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막스 베버와 사회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막스 베버와 사회학"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막스 베버 1: 합리성

 막스 베베의 생애와 학문

 사회과학 방법론: 반실증주의, 가치중립성

 이념형

 사회적 행동

 합리성과 합리화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세계의 종교

 합리성 비판

(2)

막스 베버 (Max Weber, 1864-1920)

 막스 베버도 마르크스와 같이 사회학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 관심 을 가진 학자이었으며, 마르크스와 함께 고전 사회학에서 가장 커다란 영향을 준 사회학자이다.

 일찍 학계의 주목을 받았던 베버는 마르크스와 달리 평탄하게 교 수의 직위를 얻을 수 있었다. 베버의 첫 교수직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경제학과에 시작했으며, 나중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 수가 되었다.

(3)

베버 부부와 독일의 지식사회

 부인 마리안느(1870-1934)는 활동적인 페미니스트이었으며, 베 버 부부는 20세기 초반 독일의 지식인 서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 ‘베버 서클’은 알프레드 베버, 에른스트 트뢸치를 포함했으며, 하 이델베르크에 있는 베버의 자택에서 매주 일요일마다 세미나를 개최했다.

(4)

막스 베버와 정치

 베버는 정열적으로 정치에 관심을 가졌으며, 자유주의적 민족주 의자로 국민자유당, 민주당에 관여했다.

 베버의 학문적 관심은 항상 현실적 문제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 1898년에는 독일의 역사학파 경제학자와 강단사회주의자들이 참여한 ‘사회정책학회’의 창립에 관여하기도 했다.

(5)

막스 베버와 사회학

 베버는 1919년 53세의 나이에 뮌헨 대학교에 사회학 석좌교수 로 초청을 받고 받고 이를 수락했다.

 교수 취임을 기념하는 강연으로 발표했던『직업으로서의 학문』과

『직업으로서의 정치』이라는 2 개의 강의가 유명하다.

 생전에 시작한 저작인 『경제와 사회』는 사후에야 출판되었다.

이는 사회학의 고전적인 저서로 꼽힌다.

(6)

사회과학 방법론

 베버는 체계적으로 사회과학의 철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사회학 의 다양한 개념을 완벽하게 정의하기 위해 노력했다.

 ‘사회적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의도, 관념, 가치, 신념 등에 대한 이해 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이러한 이해(verstehen)는 문화와 개인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를 필요로 한다.

 사회적 행동에 관한 베버의 연구는 개인의 행동만 중요한 분석 단위로 보았으며, 사회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은 거부했다.

(7)

실증주의 비판

 베버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이 방법론을 공유한다고 보는 실증 주의를 반대했다.

 이러한 베버의 사고는 신칸트학파 철학의 영향이 컸다. 빌헬름 빈델반트, 하인리히 리케르트가 당시 독일 철학을 지배했다. 신 칸트학파의 철학은 ‘현상(우리가 인지하는 외부세계)’과 ‘의식(인 지하는 의식)’을 구분했다.

 베버도 사회학에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구분했다. 사회과학 은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는 형태에 관심을 가진다.

 자연과학에서는 법칙의 정식화를 추구한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목적은 ‘해석적 이해(verstehen)’이다.

 사회학은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인과적 설명’과 ‘사회적 행동’

을 이해하고자 한다.

 인간 사회는 기회의 문제가 아니라 ‘확률’의 문제이다. 사회과학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간의 이성적 행동이다.

(8)

가치 중립성 (몰가치성)

 베버는 철학적 차원에서 가치 중립성(value freedom)의 이론을 제기했다.

 가치 중립성은 가끔 객관성(objectivity)과 관련을 가진 단순한 개 념으로 잘못 해석되기도 한다.

 베버는 과학과 사회학의 선택은 가치의 선택이기 때문에 도구적 이성으로 정당화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어떤 문제를 연구의 대상으로 결정하는가도 선택의 문제이다. 이 러한 선택을 한 후에야 사회학적 연구는 가치 중립적(value-

free)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 그 후 사회학적 연구의 합리적 일관성은 과학자 집단의 비판에 따라 다른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어떤 연구에서 ‘합리적’인 것은 역사적 변화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 사회과학적 연구에서는 곳곳에 가치와 관련된 문제와 부딪힌다.

이는 개인적 사회학자가 가지고 있는 가치만이 아니라 사회과학 자가 속해있는 공동체와 전반적인 문화의 문제이기도 하다.

(9)

이념형

 사회과학의 적절한 대상은 사회적 행동이다. 사회적 행동은 중요 한 타자를 향한 행동이며,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는 행동이다.

 사회학은 ‘이념형(ideal type)’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사회적 행동

’에 대한 해석적 설명을 시도한다.

(10)

사회적 행동의 이념형

 베버는 사회적 행동을 전통적 행동, 감정적 행동, 가치-합리적 행동, 목적-합리적, 도구적 행동으로 분류했다.

 전통적 행동은 이전에 항상 수행된 습관이나 전통을 기반으로 하 는 행동이다.

 감정적 행동은 감정에서 비롯된 행동이다. 가치-합리적 행동은 궁극적인 가치를 향한 행동이다.

 목적-합리적, 도구적 행동은 특정한 목적을 추구하는 행동이다.

 이 가운데 가치-합리적 행동과 목적-합리적 행동은 합리적 행동 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 베버는 궁극적인 가치나 목적이 없는 합리적 선택은 없다고 주장 했다. 인간의 행동은 일단 선택이 이루어지면 합리적 수단에 의 해 추구된다고 보았다.

(11)

합리성

 합리성(rationality)은 자본주의를 분석하기 위한 베버의 핵심 개 념이다.

 인간 행동의 모든 측면은 계산, 측정, 통제에 따라 좌우되는 과정 이다. 합리적 조직화는 관료적 수단에 의한 공장의 조직화와 체 계적인 회계 절차를 통한 이윤의 계산에서 잘 나타난다.

 종교에서도 지적 계층이 등장하여 신학이 발전하면서 마술이 사 라지고 성사(聖事) 대신에 개인적 책임이 강조된다.

 법률에서도 보편적 법률을 기초로 연역적 법률의 합리화가 이루 어지면서 자의적 법률은 약화된다.

 정치에서는 정당성의 전통적 규범이 약화되고 정당 조직이 커리 스마(charisma)를 가진 지도자를 대체한다.

 도덕적 행동에서는 원칙과 훈련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진다.

 과학에서도 개인적인 창조가 쇠퇴하고 조작화를 이용하는 실험 과 국가가 주도하는 과학정책과 연구 팀이 발전한다.

(12)

합리화

 인간 사회에서 합리성이 광범위하게 적용되면서 사회 전체적으 로 관료제, 국가통제, 관리가 확대된다. 베버는 이러한 합리성의 확대가 현대 사회의 불가피한 추세라고 보았다.

 베버는 합리화(rationalization)가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요소 라고 보았다.

 종교적 의미와 도덕적 가치를 가졌던 사회적 행동도 점차 정부의 감시와 관료적 규제의 대상이 된다.

 마르크스가 생각한 ‘소외’의 개념과 같이 합리화는 인간과 공동 체, 가족, 교회의 분리를 의미한다.

 공장, 학교, 국가는 법률적, 정치적, 경제적 규제에 의해 종속된 다. 베버는 인간의 가치 중심적 조직과 행동이 점차 목표 중심의 조직과 행동으로 변화한다고 보았다.

 그리하여 현대 사회의 등장이 곧 합리성이 증가하는 과정이 되면 서 세계는 신비한 특성을 상실한다고 전망했다. 이 세상은 차가 운 계산과 비인간적인 규칙만이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13)

<자본주의와 프로테스탄트 윤리>(1904-1905)

 베버는 <자본주의와 프로테스탄트 윤리>에서 마르크스가 주장한 유물론적 자본주의에 대한 이론과 대비되는 이론을 주장했다.

 가치가 단순하게 역사의 동력을 제공하는 경제의 반영이라는 마 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의 주장에 반대했다.

 종교는 사회를 유지하는 보수적 기능을 담당하기만 하는 것이 아 니라 사회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서구에서 자본주의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개신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 칼뱅이 주도한 개신교는 개인의 소명을 강조하고 자본의 축적을 긍정적으로 강조했다. 초기의 기업가들은 대부분 칼뱅교 신자이 었다. 이들은 물질적 성공을 신의 은총의 표시로 보았다.

 이런 점에서 베버는 그는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사이의 ‘선택적 친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프로테 스탄티즘이 곧 자본주의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 이 책은 인간의 제도가 (종교를 포함하여) 경제적 토대를 가지고 있다는 마르크스의 이론에 대한 베버의 비판으로 해석된다.

(14)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논쟁

 독일 역사가 헨릭 그로스만은 유럽에서 개신교보다 국가의 강제 력이 자본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 미국 사회학자 휴 로버트슨은 개신교가 발전한 북부 독일과 영국 이 아니라 카톨릭이 강한 14세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베네치아, 피렌체)에서 자본주의가 먼저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 독일 사회학자 사샤 베커와 루드가 워스만은 개신교 윤리가 직접 자본주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라 문자 해독력이 더 큰 영 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다.

(15)

토니의 비판

 영국의 경제사학자 R. H. 토니(Richard Tawney)는 《종교와 자 본주의의 발흥》(1926)에서 개신교와 자본주의 문화의 상호관계 에 대해 분석했다.

 토니는 막스 베버의 주장 가운데 17세기 영국의 상업계급에게 청 교도주의의 종교적 개념이 특수한 의미가 있었다는 주장은 동의 했지만, 베버의 주장과 달리 자본주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 친 것은 정치사회적 압력, 자립과 절약의 윤리를 지닌 개인주의 정신이라고 주장했다.

 토니는 “자본주의 정신은 역사 자체 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며 청 교도주의의 소산은 아니었다”고 반박하였다.

(16)

세계의 종교

 베버는 동양 종교가 서구에서 발생한 것과 같은 산업자본주의의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이 되었다고 보았다. 전통 중국과 인도에 서 특정 기간에 상업, 제조업, 도시화 등 중대한 발전이 있었다. 종 교가 이러한 발전을 가로 막았다.

 인도의 힌두교는 내세적 종교이다. 영적 존재의 고차원적 지평으 로 도피할 것을 강조한다. 중국의 유교도 세계의 적극적 변화보다 세계와 조화를 강조한다. 중국은 오랫동안 강력한 물질적 번영을 이룩했지만, 종교는 경제발전에 몰입하지 못하게 방해했다.

 기독교는 구원 종교(salvation religion)이다. 원죄의 개념과 신의 은총으로 구원을 받는 개념은 긴장과 정서적 역동성을 만든다.

 동양 종교는 신도에게 기존 질서에 순응하게 만들지만, 기독교는 죄에 대한 항구적 투쟁을 강조하면서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을 자 극할 수 있다.

(17)

관념론적 역사해석

 베버의 관념론적 역사 해석은 다른 곳에서도 발견된다. 베버는 “ 관념적 관심은 역사적 발전의 경로를 바꾸는 역사의 전환자”라는 은유를 사용하기도 했다.

 베버는 종교에 관한 저작에서 물질적 토대에도 불구하고 어떤 문 명은 서구의 문화와 제도에 침투한 도구적 합리성을 만드는데 실 패한 사실을 강조한다.

 베버는 합리성이야말로 서양 사회의 엄청난 역동성의 핵심이라 고 보았다.

 베버는 『서구 음악의 합리적, 사회적 토대』라는 글에서 서구 음악에까지 어떻게 합리성이 영향을 주었는지 설명한다.

(18)

종교의 세속화

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은 모두 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쇠퇴한다고 지적했다. 베버는 합리화 과정으로 종교가 세속화 (secularization)되는 현상을 주목했다.

 종교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관념과 행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점차 사회 성원들은 종교적 관심, 상징, 제도의 영 향을 덜 받는다. 많은 사람들이 종교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면서 점점 세속적인 생활에 더 큰 관심을 갖는다.

 세속화는 일방적이거나 일차원적인 과정이 아니다. 최근에도 미 국 교회의 신도 수는 증가하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 교회는 더욱 세속화되고 있다. 신자들도 더욱 현세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 많은 신자들은 신앙을 통한 심리적 안락, 마음의 평정, 건강, 행 복을 추구한다. 종교적인 공동체에 참여하여 공동체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락을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이는 한국의 종교에서 도 비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하다.

 다양한 종교 가운데 기독교는 합리화 과정에 더욱 밀접하나, 불 교와 힌두교는 덜한 편이다. 기독교는 초월적 신의 존재를 강조 하며 주술적인 성격이 약하다.

(19)

종교와 정체성

 합리주의가 종교개혁을 통해 합리적 윤리로 발전한다. 신화에서 벗어난 세계의 등장을 방해하는 지나친 종교적 열정과 고백과 같 은 가치에 대해 적대적이다.

 산업사회가 농업사회보다, 도시 거주자가 농촌 거주자보다, 남자 가 여자보다, 직장 여성이 가정주부보다 더욱 세속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 종교는 또한 종족과 문화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되기도 한 다. 폴란드와 아일랜드에서의 카톨릭 교회는 러시아와 영국의 정 치적, 문화적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의 구심점이 되기도 한다. 종 교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적, 정치적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 기도 한다.

(20)

시민종교

 시민종교(civil religion)은 현대사회에 필요한 도덕적, 정신적 기 반을 가리킨다.

 장 자크 루소는 시민종교의 특징으로 신의 존재, 내세, 선인의 행 복과 악인에 대한 벌, 종교적 관용을 제시했다.

 뒤르켐은 현대 사회에서 종교가 약화되는 대신 인간 사회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숭배의 신념 또는 ‘시민적 도덕’이 사회를 통합해 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대 프랑스 사회의 자유, 평등, 박애 의 가치는 ‘인간숭배’라는 신념의 다른 형태라고 보았다.

 현대사회에서 시민종교는 주로 정치 지도자가 의해 형성된다.

 로버트 벨라는 미국의 시민종교의 등장을 강조했다 (Bellah,

1967). 미국 사회는 국교는 없지만 공통적인 종교 문화가 존재한 다.

(21)

탈세속화

 최근 세계적 차원에서 복음주의 종교가 확산되면서 ‘세속화’ 이 론에 대한 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 종교는 살아있을 뿐 아니라 번창하고 있다. 페루, 과테말라, 중국 , 수단, 미국, 뉴욕에서도 종교 부흥의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 기독교와 이슬람 세계에서 ‘근본주의’ 운동이 강화되면서 현대화 와 종교의 관계에 관한 새로운 논쟁이 제기되었다.

 현대화가 종교를 세속화시키는 힘도 가지지만, 다른 한편 종교를 강화시키는 반작용을 불러일으킨다는 주장이 등장하였다.

(22)

보이지 않는 종교

 토마스 루크먼은 현대사회의 종교의 변화를 설명하면서 개인적 인 종교성을 새로 등장하는 ‘보이지 않는 종교’(invisible religion) 라고 표현했다.

 그는 인간의 자율성, 자기의식의 과정, 이동의 정신 등이 발전한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종교적 다원주의의 지배적 동기라고 주장 한다.

 종교의 전통적 주제 (신의 존재, 내세, 교회 조직)이 약화되는 동 시에 영성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종교적 정체성이 강화되는 모순 적 현실이 발전하고 있다.

 '대체종교(alternative religions)'은 서구 사회에서 '뉴에이지 운 동(New Age movement)‘, 일본의 '정신세계운동‘, 한국의 기공, 단전, 초월 명상 등과 같은 '신영성운동'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 다.

(23)

합리성 비판

 합리성에 대한 베버의 비관적인 견해는 그의 관료제에 대한 견해 에서도 잘 나타난다.

 베버는 현대사회에서 관료제의 증가는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보 았다.

 베버의 제자인 로버트 미첼스(1876-1936)도 그의 저서인 『정 당(1911)』에서 독일 사회민주당의 관료제 조직이 등장하는 현 상이 ‘과두제의 철칙’이라고 주장했다.

 베버는 러시아 혁명 이후 관료적 국가가 등장하는 현실을 주목했 다. 베버는 사회주의의 등장도 합리화의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고 보았다.

 베버의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사회주의가 “생활에 대 한 환멸(disenchantment)”을 촉진한다고 평가했다.

 또한 문화가 발전하는 최종 단계에서는 ‘정신 없는 전문인’, ‘심 정 없는 향락인’이 나타날 것이며, 이 같은 인간들은 인류가 지금 껏 도달하지 못한 문명 단계에 올랐다고 자부할 것이라고 보았다 .

참조

관련 문서

네덜란드 정부를 위해 법 적으로 중요한 질병에 관한 연구, 국가적 국제적 규정을 위한 모든 동물 질병의 연구, 네덜란드에서 중요한 질병에 대한 표준실험실(reference

본 연구는 해외 장기체류 경험을 가진 학생들이 한국으로 다시 귀국하여 대학에 진학하고 적응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한 사람의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이렇듯 중요한 진로결정에서 상당수의 학생들이 체계적인 진로탐색이나

양생술은 성행위가 개인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의 맥락에서 문제가 된다.이것은 자 신의 신체에 대한 배려가 성적 활동의 가장 중요한 축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심리학적 사회심리학자의 과제는 사회적 자극의 함수로서 개인의 행. 위를

• 이 이론에 따르면 주어진 행동의 결과에 대한 신념 은 행동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며 행동에 관한 중요 한 타자의 기대에 관한 신념은 행동수행과 관련한 사회적

- 광고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문화 적 현상으로 파악하여 광고언어에 나타난 문화에 대해 언급한 논의는 많지 않다... - 광고언어에 나타난 문화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 접근에 대한 재고찰..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2. 교육현상에 대한 사회적 접근에 대한 재고찰..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