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치매 노인의 언어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분석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치매 노인의 언어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분석 연구*"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치매 노인의 언어재활 프로그램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nalysis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손 은 남**강 수 균***최 경 희****1) Son, Eun Nam Kang, Soo Kyoon Choi, Kyung Hee

요 약

< >

A discourse analysis provide important clinical information on how language is organized and used to express ideas in brain-injured patients. Bot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course reveals the type or severity of language disorder that each patient exhibit. Most of standardized language assessment procedures do not give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ull clinical picture about the functional of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elderly patient with dementia. Underidentification of language disorders in the elderly demented population is partly due to the lack of standardized procedures that can assess their languages use on a discourse level.

The present study provide a theoretical bases for developing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discourse i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Key words language, discourse analysis, dementia 언어 담화 분석 치매, , ,

* 이 논문은2002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RF-99-005-B00004).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KRF-99-005-B00004).

**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대학 언어치료전공 박사과정

Department of Speech & Language Pathology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Department of Speech & 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연구교수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2)

.

한국 사회는 2,30여 년 전부터 사회 경제적인 성장과 함께 의학의 발달과 영양 수준의 향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출산율이 감소되는 선진국형 인구 구조 로 이행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란 한 국가의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노인 인 구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급속한 의학의. 발전으로 이러한 고령화의 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져 1990 5.1%이던 것이 년에는 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령 인구의 상대적 구성비를 살펴보

2020 15.1% .

, 65세 이상의 구성비가 1997년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는 2,908천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133천명(4.8%), 5년 전에 비해 562천명(24.0%), 10년 전에 비 1,031천명(54.9%)으로 증가되고 있다 통계청( , 2001). 더구나 우리나라의 인 구 고령화는 그 속도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빠르다는 특징을 가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령 인구 비율이. 7%에 도달할 때를 고령화 사회(aging 라고 하며 에 도달할 때를 고령화된 사회 라고 한다

society) 14% (aged society) .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화된 사회에 도달하는데 걸린 기간을 비교해 보면 프랑스 115 ,년 스웨덴 85 ,년 미국 71 ,년 독일 45 ,년 그리고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고 하는 일본이 25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이보다 더 빠른 22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계청( , 2002). 이것은 오랜 기간에 걸쳐 인구 고령화에 대처해 온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가 그만큼 시급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21세기에 들어서서 본 격화되기 때문에 현재부터 21세기 초 까지는 고령화된 사회의 과도기이며 고령, 화된 사회를 위한 기초 준비를 하는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장기적 고령. 복지 사회를 위한 확립과 전망에 대하여 엄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국제 연합(United Nations)에서는 1999년을 모든 연령층을 위한 사회를 향해 라는 주제 아래 세계 노인의 해 로 선포하였다 세계 인구 . 60억 명 중 80세 이 상의 초고령자는 대략 6,100만 명이나 된다 이것은 인구. 100명당 거의 한 명 인 셈이다 국제 연합. (United Nations)은 서기 2050년에는 80세 이상 노인이 지금보다 5배 많은 3 1,10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반세기를 내다본 것이라 아직 실감이 나지 않지만 우리나라도, 60세 이 상 남성이 전체 남성의 8%, 여성은 12%나 되므로 점차적으로 고령회 사회의 인구 구성 형태가 될 것이 틀림없으므로 지금부터 초고령화 시대에 대비해야만 한다.

(3)

고령화 사회가 될 때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만성 질환을 가진 노인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65세 이상 인구의 만성 질환 유병률이 87%임을 감 안해 볼 때 유병 장수 노인의 증가는 실로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노인성 질환. 중에서도 최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는 것으로 노인성 치매를 들 수 있다 지금까지는 흔히 노망 이라고 생각되어온. 치매는 만성적으로 진행하여 악화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의 감퇴와 함 께 성격 변화 및 이상 행동의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에도 지, 장을 초래할 수 있다 최성혜( , 1999). 치매는 치료가 어렵고 장기적인 치료를 요, 하는 퇴행성 질환이므로 일단 발병하면 치매 노인 자신의 삶의 질은 물론 치매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들에게도 많은 부담과 고통을 주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심 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황희숙( , 1998).

우리나라의 치매 노인 수치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은 되지 않고 있으나, 년 보건복지부에서는 세 이상 노인 중 약 가 치매 노인에 해당된

1997 65 4 5%

다고 하며 이러한 치매의 유병률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높아져서, 65 74 세까 지는 0.9%, 75세 이상에서 5.1%, 80세 이상에서는 8.8%로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995). 65세 이상에서 치매의 유병률에 대 하여 Park (1994) 10.8%이었으며 우종인 등, (1997) 9.5%로 보고하였는 데 이와 같이 연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해마다 증가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날이 갈수록 치매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치매가 병의 발생원인 조차 완전하게 밝혀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라 원인적인 관리적인 차원에서 접근 이 되어져 왔다 오병훈( , 1997). 현재까지 알려진 치매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정 신 사회적 치료로 대별되는데 약물 치료는 인지 기능의 호전과 다양한 문제 행, 동의 치료를 포함한다(Schneider, 1996). 의학적인 약물치료의 성과가 큰 진전 을 이루어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와 같은 약물은 알츠하이머의 인지 기능을 향 상시키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커다란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Maslow, 그러나 전체의 정도에만 보이는 효과와 부작 Selstad & Denman, 2002). 30%

용과 같은 약물치료의 제한성과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치매의 정신 사회적 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치, 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정신 사회적. 치료는 인지 기능의 저하 및 다양한 문제 행동의 출현으로 인한 환자 및 가족의 사회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돕는 치료로써 약물 치료의 한계로 인하여 치매의 치 료에 필수적이다 진복수 외( , 2000). 이러한 치료의 목표는 치매 환자의 주체성 을 유지시켜 질적인 삶의 유지 및 지속을 가능하게 하며 올바른 가족 관계 및

(4)

사회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다(Takman, 1992; Tariot, 1994). 치매도 관 심과 사랑을 가지고 치료 대책을 세운다면 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김범생( , 1993),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잔존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어 일상 생활 영위에 도 움을 주며 질병 경과를 늦출 수 있는 적절한 시도가 요구된다 김남초 외( , 그러나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치매 노 1999).

인의 잔존 능력을 최대한 살려 재활을 시도하고자 하는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 다 치매란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 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을 포. , , , , , 함하는 고도의 뇌기능의 장애이다 그러나 실어증이나 외상성 뇌손상과 같은 뇌. 기능 장애와 비교했을 때 치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심리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증진 인지기능 훈련 활동성 증가 훈련 사회적 기, , , 술 훈련 현실 지향성 치료 회상치료 인정치료 등을 통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 , , , , 적 측면을 연구한 보고는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상태이다 이것은 치매가 실어증이나 외상성 뇌손상과는 달리 퇴행성 질. 환이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김남초 등. (1999)은 치매도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잔존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면 질병 경과를 늦출 수 있다 고 보고하였다 언어 기능은 인지 기능과 함께 발달하는 것으로 따로 떼에서 생. 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치매 환자의 언어 기능에 있어서 재활을. 기대하며 또한 언어 손상의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므로 치, . 매 노인에게 있어서 신속한 진단을 통해 보다 조기에 그들의 잔존 능력을 살려 손상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 삶의 질이란 장기적이. 고 만성적인 질환을 가진 노인들에게 있어서도 무시되어서는 안 될 윤리적 문제 이다.

치매 노인의 언어적 특징을 살펴보면 정보와 관련이 적은 단어들과 정보에 대, 한 의미적인 내용의 감소(Appell et al., 1982; Bayles et al., 1985), 상투어의 반복(Bayles et al., 1985; Kempler, 1995), 주제 유지의 결핍과 주제에서 벗어 나는 경우 빈번함(Garcia Joanette, 1994), 지나치게 장황(Appell et al., 한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러한 치매 노인의 언어적 특징들은 일반적으

1982) .

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언어 특징을 거 의 잘 알아내지 못한다 오히려 유창하게 이야기를 잘 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매 노인의 언어적인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담화 수준에서. 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담화 분석은 언어치료사들에게서 신경. 언어학적 연구와 임상적 현장에서 최근의 관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담화 분. 석은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뇌손상으로 인한.

(5)

언어장애 환자의 경우 발화의 양적 질적 분석은 언어장애의 유형을 밝히거나, , 회복의 정도를 객관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치매로 발생하는 언. 어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방법이 된다 효과적인 담화 산출은 주의. 력 기억력 언어와 복잡한 인지적 프로세스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 .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담화의 체계적인 분석 방법 이 소개된 적이 없으며 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언어적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치매 노, 인의 언어 진단과 언어적 재활 프로그램의 구안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치매 유형별 언어적 특성 .

치매는 기억력과 지적 능력이 약해지는 질병으로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오는 기억력 및 정신 기능의 약화와는 다르다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건망증은 대개. 사소한 일들에 국한되어 있으며 개인의 생활을 심각하게 저해하지 않는다.

치매는 크게 가역성 치매와 비가역성 치매로 나눌 수 있다 가역성 치매란 원인. 질환을 치유하면 다시 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 치매를 말하며 우울증을 비, 롯하여 약물 알코올 및 화학물질 중독에 의한 정신과적 질환 등이 원인이 된다, . 또 전해질 이상 갑상선 질환 비타민 결핍증 일시적인 뇌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 , 감염성 뇌 질환 두부 외상 등과 이외에도 정상압력 뇌수종과 다발성 경색증 등, 도 가역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치매의 대부분은 비가역성 치매로 알. 츠하이머병 픽병 등을 포함한 퇴행성 뇌 질환이 대표적인 원인이며 혈관성치매, , 크루츠펠트 야콥병에 의한 치매 대사질환으로 인한 치매 알코올성 치매 등이- , , 이에 속한다.

혈관성치매 중 대표적인 것은 다발성 경색 치매로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이 다.

과거의 연구들에서는 치매의 정의가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R이나 와 다르다 또 그 연구들은 원인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실험실 검사 특히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 영상이 널리 이용되기 전, 의 연구들이므로 연구결과가 현재와는 다를 가능성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 병원에 내원한 치매환자를 살펴보면 알코올성 치매 외상후 치매, , 산소결핍 후 뇌증의 알츠하이머형 치매가 혈관성 치매보다 더 흔했다 박종한(

(6)

, 1987). 그러나 지역사회 노인들에게서의 치매 원인은 서구의 경우와 마찬가 지로 알츠하이머형 치매가 가장 흔했고 그 다음은 혈관성 치매였다 박종한 외, ( , 1991).

알츠하이머병 1.

피질성 치매의 첫 번째 유형으로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원인 질병으로 가장 흔 하고 원인적 치료가 불가능한 대표적인 것이다 대표적인 위험 인자에는 연령. , 성별 교육 수준 가족력 흡연 등이 있다 연령을 보면 치매 유병률은, , , . , 60세 이 후에 급증하여 매 5년 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별에 따른 치매. 의 유병률은 여성에서 더 높고 알츠하이머병 역시 여자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여기. 서 교육 수준은 환자의 생활 환경이나 직업 종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족력을 살펴보면 치매 환자가 있으면 친척에서도 치매가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65세 이후에 치매가 발병하면 그 이전에 발 병한 경우보다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흡연을 많이 할수록 치매도 비례적으. 로 높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니코틴이 치매를 방지한다고 알려지. 기도 했으나 이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가벼운 증후로 시작되나 해가 갈수록 급격해진다 병이 진. 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증후들이 나타나게 된다 초기 단계에서는 모든 증후가. 경도이며 행동의 극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운동 기능은 일반적으로 정상이, . 다 초기 단계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이 보이는 양상은 사건의 먼 회상에 경도의. 문제가 있고 새로운 학습에서 더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미묘한 기억의 문제가 있다 공간 시각적 능력의 손상 차원 그림 복사와 블록 도안 구성의 어려움 을. , (3 ) 가져온다 특히 새로운 장소에 대한 지남력 결여가 나타난다 운율 문제 판단의. . , 결여가 나타나고 기분 변화 우울 약간의 무관심이 나타난다, , .

언어적 손상을 살펴보면 초기에 언어는 인지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는다 초기, . 에 나타나는 언어 문제들은 명명하기의 가벼운 문제들로서 초기에는 자주 사용 하지 않은 단어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난다 구어 착어증과 장황함은 명명하기의. 어려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추상적 명칭 함축된 의미 유머를 이해하. , , 는데 미묘한 문제 그림 묘사의 어려움 주제 유지의 어려움 말의 반복 언어의, , , , 수용적인 측면 즉 이해의 손상 초기에는 대부분 언어 양상들이 말소리의 조음, , , 음성에 영향을 주지만 자동 구어와 같은 구문론적인 양상들은 영향을 받지 않는 다 말하기는 더 유창하고 연결피질. (transcortical) 감각 실어증의 말과 비슷한

(7)

양상을 보인다 실문법증이나 브로카 실어증의 쥐어짜는 듯한 말은 나타나지 않. 는다 병이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증후들은 다음과 같다 음소적 착어증이 나타나. . 고 대화에서 장황함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내용이 없는 말이 많고 쟈곤이 나타, . , 나며 유창하게 말한다 사리에 맞지 않는 말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 대화, . , , 가 빨리 진행되면 단어 사용의 혼란을 나타낸다 청지각 능력과 읽기 이해의 손. 상 소리내서 읽기에는 어려움을 나타내지 않는다 비교적 후기까지 잘 보존된, . 다 반향어 같은 말을 반복하며 단어의 마지막 음절을 반복 대화 시작의 어려. , , , 움을 보인다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말에 무관심하다 예 인사말 행운을 빌어요. ( : , ).

최종 단계에서 시간 장소 자신 타인에 대한 완전한 지남력 상실을 나타낸다, , , . 불분명하게 말을 빨리하게 되면서 명료도가 떨어진다 어떤 경우는 말더듬과 같. 은 언어적 특징을 나타낸다 비언어적 소리의 반복 또는 마지막에는 완전한 함. , 묵증을 보인다.

2. 픽 병

피질성 치매의 두 번째 유형은 픽병이다 픽병은. 1892년 정신과의사인 픽에 의 해 치매를 가진 남자를 치료하면서 기술된 것이다 희귀한 뇌의 퇴화 질병이며. , 알츠하이머보다는 낮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다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고. 20% 도 가족력이 있고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신경병리는 뇌 위축 뇌 부피가. ( 점진적으로 감소 이 환자의 약) 1/4이 측두엽에 나타나고, 환자의 1/4이 전두엽 에서도 나타난다 나머지는 양쪽엽에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 40 60 세에 발병 되고 발병 후, 6 12 년 정도 살 수 있다 여자보다 남자가 더 걸리기 쉽다는 보. 고도 있다.

픽병의 언어적 손상은 병의 후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증후이다 지적 퇴보가 계. 속 진행되며 알츠하이머형과는 달리 기억과 지남력은 좋으나 언어장애가 더 현, 저하게 나타난다 건망성 실어증 단어 찾기 문제와 직면하여 명명하기에 손상. ( ), 구어 착어증과 장황함 반복과 판에 박힌 말 의미 없는 말의 반복 동일 일화에, , , 대한 단조로운 회상의 반복 문자를 통한 글과 말한 것에 대한 이해의 손상을, 나타낸다.

3. 파킨슨병

피질성 치매가 운동 문제에 앞서 지적 퇴보 언어장애가 나타난다면 대조적으로, ,

(8)

피질하 치매에서는 첫 번째로 운동증후 떨림 경직 근육경련 가 나타나고 후기( , , ) 에 지적 퇴보가 나타난다 다양한 신경학적 질병들은 감염성 질병 면역결핍 바. ( 이러스 들과 관련된다) .

언어적 손상을 살펴보면 기억 감퇴가 나타나게 되면서 문제 해결 능력의 어려, , 움 추상적 추론에 어려움 단어 목록 작성의 손상 시각 공간적 인지의 손상이, , , , 나타난다 개념 형성에 관한 어려움 의기소침한 감정 심리적으로 우울한 경향. , , 이 많다 말소리 크기가 감소 목소리의 무미건조한 음색을 보인다 쉼 기간이. , . 문장의 시작 부분에서 특히 빈번히 나타나며 말의 속도의 비정상적으로 느리거, 나 또는 빨라진다 마비성 구어장애를 나타내게 된다 치매 후기 단계에서만 심. . 각한 명명실어증과 언어 이해의 문제를 보인다 글씨를 극히 작게 쓰는 경향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으로 인한 치매 환자는 실어증 증후 실인증 심각한 건망증. , , 은 증상은 드물다 지적 기능의 개선이 나타날 수 있으나 병이 진행됨에 따라. , 지속적인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4. 헌팅턴병

무도병으로도 널리 알려진 헌팅턴병은 미국의사인 헌팅턴에 의해 1982년에 기 술되었다 뇌의 특발적인 변성 질환의 경우이다 일반적인 신경병리는 전두 두. . , 정 영역의 일차적 뉴런의 소실이며 미상핵 피각 흑색질의 신경계 손상이 일어, , , 난다 발병원인은 가족력이 있을 수도 있으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어 영향. , 을 받은 자식의 50%가 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 헌팅턴병의 빈도는 남 녀 간에. 차이가 없으며 동일하게, 100만 명당 40 70 명이다 발병의 전형적인 연령은.

세에서 세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한다

35 40 .

병의 후기 증후로서 최종적인 단계는 환자가 무절제함 수면 장애와 반전을 경, 험할 수도 있다 어떤 환자는 과격하고 극단적으로 혼돈될 수 있다 당뇨병 심. . , 장병 폐병과 여러 가지 종류의 감염에 걸리기 쉽고 전형적으로 사망은 발병 후, ,

년 사이다 10 20 .

언어적 손상을 살펴보면 질병 후기에만 나타난다 단어 목록 생성에 어려움 간. , 단한 명명하기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고 마비성 구어장애가 나타난다 병의 최, . 종적인 단계는 침묵일 수도 있다.

혈관성 치매

5.

(9)

혈관성 치매 유형으로는 다발성경색치매 대뇌아밀로이드혈관증 다발성 대뇌 색, , 전증 두개의 동맥질환 심장성, , 치매 등이 있다(Kiloh, 1986; Scheinberg, 1988) 다. 발성 경색 치매는 시작이 급성이고 경과는 계단식으로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발성 경색 치매를 일으키는 뇌졸중은 큰동맥의 폐색보다는 세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이 더 중요하다 빈스왕거병은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 나는데 이들을 보면 대뇌반구 백질의 여러 곳에 위축이 있는 반면에 대뇌피질, 은 보존되어 있고 국소신경학적 소견과 진행성 치매 증상이 있다.

다발성 피질 경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발성피질경색은 피질과 피질하의. 병리와 함께 다양한 혼합성 치매를 산출한다 치매는 혈전증이나 색전증에 기인. 한 양측 다중뇌혈관 사고의 결과이다 대부분의 병인론적 요인은 뇌혈관 사고, . 결과 실어증을 초래하고 또한 뇌혈관성 치매를 초래할 수 있다 단일 경색은 국. 소적인 손상과 실어증의 전형적인 증후를 야기한 반면 다중경색은 확산된 손상 의 결과 결국 치매에 걸리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종종 MID로 불려진다.

병의 증후를 살펴보면 신경학적 증후 양측 추체로와 추체외로 증후는 사지경색, ( , 경련성마비 구부러짐 보행의 비정상 반신불수 무절제 를 나타낸다 언어적 결, , , , ) . 함은 뇌손상의 유형 빈도 손상의 위치에 달려있고 실어증과 실행증의 증후를, , 동반할 수 있다 치매 증후는 지적기능의 점진적인 퇴보 상반된 기억소실 판단. , , 력의 결여 사고와 추상적 개념과 행동의 퇴보를 포함한다, .

알코올성 치매 6.

알코올성 치매와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뇌증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잘 모르- 나 만성적인 과음이 치매를 일으키는 기전은 네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째 원인은 잘 모르나 만성 알코올중독자들에서는 뇌실이 확장되고 대뇌구가 넓, 어지는 대뇌위축이 있으며 그러한 변화는 특히 전두엽에 더욱 뚜렷하다 둘째, . ,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만성적인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뇌증이지만 만성경과를 취하- 는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알코올성 치매와 구별되지 않는다(Torvik et al., 셋째 뇌량 중앙 부위의 수삭과 축삭의 대칭적인 변성을 특징으로 하는 1982). ,

병이다 넷째 후천성간뇌변성 즉 만성간성뇌증이다 후천

Marchiafava-Bignami . , , .

성간뇌변성이란 간성혼수에서 호전된 환자들이나 만성 간장질환이 있는 사람들 에서 수년간에 걸쳐서 진전 고정자세불능 무도병 보행 실조 사지의 단수축, , , , 외에도 지적 기능의 장애가 따르는 경우를 말한다 후천성간뇌병변에서 중추신. 경계이 병변은 대뇌피질 기저핵 소뇌에서 신경세포의 반점성 괴사와 소실 피, , , 질 피질하 접합부와 피각에 다외공동형성이다- . Victor (1989)은 만성 알코올

(10)

중독 환자들에게 치매를 설명할 수 있는 특이한 중추신경계병리를 찾을 수 없다 는 이유로 알코올성 치매의 존재를 부정한다.

외상 후 치매 7.

두부외상 후의 치매는 극심한 상태인 지속적인 식물 상태로부터 경미한 지적 장 애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는 천차만별이다 지속적 식물 상태는 의식은 있으나. 모든 정신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서 보통 1년 내에 사망한다 이처럼 심한 상태. 가 아니면 수개월 혹은 수년에 걸쳐서 매우 서서히 호전되어 간다 그래서 정신. 기능의 둔화 반응의 둔화 기억장애 그리고 감정의 둔화 등의 증상이 특징적인, , , 영구 장애로 남는다 경미한 지적 장애가 있는 환자는 건망증과 주의 집중장애. 를 호소하나 정신측정검사들로는 환자들의 호소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경증과 감별하기 곤란하다.

산소결핍 후 뇌증 8.

산소결핍 후 뇌증은 외국에서는 대부분이 심장발작 때문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대부분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때문이다 양자가 다 같이 대뇌에 급성 산소결핍. 을 초래함으로써 신경정신의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 한 근거로는 양자간에 임상 양상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심박동 정지 후의 자기 공명영상 소견(Devolder et al., 1990)과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 후의 자기공명 영상 소견 장기현( , 1986)이 동일하며 또 일산화탄소 중독 후의 볼 수 있는 지, 연성 신경정신 의학적 후유증이 다른 원인으로 인한 산소결핍 후에도 보고되었 다 박종한( , 2000).

치매 복합 9. AIDS-

후천성면역결핍증은 중추신경계에 기회감염이나 악성종양을 일으킴으로써 정신 증상을 나타내는 것 외에도 바이러스가 직접 두뇌에 침범하여 급성 HIV 수막뇌 , AIDS-치매 복합 만성, HIV 뇌막염을 일으킨다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신경학적. 합병증에 대해서는 이미 수편의 종설이 발표되었다(Fenton, 1987; Fischer &

치매 복합은 일명 만성 뇌증이라고도 하며 신 Enzensberger, 1987). AIDS- AIDS

경학적 합병증 중에서 가장 흔하다.

(11)

환자들의 반 이상이 치매 복합이 나타난다 시작은 잠행성이고 증

AIDS AIDS- .

상은 진행성 치매 보행 실조 추체외로 증상 그리고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이상, , 들이다 인지기능장애는 수개월 동안 계속 악화되어서 함구증 혼수에 이르고 삽. , 관성 감염으로 사망하게 한다 뇌척수액 소견은 경도의 만성 염증성 변화를 보. 인다 뇌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은 피질의 위축과 뇌실 확대 등이 있고 초점성 병. , 소나 조명제 증강은 없다 신경병리학적 소견은 대뇌에는 위축이 있고 백질에는. 수초탈락 초점성 투명화 산란성 공포 다핵성 거대세포 등이 관찰된다, , .

가성 치매 10.

가성 치매는 원발성 정신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지적 장애를 발생시키고 신경, , 심리학적 이상의 양상이 신경병리학적으로 생긴 인지 기능 장애와 유사하다 또. 지적 장애가 가역적이며 이런 장애를 일으킨 원발성 신경병리학적 이상이 없는, 상태로 정의된다(Caine, 1981). 이 개념은 Kiloch(1961)에 의해서 처음 제안되 었고 원인 질병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우울증이, 다 특히 노인 우울증 환자들에서는 인지 기능 장애가 흔히 동반된다 가성 치매. . 는 정신의학적 치료로서 완전히 병전 수준으로 기능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치매 로 오진하는 실수가 없어야 한다.

담화의 정의 및 유형 .

담화(discourse)란 무엇인가라는 것에 대한 설명에는 여러 관점이 있다 우선. 언어 사용이라는 것은 구어에서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문어 의사소통 그리고, , 상호작용도 포함하는 것이다(van Dijk, 1997). 좀 더 상세하게 담화의 정의를 내려보면 다음과 같다.

구조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담화는 종종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된다.

하나는 언어의 특정한 단위 문장을 넘어선 단위 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의 사용( ) , 적 측면에 초점을 둔 경우이다 담화에 대한 이러한 두 가지 정의는 형식주의자. 와 기능주의자 패러다임 사이의 차이를 반영한다 전자는 담화를 구조로 보며. , 언어를 심적인 현상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이며 후자는 그것을 기능 또는 사, 회적인 현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각각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장을 넘어선 개념으로서의 담화로써 구조적인 관점에서의.

(12)

담화는 절 또는 문장의 다음 단계에 속하는 위치에 있다. van Dijk(1985)는 구 조적인 기술은 담화를 몇 가지 수준 또는 다양한 범주 스키마적 패턴이나 관계, 의 관점에서 특징을 부여한다 이처럼 다양한 측면에서 담화를 정의할 수 있지. 만 여기에는 핵심적인 공통점이 존재한다 즉 구조적인 분석은 여러 가지 다른. , 단위들이 서로간에 연계성을 가지고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담화가 한. 부분으로 있는 문맥과의 기능적인 관련성을 간과한다 두 번째 언어사용으로서. 의 담화는 언어의 사용적 측면에 대한 연구라고 주장한다 즉 담화는 우리의 사. 회적인 삶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바라본다 기능주의적 관점을. 가지는 연구자들은 담화가 문맥상에 어떻게 위치하며 의미를 갖는가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양명진( , 1999).

담화의 일관성 개념은 결속성이라는 개념과 대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자는. 형식언어학(formal linguistics)에서 지칭하는 심층구조(deep structure)적 측면에 존재하는 의미에 관여하는 것으로써 우리가 세계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담화에 존 재하는 내용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적절한 의미를 도출해 내는 데 적용되는 개 념이다 다시 말해서 텍스트나 담화에 언급된 사건의 진술에 대한 해석자가 소. , 유한 지식의 영향을 받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야기를 할 때 의사소. , 통이 되는 것은 의미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치매 노인. 과 같이 일관성에 결함이 있는 언어 사용자인 경우에서와 같이 어떤 개념에 일, 관성이 없다면 우리는 입력된 정보를 거의 이해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해 후. 자의 개념인 결속성은 표면 구조로 지칭되는 속성을 갖는다 양명진( , 1999).

담화의 유형에는 이야기 담화(narrative discourse), 절차적 담화(procedural

일화적 담화 대화적 담화

discourse), (expository discourse), (conversational

설명적 담화 등이 있다

discourse), (descriptive discourse) .

이야기 담화(narrative discourse)는 하나의 사건 일련의 연속된 사건의 형태로, 담화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식이다 예를 들면. 당신의 일상 생활에 대해 이야기 해 주세요 매일 하는 일은 무엇입니까. ? 그리고 가끔씩 하는 것들은 무 엇입니까?”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담화가 된다.

절차적 담화(procedural discourse)는 하나의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는 가를 조 직하여 말하는 언어와 관련된 담화이다(Ripich et. al., 1997). 어떤 선택된 단 계 목표 단계 상황을 포함하는 것 등 과제를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한 가장 중, , 요한 단계를 청자에게 알려주거나 가르치기 위해 이용되는 언어의 구성 요소이 다 절차적 담화는 무엇인가를 어떻게 해야할 지를 학습할 때 습득된 기술의 사. 용을 수반하는 절차적 기억에 의지한다(Schacter, 1996). 절차적 기억은 건강한 노인 개개인(Light, 1991)과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가진 개개인(Baeckmann,

(13)

과의 비교에서 에피소딕 기억에 비해서 비교적 보존되어 있고

1992) (episodic) ,

별개의 기억 체계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절차적 담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예는. 커피 끓이는 방법을 말해주세요 당신의 가족들 또는 친구들과 소풍가는 계

.”, “

획을 세우는 방법을 말해주세요 와 같은 것이다.” .

일화적 담화(expository discourse)는 개인적인 주제에 대해서 단순히 이야기하 는 할 때 나타나는 것이고 덜 구조적인 담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일화적 담화, . 를 촉진하는 질문은 섬광 기억학(flashbulb memory literature)에서 나온 것이 다 예를 들면.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 당했다는 소리를 들었을 때 당신은 어디 에 있었고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말해주세요, .”(Arkin & Mahendra, 2001). 광기억 연구의 주요 목적은 비정서적인 사건보다 정서적인 사건이 더 잘 기억하 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상된 기억. (memories recall) 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것은 정서적 사건이 분명치 않은. (neutral) 사건 보다 분명한 사건을 더 잘 기억한다는 것으로써 그들의 과거에서 사건을 구체화 하는 것들이 회상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드는 것이다.

대화적 담화(conversational discourse)는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활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가치가 충분한 이슈. (value-laden issue) 대한 대상자의 의견을 이끌어내기 위한 질문은 당신 친구의 딸이 임신을 했는 데 그 여자아이가 자기 엄마에게 말하기가 두렵다고 당신에게 말한다면 어떻게, 할건가요?”. 이 질문은 사후에 문제 해결력 평가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런 상황 을 가진 한 가족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라고 질문한다. 설명적 담화(descriptive discourse)는 그림이나 개인적인 것을 나타내는 사물 과 같은 자극물에서 나타나는 요소들의 서술과 관련된 것이다 주의 깊게 관찰. 하고, 그리고 자극 항목을 정확하게 서술한다. 일반적인 자극물은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 Norman Rockwell Easter Morning 그림과

그림이다 알츠하이머형 노인에게

Cookie Theft (Goodglass & Kaplan, 1972).

설명적 담화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Hier et al., 1985; Nicholas et al., 그림 서술 과제의 수행을 보여준 이 연구의 1985; Tomoeda & Bayles, 1993).

결과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로부터 나온 결과에서 언어적 결함의 민감한 지 표가 되었다. Hier (1985)은 그림 서술 과제에서 치매 노인은 정상과 비교해 서 더 적은 양의 그림을 묘사하였고 더 많은 양의 반복 행동 더 부정확한 문장, , 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유사하게, Nicholas (1985)은 알츠하이머형 환자가 환자보다 내용 없는 구와 반복이 더 많이 나타났다고 보고 Wernicke's aphasia

하였다.

(14)

담화 분석의 효용성에 대한 선행 연구 .

언어장애를 평가함에 있어 담화 분석은 환자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환자의 경우 발화의 양적. , , 질적 분석은 언어 장애의 유형을 밝히거나 회복의 정도를 객관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상적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뇌손상으로 인. , 한 언어 장애 환자의 자발 발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 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담화 분석은 치매로 발생하는 언어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방법이 된다 효과적인 담화 산출은 주의력 기억력 언어와 복잡한 인지적 프로세스간. , , 의 상호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담화 분석은 많은 시간이 소용되지만 알츠하. 이머형 치매 환자의 손상된 의사소통의 특징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충분한 가치 가 있다. Brownell Joanette(1993)는 담화를 사회적 의사소통의 기본 단위라 고 설명하였다 담화는 언어치료사들에게서 신경언어학적 연구와 임상적 현장에. 서 연구의 중재를 위한 최근의 관심분야 중의 하나이다.

는 과거의 문헌들이 사용한 담화 과제에서 담화의 질문 유형이 너 Ehrlich(1994)

무 구조화되었고 또는 한정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Shadden(1995) 담화의 형태와 기능에서 각기 다른 담화 과제의 여러 유형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담화. 의 각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 같은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담화 샘플 과제에 서 잘 반영되지 않는다. Shadden(1995)은 사용된 담화 과제와 측정된 담화 행 동의 유형에 따른 담화 수행에서 명사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신경학적으로 손상 된 대상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이질성분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담화 분석을 위한. 체계적 접근은 대화에 초점을 두는 게 중요하다. Ehrlich(1994)는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산출된 담화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고 비판하였다 종단적 연구로써. 가지의 연구 문헌들이 있다 그는 담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문장수준

7 . . “

또는 문장을 걸쳐서 확장되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언어 라고 하였다 . Ehrlich 는 기억이 많은 과제 한정된 이야기 과제 대상자 진단의 정확도 결여 사용된, , , 그림 자극물에서 정보의 복잡성과 양의 통제 결여 등을 연구의 방법론적인 면에 서의 결점이라고 보고하였다.

담화와 같은 자발화 분석은 여러 문헌들에서 의미가 있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 하고 임상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는데는 효율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고, 제기하였다(Busch et al., 1988; Cooper, 1990; Gaidde et al., 1991;

(15)

우선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내용 단위 Nicholas & Brookshire, 1993).

간주하는 기준 자체가 다소 모호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Orkston Beuklman(1980)은 자신들의 연구에 참여한 정상인들의 자발화에서 한번 이상 사용된 표현들을 모아 내용 단위의 목록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다른, 과제를 사용하려면 그때마다 그 과제에 적합한 내용 단위를 다시 정의하여야 하 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상인들도 보일 수 있는 오류 반응에 대해서는 따로 언. 급하고 있지 않다. Yorkston Beukelman(1980)은 그들의 연구를 통해 최초로 라는 자발화의 표준화된 분석 방법을 제시하 Analysis of Speech Sample(ASS)

였다 그 분석 방법의 주된 내용은 내용 단위. (content units)라는 단위로 정보 전달량을 측정하고 그 효율성을 분단 음절 수 및 분당 내용 단위 수, (content 로 측정하여 발화 속도와 정보 전달 속도의 객관적인 자료를 units per minute)

제시하는 것이다. Yorkston Beuklman(1980)의 연구에서는 78명의 정상 성인 대상으로 보스톤 실어증 감별진단검사(Boston Diagnostic aphasia 의 자극그림 을 보여주고 설명하게 하여 수집된 자 Examination) (Cookie Theft)

발 발화를 ASS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50명의 실어증 환자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분당 음절 수와 분당 내용 단위 수가 정상군과. 모든 중증도의 실어증 그룹들간에 유의미한 능력 차이를 보여주는 주요한 요인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 ASS법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들의 자발 발화 특 성을 밝히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Smith (1989)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군의 의미론 연구에서 그들의 분당 내용 단위 수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 미하게 적음에도 불구하고 내용 단위당 음절 수는 정상 대조군 보다 유의미하게 많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은 정상인과 같은 양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보다 많은 음절을 사용, 하는데 이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이 구어적 언어 수행에서의 간결 명료성, , 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명의 치매 환자에게 대화에서 사실적 정보의 양 Bourgeois Mason(1996) 4

을 증가시키는 데 있어서 사건 장소 가족에 대한 간단한 상황과 그림이 포함된, , 자극물을 이용한 연구를 보고하였다. Bourgeois(1997)는 간병인에 의한 문자 단서를 이용하여 치매 환자의 반복적인 말을 감소시키는데 성공하였다. Johnson Bourgeois (1998)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언어 중재프로그램을 보고하였다. 대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명 중 명이 언어 수행이 증가 또

90 , 22 13

는 유지에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보다 중요한 것은 간병인과 가족 구성. , 원에게 치매 환자와의 촉진적 의사 소통을 위한 구체적 충고와 지침을 마련해주 었다. Steven (1993)은 스크립트를 이용한 구조화된 질문과 대답을 통하여

(16)

그룹 구성원들간의 구어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는 중재 방법을 보고하였다.

은 그림 서술 과제에서 치매 환자는 정상과 비교해서 더 소수의 Hier (1985)

관찰을 했고 더 많은 반복 행동 더 부정확한 문장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유사, , . 하게, Nicholas (1985) ,은 알츠하이머형 환자가 Wernicke's aphasia 환자보 다 내용 없는 구와 반복이 더 많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Hopper (1998) 자극물로 인형을 이용한 중재 전과 후에 4명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담화 산출을 측정하였다. Mahendra (1998)은 개별적인 음악 중재를 이용한 중재 전과 후에 4명의 알츠하이머형 환자에게서 담화 산출을 분석하였다 두 개의 연. 구는 구체적인 자극물이 사용되었을 때 산출되는 정보 단위의 수에서 증가를, 발견하였다 또한 음악 연구도 연구되었으며 전체 명사에서 다른 명사의 비율이. ,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환자들. 의 담화 능력을 예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이 연구되지 않고 있다 치. 매 환자에게 있어서 발화의 양적 질적 분석은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 또한 담화 분석은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의 의사소통 결함을 파악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 의 언어는 문장 수준 이외에서는 언어적 기능을 평가해내기 어렵다. Coelho(1995)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언어를 미묘한 언어적 결함이라고 하였다. Prigatano (1986) 말이 많고 주제에서 많이 어긋나고 독특한 어법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들 연구, , . 에 의하 (Ehrlich, 1988; Glosser & Deser, 1990; Liles, 1989; Snow, 1995)

면 이야기 과업을 통해 유도된 구두적 산출의 양에서 외상성 뇌손상 피험자와 통제 집단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이들 연구(Biddle, 에 의 1996; Glosser & Deser, 1990; Hartley & Jensen, 1991; Snow, 1995) 하면 외상성 뇌손상 피험자들이 정상 통제 집단에 비해 이야기 과업 산출에서 정확도와 효율성의 저하로 구두적 붕괴가 증가한다고 입증하였다. 이들 연구 에 의하면 이야기 (Chapman, 1992; Glosser & Deser, 1990; Lilles, 1989)

과업을 통한 외상성 뇌손상 대상자들의 구문적 복잡성을 조사하였다 통제 집단. 에 비하여 탐지할만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구문에 대한 지식 및 사용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여러 문헌에 설명되어 있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와 관련된 담화 결함은, (1) 의미 없는 구어(empty speech)(Hier et al., 1985; Kempler, 1985; Nicholas 정보와 관련이 적은 단어들과 정보에 대한 의미적인 내용의 et al., 1985), (2)

감소(Appell et al., 1982; Bayles et al., 1985), (3) 단어 찾기와 어휘수정 어려움 돌려 말하기가 빈번함 착어증

(rettieval) , , (Hier et al. 1985;

(17)

선행사가 없는 대명사의 높은 비율 Kempler, 1995; Kirshner, 1984), (4) (Hier

상투어 반복

et al., 1985; Kempler, 1995), (5) (Bayles et al., 1985;

문체의 결합력과 일관성의 감소

Kempler, 1995), (6) (Appell et al., 1982;

주제 유지의 결핍과 Ripich Terrell, 1988; Ripich et al., 1983, 1988), (7)

주제에서 벗어나는 경우 빈번함(Garcia Joanette, 1994; Kempler, 1995;

지나치게 장황함 추상

Cllatowska et al., 1986), (8) (Appell et al., 1982), (9) 적인 언어에 대한 대화의 어려움(Kempler, 1995) 등이다.

요약 및 결론 .

치매 노인의 언어적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언어 특징을 거의 잘 알아내지 못한다 오히려 유창하게. 이야기를 잘 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매 노인의 언어적인 문제. 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담. 화 분석은 언어치료사들에게서 신경언어학적 연구와 임상적 현장에서 최근의 관 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담화 분석은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언어 장애의 평가에 있어서 담화 분석은 환자의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환자의 경우 발화의 양적. , , 질적 분석은 언어 장애의 유형을 밝히거나 회복의 정도를 객관화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치매로 발생하는 언어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의미 있. 는 방법이 된다 치매 노인의 언어적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언어 특징을 거의 잘 알아내지 못한다.

오히려 유창하게 이야기를 잘 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치매 노인. 의 언어적인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 다고 고려된다 담화 분석은 언어치료사들에게서 신경언어학적 연구와 임상적. 현장에서 최근의 관심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담화 분석은 구어 의사소통 능력. 을 측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치매 노인의 담화 분석을 통하여 치매 유형의 감별 진단지를 구성해 본다면 치 매 집단을 판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할 것이다 또한 정상 노인의 담화 손상 정. 도를 발견함으로써 치매 조기 진단지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 매 노인의 언어 치료 시 치료사는 노인의 담화가 주제에서 벗어났더라도 그 담,

(18)

화에 대한 직접적인 수정보다는 원래의 주제로 돌아 갈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언어적 촉구를 해줘야 한다 치매 유형별로 담화가 다른 특징을 나타낼 것이므. 로 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또한 치매 노인뿐만 아니. 라 뇌손상 노인의 언어 장애의 특성을 밝히거나 회복 정도를 객관적으로 규명함 으로써 임상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관련 문서

 사회적 행동에 관한 베버의 연구는 개인의 행동만 중요한 분석 단위로 보았으며, 사회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은

실제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라도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4~5 명씩 팀을 이루어 작성하시오... •

• 아이들은 어떠한 특별한 도움없이도 그들이 노출되는 언어 자극을 뛰어넘어 복잡한 문법을 습득함.. •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들이 UG를 활용할 수 있는

 동기: 행동과 작업의 원인이 되는 내적 조건으로서 행동과 작업에 에너지와 목표를 부여하는 과정.  결핍동기 충족된

Communication effectiveness lies in the accuracy of facts, statistics, and decisions. • Effective managers are at the center of information / to facilitate task

| 상거래 사건 틀과 같은 의미적 틀은 발화사건과 독립적으로 지식 목록을 기술하지만 발화사건 틀은 담화 문맥이나 의사소통 문맥에 틀

사춘기 이후에 여러 형태의 언어 발달이

언어 체계가 언어 사용에 의존한다면 화자가 특정 낱말이나 다른 종류의 구문과 마주치는 상대적인 빈도가 언어 체계의 본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결과.. -가장 고착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