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 방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사회 방언"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 사회 방언

① 모든 사회에는 사회적 경계(social boundary)와 계층적 차이 (class difference)가 존재하며 이들이 형성하는 언어는 지역 방 언의 물리적 장벽만큼이나 구속력이 강하다. 이러한 사회 집단 안 에서 별개의 방언이 형성되고 진화해 간다.[Fromkin 외 2010:

439]

② 동일한 지역에서도 다양한 사회적 변이(예: 사회계층, 인종, 종교, 세대, 성별 등)에 의해 언어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③ 지역 방언이 주로 농어촌 등의 시골 사람들의 말에 초점을 둔 것이 라면, 사회 방언은 주로 도시 사람들의 말에 초점을 둔다.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표준어 규정’

(1988)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 표준어에 나타난 사회계층

(2)

4 사회 방언

❶ ‘car, far, barn’ 등의 발화에서 [r] 발음의 유무

① Labov(1966)의 연구: (미국 New York) 사회경제적 지 위가 높을수록 [r] 발음 비율이 높고 낮을수록 [r] 발음 비율이 낮다.

② Trudgill(1974)의 연구: (영국 Reading) 중산층은 모음 직후의 [r]을 전혀 발음하지 않은 데 반해 노동자층은 중 산층보다 [r] 발음이 많았다.

❷ 안동지방의 어휘 ‘할아버지’

[이익섭 2004: 376]

① 양반층: ‘큰아베’ ② 서민층: ‘할베’

(3)

4 사회 방언

❶ 음운 차이 ① [i] vs. [e]

(예: pin vs. pen bin vs. Ben tin vs. ten) SAE: [i] ≠ [e]

AAE: [i] = [e](중화) ② 치간마찰음(ð, θ)의 유무

SAE: 모두 존재

AAE /θ/ → [f]: think [fink]

/ð/ → [v]: brother [brʌver]

/ð/ → [d]: this, that, these, those

 SAE(Standard American English)

vs. AAE(African American English)

(4)

4 사회 방언

❷ 통사 차이 (AAE의 특징)

① 다중부정(Multi Negatives) He don’t know nothin(g).

I ain’t afraid of no ghosts.

② ‘be’ 탈락

He [is] nice. I [am] gonna do it.

 SAE(Standard American English)

vs. AAE(African American English)

(5)

4 사회 방언

❶ 어휘 차이 ① 한국어

<예> 형 vs 오빠 언니 vs 누나

어미의 길이(남자보다 여자가 상대적으로 길다.)

② 일본어

<예> 맛있다: oishii(여성어) umai(남성어)

나: watashi(여성어) boku(남성어)

(6)

4 사회 방언

❷ 문법 차이

③ Yana(북미 인디언어):

여성형 어휘 + ‘-na’ = 남성형 어휘 <예> 사슴: ba(여성어) bana(남성어)

불: ʔau(여성어) ʔauna(남성어)

④ Koasati(미국 루이지애나 지역 토속어): 남자가 사용할 때 /s/로 끝나는 단어를 여자는 /l/ 또는 /n/으로 바꾸어서 사용

<예> “lift it”

남자: lakawhos vs. 여자: lakawhol

⑤ 히브리어

[Rowe & Levine 2009: 213]

‘I love you.’

남성에게 말하는 경우: ani ohɛvɛt otxa 여성에게 말하는 경우: ani ohɛv otax

(7)

여성 언어의 한 가지 분명한 음성적 특징은 주로 짧은 성도(vocal tract)에서 비롯되는 비교적 높은 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에서는 남녀의 음높이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생리학적으로만 설명할 수 있기보다는 더 커서 아마도 언어습득기간에 시작된 사회 적 요인이 작용하는지도 모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거릿 대처 전 영국수상은 정치적인 이유로 자신의 음의 높이를 바꾼 것으로 유명하다. 대처의 일상적인 음성은 아주 높고 다소 날 카로웠다. 그는 음성을 낮추어 천천히 말하고 억양이 없이 더 권위 있는 남자 목소리를 내도록 자문위원들의 권고를 받았다. 이러한 인위적인 말투는 그녀의 대중연설의 큰 특징이 되었다. [Fromkin 외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성낙일 외 번역 <현대영어학개론>

2011: 526]

4 사회 방언

(8)

4 사회 방언

<예> 장모님 vs. 어머니 도련님 vs. 삼촌

형님 vs. (큰)고모

여보 vs. 자기

(9)

 우리말에서 사회 방언의 예를 3개 이상 찾아보자.

① 사회 계층에 따른 차이 ② 성별에 따른 차이

생각해 봅시다 3

(10)

모든 사람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스타일의 언어를 구 사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미국흑인영어와 표준미국영어 사이 에서 코드전환을 하듯이, 모든 사람들은 주어진 상황, 공식성의 정도, 대화 상대자에 따라 적절한 언어스타일, 즉 언어사용역(register)을 선택한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와 상점의 점원과 이 야기를 나눌 때 우리는 서로 다른 스타일의 언어를 구사한다. 어린아 이와 이야기를 할 때에는 우리가 정부의 관리와 이야기할 때와는 다 르게 이야기한다. 우리와 동일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이 야기를 하는 경우와 우리의 전문분야를 모르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 를 하는 경우에 우리는 완전히 다른 스타일의 언어를 구사한다. 적절 한 상황적 방언, 즉 언어사용역을 구사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의 끈끈 한 연대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상하지 않 도록 공손하게 처신하려는 욕망, 혹은 전문가나 동료로서의 신뢰성 을 확립하려는 욕망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Rowe & Levine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 장영준 외 번역 <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 2007: 239]

4 사회 방언

(11)

5 언어와 문화

해당 언어가 갖는 문화를 모른 채 그 언어의 구조만 완 벽히 공부했다면 그 언어를 완벽하게 알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언어를 가르칠 때 관련된 문화를 함께 가르치는 것이 더 좋을까?, 예를 들어, 한국어 경어법을 문법적으로 가르치는 것과 장유유서나 정(情)의 문화와 연결하여 가르 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좋을까?

(12)

5 언어와 문화

언어를 문화와 연결하여 가르치는 방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은 없는가?

*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원래 유럽의 문화와 예술에서 나타난 동방 취미(東方趣味)의 경향을 나타냈던 말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동양과 서양 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여 동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성이나 동양에 대한 서 양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서양의 동양에 대한 고정되고 왜곡된 인식과 태도 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두산백과]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 인류학의 한 영역으로서 인간의 문화를 기술(記述)·분류·비교·설명하는 학문)의 하위분 야로 언어인류학(linguistic anthropology)의 탄생

(13)

언어인류학(言語人類學, linguistic anthropology)은 고고학(考古學, archaelogy), 체질인류학(體質人類學, physical anthropology), 사회문화 인류학(社會文化人類學, socio-cultural anthropology)과 함께 인류학(人 類學, anthropology)의 주된 하위 분과를 이룬다. 인류학의 하위 분과로서 의 언어인류학은 ‘문화로서의 언어 연구’ 또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인류 학적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미국 인류학의 전통에서 발전하였다.

미국의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Franz Boas, 1858~1942)가 언어에 대한 이해가 연구 대상 문화의 이해에 필수적임을 주장했던 것과 같이 인류학에 서의 언어 연구는 인류학의 주된 방법론인 현지조사의 주된 도구로서, 또한 연구 대상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서 강조되어 왔다. 초기에는 주로 북미 인디언의 언어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어, 주로 문자가 없는 소규 모 단순 사회의 언어와 구조를 기록하기 위한 인류언어학(人類言語學, anthropological linguistics)이나 언어와 문화, 인지의 연결을 탐구하는 민 족과학(民族科學, ethnoscience)의 분야가 발전하였다.

5 언어와 문화

(14)

이후 1960년대에 들어서는 특정 언어공동체(speech community)를 대 상으로 여러 가지 ‘말 상황(speech event)’과 그러한 언어 사용과 연관되 는 사회적 요소들을 살펴보는 ‘말하기의 민족지학(ethnography of speaking)’ 또 는 ‘ 의 사 소 통 의 민 족 지 학 (ethnography of communication)’이라는 분야가 발전하였다. 미국의 인류학자이자 민속 학자인 델 하임즈(Dell Hymes, 1927~2009)에 의해 발전된 의사소통의 민족지학은 언어학(言語學, linguistics)의 연구 주제와는 차별되는 인류 학적 언어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하여 ‘언어의 관점에서 언어에 대한 지식을 통합하는 것’을 언어학으로, ‘인간의 관점에서 언어에 대한 지식을 통합하는 것’을 언어인류학의 과제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언어학에서는 언어의 구조, 즉 문법적인 측면에서의 기술과 분석을 주된 학문의 과제로 삼는 반면, 언어인류학에서는 언어와 언어 사용에 대한 기술과 분석을 통 해서 대상 사회의 사회관계나 문화적 지식의 측면에 도달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서로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5 언어와 문화

(15)

1980년대 후반 이후에는 인류학 전반의 보다 정교화된 이론적 발전과 함 께 보다 광범위한 인류학적 관심사를 언어적 방법과 자료를 통하여 분석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컨대, 특정 집단의 정체성의 문제나 권력의 문 제를 각종 언어 현상을 통하여 분석하려는 연구영역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따라 언어인류학은 특정 언어 사용의 기술과 분석에만 그치 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언어 사용을 매개하는 보다 거시적인 사회구조의 문제, 또는 문화적 가치와 언어 이데올로기(language ideology)의 문제 를 다루는 영역으로 보다 확장되었다. 이러한 언어인류학의 발달 과정과 주된 이론적 경향을 보았을 때 언어인류학은 언어를 문화와 사회적 행위 의 일부로 상정하고, 언어와 문화,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한 분야라고 광범위하게 정의내릴 수 있을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인류학 [Linguistic anthropology] (학문명백과 : 사회과학, 형설출판사)

5 언어와 문화

(16)

5 언어와 문화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와 함께 언어상대주의 출현

“모든 문화는 똑같이 복잡하고 똑같이 도덕적이며, 똑같이 지적으로 만족스럽다. 문화는 다만 해당 문화가 전개되어 온 환경으로 인해서만 차이가 날 뿐이다.” “따라서 특정한 문화권의 사람들이 왜 특정한 문화적 행위를 하는지를 이 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화 내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 다.”[Rowe & Levine(장영준 외 번역) 2007: 256]

(17)

5 언어와 문화

❶ 개념

① 모든 언어는 똑같이 복잡하고 표현력이 풍부하며 완전한 체계 를 갖추고 있다는 견해

② 언어 간의 차이는 해당 문화의 사람들의 지적 능력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들의 문화와 그것에 관해 소통하고자 하는 필요성의 반영에 의한 것

<예> • 에스키모어의 ‘눈’(다수 어휘)

vs 아즈텍어의 ‘눈, 얼음, 추위’(하나의 어휘)

• 한국어의 ‘쌀’(다수 어휘) vs. 영어의 ‘쌀’(하나의 어휘)

(18)

5 언어와 문화

❶ 개념

③ 특정 언어의 어휘부는 단순히 단어와 의미의 목록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험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체계

④ 특정 문화는 그 문화 안을 들여다보면 이해되듯이 언어도 그 언 어 안을 들여다볼 때 비로소 이해 가능하다.

<예> • “네가 먹은 그릇은 네가 씻어라”: 한국어 OK 영어 NO • His son is a doctor. vs. 그 사람은 아들이 의사야.

(19)

5 언어와 문화

❷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① 환경은 사람들의 세계관을 만들고, 그러한 세계관은 언어로 표현되며,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러 한 세계관을 가지도록 해 주는 방식으로 말하고 생각하도록 강화시킨다.

② 훔볼트(Humboldt, 1767~1835): 독일 언어철학자. 언어상 대주의의 첫 주창자

(20)

5 언어와 문화

❷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 한 민족의 사고방식이나 세계를 보는 눈이 다 른 민족의 그것과 크게 차이 나는 이유는 자신 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내적 구조가 다른 국민 이 쓰고 있는 언어의 구조와 다르기 때문

 개인의 사고방식뿐만 아니라 그가 세상을 인식 하는 방법, 즉 세계관까지도 언어구조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 우리의 사고 과정이나 경험 양식은 언어에 의 존하고 있다. 언어가 다르면 사고와 경험 양식 도 달라진다. [김현권 외 2010: 229]

<베를린 훔볼트대학에 세워진 훔볼트 동상>

(21)

5 언어와 문화

❷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③ 주시경(1876~1914) 『국어문법』(1910) 머리말

“하늘이 땅을 따로따로 만들어 한 땅에 한 겨레가 생겨나서 한 겨 레에 한 말이 나타나게 하였다. 이리하여 하늘의 뜻에 따라 그 땅에 그 겨레가 살기에 마땅하며, 그 겨레는 그 말을 쓰기에 알맞은 자연 사회로서 나라가 이루어져 각각 독립하게 되었으니 그 땅은 독립 의 터이고 그 겨레는 독립의 몸이며 그 말은 독립의 본성이다. 이 본성이 없으면 몸이 있어도 그 몸이 아니며, 터가 있어도 그 터가 아니니 그 나라의 잘되고 못됨도 말의 잘되고 못됨에 달렸고, 그 나 라의 있고 없음도 말의 있고 없음에 매여 있다.”

(22)

 조선어학회 사건(1942)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우리말 지키기 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생각해 봅시다 4

(23)

5 언어와 문화

❷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④ 사피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

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은 서로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 그 이유는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들로 하여금 그렇게 하 도록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각 개인들이 세상을 보는 방식은 자신의 주변을 둘러싼 세상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에 달려 있다.

 우리는 모국어가 시키는 대로 자연세계를 분절한다. 어린이의 언 어습득과정에서 그의 인식의 세계가 그의 언어구조로부터 결정 적인 영향을 받는다.

“...우리의 사상은 우리의 언어에 의해 결정되고 통제된다. 아무 도 이 세상을 중립적으로 묘사할 수는 없다. 우리는 이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파악하도록 (언어에 의해) 강제되고 있다...”

[장영준 외 번역 <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 2007: 259]

(24)

5 언어와 문화

Sapir & Whorf

사피어와 워프는 언어학자이자 문화인류학자로서 현장답사를 통해

르포 형성에서부터 미지의 언어를 실제 분석하기까지 많은 언어 자

료를 제공한 학자들이다. 그들은 인도-유럽어 중심의 사고에 물들어

있던 서구 지성계에 언어 간의 대조를 통하여 인디언들의 문화와 언

어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인디언의 문화가 서구의 문화와 어

떻게 다르고 왜 다른가에 대한 해답을 언어에서 찾아 제시함으로써

지적 충격을 주었다. 이들의 연구가 결국 미국식 구조주의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미국의 분포주의 언어학에 매우 중요한 초석이

된 것이다. 구조주의 인류학자로 유명한 레비스트로스(c. Lévi-

Strauss)의 『슬픈 열대』도 미개문화의 정황을 정밀하게 기술, 보고하

여 구조주의 언어학적 시각이 인문학 전반에 퍼져 수용되었음을 보

여주고 있다.

[김현권 외 2010: 229]

(25)

5 언어와 문화

Hopi어의 복수(複數, plurality)에 대한 개념

각 언어의 문법은 해당 언어의 화자가 자신이 속한 문화권에서 중요한 개념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규칙들을 내포하고 있다. 가령 유럽의 언어들은 주어진 개체가 하나 이상 있을 경우에 days, boys, friends와 같은 단어에서 보듯이 복수 라는 개념이 표현되도록 한다. (중략) 물론 영어에는 rice, sand, milk처럼 소위 불가산명사라 하여 복수형을 만들 수 없는 어휘들도 있다. 이러한 명사들은 연속 적이고 분해할 수 없는 물질로 인식되는 사물들을 지시한다. 이러한 명사들을 복 수명사로 바꾸는 방법은 그러한 명사들을 bags of rice, buckets of sand, bottles of milk처럼 셀 수 있도록 분할하는 것이다.

워프(Whorf)는 호피어를 연구하면서 호피어에는 복수형으로 표현될 수 없는 명 사도 있음을 주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명사들은 영어의 불가산명사와는 다르다.

호피어에서 day, month, season과 같은 시간의 분할 단위는 복수형이 인정되지 않는다. 워프는 이러한 명사들을 실제의 복수형 명사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상상의 복수형이라 불렀다. 상상의 복수형은 그러한 명사들에 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들 의 마음속에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five boys는 다섯 명의 젊은 남자들을 한 자 리에 모아놓고 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찰할 수도 있고, 또 다섯 명 각각을 한 사람씩 별도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 복수라고 할 수 있다.

(26)

5 언어와 문화

Hopi어의 복수(複數, plurality)에 대한 개념

그러나 day, month, season 등과 같은 개념들은 반드시 한 번에 하나씩만 경험될 수 있다. 우리는 한 번에 하루 이상을 보거나 경험하지 못한다. 우리 가 주어진 시간에 경험하는 것은 딱 그 날 – 오늘 뿐이다. 따라서 영어 화자 가 days라는 복수형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들은 마음속으로 24시간을 한 주 기로 하는 특정한 기간을 상상할 것이다. (중략) 이 시간들은 실질적이거나 관찰 가능하지 않다. 호피어는 이러한 명사들의 경우 복수형을 허용하지 않 고 호피어 화자들은 개별적인 날짜들의 집합을 상정하지 않는다. 사실 호피 어 화자들은 연이은 날들이 서로 다른 것이고, 구분되는 것으로 인식하지 않 고[오늘은 어제와 다른 하루로 인식하지 않고/YH], 하루하루가 전날의 재현 이라고 생각한다[매일의 반복으로 생각한다/YH].

[Rowe & Levine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 장영준 외 번 역 <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 2007: 258]

(27)

1) Rowe & Levine(2006)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의 pp. 220~223 “Does Language influence Culture, or Culture influence Language?”(장영준 외 번역 『초보자를 위한 언어학 개론』(2007: 261~264)를 읽고 언어와 문화와의 상 관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2) EBS 다큐 프라임 <동과 서 1부: 명사와 동사>를 보고 감상문을 써 보자.

생각해 봅시다 5

(28)

사회언어학, 지역방언(표준어와 방언), 방언학, 언어지도, 등어선, 언어지리학, 이중언어, 양층 언어, 링구아 프랑카, 피진어, 크리올어, 사회방 언(사회계층, 인종, 성별, 나이 등), 언어사용역, 언어인류학, 언어상대주의. 사피어-워프 가설

3 주요 개념 및 용어

(29)

1 참고문헌

• 김현권 외(2010),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편(2014), 「한국어교육학사전」, 도서출판 하우.

• 이기동 외 역(1999),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한국문화사.

• 이익섭(2000), 「국어학개설」, 학연사.

• 이정민 외(1999), 「언어학사전」, 박영사.

• 이철수·김준기(2000),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 Crystal, 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publishing.

• Fasold, R. & J. Conner-Linton(2014)(ed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2nd edition, CUP.

• Fromkin, V., R. Rodman & N. Hyams (2013), An Introduction to Language(9th edition)(「현대영어학개론」, 성낙일·박의재 역), Cengage Learning.

• Matthews, P. H.(2014),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OUP.

• Rowe, B. M. & D. Levine(2006),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2nd edition)(「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2007), 장영준·유재기·

박명관 역), Pearson Education, Inc.

• Yule, G.(2006), The Study of Language(「율이 들려주는 언어학 강의」, 노진 서·고현아 역), CUP.

(30)

13주차.

언어와 지역‧사회‧문화

(31)

1)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에 대해 말해 보자.

2) 사회 방언을 이루는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말해 보자.

3) 이중언어, 링구아 프랑카, 피진어, 크리올어의 개념에 대해 말해 보자.

4) 언어상대주의의 개념에 대해 말해 보자.

4 형성평가

참조

관련 문서

때문에 소설일반에 대한 이론이 미흡함으로써 문학 이론 혹은 비평 이론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후기로 올수록 신비평가들은 지나친 사실성, 작품의 객관성만을 탐구함으로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언어 문화적 특징. 언어의 사회 통합, 사회통제 등의 기능과 일상생활관련

과학의 언어와 시의 언어가 이와 같이 좋은 대조를 보이는 것은 그 양자가 언어 전달의 양극단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지 과학의 언어 를 포함한 보통의 언어와 시의 언어를 엄연히

이처럼 북한은 언어 도구관에 입각하여 주체적 언어 사상과 주체적 언어 이론을 정립하고 이의 추진을 위한 언어 정책을 시행하였는데,언어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다음

 미국의 양형 개혁은 1975년 이전에 반세기 이상 미국 의 사법제도의 근간이었던 부정기형 (indeterminate sentencing) 원리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한다고 할 수

€ 문법화 : 문법적 또는 폐쇄 부류 요소가 개방 부류 체계로부터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언어 변화의 과정?.

사춘기 이후에 여러 형태의 언어 발달이

언어 체계가 언어 사용에 의존한다면 화자가 특정 낱말이나 다른 종류의 구문과 마주치는 상대적인 빈도가 언어 체계의 본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결과.. -가장 고착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