러운 태도를 취해오다가 2004~2008년 2기 임기동안 보건·복지 분야 에서 좀 더 시장 중심적으로 전환하는 개혁 조치를 추진

푸틴 대통령은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 임기(2008~2012)동안 총리로서 보건·복지 분야 개혁을 주도해 왔으며, 특히 2012 대선 캠페인 기간에 는 사회·복지 정책 관련 대선 프로그램을 기고하고 2012.5월 대통령 취임 이래 관련 정책의 중요성을 지속 강조

※ 푸틴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기간중 “정의의 구축 : 러시아를 위한 사회정책”이란 언론 기고에서 보다 공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복지정책 확충, 교육·문화·보건

제2장

보건·복지 현황

(7)

109

제6부 러시아의 사회

수준의 질적 향상, 주택 공급 확대 및 공공 서비스 질 향상, 인구증가 정책 추진 의지 를 표명

- 2018년까지 교사, 연구자, 과학자, 의사들의 봉급을 지역 평균소득의 2배로 인상 -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 연금 개혁 및 재원 확충

- 장애인 교육 및 취업 기회 보장 체제 구축

- 의료기구 및 의약산업 발전을 위해 1,200억 루블(약 40억 달러) 지원 등

다. 주택 · 의료 등 기본 국민 복지 수요의 시장 전환 현황

주택

- 구소련 붕괴 이후 상당기간 대다수 국민들이 국가가 제공한 주택 에 거주해 왔으나, 이러한 제도는 주택 공급물량 부족과 부동산 가격 급상승 등으로 유명무실화되어 가고 있으며, 개인의 주택 구 입은 시장원리에 따라 가능

의료

- 기본적으로 무료 의료 체제가 유지되고 있으나, 의료 부문에 대한 투자 및 정부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공공의료 서비스 질의 저하 문제 심각

- 2006년 러시아 정부가 보건 분야 개혁을 국가적 과제로 지정한 이래 의료서비스의 질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지역 및 사회 계층간 의료시설 이용에 편차가 큰 상황

※ 푸틴 대통령은 2012.5월 취임과 동시에 ‘보건 관련 국가 정책 개선에 관한 대통령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기관들에 국민 의료상황에 대한 개선 및 관련 보고 시행을 지시

연금

- 고용주와 고용인이 공동으로 연금 기금에 납부하고, 은퇴시(남성 60세, 여성 55세) 연금을 받는 형태로 시행중

• 연금 지출의 증가와 연금기금의 고갈로 연금수령연령 상향 조정

등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으나, 여론의 반대가 심하고 상향

조정시에도 적자폭 감소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분석

(8)

110

러시아 개황

라. 빈부 격차 문제

러시아 전체인구 1억4천3백만 명 중 약 13%에 해당하는 약 1천8백만 명이 빈곤 계층

※ 빈곤 계층은 2010년 기준 최저생계비 월 6,138루블(200미불) 미만 소득 기준 - 그러나,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점진적인 경제회복 추세와 석유·천연가스

등 막대한 에너지 수출 금액의 유입에 따라 빈곤계층은 점차 감소 추세

푸틴 대통령은 2012.5월 취임 직후 발표한 경제정책 및 보건 관련 대통령 행정명령들을 통해 관련 부처들이 지역 개발을 통한 빈곤 계층의 축소와 주택/교육/의료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할 것을 지시

마. 재원의 조달

러시아 재정수입에서 원유·가스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바,

전문가들은 국제 원유·가스 가격이 향후 러시아 보건·복지 부문 재원

조달의 관건이 될 것으로 분석

(9)

111

제6부 러시아의 사회

가. 원칙

※ 2012.12.26 개정 교육법 연방의회 승인

- 기존 “교육법”에 “고등교육 이후 교육법”을 통합

전 국민에 평등한 교육기회 제공

전 교육단계의 무상교육화

- 고등교육도 경쟁에 의한 무상교육을 표방(러 교육법)

소연방 체제 붕괴와 더불어 교육의 다양화, 개별화, 민주화 지향

최근 학생, 학부모, 기업 등의 요구를 교육에 반영하는 수요자 중심 교육 지향

제3장

교육

(10)

112

러시아 개황

나. 교육 체제

Kandidat (석사학위) 3년

초등교육 4년

취학전교육

Qualified worker

2-3년 중등완성

과정 일반교육

USE

Qualified worker

1년 USE

Qualified worker

1-2년

중등완성 과정 26/27

고등교육과정

중등전문교육과정

전문대학 교육과정 직업 교육과정 23/24

21/22

: 입학시험 17/18

15/16

10/11

6/7

입학사정

기초 기술자

과정 3,4,5년 중등완성

과정 고급과정/

1년 학위수여

고급과정/

1년 학위수여

기초 기술자 과정 2년

중등완성과정(고등학교) 2년

USE Doktor (박사학위) 학위수여

Bakalavr (학사학위)

4년 학위수여

Specialist (학석사통 합학위)

5-6년 학위수여 Kandidat (석사학위)

3년 학위수여

Magistr (석사학위)

2년 학위수여

(11)

113

제6부 러시아의 사회

다. 각급 교육기관

1) 유치원(2009)

현황

- 유치원수 : 45,300개(국공립 25,800개, 사립 18,500개) - 학생수 : 5,228,200명(국공립 4,158,100명, 사립 1,070,200명)

7세 이하 아동은 지역 내 유치원에 입학 가능(탁아소 기능)

• 유아교육과 보육을 중시하는 소련 구제도의 영향으로 각 지역, 공장 등에 광범위하게 유아시설이 존재

- 최근 사립 유치원 증가추세이며, 이들은 수업료가 비싸지만 시설 및 교육내용이 우수

2) 초 · 중등 학교(2011)

현황

- 학교수 : 47,146개 교(국공립 46,459개, 사립 687개)

- 학생수 : 13,445,800명(국공립 13,362,300명, 사립 83,500명) - 국가표준교육기준에 따라 국가표준 교육과정이 적용됨

일반 초·중등학교, 특수학교, 기술학교, 장애인학교 등으로 분류

기본적으로 초·중등 과정이 한 학교에 병합된 1~11학년제 운영 - 대부분 11년간 동일학교에 재학, 중학교 및 고교입시가 없음 - 대부분 학교명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예 : 모스크바1086학교)

각 학교는 수업단계와 수업 연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 초등학교 : 제1수준, 3~4년

- 중학교 : 제2수준, 5년

- 고등학교 : 제3수준, 2~3년

(12)

114

러시아 개황

영재교육 목적의 특수학교는 수학, 과학, 음악, 미술, 발레 등 해당 분야 우수 학생이 입학

- 일반학교도 일반 교육과정 이외에 과학, 외국어, 예·체능 등 특별 교육과정을 복수 운영하는 학교 증가

- 과학분야 영재학교 : 모스크바, 상트페트르부르크, 노보시비르스 크 등에 수학, 물리 영재학교 설립 운영 중

- 대부분 특수학교는 방과후 특별프로그램을 저렴한 비용(월 150루블, 약 7불)으로 제공(단, 신청인원 제한)

* 중등직업학교 재학생수(2011)

- 2,925개 교(국공립 2,665개, 사립 260개), 학생수 1,006,620명

러시아 학교 교원 현황

- 총 1.2백만 명, 50만 명(43%) 시골지역 근무

- 교원의 84%가 대학 졸업자, 16%는 중등전문교육 수학

- 전체 교원의 85%가 여성, 교원 평균연령은 30~49세(42%), 25세 이하 (5%), 25~29세(13%), 50~59세(29%), 60세 이상(11%)

3) 중등전문교육 (Secondary Professional Education, 전문대학)

중등전문교육기관은 고등교육기관의 한 종류(전문대학)로 해당분 야의 전문기술을 배우는 교육기관으로 Tekhnikum, College 또는 Uchilishche 등이 있음.(9학년 이수 후 입학가능)

수학연한은 9학년 이수학생은 3~4.5년, 11학년 졸업생의 경우 2~3년

졸업 후 해당분야 직업자격증과 전문대학 학위가 수여되고 졸업 후

4년제 대학에 입학할 수 있으며 동일 분야일 경우 수학연한을 단축

가능

(13)

115

제6부 러시아의 사회

4) 4년제 대학(2011)

현황

- 학교수: 1,080개 교(국공립 634개, 사립 446개)

- 학생수 : 6,490,000명(국공립 5,453,900명, 사립 1,036,100명)

교육과정 : 학사과정, 스페셜리스트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 박사후 과정으로 구분

※ 2004년부터 대학체제 개혁의 일환으로 외국인 또는 외국유학 준비생에게 대학과정 4년, 석사과정 2년제 적용대학 증가 추세

※ 대학의 박사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스페셜리스트과정(5년제) 또는 석사과정 졸업 필요

※ 외국학생이 대입을 위해서는 러시아어 구사능력이 필수요소로 반드시 1년간의 러시 아어 이수과정 후 입학시험 통과시 학교와의 개별계약에 의해 입학

대학형태 : 고등교육기관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University, Institute, Academy, Conservatoire 등)

- 종합대학은 모스크바등 대도시에 존재

※ 모스크바국립대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는 연방특별대학교 지위를 누려 예산편성, 인사, 시설운영 등에서 독자적 자율권한을 보유

- 단과 또는 전문대학(원)은 공학, 의학, 경영, 항공, 외국어, 철도 등 전문분야로 특성화

※ 종합대학 및 단과대학 간의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학문분야에 따라 개별 전문대학이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는 경우 다수

※ 유럽과 학문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볼로냐 협약에 러시아가 가입(2003)하여 일부대학의 경우 4년제 프로그램으로 전환

박사과정 : 칸디다트와 독또르 두 과정으로 구별

- 칸디다트 학위(Candidate) : Post-Graduate 과정으로 최소한 주간 3년, 야간(통신제 포함) 4년 이상 소요

- 독또르 학위(Doctor, Dr.) : 칸디다트 학위 이후 오랜 연구활동과

사회경력을 거친 후 40세 이후 수여

(14)

116

러시아 개황

라. 주요 교육분야 동향

대학입시제도 개선

- 대학입학시 대학별 고사가 아닌 전국단위입시시험 체제 도입

※ 2008년 모든 고등학교 졸업생에 시험실시 의무화, 2009년 모든 대학의 시험결과 활용 의무화

- (도입취지) 표준화된 교육시스템 도입, 학생의 시험 이중 부담 경감, 학교성적 비리 해소, 대학의 공정한 학생 선발기준 제시

교육재정의 지속적 확충 및 예산운영 학교자율성 확대

- 교사 보수 인상 등 연방 예산 중 교육부문의 비중 계속 증가(2006년 2,119억 루블, 2010년 3,864억 루블, 2012년 6,035억 루블)

- 예산배부방식을 학교별 총괄배부방식으로 전환(학생수 등 기준)

소수민족 포용정책 강화(2012.12)

- 최근 소수민족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포용과 국가적 통합을 촉진 하기 위한 국가프로그램을 역점사업 중 하나로 추진

- 소수민족 언어교육강화, 민족간 통합교육프로그램 예산지원 확대

유학생 확대정책 추진

- 전체 학생수 대비 2% 수준인 외국인 유학생 수를 2020년까지 7%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장학금 확대 및 다각적인 홍보 추진

대학재정지원 확대 및 통폐합 추진

- 대학의 연구역량을 높이기 위해 우수 연구대학을 국가연구대학으로 지정(29개)하여 예산지원을 확대하고 소규모 대학을 연방대학(9개) 으로 통폐합

고등교육 개방 및 개혁 정책에 따라 사립대학 증가 추세

- 시장경제체제 전환 후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그 등 대도시 중심 으로 446개 사립대학 설립

- 외국어, 법학, 경영 등 전문 분야 중심의 소규모 형태로 설립

(15)

117

제6부 러시아의 사회

▒ 러시아 내 언론매체 및 한국학 연구소 현황 가. 언론사 현황

1) 일간지

사명 창간년도 발행부수 대표자 비고

이즈베스티아

(Izvestiya) 1917 35만 부 Abramov. V.

사장 겸 주필

*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혁신계 언론

*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으며 친한적인 논조

* 한국‘동아일보’의 자매사

코메르산트 데일리 (Kommersant

Daily)

1990 10만 부 Mikhailin, M.

사장 겸 주필

* 베레조프스키 계열의 일간지로서 정부 시책에 대해 다소 이완적인 논조

* 아시아 지역 관련 기사가 많으며 친한적인 논조

네자비시마야 가제타 (Nezavisimaya

Gazeta)

1990 35만 부 Remchukov.

K. 주필

* 베레조프스키 계열의 일간지이나 중립적인 논조

* 한반도 관련 분석 기사를 주로 게재하고 있으며 친한 논조/* 컬러판

브레미야 노보스티 (Vremya Novosti)

2000 5만 부 Gurevich, V.

사장 겸 주필

* 주간 Moskovsk ie Novosti 의 내부 갈등으로 사임한 기자들을 중심으로 창간

* 러시아 외무부의 대한반도 정책과 관련 상대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보도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 (Komsomolskaya

Pravda)

1925 260만 부 Sungorkin, V.

사장 겸 주필

* ‘공산주의 청년동맹’ 기관지 에서 종합 일간지로 전환한 이후 Yellow Paper 성향을 보이고 있음

* 북한체제에 대한 비판 기사 를 다수 게재 하고 있음

* 한국 ‘국민일보’의 자매지

트루드

(TRUD) 1921 130만 부

Vladislav, V.

주필 겸 위원장

* 노조 기관지에서 종합 일 간지 전환, 노동자 주 독자층

* 국제문제는 사실보도 위주 로 간략하게 취급

(16)

118

러시아 개황

사명 창간년도 발행부수 대표자 비고

베도모스티

(Vedomosti) 1999 6만 부 Lisova, T.

주필

* WJS 및 FT 의 자본 지원 으로 운영되는 경제지

* 한국 경제 관련 기사를 간혹 게재

크라스나야 즈베즈다 (Krasnaya

Zvezda)

1924 5만 부 Efimov, N.

주필

* 러시아 국방부 기관지

* 한반도 관련 중립적인 논조 견지

노비에 이즈베스티야 (Novie Izvestia)

1997 4만 부 Yakov, V.

사장 겸 주필

* 일간 Izvestia 의 노장층 기자들을 중심으로 창간

*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으며 친한적인 논조

* 컬러판 로시스카야

가제타 (Rossiskaya

Gazeta)

1990 37만 부 Fronin, V.

주필

* 러시아 정부 기관지

*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지 않으며 한·러 정부 간 주요 협력 사업 관련 기사가 주종임

2) 주·간지

사명 창간년도 발행부수 대 표 자 비 고

블라스티

(Vlasti) 1997 9만 부 Kovinski, M.

사장겸 주필

* 일간 Kommersant Daily 의 자매지

*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음

이토기

(Itogi) 1996 8만 부 Birukov D.

사장

* Newsweek 의 자본 지원 으로 운영되는 종합 시사 주간지

* 한반도 관련 기사가 많음

프로파일

(Profile) 2002 7만 부 Zotikov, A.

주필

* Business Week 의 자본 지원으로 운영

* 한반도 관련 기사가 거의 없음

모스콥스키에 노보스티 (Moskovskie

Novosti)

1930 45만 부 Tim Wall

주필 * 노어 및 영어판을 발간 하는 종합 시사 주간지

(17)

119

제6부 러시아의 사회

사명 창간년도 발행부수 대 표 자 비 고

아가뇩

(Oganyok) 1899 90만 부 Kovalski 주필

* 문화 전문 주관지

* 구소련 말기 개혁정책의 절대적 지지 매체 역할 수행 엑스퍼트

(Expet) 1995 9만 부 Fadeev, V.

사장 * 경제 및 과학기술 전문 주간지

젠기

(Dengi) 2000 3만 부 Yakovlev, C.

사장겸 주필 * 일간 Kommersant Daily 의 자매 경제 전문 주간지

노보예 브레미야

(Novoe Vremya) 1943 5만 부 Albach, E.

주필

* 정치, 외교 전문지로서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나 최근 영향력 감소

* ’03 년 9월 현재 서울에 상주특파원 파견 중

에호 플라네티

Ekho Planeti 1988 10만 부 Guceinov, El.

주필

* ITAR-TAS S 통신이 운영 하는 시사 주간지로서 통신사를 퇴임한 원로 기자들이 주로 근무

아르구멘티 이 팍티

(Argumenti i fakti) 1981 15만 부 Zyatikov 시장겸 주필

* 러시아 최대의 시사 주간지

* 국제 문제에는 거의 지면 을 할애하지 않음

3) 통신사

사 명 창립년도 대 표 자 비 고

ITAR-TASS 1992 Ignatenko, V.

사장

* TAS S 통신사의 후신으로서 TASS 와 NOVOSTI 의 인수로 합병하여 설립한 공영 통신사

* ’10년 10월 현재 서울과 평양에 상주 특파원 파견중

RIA-NOVOSTI 1992 Mironyouk, S.

사장

* 러시아 정부의 대내외 홍보를 담당하는 공영 통신사

* 동사 특파원들은 사실상의 재외 공보관 역할 수행

Interfax 1989 Komissar, M.

사장 * 러시아 최대의 민영통신사

* 속보성은 높으나 오보율도 높음

(18)

120

러시아 개황

4) 방송사

사 명 창립년도 대 표 자 비 고

제 1CH 1994 Ernest, K.

사장 * 공영 방송사로서 ORT-TV 의 후신

* 러시아 최대의 TV 방송사 Russia 1 1991 Ztatopolski, A.

사장 * 대표적인 국영 방송사

* 러시아 전역 및 CIS 지역에 방송 Center-TV 1997 Ponomaryov. A

사장 * 모스크바 시정부가 운영하는 시영 방송사

NTV 1993 Kulistikov. V 사장

* 러시아 최초의 민영 방송

*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공신력이 높음

Russia -Kultura 1997 Pakykhova, T.

사장 * 문화전문 채널로서 국영 방송사

Russia 2 2003 Kiknaize, V.

사장 * 스포츠 전문 채널로서 공영 방송사

▒ 주요 한국학 관련 대학 및 연구소 현황 1) 대학

대학/연구소명 학과/전공

모스크바국립대학 (아시아아프리카대학) 한국어, 한국역사, 한국경제 국제관계대학 (MG IMO) 한국어, 한국경제, 국제관계

국립인문대학 한국어문학

국립언어대 한국어

국립사회대학 한국어

극동국립대학 한국어문학, 정치, 경제, 역사

극동인문대 한국어

이르쿠츠크국립대 한국어

노보시비르스크국립대 한국어

(19)

121

제6부 러시아의 사회

대학/연구소명 학과/전공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 한국어문학, 한국역사·경제

헤르첸국립사범대 한국어

우수리스크국립사범대 한국어

야쿠츠크국립대 한국어

로스토프국립대 한국어문학

카잔국립대 한국어문학

2) 연구소

대학/연구소명 학과/전공

극동문제연구소 남북관계, 국제관계, 경제

동방학연구소 (모스크바) 역사, 문학, 민속

동방학연구소 (상트페테르부르크) 고전문학, 불교

모스크바대부설 국제한국학센터 역사, 문학

외교아카데미소속 한국연구센터 남북관계, 국제관계

(20)

참조

관련 문서

[r]

∘복지 발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과 그로 인한 사회복지 제도화 과 정을 설명할 수 있다.. History

노동계급에 대한 지배가 필연적으로 사회주의 혁명으로 종결된다고 선언한 마르크스와 달리 베른슈타인은 사회주의의 승리는 노동계급의 지속적이고 심화되는 비극

BODE/Sterillium 피부 소독제 Cutasept F 스프레이형 소독제 Durr Dental SE 독일 Orochemie 피부 및 표면 소독제..

러시아의 MIR 모듈의 사고와 같이 실제 유인우주환경과 결부시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포물선 비행기(Parabolic Flight)를 활용하여, 화성,

러시아와 한국의 에너지 현황은 산업자원부, 국가정보원, 에너지경재연구 소, 해외경제연구소,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 선진국의 사교클럽으로 불리는 OECD는 선진국이 총 집합하여 각종 정책을 논의하는 국제 경제기구..  OECD는 회원국간 개방된 시장경제, 다원적 민주주의 및

러시아정부는 사회보장부문의 개혁에서 기본적으로 구 체제하에서 국가가 관리 한 사회보장기금을 폐지하면서 개인연금기금으로 전환하는데 중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