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10 장 과점시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 10 장 과점시장"

Copied!
5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0장 과점시장

최 정 표 (미시경제론)

(2)

 과점시장의 정의

 과점시장(oligopoly)

 과점시장은 시장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의 수가 소수인 시장(전형적으로 기업의 수가 25개인 시장)

 몇몇 대기업(oligopoly) 또는 두 기업(duopoly; 복점)이 시장을 지배하는 형태

 과점시장의 특징

 기업간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이 매우 강함.

 치열한 비가격경쟁과 가격의 경직성(경쟁적 과점)

 기업간 비경쟁행위(협조적 과점=비경쟁적 과점)

 상당한 진입장벽의 존재(일반적 장벽/전략적 장벽)

(3)

 과점이론

 과점이론의 개요

 독자적 행동이론(예 : 복점모형)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버트란드모형(Bertrand model) 챔벌린모형(Chamberlin model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굴절수요곡선모형(kinked demand curve model)

 상호협조이론

완전답합이론(카르텔모형)

불완전답합이론(가격선도모형)

(4)

 과점이론

 과점이론의 개요

 전략적 행동이론

게임이론(game theory)

 기타 과점이론

진입저지가격설정이론 비용할증가격설정이론 기점가격제도이론

경합시장이론

비가격경쟁이론 등

(5)

 과점시장의 균형

 과점시장에서 한 기업이 가격을 낮추고자 한다면 다른 경쟁상대기업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함.

 동일 금액만큼 가격을 낮추거나 더 낮출 수도 있음.

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인하여 모든 기업들의 이윤이 감소할 수 있음.

 과점시장에서 각 기업의 시장행동과 대응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임.

(6)

 과점시장의 균형

 과점시장의 균형과 가정

 각 기업이 할 수 있는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가격이나 산출량을 변화시킬 유인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

 모든 기업이 경쟁기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가정함.

 두 개의 기업만이 경쟁하는 복점시장에 초점을 맞춤.

(7)

 쿠르노모형(Augustin Cournot)

 각 기업은 경쟁기업이 먼저 어떤 산출량수준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 시키는 산출량을 결정함.

- 시장수요량 : q=qa+qb

- 수요함수 : P=f(qa+qb)

- 시장수요함수 : P=a-b(qa+qb); a>0, b>0

각 기업의 생산비는 0임(TCa=TCb=0, MCa=MCb=0).

 각 기업은 서로의 자기 반응곡선(reaction curve)을 가짐.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8)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각 기업의 산출량과 반응함수

 qa는 A기업의 산출량, qbe는 A기업이 예측하는 B기업의 산출량임.

qa=fa(qbe) : A기업 반응함수(reaction function)

즉, A기업은 자기가 예측하는 B기업의 산출량(qbe)을 기준으로 자신의 산출량(qa)을 정함.

 qb는 B기업의 산출량, qae는 B기업이 예측하는 A기업의 산출량임.

qb=fb(qae) : B기업 반응함수(reaction function)

즉, B기업은 자기가 예측하는 A기업의 산출량(qae)을 기준으로 자신의 산출량(qb)을 정함.

(9)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쿠르노모형에서의 균형산출량과 반응함수

 쿠르노모형은 qa=qae와 qb=qbe 산출량에서 균형 달성

 이 조건이 성립하는 A와 B기업의 산출량을 qa*와 qb* 라고 하면, 이때 반응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qa*=fa(qb*) qb*=fb(qa*)

(10)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쿠르노모형에서의 이윤극대화 산출량

 시장수요곡선 : P=a-b(qa+qb)

 각 기업의 생산비는 0이라 가정 : TCa=TCb=0

 각 기업의 이윤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πa=P·qa-0=[a-b(qa+qb)]qa πb=P·qb-0=[a-b(qa+qb)]qb

 각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음.

∂πa/qa=a-2bqa-bqbe=0 ∂πb/qb=a-2bqb-bqae=0

(11)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반응함수식의 도출과 쿠르노모형의 균형

 앞의 식을 다시 정리하면 A와 B기업의 반응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qa=(a-bqbe)/2b qb=(a-bqae)/2b

 위 식에서 qa=qae, qb=qbe일 때 연립방정식을 풀면, 각 기업의 균형산출량(qa*, qb*)은 각각 a/3b임.

따라서 시장공급량은 qa+qb=2a/3b이고, 시장가격은 a/3임.

(12)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반응곡선(reaction curve)

(13)

 쿠르노모형(Cournot model)

 쿠르노모형의 균형

 쿠르노모형에서 기업의 수가 무한대로 증가하면 이 모형은 완전경쟁모형과 일치하고, 기업의 수가 하나로 줄어들면 독점모형과 일치

(14)

 버트란드모형(Bertrand model)

 버트란드모형(J. Bertrand)

 버트란드모형은 쿠르노모형과 달리 기업들이 산출량 보다는 가격을 통해 경쟁을 벌인다고 가정함.

 각 기업은 자기가 가격을 인하해도 경쟁기업은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고수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윤극대화 가격을 책정함.

 A기업은 B기업이 가격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A기업이 PMC의 상황하에서 자신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초과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낮춤.

(15)

 버트란드모형(Bertrand model)

 버트란드모형(J. Bertrand)

 마찬가지로 B기업도 PMC의 상황하에서 가격을 낮춤.

 즉, 두 기업은 PMC인한 가격을 계속 낮출 것임.

 이러한 가격인하 경쟁은 P=MC가 될 때까지 진행됨.

 버트란드모형의 균형은 완전경쟁의 균형과 일치함.

 따라서 각 기업의 생산비가 0이고 시장수요곡선이 P=a-b(qa+qb)라는 과점모형에서 버트란드모형과 일치하는 완전경쟁균형은 P=MC=0이 성립하는 점

(16)

 버트란드모형(Bertrand model)

 T점에서의 시장수급량은 q*=(qa*+qb*)=a/b이고,

시장가격은 P=0임(어느 기업도 초과이윤은 없음).

 버트란드모형의 균형

(17)

 챔벌린모형(Chamberlin model)

 챔벌린모형(E.H. Chamberlin)

 과점기업들이 서로 협조적으로 담합(cartel)하여

기업들은 결합이윤(joint profits)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산업 및 각 기업의 산출량 결정

 챔벌린모형은 이렇게 카르텔(담합)을 통하여

과점시장의 균형에 도달할 것이라고 보는 모형임.

 결국 카르텔의 시장행동은 독점기업의 시장행동과 유사함.

(18)

 챔벌린모형(Chamberlin model)

 챔벌린모형

 각 기업의 생산비는 0이고, 시장수요함수가

P=a-b(qa+qb)라고 하면, 산업 전체의 이윤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π=P·q-0=[a-b(qa+qb)](qa+qb)

 산업 전체의 이윤극대화 조건

∂π/q=a-2bq=0, 여기서 q=qa+qb 따라서 이윤극대화 산출량은 q*=a/2b 시장가격은 P*=a-b(a/2b)=a/2

각 기업의 산출량은 qa*=q*/2=a/4b=qb*

(19)

 챔벌린모형(Chamberlin model)

 균형은 MR=MC가 되는 V점을 기준으로 산출량과 가격이 결정됨.

 챔벌린모형의 균형

(20)

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 스타켈버그모형(H. von Stackelberg)

 과점기업들은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그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이 있을 수 있고 그렇지 못한 기업이 있을 수 있음. 따라서 스타켈버그 모형에서는 주도기업이 먼저 의사결정을 하면

추종기업은 여기에 기초하여 의사결정을 한다고 봄.

 주도기업(선도기업) : 추종기업의 반응곡선을 예상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산출량을 결정하는 기업

 추종기업 : 주도기업이 먼저 산출량을 결정하면 그것을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여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산출량을 결정하는 기업

(21)

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 스타켈버그모형의 균형

 A기업은 주도기업, B기업은 추종기업이라 하면,

B기업은 A기업의 산출량을 보고 자신의 산출량 결정 qb=fb(qa) : B기업의 반응함수

- 시장수요량 : q=qa+qb

- 수요함수 : P=f(qa+qb)

- 시장수요함수 : P=a-b(qa+qb); a>0, b>0 각 기업의 생산비는 0임.

(22)

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 스타켈버그모형의 균형

 각 기업의 이윤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πa=P·qa-0=[a-b(qa+qb)]qa πb=P·qb-0=[a-b(qa+qb)]qb

 B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음.

∂πb/qb=[a-b(qa+qb)]-bqb=0

 이를 다시 정리하면 B기업의 반응함수식은 다음과 같음.

qb=(a-bqa)/2b

 위 식을 A기업의 이윤함수식에 대입하면, πa=[a-b{qa+(a-bqa)/2b}]qa

(23)

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 스타켈버그모형의 균형

 A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음.

∂πa/qa=a-b{qa+(a-bqa)/2b}-b{1-(1/2)}qa=0

 이를 정리하면 A기업의 이윤극대화 산출량은 qa*=a/2b

 이를 다시 B기업의 이윤극대화 산출량에 대입하면 qb*=a/4b

 총시장공급량 : (qa*+qb*)=3a/4b

 시장가격 : P*=a-b(3a/4b)=a/4

(24)

 스타켈버그모형(Stackelberg model)

 산업 전체 공급량은 3a/4b이고, 가격은 a/4임.

 선도기업(A)은 2a/4b, 추종기업(B)은 a/4b만큼 공급함.

 스타켈버그모형의 균형

(25)

 과점모형의 비교

 과점모형의 비교

 챔벌린모형은 과점시장이 독점으로 귀착되는 비경쟁적 과점(=협조적 과점)을 나타내는 모형

 버트란드모형은 과점시장이 경쟁으로 귀착되는 경쟁적 과점을 나타내는 모형

 쿠르노모형과 스타켈버그모형은 과점시장의 균형이 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중간영역에서 정해질 수 있는 모형

 따라서 과점시장에서 각 기업이 경쟁상대기업의 행동을 어떻게 상정하느냐에 따라 과점시장에서의 균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26)

 과점모형의 비교

 과점모형의 비교

(27)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굴절수요곡선모형

 1939년 R.L. Hall and C.J. Hitch와 P.M. Sweezy에 의해 제시된 이론

 이 모형은 과점가격의 경직성을 설명하는 이론

 굴절수요곡선모형의 핵심은 과점시장에서는 수요곡선이 굴절한다는 것임.

 개별 과점기업은 2개의 수요곡선에 직면함.

 한 과점기업이 가격을 인하하면 경쟁상대기업은

따라서 가격을 인하하고, 반면 한 과점기업이 가격을 인상하면 경쟁상대기업은 따라서 가격을 인상하지 않는다고 가정함.

(28)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굴절수요곡선모형

(29)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굴절수요곡선모형

 한 과점기업이 가격을 P*보다 인상할 때

다른 경쟁기업이 따라서 가격을 인상하지 않으면 이 과점기업에 대한 수요량은 급격히 감소함.

따라서 탄력적인 수요곡선을 따라 수요량 감소

 반면, 한 과점기업이 가격을 P*보다 인하할 때 다른 경쟁기업이 따라서 가격을 인하하면

이 과점기업에 대한 수요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음.

따라서 비탄력적인 수요곡선을 따라 수요량 증가

 결국 최초의 균형점 E를 중심으로 수요곡선을 연결하면 굴절수요곡선 BEH가 됨.

(30)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굴절수요곡선모형

 수요곡선이 굴절되어 있으므로 한계수입곡선은 연결되지 않음.

 수요곡선이 BEH로 주어지면 한계수입곡선은 BF와 GJ의 두 곡선으로 표시됨.

즉, 한계수입곡선은 BFGJ가 됨.

(31)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생산비 변화와 가격의 경직성

(32)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생산비 변화와 가격의 경직성

 이윤극대화는 MR=MC인 L점에서 충족됨.

 여기서 균형산출량은 OQ*, 가격은 OP*에서 결정됨.

 굴절수요곡선의 균형에서는 생산비가 변화해도 가격은 변화하지 않고 매우 경직적임.

 즉, 한계비용곡선이 FG구간에서 이동하는 한 균형가격은 불변임.

 만약 생산비가 크게 변화하면 균형가격은 변화할 수 있음.

(33)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수요 변화와 가격의 경직성

(34)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수요 변화와 가격의 경직성

 수요가 증가(감소)하면 수요곡선은 바깥쪽(안쪽)으로 이동

 굴절수요곡선의 균형에서는 수요가 변화해도

균형산출량만 변화할 뿐 균형가격은 변화하지 않고 매우 경직적임.

 만약 수요가 크게 변화하면 균형가격은 변화할 수 있음.

(35)

 굴절수요곡선모형

(kinked demand curve model)

 굴절수요곡선모형의 한계

 굴절수요곡선모형은 수요곡선이 굴절하는 이유는 설명해주지만 어디서 어떻게 굴절해야 하는지는 명확히 설명하지 못함.

 수요곡선이 굴절하는 이외의 요인 때문에 가격이 경직적일 수 있다는 점은 설명하지 못함.

즉, 현실에서 과점시장에서의 가격이 다른 시장에서 보다 더욱 경직적이라는 증거를 찾기가 어려움.

 현실적으로 한 과점기업이 가격을 인상할 때 다른 과점기업들도 따라서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36)

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ship model)

 가격선도(price leadership)

 가격선도란 한 기업이 먼저 가격을 정하고 난 후, 다른 기업들이 이 가격을 따라 가격을 정하는 것을 의미

 이때 먼저 가격을 정하는 자를 선도자(leader)라고, 정해진 가격을 따라가는 자를 추종자(follower)라 함.

 가격선도는 과점기업들이 가격경쟁을 피하면서 협조적으로 조정해 나가는 하나의 대표적 방법임.

 가격선도의 성립조건 :

- 선도자와 추종자가 구분되어져야 함.

- 각자 자신들에게 주어진 입장을 수용해야 함.

 선도기업은 주로 효율적이거나 시장점유율이 큰 기업

(37)

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ship model)

 효율적 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 A기업과 B기업이 존재하며, 두 기업의 규모는 동일

 두 기업이 각각 시장을 똑같이 양분함.

 두 기업의 생산비 조건은 서로 상이하며, B기업이 생산비 측면에서 효율적인 기업(MCaMCb)이라 함.

 가격의 결정은 효율적인 기업인 B기업이 Pb의 가격을 설정하면 A기업은 자신의 이윤이 극대화가 되는

Pa가격을 설정하지 못하고, B기업이 설정한 Pb의 가격을 따를 수 밖에 없음.

 따라서 이 경우 효율적인 B기업이 선도기업이 됨.

(38)

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ship model)

 효율적 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 가격이 OP1수준에서 B기업은 초과이윤을 얻지만, A기업은 손실을 볼 수 있음.

(39)

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ship model)

 대기업(주도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 대기업은 자신이 가격을 책정하고, 이 가격하에서

소규모 기업들이 원하는 양만큼 생산∙공급하도록 함.

 대기업은 시장수요의 나머지 부분을 생산∙공급함.

이때 대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을 잔여수요곡선 (residual demand curve)이라고 함.

 대기업은 자신의 수요곡선이 주어지면 MR과 MC가 일치하는 점에서 가격과 산출량 결정

 가격이 P*로 결정되면 대기업은 P*J만큼 공급하고, 소규모 기업들은 대기업이 설정한 가격을 따르면서 P*S만큼 공급함.

(40)

 가격선도모형(price leadership model)

 대기업(주도기업)에 의한 가격선도

(41)

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이론의 개요

 과점시장에서는 기업간 상호의존성이 매우 강함.

 따라서 과점시장에서는 한 과점기업의 가격(산출량) 조정은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쟁상대기업의 가격(산출량) 조정을 유발함.

 각 과점기업은 경쟁상대기업과 게임을 하는 관계에 있으며, 이 게임에서 각 과점기업은 모두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도록 행동함.

 이러한 게임의 결과가 바로 과점시장의 균형이 됨.

(42)

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이론의 발전

 이 이론은 폰 노이만(J. von Neumann)과 모르겐슈테른 (O. Morgenstern)에 의하여 확립됨.

 그 이후 내쉬(J. Nash)에 의해 비협조적 게임에 있어서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이란 개념이 제시되면서 발전의 계기가 마련됨.

 게임이론은 경제학뿐만 아니라 다른 각 분야에서

전략적인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

(43)

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이론의 구성요소

 경기자(player) :

게임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예 : 개인, 기업 등)

 전략(strategy) :

경기자들이 자신의 효용(이윤)극대화를 위하여 선택 할 수 있는 대안

 행동(action) :

경기자가 여러 가지 가능한 전략 중에서 특정 전략을 선택하는 것

 보상(=보수 : pay off) :

경기자가 게임의 결과로 얻는 것(예 : 효용, 이윤 등)

(44)

 게임이론(game theory)

 협조적 게임(cooperative game)

 경기자들간에 모두에게 유리한 전략을 끌어낼 수 있는 조건을 협상할 수 있는 게임

 비협조적 게임(noncooperative game)

 경기자들간에 협상이나 어떤 조건을 강요하는 것이 불가능한 게임

 게임이론에서 다루는 게임은 주로 비협조적 게임임.

(45)

 게임이론(game theory)

 영합게임(zero-sum game)

 경기자들 보수의 합이 항상 0이 되는 게임

 비영합게임(non zero-sum game)

 경기자들 보수의 합이 0이 되지 않는 게임

(46)

 게임이론(game theory)

 정합게임(constant sum game)

 경기자들 보수의 합이 항상 정해진 게임

 비정합게임(non constant sum game)

 경기자들 보수의 합이 일정하지 않은 게임

(47)

 게임이론(game theory)

 순수전략게임(pure strategy game)

 경기자가 여러 가지 전략 중 특정한 전략만을 선택 (고수)하는 게임

 혼합전략게임(mixed strategy game)

 경기자가 순수전략을 확률에 따라 혼합해서 선택하는 게임

 순수전략게임에서는 내쉬균형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혼합전략게임에서는 내쉬균형이 항상 존재함.

(예 : 동전던지기 게임에서 앞면(H)과 뒷면(T) 맞추기)

(48)

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의 균형

 게임의 균형이란 외부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든 경기자들의 전략이 계속 유지되는 상태

 즉, 모든 경기자들이 현재의 결과에 만족하여 더 이상 자신의 전략에 대해 변화 유인(incentive)이 없는 상태

 일반적으로 게임의 균형은 각 경기자가 선택하는 전략의 조합으로 나타냄.

(49)

 게임이론(game theory)

 우월전략게임(dominant strategy game)

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더라도 자신에게 유리한 전략이 분명히 존재하는 게임(우월전략 또는 지배전략)

(50)

 게임이론(game theory)

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 상대방의 전략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각 경기자가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략을 선택하였을 때 도달하는 균형( 게임이론에서의 기본적인 균형의 개념)

(51)

 게임이론(game theory)

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의 특징

 우월전략균형은 내쉬균형에 포함됨.

우월전략균형은 내쉬균형이지만 내쉬균형이라고 해서 우월전략균형은 아님.

 내쉬균형상태하에서 각 경기자는 더 이상 자신의 전략을 변화시킬 유인이 없으므로 내쉬균형은 안정적임( 전략을 바꾸면 손해를 봄).

 내쉬균형은 항상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

 그러나 내쉬균형은 항상 파레토 효율적인 결과를 반드시 보장하는 것은 아님(예 : 죄수의 딜레마).

(52)

 게임이론(game theory)

 내쉬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게임

(53)

 게임이론(game theory)

 죄수의 고뇌게임 (prisoner’s dilemma game)

(54)

 게임이론(game theory)

 반복게임(repeated game)

 게임이 한 번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상대방이 자신에게 불리한 선택을 하더라도 보복을 할 수 없지만, 동일한 게임을 반복하는 반복게임의 경우에는 보복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함.

 이와 같이 보복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상대방의 비협조적 전략의 선택을 제약하게 됨.

즉, 협조를 유도할 수 있음.

 따라서 경기자들은 안심하고 협조적 전략을 선택함.

 tit-for-tat strategy : 악셀로드(R. Axelrod)

‘오는 말에 가는 말’ 전략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

(55)

 게임이론(game theory)

 반복게임(repeated game)

 tit-for-tat strategy :

‘오는 말에 가는 말’ 전략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

(56)

 게임이론(game theory)

 순차게임(sequential game)

 각 경기자가 순서를 정하여 전략을 선택하는 게임

 순차게임에서는 먼저 행동하는 경기자가 유리함.

 동시게임은 모두 상대방이 어떤 전략을 선택하였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불완전정보게임 (예 : 동전의 홀짝 게임)이라 할 수 있고, 순차게임(예 : 바둑, 장기 등)은 상황에 따라 완전정보게임이 될 수도 있고 불완전정보게임이 될 수도 있음.

(57)

 게임이론(game theory)

 순차게임(sequential game)

(58)

 게임이론(game theory)

 게임의 확장형태

참조

관련 문서

 게임 결과의 자연스러움(naturalness)에 의한 비교: 특정 균형 이 실제로 현실화되는 가능성. 왜냐하면, core 역시 혼자서 행동하는 것 이 상의

최근의 관심사인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고 강화 시키는데 그 초점이 있 으며, 이를 위해서는 잘 짜여진 마케팅 믹스 전략과 이를 수행하는 커 뮤니케이션 전략의 융화에서 비롯

è 각 기업은 자기가 가격을 인하해도 경쟁기업은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고수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윤극대화 가격을 책정함 .. è

고객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나 고객 세부집단의 성격을 규정 짓는 변수 활용. 고객만족의 정의와 고객만족도에

기존 연구보다 신뢰성 있는 자기자본비용 추정치를 이용하여 한국 기업의 산업간다각화가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에서 최초로 실증 분석... 수익인식 기준은

 금융산업을 규제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 기존 금융서비스에서 찾지 못한 기회를 찾아 새로운 가 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관심을

 Core는 전에 언급한 것과 같이 개인의 합리성(Individual Rationality)과 단체의 합리성(Group Rationality)의 교집

청약과 함께 현품을 보내서 상대방이 실험 또는 사용해 보아 만족할 것을 조건 으로 하는 청약으로서 상대방이 만족하지 아니하면 일정기간내에 반품할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