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형변환과 부분공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선형변환과 부분공간"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선형변환과 부분공간

(Linear transformation and Subspaces)

Keon M. Lee

(2)

 부분공간

 열공간 (column space)

 영공간 (nullspace)

 행공간 (row space)

 좌 영공간 (left nullspace)

 기저 (basis)

 좌표와 좌표벡터

 차원 (dimension)

 계수 (rank)

 선형시스템과 영 공간의 관계

(3)

벡터공간의 부분공간

 벡터공간의 부분공간(subspace)

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공간의 부분집합 H

 모든 부분공간은 영(zero) 벡터를 포함

(4)

벡터공간의 부분공간

 영 부분공간 (zero subspace)

 영벡터 만으로 구성된 집합 { 0 }

 행렬 A에 의한 선형변환

(5)

열공간(column space)

 행렬 A의 열공간(column space, range, image) Col A

 행렬 A의 열 (column)벡터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

(6)

열공간(column space)

 행렬 A의 열공간(column space, range, image) Col A

 행렬 A의 열 (column)벡터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

해를 가짐  b는 A의 열공간에 존재

b는 A의 열공간 속에 있는가?

(7)

영공간 (null space)

 행렬 A의 영공간(null space, kernel) Nul A

 동차 선형시스템 Ax = 0의 모든 해의 집합

0

(8)

영공간 (null space)

 영공간 계산

(9)

행공간(row space)

 행렬 A의 행공간(row space) Row A

 행렬 A의 행(row)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

(10)

행공간(row space)

 두 공간의 직교 (orthogonal)

 한 공간의 벡터가 다른 공간의 벡터와 직교

 행공간(row space)와 영공간(nullspace)의 직교

 행공간

 영공간

 행공간과 영공간은 직교

행공간 벡터 영공간 벡터

(11)

영공간과 열공간 계산

(12)

span nullspace column space row space

부분공간

(13)

기저 (basis)

 벡터공간의 기저(basis)

 벡터공간을 생성(span)하는 선형독립(linearly independent)인 벡터의 집합

u v w

(14)

주축열(pivotal column)

 추축열(pivotal column)

 행 사다리꼴에서 추축(pivot)을 갖는 행렬의 열

(15)

기저 (basis)

 행렬 A의 추축열(pivotal column)들은 열공간(column space)의 기저 가 된다.

 선형독립인 열들이 기저를 구성한다.

 행 사다리꼴(row echelon form)에서 추축열들은 선형독립이다.

 행 사다리꼴에서 추축열 자체가 기저가 되지 않을 수 있다.(0행이 있는 경우)

 추축열의 개수 만큼 선형독립인 행이 존재하다. 즉, 선형독립인 행공간 (row space)의 기저가 추축을 포함한 행들로 구성된다.

(16)

좌표 (coordinate)와 좌표벡터

 기저를 이용한 벡터 표현의 유일성

 벡터공간 V의 기저(basis) B = {v1, v2, …, vm}에 대한 임의의 벡터 v의 표 현은 단일하게 표현됨

(귀류법에 의한 증명) 벡터 v가 두 가지 방법으로 표현 가능하다고 가정

 임의의 벡터 v가 주어진 기저에 의해 유일하게 표현됨

(17)

좌표 (coordinate)와 좌표벡터

 좌표 (coordinate)

 기저벡터를 사용하여 벡터를 나타낼 때, 기저벡터에 대한 스칼라 값

좌표 : 2, 3, 1 좌표벡터

표준기저 (standard basis)

(18)

차원 (dimension)

 부분공간 H의 차원 dim H

 H에 대한 기저(basis)를 구성하는 벡터의 개수

 영 부분공간 {0}의 차원은 0이라고 정의

영공간의 차원 dim(Nul A) = 3

자유변수(free var.)의 개수 = dim(Nul A)

(19)

계수 (rank)

 계수(rank)

 rank A는 행렬 A의 열공간의 차원

 A의 추축열들이 Col A의 기저를 구성

 A의 rank는 추축열의 개수

rank A = 3

(20)

계수 정리

 계수 정리 (rank theorem)

 행렬 A가 n개의 열(column)을 가지면 rank A + dim Nul A = n이다.

 dim Nul A를 A의 nullity라고도 함.

 rank-nullity theorem 이라고도 함

 rank A : 추축열(pivotal column) 개수

 dim Nul A : 자유변수(free variable) 개수

(21)

좌 영공간(Left nullspace)

 좌 영공간(left nullspace)

 전치행렬의 영공간

(22)

Rank A = Rank A

T

 Rank A

 행렬에서 추축열(pivotal column)이 Col A의 기저(basis)가 됨

 Rank A

T

 AT 에서 Col AT 는 A에서 Row A에 해당. Col AT = Row A

 A에 대해 기약 행 축약(rref)를 만들어 추축(pivot)을 확인

 Row A에서 기저는 추축행(pivotal row)에 대응

• 행연산에 의해 추축행으로 부터 행렬의 행 재구성 가능

 추축행(pivotal row)의 개수 = 추축(pivot)의 개수 = 추축열의 개수

 Rank A = Rank AT

(23)

Ax = b의 해와 영 공간(Null space)관계

 Ax = b의 해

 모든 x’ ∈ Nul A는 Ax’ = 0의 해이다.

 y가 Ax = b의 해이고, x’∈ Nul A일 때, x’+ y도 해이다.

(24)

가역행렬 정리

 가역행렬 정리 (추가)

 nxn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A에 대해, 다음 사실과 등가임 m. A의 열들은 Rn의 기저(basis)이다.

n. Col A = Rn o. dim Col A = n p. rank A = n q. Nul A = {0}

r. dim Nul A = 0

(25)

Summary

 부분공간은 벡터공간의 성질을 만족하는, 공간의 부분집합이다.

 선형변환과 관련된 주요 부분공간으로 영공간, 열공간, 행공간, 좌 영공간이 있다.

 영공간은 동차 선형시스템 Ax = 0의 모든 해의 집합이다.

 열공간은 주어진 행렬에 대한 열벡터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이 다.

 행공간은 주어진 행렬에 대한 행벡터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이 다.

 좌 영공간은 전치행렬의 영공간이다.

 기저는 벡터공간을 생성(span)하는 선형독립인 벡터의 집합이다.

 차원은 벡터공간의 기저를 구성하는 벡터의 개수이다.

 계수(rank)는 행렬의 열공간의 차원이다.

 좌표계는 기저를 사용하여 벡터를 단일하게(unique) 나타내기 위해

수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26)
(27)

영공간(null space)와 행공간(row space)의 관계

 라고 가정

참조

관련 문서

• 모든 시대, 음악가들 중에는 음악적 호기심과 세 계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한 사람들이 있었다….. • 예술적 호기심, 실험으로서의 다성음악: 다양한 다

게다가 모든 수업이 다 화요일과 수요일에 모여 있어..

action.php는 사용자의 암호를 물어보고 주어진 글 에 대한 암호와 일치할 경우 수정과 삭제의 기능을 담당한다.. • 글을

• 이 이론에 따르면 주어진 행동의 결과에 대한 신념 은 행동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며 행동에 관한 중요 한 타자의 기대에 관한 신념은 행동수행과 관련한 사회적

• DD곡선의 이동요인들을 종합하면, 국내생산물에 대한 총수 요 (D)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은 DD곡선을 우측(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주어진 환율수준에서

유리수점의 집합이 조밀하지만 수직선 위의 모든 점을 나타내지 못한다... 허수 단위 i는

(b) 모선 1에서 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3상 단락회로(bolted fault)에 대해 차과도 고장전류와 송전선 로에 의한 고장전류를 Z

 부분공간 W의 직교 여공간은 W에 직교하는 모든 벡터의 집합이다.  직교 기저(orthogonal basis)는 직교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