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인삼산업 현황과 육성 정책 : 중국 동북3성 지역 중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국의 인삼산업 현황과 육성 정책 : 중국 동북3성 지역 중심"

Copied!
7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자료 D37 2|2 014.3.. 중국의 인삼산업 현황과 육성 정책 -중국 동북3성 지역 중심. 박 허. 기 성. 환 연구위원 윤 초청연구원. 중국농업부 LiJi nghu 식 품 ·영 양 발전연구소.

(2)

(3) i. 머 리 말. 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특산품일 뿐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소비가 증대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각광을 받아왔 다.또한,인삼은 세계적인 인지도로 1 억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농업부문의 대 표적인 수출 품목이기도 하다.그러나 최근 재배적지의 부족 문제,경영비 상승 으로 인한 경영여건 악화,시장개방화 가속화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던 인 삼산업이 위축되면서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 중 FTA 협상이 추진 중에 있으며,협상 타결 과정에서 관 세가 인하될 경우 중국산 인삼 수입 증가로 국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 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특히,중국 인삼의 주산지의 동북3 성 지역은 인삼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와 국내 외에서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이 때문에 본 연구는 중국 인 삼산업의 현황을 동북3 성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고,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앞 으로 국내 인삼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중국의 인삼산업 실태를 상세히 분석하여 주신 중국 농업부 식 품영양· 발전연구소 관계자분들께 감사를 드린다.아무쪼록 이 연구 결과가 한· 중 FTA 협상 시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기를 바라며,정부의 인삼산업 정 책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 0 1 4 .3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4)

(5) i i i. 요. 약.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은 고소득 성장산업으로서 시장개방화에 대응할 수 있 는 유망 품목으로 인식되어 왔으나,최근 들어 생산,유통,수출부문 등에서 문 제점이 나타나고 있다.이 때문에 우리나라 인삼산업은 2 0 0 9 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2 0 0 9 년 이후 신규 식재면적의 감소로 총경작면적과 생산 량이 감소 추세로 전환됨에 따라 향후 국내 인삼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인 프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다. 더욱이 현재 한· 중 FTA 협상이 논의되고 있는데,만약 협상 과정에서 관세 가 인하될 경우 중국 인삼의 수입 확대로 국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특히,주산지인 동북3 성 지역을 중심으로 인삼산업 육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 고려인삼과 국내외에서 더욱 치 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중국의 인삼재배 및 생산 현황과 특성,유통과 가공 현황,인 삼재배 주산지의 인삼산업 육성 정책 등을 파악하고,특히 주산지인 동북3 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고려인삼은 평지인삼재배 방식이 대부분이지만,중국의 길림인삼은 여전히 삼림채벌 임지재배 중심으로 재배 후 다시 삼림으로 환원하는 방식을 실행하고 있다.중국 정부도 인삼 재배면적을 일정 규모로 유지하고자 인삼재 배용 임산지 사용비준에 대해 매년 1 , 0 0 0h a미만의 할당제를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강력한 정책 제한은 인삼재배 면적의 감소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한국의 인삼재배는 생쇄삼 가공용과 홍삼용 원료기지가 대체로 분리되어 있 는데,원료선정에 따라 가공인삼 품질 차이가 발생하여 인삼 가공제품의 원료 선택 요구는 엄격하며,인삼 가공제품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이다.반면,중국의 경우 인삼 가공용별 원료산지 구분이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삼가공 비 중이 낮고 대부분 기초가공을 통해 유통되고 있기 때문에 수확한 신선인삼 중 좋은 품질은 우선적으로 보선삼,성쇄삼,활성삼 등 가공원료로 사용된다.품질.

(6) i v. 이 떨어지는 나머지 인삼을 홍삼 제조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가공제품은 원료 품질 저하로 품질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다. 인삼과 인삼제품이 한국에서 건강식품으로 소비되고 있는 실태와는 달리,중 국에서는 현재 대부분 의사의 처방이나 약국을 통해 소비되고 있다.이 때문에 중국은 인삼 생산 대국임에도 인삼 1 인당 소비 수준은 극히 낮은 상황이다.그 러나 중국 정부는 2 0 1 2 년9 월 인삼을 신자원식품으로 구분함에 따라 인삼제품 의 식품개발이 적극 추진될 가능성이 높으며,이 경우 중국의 국내 인삼 소비 량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인삼은 재배방식,가공방식,소비 형태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 고려인삼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최근 중국의 인삼산업은 평지재 배로의 전환,인삼식품개발 확대 등 향후 인삼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을 계획적 으로 수립하고 있으며,중국 인삼 주산지인 길림인삼은 한국의 고려인삼과 같 은 품종을 생산하면서 국제시장에서 점차 경쟁 관계를 형성해 가고 있다. 더욱이 중국 정부는 인삼산업 부흥을 위해 장백산인삼박물관을 설립하여 중 국 인삼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있으며,길림성 정부는 정책자금을 투입하여 장 백산인삼 브랜드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이와 같이 중국의 인삼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 힘입어 크게 발전해 가고 있어 향후 국제시장에서 우리나라와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 중 FTA 협상 시 인삼이 민감 품목으로 선정되 지 못할 경우 관세 인하로 인해 중국산 인삼의 국내 유입 확대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중국의 인삼산업 동향과 중국 정부의 인삼산업 육성 정책 등을 지속 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국제시장에서 우리와의 경쟁 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 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한· 중 FTA 협상 과정에서 인삼이 민감 품목으로 선정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7) v ABSTRACT. Current Status of the Ginseng Industry in China and its Fostering Policy - Focusing on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Korea's ginseng industry is a high return industry that is currently growing. It was recognized as an prospective item that could respond to the opening of the market and maintained continuous growth until 2009, but since then, new areas for growing ginseng were reduced. Furthermore, in the event that tariffs are lowered through the Korea-China FTA that is currently being pursued, it is expected that increased imports of Chinese ginseng will have a very big impact on the Korean ginseng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ina's current ginseng farming and production status and features, distribution and processing, and fostering policies of the ginseng industry in the main ginseng cultivation area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m focusing o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which are the main cultivation regions. Chinese ginseng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Korea's Goryeo ginseng in terms of cultivation, processing, and consumption methods. However, the Chinese ginseng industry has been making plans for the ginseng industry's development such as converting to flatland cultivation and expanding development for ginseng derived food. Also, Jilin, which is a major ginseng growing area of China, has been producing the same variety as that of Korea's Goryeo ginseng, thus forming a competing relationship in the international market. Moreover, in order to support the ginseng industry, the Chi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hangbaishan Ginseng Museum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Chinese ginseng. The Jilin Province government has invested policy funds to provide ful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angbaishan ginseng brand. Due to such active support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Chinese ginseng is developing at high speeds and thus, competition with Korea is expected to become fiercer. In particular, if ginseng is not selected as a sensitive item during the Korea-China FTA negotiations that are currently under way, there is a high.

(8) v i. possibility that more Chinese ginseng will be imported to Korea due to the lowered customs tariffs. Therefore,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trends of the Chinese ginseng industry and the Chinese government's ginseng industry fostering polic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competition with Korea will unfol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elect ginseng as a sensitive item during Korea-China FTA negotiations.. Researchers: Ki-Hwan Park, Seong-Yoon Heo, Li Jinghu Research period: 2013. 10. ~ 2014. 3. E-mail address: kihwan@krei.re.kr.

(9) v i i.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추진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 내용과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제2장 중국 인삼의 발전단계와 재배방식 1 .인삼의 발전과정과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인삼의 재배방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3장 중국의 인삼 생산 현황과 가공 실태 1 .동북3성의 인삼 생산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9 2 .인삼 가공산업 현황과 전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제4장 중국의 인삼 유통구조와 가격 동향 1 .인삼 유통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 2 .수입 인삼제품의 유통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3 .인삼 및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6 제5장 중국의 인삼산업 육성 정책 1 .인삼제품의 신자원식품 비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9 2 .장백산인삼 브랜드 정착 및 홍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0 3 .인삼의 표준화 및 야생자원 회복 프로젝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1 .중국 인삼과 고려인삼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5.

(10) v i i i 2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7. 참고 문헌. 59.

(11) i x. 표 차 례. 제2장. 표 2 1 . 중국의 인삼산업 발전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제3장. 표 3 1 . 중국 길림성의 지역별 인삼 생산량 변화 추이( 2 00 1 ~2 0 1 1 년)· · ·2 4 제4장. 표 4 1 . 중국의 상위 20 대 중약재도매시장( 2 0 11 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0 표 4 2 . 중국 인삼제품의 소매시장 유형별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12) x.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 1 . 중국 인삼의 3 대 품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그림 2 2 . 중국 인삼의 가공방식별 제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그림 2 3 . 중국 인삼의 임지재배 및 평지재배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5 제3장. 그림 3 1 . 중국 길림성의 인삼 수확면적 변화 추이( 1 9 7 8 ~2 0 1 1년)· · · · · · · ·2 0 그림 3 2 . 중국 길림성의 인삼 생산량 변화 추이( 1 9 7 8 ~20 1 1 년)· · · · · · · · · · · ·2 1 그림 3 3 . 중국 길림성의 중점 인삼재배지역 구역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그림 3 4 . 중국 연변지역의 인삼가공기업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그림 3 5 . 중국의 소규모 인삼가공기업의 생쇄삼 가공 공정 · · · · · · · · · · · · · · · · · ·2 8 그림 3 6 . 중국의 대규모 인삼가공기업의 기초가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0 그림 3 7 . 중국의 인삼 정밀가공제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제4장. 그림 4 1 . 중국의 인삼 및 인삼제품 유통경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6 그림 4 2 . 중국 길림성 만량장백산인삼전문시장의 인삼교역 전경 · · · · · · · · ·3 9 그림 4 3 . 중국 중약재도매시장의 생쇄삼 및 홍삼 판매 전경 · · · · · · · · · · · · · · · ·4 1 그림 4 4 . 중국의 인삼제품 소매유형별 전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그림 4 5 . 중국 동인당 인삼전문매장의 총통브랜드 제품 · · · · · · · · · · · · · · · · · · · · · · · ·4 5 그림 4 6 . 중국의 인삼류 중약재도매시장 가격변화 추이( 2 00 5 ~2 0 1 3 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6 제5장. 그림 5 1 . 중국의 장백산인삼 브랜드제품 전문매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13) 1. 제. 1. 장. 서 론. 1.연구의 추진 배경. ○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은 고소득 성장산업으로서 시장개방화에 대응할 수 있. 는 유망 품목으로 인식되어 왔으나,최근 들어 생산,유통,수출부문 등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음. -생산부문에서는 연작장해로 인한 신규 식재면적 및 생산량 감소와 고비. 용· 저생산성 구조로 전환되고 있음.유통부문에서는 수삼의 복잡한 유통 구조( 경로) ,수삼 경매제의 비활성화,인삼제품의 표준규격화 미흡과 상 품의 글로벌화 추진 어려움,소비자 신뢰도 확보 미흡 등이 대표적인 문 제점으로 노출되고 있음.수출에서도 중국 등과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급격한 신장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음. ○ 이 때문에 우리나라 인삼산업은 2 0 0 9 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2 0 0 9년 이후 신규 식재면적의 감소로 총경작면적과 생산량이 감소 추세로. 전환됨에 따라 향후 국내 인삼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인프라에 대한 우 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태임..

(14) 2 ○ 더욱이 현재 한· 중 FTA 협상이 논의되고 있는데,만약 협상 과정에서 관세. 가 인하될 경우 중국 인삼의 수입 확대로 국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특히,주산지인 동북3성 지역을 중심으로 인삼산업 육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 고려인삼과 국내외에서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됨. -현재 중국에서 인삼의 주요산지는 동북3 성 지역이며,이 중 길림성이 상. 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중국 정부는 길림성을 중심으로 인삼 육성 정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 는데,길림성의 경우 2 0 1 1 년4 월 백두산 전역을 야생 인삼밭으로 조성해 대량 생산계획을 수립한 후,인삼종자를 대대적으로 투하하고 있음. -또한,길림성 정부는 ‘ 2 0 1 0 ~2 0 2 0년 인삼산업 발전계획’ 과‘ 길림성 인삼. 산업 2 0 1 1 ~2 0 15 년 발전계획’ 을 수립하여 인삼을 전략산업으로 설정하 고 있음. ○ 따라서 현재 중국의 인삼재배 및 생산 현황과 특성,유통과 가공 현황,인삼. 재배 주산지의 인삼산업 육성 정책 등을 파악하고,특히 주산지인 동북3 성 을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 -이를 기초로 향후 한· 중 FTA 협상 시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내 인삼산업 발전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됨.. 2.연구 내용과 방법. ○ 이 연구는 중국 인삼산업의 현황과 육성 정책을 파악하기 위해 총 6 개의 장. 으로 구성되어 있음. -제1 장 서론에 이어 제2 장에서는 중국 인삼의 발전과정과 종류,인삼재배.

(15) 3. 방식을 파악하여 정리하였음. -제3 장에서는 중국의 전체 인삼 생산 현황을 살펴보고,주요 산지인 동북 3 성을 중심으로 인삼 생산 현황과 가공 실태를 제시하였음. -제4 장에서는 중국 인삼의 유통구조를 산지,도매단계,소매단계로 구분. 하여 파악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입 인삼제품의 유통 실태도 제시하였으 며,인삼과 인삼제품의 가격 동향을 살펴보았음. -제5 장에서는 중앙정부는 물론,동북3 성 중심의 지방정부의 인삼산업 육. 성 정책을 정리하였음. -제6 장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삼과 고려인삼. 을 비교· 요약하고,시사점을 유도하였음. ○ 이 연구는 2 0 1 3 년 본 연구원에서 수행된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원예· 특. 작산업 발전 전략( 2 / 2 차연도)화훼· 인삼· 녹차산업 중심」과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국 농업부 식품· 영양발전연구소에 연구위탁( 연구책임자:Li J i n g hu ) 한 내용을 보완· 재정리한 것임..

(16)

(17) 5. 제. 2. 장. 중국 인삼의 발전단계와 재배방식. 1.인삼의 발전과정과 종류. 1.1. 중국 인삼의 기원 ○ 중국에서 인삼을 발견하고 약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기록은 다수 존재하. 고 있는데,가장 이른 기록으로는 신농상백초( 神农尝百草)전설로 4 00 0 여 년의 역사가 있음. -또한,상형문자 ‘ 삼( 參) ’ 이 「갑골문합집」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적어도 35 0 0 여 년의 역사가 된다고 볼 수 있음. ○ 인삼 재배지역의 지리적 위치는 대체로 북위 4 0 ° ~4 8 °구간,동경 1 1 7 ° ~1 3 4 °. 구간으로서 지역분포로 볼 때 중국의 산서( 山西) 성에서 백두산( 長白山)일 대에 이르기까지가 인삼재배 가능 산지에 속함. ○ 역사 문헌에 의하면 중국 인삼의 주산지는 상당지역( 上党郡,오늘의 산서. 성,하북성,산동성 등) 과 요동( 辽东,오늘의 길림성,요녕성,흑룡강성 등) 지 역을 포함하며,이 중 상당지역은 중국 인삼역사의 발원지임..

(18) 6 -기원전 3 0 0 년에 춘추전국시대 월나라 재상 범려( 范蠡) 의 「계연( 計然) 」. 중에 태행산맥 산서성 장치( 長治) 지역이 고대 인삼산지임을 설명하는 문 구가 기록되어 있음. -기원전 1 0 0 년에 동한시기 「설문해자( 说文解字) 」중 “ 삼,인삼,약초는 상. 당에서( 蓡,人蓡,药草,出上党) ” 로 기재되어 있으며,기원 4 8 0 년 남조시 기 「본초경집주( 本草经集注) 」에도 “ 인삼은 상당과 요동에서 성장한다” 는 기록이 있음. -기원 6 1 8 년 당조시기 중국 첫 약전인 「新修本草」은 “ 인삼은 사람의 형태. 와 비슷하고 상당 및 요동지역에서 성장한다( 人参,如人形者,生上堂及 辽东) ” 는 인삼 주산지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당조의 유명한 의학자로서. 약왕으로 불린 손사막( 孙思邈) 의 저서 「응급천금처방( 备急千金要方) 」, 「천금유익처방( 千金翼方) 」중 인삼을 함유한 처방이 각각 4 4 5 개,31 0 개. 를 차지하고 있음. -당조시대는 중국의 인삼 약효 성과가 국내외적으로 광범위하게 전파된. 시기로써 중국 역사상 인삼사용의 최고봉이었던 것으로 평가됨. ○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던 상당지역 인삼은 이 지역 기후조건의 변화와 인위. 적인 채벌 등의 원인으로 인해 점차 멸종위기를 맞이하였음. -상당지역 기후의 변화,지구온난화와 산림채벌로 인삼은 생존환경과 토. 양을 상실하게 되었음. -당조시대 중국의 인삼 약효 성과가 일본에까지 전파되는 등 국내외적으. 로 널리 알려졌는데,기원 1 2 71 년 원명청( 元明清) 시대에 많은 의학서적 에서 인삼의 효능을 신비화하고 의학자가 인삼을 칭송함에 따라 과도한 인삼채집이 발생하였으며,지방 관료들의 인삼농가에 대한 핍박이 이어 져 인삼자원이 크게 파괴되었음. ○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인삼 산지는 점차 요동 등 동북지역으. 로 이동하기 시작하였으며,기원 1 6 1 6 년 청나라 시기에 인삼은 국가의 중요.

(19) 7. 한 경제내원이 되어 왕조 건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 -청나라 2 0 0여 년 동안 동북지역은 중국 인삼의 중요한 산지로 형성되었. 는데,동북지역 인삼은 조공진품으로서 매년 왕실에 정량으로 납품되었 고 왕실은 전문 부처와 관원을 배치하여 인삼에 대한 관리를 책임지도록 하였음. -당조시기 인삼의 주산지는 태행산( 太行山) ,연산면연( 燕山绵延)지역이. 었으며,동시에 백두산지역의 인삼자원이 개발되기 시작하였음. -송나라 시기에 중국 인삼 주산지가 동부지역으로 확장되어 황하이동 지. 역,태산산간 지역에 보급되었음. -명나라 시기 중국 인삼 주산지는 뚜렷하게 북쪽 지역으로 이전되어 동북. 지역에 집중되었으며,청나라 시기에는 백두산 산간지역이 중국 인삼의 주산지로서 확장되었음.. 1.2. 건국 이후 인삼의 발전단계 ○ 건국 후 중국의 인삼산업은 크게 4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쳤는데,1 9 4 9 ~1 9 8 0. 년은 형성단계로 볼 수 있음.중국은 1 9 4 9 년 건국 이후 인삼 수요량이 지속 적으로 증가하였는데,이 시기에는 인삼의 생산과 경영이 국가 계획에 따라 집행되었음. ○ 고속 성장단계인 1 98 1 ~1 9 8 9 년에는 국가 계획수매와 시장판매가 병행되었. 으며,인삼산업이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재배면적도 1 9 8 3 년 2, 5 0 0 h a 에서 1 1 9 8 8 년 1 5 , 7 0 0 h a 로 급증하였음.. ○1 9 90 ~2 0 0 3 년은 쇠퇴 및 조정단계로 인삼 재배면적이 확대되면서 인삼제품. 1王軍( 2 0 11 ) ..

(20) 8. 공급과잉 현상이 초래되었으며,인삼제품 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등 전반적 인 인삼산업이 위기를 맞이하면서 중국 정부는 인삼에 대한 전문경영을 실 시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었음. ○2 0 0 4 년부터 현재까지는 회복 및 발전단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이 시기에는. 장백산인삼 브랜드가 정착되고,인삼제품이 약품에서 신자원제품으로 전환 되었음. 표 2 -1. 중국의 인삼산업 발전과정 시기별 특징 형성단계 -인삼생산과 경영은 국가의 지령성 계획에 따라 집행 ( 19 49~1 980년) -인삼수요량 지속적 증가,인삼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함 -1983년 이후,인삼 생산경영을 개방,국가의 계획수매와 시장판 매 병행 고속성장단계 -인삼 시장판매가격은 정부의 수매가격 대비 크게 높아 인삼재 ( 19 81~1 989년) 배의 적극성 고조 -인삼 재배면적은 2, 500 ha에서 1988년 15, 700ha로 급증 -맹목적인 인삼재배면적 확대로 과잉생산 초래,인삼가격 급락 쇠퇴 및 조정단계 -소규모 인삼농가 다량 출현으로 인삼품질 저하 ( 19 90~2 003년) -정부는 인삼산업 구조조정을 실시,인삼 재배면적 축소 -인삼에 대해 전문경영 실시,인삼재배 특화지역 설정 회복 및 발전단계 ( 2004~현재). 개 시 15개 지역으로 집중 및 규모화 -길림성 인삼 주산지는 4 -인삼 재배면적을 매년 신청,허가 기준은 천ha규모로 제한 -2010년 장백산인삼 브랜드 정착 -2012년 인삼제품을 약품구분에서 신자원제품으로 전환. 자료:王軍.2011.「人参产业经济研究」.中国农业出版社에서 재정리.. 1.3. 중국 인삼의 종류 ○ 중국의 인삼에 대한 별칭은 재배지역,속성,형태 등 특징에 따라 4 0 0 여개. 에 달할 만큼 다양하며,국가별로는 중국의 ‘ 길림인삼’ ,한국의 ‘ 고려인삼’ , 일본 ‘ 동양삼’ ,캐나다와 미국의 ‘ 서양삼’ 으로 분류함..

(21) 9 ○ 중국의 인삼은 대체로 생태성장에 따라 야생산삼( 野山參) ,원삼( 原參) ,이산. 삼( 移山參)등으로 구분하고 있음. -야생산삼은 깊은 심산에서 자라는데,길림성과 흑룡강성의 장백산( 백두. 산) ,소홍안령,만달산,장광재령과 요녕성의 산간지역이 주요 산지임.야 생산삼은 통상 1 5 년 이상 성장한 것을 가리키며,연령이 많을수록 크고 효능도 좋아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음. -원삼은 야생산삼의 종자로 인공재배를 진행한 인삼을 말하며,이산삼은. 어린 야생산삼을 밭에 옮겨 심거나 어린 원삼을 산에 옮겨 심어 얻은 인 삼을 일컫는데 한국에서의 장뇌삼이 여기에 해당됨. ○ 중국 인삼은 무송( 抚松)보통삼( 普通参) ,집안( 集安)변조삼( 边条参) ,관전 ( 宽甸)석주삼( 石柱参) 의3 대 품계로 구분하고 있음.보통삼 또는 일반삼은. 대마야( 大马牙)품종으로 줄기가 짧고 인삼몸체 부분이 짧고 굵으며,측근 수가 많은 것이 특징임.주로 길림성 무송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가공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 변조삼은 이마야( 二马牙)품종으로 뿌리줄기 굵기가 중간 정도이며,인삼몸. 체 부분이 길고 측근 수가 적은 특징을 지니고 있음.길림성 남부지역의 통 화,집안과 요녕성 관전과 환인( 桓仁)등의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압록강 유역과 신개하( 新开河)유역이 주산지임.변조홍삼을 주된 원료로 가공한 ‘ 신개하홍삼’ 은 국내외에서 널리 알려져 있음. ○ 석주삼은 장발노( 長脖蘆)품종으로 뿌리줄기가 가늘고 길며 외피 주름이 깊. 고 가근은 수북하며 진주모양 종기가 있는 것이 특징임.요녕성 동부지역, 압록강유역 산간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음.생산량이 적고 생장주기가 길며 요녕성 관전현 석주자( 石柱子) 에서도 소량 재배하고 있으며,백삼가공에 적 합한 품종임..

(22) 1 0 그림 2 -1. 중국 인삼의 3대 품계. 보통삼. 변조삼. 석주삼. ○ 원삼은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홍삼,생쇄( 生晒) 삼,당삼류( 糖参类) 로 구분할. 수 있음.홍삼은 신선한 삼을 깨끗이 씻은 후 1 0 0 ℃에서 2 . 5 ~3시간 찌고 6 0~7 0 ℃에서 1 2 시간 찐 후 4 0 ~5 0 ℃에서 2 4 ~3 6 시간 건조시켜 만들고 있는. 데,완제품에는 전수( 全須) 홍삼,홍직수( 直須) ,홍만수( 灣須) ,홍혼수( 混須) 등이 있음. ○ 생쇄삼은 신선한 삼을 씻은 후 말려서 만든 것을 말하며,주요 완제품은 전. 수( 全須) 생쇄,백건삼,백직수( 直須) ,백만수( 灣須) ,백혼수( 混須) ,피미삼( 皮 尾蔘)등이 있음. ○ 당삼류는 신선한 삼을 깨끗이 씻은 후 끓는 물에 1 0 ~1 5 분간 데쳐서 설탕에. 연속 3 번 담근 후 3 0 ~40 ℃에서 3 ~4일간 말린 것으로서 완제품은 탕삼( 糖 参) ,백인삼( 白人参) ,당삼노( 糖参蘆) ,당직수,당만수 등이 있음. ○ 서양삼은 화기삼,오엽인삼,양삼,미국삼,광동인삼 등의 별칭으로 불리기. 도 하는데,제품으로는 원피서양삼( 原皮西洋蔘) ,분광서양삼( 粉光西洋蔘) , 2 서양활성삼( 西洋活性蔘) ,활성서양삼편( 活性西洋蔘片)등이 있음.. 2이동필( 2 0 06 ) ..

(23) 1 1 그림 2-2 . 중국 인삼의 가공방식별 제품. 전수홍삼. 변조홍삼. 석주생쇄삼. 백혼수. 홍직수. 서양삼.

(24) 1 2. 2.인삼의 재배방식. 2.1. 재배방식 구분 ○ 중국의 인삼재배 방식은 크게 산림을 벌목하여 재배하는 임지재배 방식과. 밭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평지재배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음.그동안 산림을 벌목하여 재배하는 임지재배 방식이 8 0 %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임지재배 방식이 주요한 인삼재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음. ○ 인삼의 임지재배 방식이 산림자원을 크게 파괴하는 행위로 인식되어 1 9 9 8. 년부터 국무원은 인삼의 임지재배를 위한 삼림 벌채를 금지하였을 뿐만 아 니라 2 5 °이상의 경사진 지역은 인삼재배를 못하도록 하고 인삼재배 후 반 드시 다시 삼림으로 환원시켜야 한다는 경작지 환림 정책을 실행하였음. -이로 인해 인삼재배 임지는 대량 감소되었는데,예를 들어 무송 지역의. 경우 20 0 0 년 허가된 인삼재배임지는 27 2 h a 였으나,2 0 01 년에는 크게 감 소하여 1 5 0 h a 에 불과하였음. -또한,최근 길림성 정부는 연간 인삼재배용 임지를 1 , 0 0 0 h a미만으로 제. 한하는 할당제를 채택함에 따라 연변 지역이 연간 2 8 5 h a 를 할당받고 있음. ○ 평지재배는 최근 고안된 새로운 생산방식으로 산림문제를 해결하고 토지.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향후 인삼생산의 발전방향이라고 할 수 있음.그러 나 인삼의 평지재배 시 병충해 문제 등 재배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많은 문제점이 존재함.중국은 1 9 8 0 년 초기부터 농경지 인삼 재배기술에 대 해 연구를 시작하여 일정한 연구 성과를 얻었지만,생산에 응용된 것은 거 의 없었음. 3과 ○ 국가과학위원회에서는 1 98 3 년 평지재배인삼을 “ 6 · 5 ” 기간( 1 9 81 ~1 9 8 5 년).

(25) 1 3. 제로 지정하여 길림성 좌가( 左家) ,용정( 龙井) 시 광개( 光开) ,농안( 农安) 현 삼성옥위( 三盛玉) ,요녕( 辽宁) ,북경 등에서 시험생산을 진행하여 단위당 1 . 7 4 ~2 . 7 2 k g / m2를 생산하였을 뿐만 아니라 2 등 이상의 우수품질 인삼 비중. 은 62 ~8 4 %로 양호한 성과를 달성하였으며,인삼사포닌 등 유효성분은 모 두 삼림재배 수준에 달하거나 초과하였음. -1 9 8 9 년 길림성 농업청은 농지인삼재배 과정을 규범화하기 위해 「농지인. 삼재배기술규정( 农田栽参技术规程) 」을 제정하였으며,1 9 9 0년 길림성 표 준계량국에서 실시하도록 반포하였음. -무송현 대방촌( 大方村) 은2 0 1 3 년9 월4 년근 인삼수확을 진행하였는데 대. 체적으로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4,시험전 평지재배 인삼의 품 질은 산림재배 인삼과 비슷하나 단위당 수확량은 약간 적은 1 ㎡당 2 ㎏ 수준이라고 함. -중국농업과학원 특산연구소는 인삼의 평지재배 시 시비를 통해 인삼지. 토양구조,토양화학성분의 개량을 진행하고 큰 인삼모를 정식하여 재배 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삼품질을 향상시켰다고 소개하였음. ○ 최근 인삼산업에 대한 길림성 내의 또 다른 관심사는 농약안전성 검사와 관. 련한 GAP 재배방식임. -2 0 1 2 년 말 현재 GAP인증 인삼기업은 2 0 0 3 년 북경동인당 길림인삼유한. 책임공사( 北京同仁堂吉林人参有限责任公司) 를 시초로 길림 장백삼륭집 단유한공사( 吉林长白参隆集团有限公司) ,집안시 신개하유한공사( 集安市 新开河有限公司) , 무송현 영구삼업유한공사( 抚松县宏久参业有限公司). 등의 4 개임.. 3중국은 국민경제와 사회발전을 위해 1 95 0 년대부터 순차별 5개년 계획을 제정하였으 며,“ 6 · 5 ” 는 제6 기 5 개년 계획 기간으로서 1 98 1 년부터 19 8 5년까지임. 4<그림 2 3 >의 인삼평지재배 지역은 무송현 대방촌( 大方村) 으로서 현정부 연구기관의 협조하에 진행한 평지재배 시험전임..

(26) 1 4. 2.2. 토지 정돈 ○ 임지를 인삼 재배지로 선정할 경우 활엽수,관목림이 좋고 몇 년간 버려진. 황무지도 자주 사용됨.산세 경사도는 1 5 °정도가 적합하며,유기질함량이 3 %( 평지재배는 1 . 5 %)정도인 부식토를 권장함. -인삼 재배지는 임지재배든 평지재배든 서향,서북향 5 0 미터 근처에 방풍. 임지대를 설치하여 풍해를 방지하도록 함.토양 및 배수가 좋고 부식질 이 풍부한 산림 토지,산지의 황토,화강암이 풍화된 토양이 가장 좋음. -인삼 재배지를 선택한 후에는 나무를 벌목하고 잡초를 제거한 후 나무잔. 가지,잡초를 땅위에 펴놓고 말린 후 태워서 없애고 재배지를 조성함. ○ 인삼 재배지를 선정한 후 인삼재배를 위해 두둑을 만드는데,우선 땅을 먼. 저 정돈함.두둑은 통상 높이 2 5 ~3 5 c m,너비 11 0 ~1 5 0 c m로 하며,두둑 간 거리 즉,작업도로는 1 1 0 ~1 5 0c m로 함.두둑 길이는 지형에 따라 결정되는 데 평탄한 지역은 보통 5 0 ~8 0 m이며,두둑은 궁형으로 중간이 조금 높고 양 측이 낮음.심기 전에 일정한 비료를 주고 두둑을 만드는 것은 산림을 벌목 하고 재배하는 방식과 동일함. -인삼 주산지에서 인삼재배지 면적은 통상 장( 丈) 으로 계산하는데,너비. 는 두둑 너비기준으로 1 . 5 m,길이 3 . 3 m를 1 장으로 함.인삼 재배지가 규 모화되어 발전하면서 h a단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대부분의 농가들은 여전히 1 장 단위를 사용하고 있음.예를 들면,무송현 인삼 재배지 임대 비용은 1 장 단위로 계산되며,1 장당 6 00 위안 정도로 상당히 높은 편임. -인삼 재배농가들은 인삼 단위당 생산량을 계산할 때 두둑 면적당 생산량. 으로 계산하여 m2당 2 . 5 k g정도라고 함.반면,통계자료에서 발표되는 인 삼의 단위당 생산량은 2 0 1 1 년 기준 1. 3 k g 으로 적게 나타났는데,이는 인 삼 수확면적에 작업도로 등 전체 면적이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됨. 1 h a인삼 재배면적의 경우 인삼지 두둑의 면적은 6 0 %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수치와 일치함..

(27) 1 5 그림 2-3. 중국 인삼의 임지재배 및 평지재배 전경. 임지인삼재배지 개황. 임지 인삼재배지 형성. 퇴경환림 정책의 식목. 인삼수확. 산림벌목 임지인삼재배지 전경. 대방촌 인삼 평지재배 시험전.

(28) 1 6 ○ 우막은 아치형으로 막을 치고 반투명 비닐을 사용하는데,비가 적은 지역은. 쌍층의 우막을 사용해도 됨.우막 지붕은 지면과의 거리가 약 1 1 0 ~1 2 0c m 정도 되어야 함. ○ 인삼 산림재배는 정부의 퇴경환림 정책을 준수해야 함.인삼 재배지를 만들. 어 인삼재배를 시작할 때 작업도로변에 어린 묘목을 동시에 심어 인삼을 재 배하는 몇 년 동안 동시에 자라도록 함으로써 환림 시의 녹화를 보장하도록 함.. 2.3. 파종 및 이식 ○ 동북인삼지역의 중부와 남부는 봄 파종을 4 월 중순과 하순에 진행하며,북. 부에서는 4 월 하순에서 5 월 초에 진행함.가을 파종의 경우 동북인삼지역의 중부와 남부는 1 0 월 상순부터 토양이 얼기 전,북부는 9 월 하순부터 토양이 얼기 전에 진행함.점파기를 사용하여 점파를 진행하여 매구에 한 알씩 넣음. -2 년생 묘목을 배양하려면,3 c m×5 c m 혹은 4 c m×4 c m로 점파하고,3 년생. 묘목 배양 시에는 4 c m×5 c m 혹은 5 c m×5 c m,4 년생 직파는 6 c m×8 c m를 사용함.이 때 토양을 3 c m×5 c m로 균일하게 덮은 후 적당하게 짓누름. ○ 중국 인삼은 보통 2 · 4 제5,3 · 3 제 혹은 2 · 3 제를 사용하며,변조삼은 3 · 2 · 3 제6. 혹은 2 · 2 · 3 제를 사용하기도 함.생삼 가공은 일반적으로 종자 직파 4 년근부 터 수확하여 사용함.인삼 농가들은 당해 연도 인삼가격에 따라 4 년근 수확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보통 수확인삼은 4 ~5 년근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음.. 5육묘 2 년,이식 후 4 년 성장하여 6년생으로 수확하는 재배제도임. 6육묘 3 년,이식 후 2 년,재이식 후 3년 성장하여 8 년생으로 수확하는 재배제도임..

(29) 1 7. 2.4. 종자채집 및 인삼수확 ○ 인삼묘목은 5 년생이 되면 생육이 건전한 묘목을 종자로 남기는데,그 순도. 는 95 %에 달해야 됨.인삼순은 꽃이 2 분의 1정도로 피었을 때 꽃 중앙의 작은 꽃망울을 3 분의 1내지 절반을 땀.인삼종자 수확은 인삼과육이 연해 질 시기에 일차적으로 진행하며,수확 후 즉시 과육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 에 씻어냄. -씻어낸 종자는 직접 종자처리 혹은 말림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건조. 작업을 거친 종자는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는데,보관 시 습 기와 충해를 방지하여야 함. ○ 한국 인삼의 수확기는 8 월 중순인 반면,길림성 지역은 9 월 중순부터 시작. 되며,인삼수확은 4 년근부터 진행함.수확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하고,인삼 잎은 산지에서 말리거나 그 상태로 판매하기도 함..

(30)

(31) 1 9. 제. 3. 장. 중국의 인삼 생산 현황과 가공 실태. 1.동북3성의 인삼 생산 동향7. ○ 중국의 인삼재배 주산지는 길림성,요녕성,흑룡강성 등 동북 3성으로서 주. 로 장백산 지역 북위 3 5° ~4 8 °구간에 분포되어 있는데,남쪽 요녕성 관전 ( 宽甸) 에서부터 길림성의 무송( 撫松) ,장백( 長白) ,정우( 靖宇) ,집안( 集安) ,. 돈화( 敦化) ,안도( 安圖)등의 지역을 거쳐 북으로는 흑룡강성 이촌( 伊春) 에 이르며,1 9 5 0 년대 이후 하북성,산동성,운남성 등 지역에서도 소량 재배되 고 있음. ○ 중국의 인삼재배 면적은 2 0 1 0 년 말 기준 1 0 , 3 9 2 h a 이며,이 중 길림성의 인. 삼재배면적은 전국의 7 0 %인 7 , 0 0 0 h a정도임.인삼의 고향인 무송현 인삼재 8 배면적은 1 , 5 0 0h a 로서 길림성의 2 1 . 4 %,전국의 1 4 . 4 %를 차지하고 있음.. 7중국의 인삼 주산지는 길림성,요녕성,흑룡강성 등 동북3 성이며,이 중 길림성이 전 체 인삼 재배면적의 7 0 % 내외를 차지하고 있음.동북3 성 이외에 하북성,산동성,운 남성 등에서도 소량 재배되고 있으나 집계된 통계 자료는 없음.이 때문에 중국 전체 인삼 재배면적에 대한 데이터는 없어 동북3 성 중심으로 생산 동향을 전개하고자 함. 82 01 1 년 길림성 정부 발표 자료..

(32) 2 0 ○ 흑룡강성의 철력( 铁力) ,이춘( 伊春) ,목릉( 木凌) 과 요녕성의 환인( 桓仁) ,신. 빈( 新宾) ,청원( 清原) ,관전( 宽甸)등 지역에도 인삼이 대량 재배되고 있음. ○ 길림성 정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길림성 인삼 수확면적은 1 9 8 8 년1 5 . 7 천 h a 로 정점에 달한 이후 급속히 감소하다가 1 9 9 6년 최저 수준인 0. 6 천h a 에. 서 다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음. -2 0 0 0 년 이후부터는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2 0 1 1 년 기준 길림성 인삼. 수확면적은 2 . 8 6 천 h a 에 달함. 그림 3-1. 중국 길림성 인삼 수확면적 변화 추이( 1 978~20 11년) 단위:천 ha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0.0. 자료:吉林省统计年鉴.각 연도.. ○ 중국의 인삼 총생산량은 2 01 0 년 말 기준 41 , 7 6 0 톤이며,이 중 길림성이 3 0 , 00 0 톤을 생산하였음.무송현의 인삼 생산량은 9 , 3 3 5톤으로 전국의 2 2 . 4%,길림성의 3 1 . 1 %를 차지하였음..

(33) 2 1 ○ 길림성의 인삼 생산량은 1 9 9 8 년1 . 4 만 톤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 0 1 1 년. 에는 3 . 6 9 만 톤에 달하였으며,단위당 생산량도 계속 증가하여 2 0 1 1 년 기준 h a 당 1 3 . 1 톤임. -중국시장조사 연구센터 조사 결과,2 0 0 9 년 길림성의 인삼 생산량은 건조. 삼 기준으로 4 , 1 9 6 톤이며,이를 길림성 정부가 발표한 2 0 1 1 년 수삼 생산 량4 1, 0 0 0 톤을 건조삼 비율 3 . 5 : 1 로 계산할 경우 2 0 11 년 중국 건조삼 생 산량은 1 0 , 0 0 0 여 톤으로 추정할 수 있음. 그림 3-2. 중국 길림성의 인삼 생산량 변화 추이( 1 978~20 11년) 단위:천 ha,톤/ ha 14.0. 4.0. 12.0. 3.5 3.0. 10.0. 2.5. 8.0. 2.0 6.0. 1.5. 4.0. 1.0. 2.0. 0.5. 0.0. 0.0. 년 9년 0년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0년 1년 98 9 0 0 0 0 0 0 0 0 0 0 1 1 19 19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생산 량. 단위 당 생산 량. 자료:吉林省统计年鉴.각 연도.. ○ 길림성은 중국의 인삼 주산지로 백두산지역이 인삼의 주요 재배지역임.길. 림성 정부는 인삼산업진흥계획에 따라 백산( 白山) 시,통화( 通化) 시,연변자 치주,길림시 등 4 대 시· 주 구역의 무송,장백,정우,집안,통화,교하( 蛟河) , 화전( 桦甸) ,휘남( 辉南) ,안도,왕청( 汪淸) ,돈화,훈춘( 珲春) ,화룡( 和龙) ,용 정( 龙井) ,도문( 图们) 의1 5 개 현· 시( 현급 시)지역을 인삼중점생산기지로 확 정하여 발전시키고 있음. -이 중 무송현은 중국의 인삼 고향으로 불리며,집안시는 신개하( 新開河). 인삼의 발원지임.길림성에서 중점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인삼산업단 지는 6 개 현· 시인 돈화,연길,집안,무송,장백 정우에 분포되어 있음..

(34) 2 2 그림 3-3 . 중국 길림성의 중점 인삼재배지역 구역도. 자료:<ht t p: / / www. cbs r s . or g>.. ○ 길림성 백산시는 전통적인 중국 인삼의 재배산지이며,또한 인삼유통의 집. 산지임.인삼산지뿐만 아니라 인삼시장,인삼기업,인삼연구기관 등 관련 업 종이 대량으로 분포되어 있음. -국가에서 비준한 1 5 개 인삼원산지역 보호 현· 시중5 개가 백산시에 위치. 하고 있음. -중국의 전국 최대 규모인 만량인삼전문시장은 백산시 무송현 만량진에. 위치하고 있는데,이 시장은 전국 인삼유통에서 중요한 집산역할을 하고 있음. -타 지역의 인삼 재배농가는 상당 부분이 전통 재배산지로서 재배기술이. 축적되어 있는 길림성 백산시,통화지역 농가들임..

(35) 2 3 ○2 0 12 년 백산시 인삼산업 총생산액은 1 0 2억 위안이며,이 중 인삼재배 생산. 액은 2 8 억 위안에 달하였음.2 0 1 3 년 인삼산업의 총생산액은 1 3 0 억 위안 이 상으로 전년 대비 3 0 %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백산시는 향후 인삼산업을 적극 발전시키고자 하는데,2 0 1 7 년 인삼산업의. 총생산액이 3 5 0 억 위안에 달하도록 하고 연간 판매액이 2 억 위안 이상인 용두기업 3 개,1억 위안 이상인 기업 1 0 개를 육성할 계획을 수립하였음. ○ 연변자치주는 길림성의 인삼주산지로서 길림성 총 재배면적의 6 0 %를 차지. 하고 있음. -연변자치주의 인삼 보존면적은 5, 5 0 0 ~6 , 0 0 0 h a 를 유지하고 있으며,연간. 신선삼 생산량은 1 만 톤에서 1 . 2 만 톤 내외임.2 0 1 0 년 수확면적은 6 3 5 h a 이며,신선삼 생산량은 1 0 , 1 5 5만 톤,생산액은 5 억 위안에 달하였음. 2 0 1 1 년에는 인삼 생산량이 1 . 5 만 톤,생산액은 9 . 2 억 위안으로 나타났음. ○ 인삼 재배면적과 인삼 생산량 규모로 보면,연변지역은 길림성이 제1 위를. 차지하고 있으나,전문화된 인삼시장이 없이 7 0 ~8 0% 정도가 중간상을 통 해 백산지역 만량인삼도매시장에서 교역되고 있음. -연변지역은 사실상 백산과 통화지역의 재배기지라고 할 수 있으며,연변. 지역 인삼농가의 경우 5 0 % 이상이 길림성 백산시와 통화지역의 인삼농 가들인 것으로 추정됨..

(36) 2 4 표 3-1. 중국 길림성의 지역별 인삼 생산량 변화 추이( 2001 ~2 011년) 단위:톤. 2 001 장춘시. 20 05. 2007. 20 09. 2010. 201 1. 649. 1, 165. 1, 52 5. 1, 6 65. 1, 7 18. 3 , 229. 장춘시. 2 , 000. 덕혜시. 1 , 229. 길림시. 20 03. 136. 5 12. 길림시. 9. 교화시. 4. 27. 50. 94. 33 2. 3 39. 4 37. 화전시. 132. 4 81. 590. 1, 071. 1, 13 8. 1, 2 86. 1, 2 46. 5 5. 40. 35. 반석시 통화시. 4 3 , 916. 6 , 1 91. 5 , 857. 6, 853. 4, 86 4. 3, 5 48. 5, 1 14. 통화시. 56. 1 82. 32. 87. 10 4. 95. 1 87. 통화현. 947. 2 , 1 01. 1 , 746. 1, 449. 1, 11 5. 7 63. 5 47. 요하현. 105. 3 23. 930. 2, 492. 1, 03 2. 23. 2 66. 매화구시. 20. 7. 집안시. 2 , 727. 3 , 5 45. 3 , 109. 휘남현. 61. 40. 40. 7 , 681. 8 , 1 45. 백산시. 33. 무송현. 1, 1 13. 2, 818. 2, 61 3. 2, 6 67. 3, 0 01. 7 , 616. 9, 992. 11, 97 0. 13, 0 24. 14, 8 88. 5 51. 299. 1, 162. 95 2. 7 52. 7 65. 3 , 650. 3 , 2 53. 3 , 383. 6, 802. 6, 25 7. 6, 7 31. 7, 6 98. 정우현. 762. 6 69. 388. 663. 1, 00 2. 1, 4 69. 1, 9 99. 장백현. 2 , 603. 3 , 0 12. 3 , 031. 490. 3, 20 8. 3, 4 84. 3, 5 67. 임강현. 494. 5 75. 412. 875. 55 1. 5 88. 8 59. 강원현. 139. 85. 103. 연변자치주. 5 , 222. 10 , 2 80. 17 , 951. 1 3, 302. 9, 13 0. 9, 9 33. 15, 1 83. 백산시. 도문시. . 1 5. 1 60. 돈화시. 3 , 481. 6 , 1 95. 9 , 428. 4, 400. 2, 74 3. 2, 8 20. 8, 7 35. 훈춘시. 151. 7 85. 1 , 113. 2, 029. 1, 83 1. 2, 0 11. 1, 8 62. 2. 8. 48. 14. 용정시 화룡시. 4 15. 369. 170. 14 4. 4 23. 3 26. 왕청현. 142. 4 97. 569. 750. 1, 01 0. 1, 7 29. 1, 0 93. 안도현. 1 , 448. 2 , 3 88. 6 , 472. 5, 951. 3, 37 9. 2, 9 02. 2, 9 93. 자료:吉林省统计年鉴.각 연도..

(37) 2 5. 2.인삼 가공산업 현황과 전망. 2.1. 가공산업 현황 ○ 중국의 국내 인삼 가공제품 소비량은 2 00 0 년8 0 0 톤에서 2 0 0 7 년 5 , 0 0 0 톤으 9 그러나 1 로 연간 5 0 0 톤 정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 3 억 인구인 중국과. 4 , 8 0 0 만 인구인 한국과의 인삼 소비액을 비교할 때 한국의 연간 인삼 소비. 액이 1 1 0억 위안인데 반해 중국은 1 8 억 위안 수준으로 한국의 6 분의 1 에 10 불과하여 중국의 인삼제품 소비가 한국에 비하여 극히 적음을 알 수 있음.. ○ 중국시장조사연구센터의 2 0 0 9 년 조사 결과,전국의 인삼 가공기업은 5 , 0 0 0. 여 개 내외로 길림성 지역이 6 1 %로 가장 많고,흑룡강성이 1 6 . 5 %,요녕성 이 1 1. 5 %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 인삼가공기업은 대부분 소규모로 기술수준이 낮으며,2 01 3 년 기준. 자산규모가 5 , 0 0 0 만 위안 이상인 규모화 기업은 10 개 정도에 불과한 실 정임. ○ 한편,현재 연변주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인삼 가공기업이 1 3 개 있으며,연. 변 인삼 가공기업의 연간 가공량은 3 , 00 0 톤 정도에 달함. -가공제품으로는 홍삼,백삼,대력삼,보선삼,인삼꿀절편 등 기초 가공제. 품과 인삼정,인삼차,활성인삼캡슐 등 정밀 가공제품이 있으며,이 외에 도 홍삼엑기스,인삼주,인삼쌀,인삼사탕,인삼꿀,인삼누룽지,인삼커피, 인삼월병 등과 같은 인삼식품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음.. 9丁立威( 20 0 8) . 1 0강마야 등( 2 0 12 ) ..

(38) 2 6 ○ 연길시 신흥공업단지는 2 0 1 1 년3 월 국내 최대 인삼산업단지 건설계획을 발. 표하였는데,해당 단지는 5 만 k m2로 무역단지와 가공단지로 조성되고 총 7 2억 위안을 투자,생산액 규모가 5 0 0 억 위안에 달할 계획으로 있음. -현재 길림자흠약업( 吉林紫鑫药业) ,한국의 한정인삼공사( 정관장) ,중국. 약 그룹( 中国药业集团)등 유명 인삼가공기업들이 입주해 있음. 그림 3 -4. 중국 연변지역의 인삼가공기업 전경. 도문 인삼가공기업. 도문인삼가공기업 가공설비. 신흥공업단지 정관장 안내표지. 신흥공업단지 내 정관장. 신흥공업단지 입주예정 인삼기업. 신흥공업단지 내 자흠약업기업.

(39) 2 7 -한국의 정관장은 8 억 위안을 투자하여 한국 홍삼가공기술을 도입하여 일. 련의 인삼제품 연구개발,생산,가공,판매를 진행하고자 하며,연간 가공 능력은 2 , 0 0 0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또한,중국은 인삼 가공제품에 대한 표준화,전문화된 원료생산이 이루어지. 지 않고 있음.중국은 현재 홍삼 혹은 백삼의 원료기지가 따로 존재하지 않 고 인삼원료는 인삼 수집을 통해 몸체가 크고 손상이 적은 인삼을 보선삼, 활성삼으로 판매한 후 나머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홍삼 혹은 생쇄삼으로 가 공하고 있음. ○ 이러한 실정에 따라 중국의 인삼 가공제품 모델은 단일한 것으로 8 0 % 이상. 이 기초가공임.길림성 최대 규모인 신개하유한공사 제품 중에도 홍삼제조 가6 5 %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약품과 보건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비중은 1 5 % 수준임. -약품과 보건품 중에서도 약품 비중이 많으며,연구 개발된 인삼식품은 11 존재하지만,정상 출시되고 있는 제품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음.. 2.2. 제품별 가공실태 ○ 중국의 인삼가공은 크게 기초가공과 정밀가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인삼. 기초가공은 수삼을 간단한 세척,건조,증제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제품 으로서 장기저장에 편리하며,주요 가공제품으로는 생쇄삼,홍삼,당삼 등이 있음. -정밀가공이라고 하면 현대공업화 기술과 분리기술 등을 통해 인삼 유효. 성분을 추출 및 전환하여 관련 업종에 광범하게 응용하는 기술임.주요. 1 1王軍( 2 01 1 ) ..

(40) 2 8. 가공제품으로는 인삼성분을 이용한 인삼약품,인삼보건품,인삼식품,인 삼차류,인삼주,인삼화장품 등이 있음.. 2. 2. 1.기초가공 ○ 중국의 인삼 가공제품은 8 0 % 이상이 기초가공이며,대규모 기업일 경우에. 도 간편한 홍삼제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소규모 인삼가공기업 의 인삼 기초가공 제품은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대규모 유통을 진행하고 있 는 반면,대규모 인삼가공기업의 제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다양한 형태로 2 차 가공되어 전문매장을 통해 유통되는 등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음. 그림 3-5. 중국의 소규모 인삼가공기업 생쇄삼 가공 공정. 세척 준비. 세척 완료. 세척수삼 건조실 건조. 생쇄삼 일조 건조.

(41) 2 9 ○ 소규모 인삼 가공기업은 대부분 가공설비가 낙후한 공방식 작업실에서 생. 쇄삼,홍삼 등 기초가공을 진행하고 있음.이러한 기초가공을 통한 가공제 품은 품질이 균일하지 않으며,대부분 벌크상태로 중약재 도매시장 혹은 타 지역 판매상인에게 판매되고 있음.소규모 가공기업들은 이러한 가공과정 을 거쳐 1 0 ~1 5 %,많게는 2 0%의 이윤을 남길 수 있음. ○ 신선인삼을 세척기에 넣고 세척한 후 5 0℃ 정도 건조실에서 건조를 진행하. 며,건조시간은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절편가공용을 제조할 경우 연한 바람 으로 7 ~1 5일 정도 건조함.일반 생쇄삼일 경우 센 바람으로 3 일 정도 딱딱 하게 건조하고 있음. -생쇄삼의 주요 완제품은 전수( 全須) 생쇄,백건삼,백직수( 直須) ,백만수 ( 灣須) ,백혼수( 混須) ,피미삼( 皮尾蔘)등이 있음. ○ 반면,대규모 인삼가공기업은 선진적인 세척,선별,포장 등 설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인삼 기초가공이 비교적 전문화되어 있음.인삼 기초가공제품 도 단순한 기초가공에서 압축,신선도유지 등 제2 차 가공과정을 거쳐 다양 한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음. -이들 제품은 대부분 전국 지역별 전문매장에 직접 판매되거나 판매 대리. 상을 통해 약국,슈퍼 등에서 유통되고 있음.. 2. 2. 2.정밀가공 ○ 인삼 정밀가공제품은 인삼약품,인삼보건품,인삼차류,인삼식품,인삼주,. 인삼화장품 등이 있으며,이중 인삼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반면, 인삼식품의 비중은 가장 적음..

(42) 3 0 그림 3-6 . 중국의 대규모 인삼 가공기업 기초가공. 세척 및 정리. 선별. 성쇄삼. 보선삼. 홍삼. 홍삼절편. ○ 그동안 식품가공 분야에서 인삼은 「식품법」의 “ 약물을 식품에 첨가할 수 없. 다” 는 법규적인 제한을 받아왔기 때문에 식품개발에 대한 연구가 늦어졌음. 20 1 2 년9 월 인삼에 대한 ‘ 약식동원( 藥食同源) ’ 을 허가하여 각종 업계가 이. 에 대한 개발을 적극 추진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아직까지는 시작에 불 과하여 본격적인 제품개발까지는 장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 인삼 정밀가공제품 중 의학수준의 약품과 보건제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43) 3 1. 있는 것은 이에 대한 과학연구기관들의 연구실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고 볼 수 있음. 그림 3 -7. 중국의 인삼 정밀가공제품. 인삼약품. 인삼보건품. 인삼차. 인삼화장품. 인삼식품. 인삼주. 자료:중국 인삼박물관..

(44) 3 2 -중국은 오랫동안 인삼 재배기술,가공기술,병충해방지,약리,약화,제품. 개발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는데,이 중 약리,약 화,제품개발에 대한 투입이 가장 크고 관련 연구논문과 특허신청 제품 도 가장 많음. -인삼의 약리,약화 연구개발 분야에서 길림농업대학,중의중약연구원,길. 림대학,동북사범대학 등 과학연구기구들의 실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 고 있음.1 9 70 ~1 9 8 0 년대부터 바이치우언( 白求恩)의과대학의 수이징다 ( 徐景达)교수와 길림농업대학 리시앙고우( 李向高)교수의 지도하에 화. 학연구실에서는 인삼뿌리에서 인삼사포닌 단량체를 분리하였으며,동시 에 그 화학구조를 확증하였음.. 2.3. 인삼 가공산업의 발전 전망 ○ 중국의 인삼과 인삼제품 소비 수준은 아직까지 극히 낮은 수준인데,이는. 다른 의미에서는 향후 인삼제품의 수요 확대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기도 함. ○ 중국은 2 0 1 2 년9 월 인삼을 신자원식품으로 구분하여 인삼식품 개발에 대한. 규제를 크게 완화하였으며,이에 따라 정부의 관련 연구기관과 인삼 가공기 업들에서는 인삼식품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 중국 위생부가 2 0 1 0 년 9월 길림성의 인공재배 인삼을 식품으로 구분하는. 것에 대한 시범사업을 비준한 이후,길림성 정부는 길림성 오동약업주식유 한공사( 吉林省敖东药业股份有限公司) ,길림 수정과학기술생물유한공사( 吉 林修正科学技术生物有限公司)등 7 6 개 기업을 시범기업으로 선정하고,1 0. 여 개 품목 2 5 7 개 인삼식품에 대해 시범사업을 진행하였음. ○ 최근 길림성 정부는 인삼산업진흥을 위해 정책,자금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45) 3 3. 있으며,특히 인삼가공기업을 대상으로 인삼원료산지 조성,인삼신제품 개 발,고신기술성과 전환,장백산인삼 브랜드 시장개척 등의 분야에 자금지원 을 확대하는 등 파격적인 지원을 하고 있음. -고정자산투자 규모가 2 , 0 0 0 만 위안 이상인 인삼가공기업들은 성급 용두. 기업으로 신청하도록 하고,조건을 갖춘 기업에 대해 농기계보조 등 우 대 정책을 실행함. -연구개발한 신제품,고신기술성과 전환 제품 등 제품의 생산,시장개척을. 해결하도록 품목당 7 0만~1 0 0만 위안의 자금을 지원함. -5 h a이상 규모의 인삼원료기지 가운데 녹색재배,유기재배 등 정부 표준. 에 부합되는 기지는 4 0만~5 0 만 위안을 지원함. ○ 인삼 가공제품에 대한 시장수요 확대 잠재력은 상당할 뿐만 아니라 인삼 가. 공기업들이 인삼보건품,인삼식품 개발 및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으며,동 시에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책을 추진하는 등 인삼 가공산업을 둘러싼 여건 변화에 힘입어 중국의 인삼 가공산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46)

(47) 3 5. 제. 4. 장. 중국의 인삼 유통구조와 가격 동향. 1.인삼 유통구조. ○ 중국 인삼의 유통시장은 산지,도매단계,소매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중. 국 인삼의 주산지는 동북3 성,특히 길림성에 집중되어 있으며,무송현에는 전국 최대 규모인 만량인삼전문도매시장이 있어 길림성이 사실상 중국 인 삼 유통의 집산지 역할을 하고 있음.. 1.1. 산지 ○ 중국의 인삼재배용 임지는 국가 및 집체소유로서 임업국이 관리하고 있음.. 길림성에는 전통적으로 인삼재배에 종사한 인삼농가가 많으며,인삼재배용 임지의 소유권은 국가가 지니고 있지만,이들은 임지에 대한 5 0 년 불변 사 용 권한을 갖고 있음..

(48) 3 6 그림 4-1. 중국의 인삼 및 인삼제품 유통경로. -임지 사용권한을 갖고 있는 인삼농가는 직접 인삼재배를 진행하거나 혹. 은 사용권한을 양도하는 대신 임대비용을 징수하기도 함.최근 몇 년간 인삼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인삼재배지 임대비용도 크게 상 승하였는데,무송현 인삼재배지의 경우 2 0 1 3년 기준 1 장( 1 . 5 m×3 . 3 m) 당 임대비용은 6 0 0 위안으로 상당히 높은 편임. ○ 인삼의 GAP생산,전문화,규모화,녹색재배,유기재배를 적극 추진함에 따. 라 농가단위로 인삼전업합작사 조직을 구성하고 간편한 건조시설을 갖추어 기초가공을 거친 후 인삼도매시장에 납품하기도 하지만,비중은 여전히 낮 은 실정임. ○ 대규모 인삼 가공기업은 가공제품의 원료조달을 위해 자체 인삼기지를 보. 유하고 있어야 하지만,정부가 인삼 재배임지에 대한 허가 할당제를 실행하 여 엄격히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인삼농가와 계약재배 형식을 취하 고 있음..

(49) 3 7 ○ 인삼농가가 인삼을 판매하는 방식은 인삼수집상을 통한 판매,직접 인삼전. 문도매시장에 판매,계약재배를 통한 가공기업에 판매 등 다양하지만,인삼 수집상을 통한 판매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음.중국의 인삼 재배지역은 산림 지역으로 교통이 불편하기 때문에 인삼농가가 직접 인삼판매까지 진행하기 에는 어려움이 많음. ○ 인삼수집상은 산지에서 인삼을 수집한 후 인삼전문도매시장 또는 인삼 가. 공기업에 납품하는데,인삼수집상이 인삼 가공기업에 납품할 경우 통상 12 3 ~5 % 수수료를 받고 있음.. 1.2. 도매단계 ○ 중국의 인삼과 인삼제품은 약재로 구분되어 도매유통단계는 중약재도매시. 장을 거침.인삼의 주산지가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어 중국 인삼의 도매단 계는 우선 길림성 인삼 주산지 인삼전문시장에서 수집되어 전국 중약재도 매시장으로 확산되는 구조임.. 1. 2. 1.인삼전문시장 ○ 길림성 만량장백산인삼시장은 1 9 8 9 년 인삼의 고향인 무송현에 설립되었으. 며,2 0 05 년 5 , 0 0 0여만 위안을 투자하여 5 . 2 만 m2 규모로 이전 건립하였음. 인삼주산지에 위치한 인삼전문도매시장으로서 전국 인삼제품의 집산지 역 할을 담당하고 있음. -만량장백산인삼시장은 2 0 0 8 년에 수삼교역동 8 , 70 0 m2, 건삼교역구역 8 , 5 0 0 m2,정품교역구역 1 3 , 7 0 0 m2,생활구역 2 , 2 00 m2,행정구역 9 30 m2를. 1 2王軍( 2 01 1 ) ..

참조

관련 문서

– 중앙정부 부처별 먹거리 관련 정책 간 일관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타 부서와 상호 협력하 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통해 정책 방향을 설정함.

◦특히, 대두와 돼지고기의 경우, 양국이 세계 최대의 생산 및 소비국이자 교역국이며, 중국의 대 세계 수입규모가 크기 때문에 중국의 관세부과가 세계시장에

- 여성농업인 정책 수요를 몇 가지 정책 사업으로 담아내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역 특성 및 여성농업인의 수요에 맞는 지역밀착형 정책을 개발하여 추진해야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II...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원가 절감이 절실했던 이랜드는 중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 -현재 이랜드는 한국에서 판매되는 일부 제품의 생산도 중.

이 소설에는 현대 중국 소시민의 생활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는데요, 우리나라 서민들의 일상과 비슷하면서도 매우 다른 생활 이 그려져

 현재 웹 2.0은 소비자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하고, SOA는 기업 중심 모델을 지원하고 있으나, 미래 비즈니스 세계는 이 둘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이시다 사키(2012)는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 연구(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 비교를 중 심으로)에서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