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T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계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T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계획"

Copied!
2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 2011-53 | 2011. 12 |. aT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계획. 최 지 현 지 인 배 장 재 봉. 선임연구위원 부연구위원 부연구위원.

(2) 연구 담당 최지현 지인배 장재봉. 선임연구위원 부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연구 총괄, 제 1, 2, 3, 5, 6장 집필 제 2, 3장 집필 제 4장 집필.

(3) 제 출 문.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출이사장 귀하. 농수산물유통공사와와 체결한 연구용역 “aT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계획”의 최종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1년 12월. 연구책임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 지 현.

(4)

(5) i. 머 리 말. 농식품 수출은 2010년 59억불, 2011년 77억불로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 면서 수출을 통한 농림수산식품부문의 성장동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농식품 수출은 농가 소득의 향상, 식품기업의 부가가치 창출, 국내 농산물 가격의 안정 및 우리나라 식문화 수출 등 국가 경제·사회·문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최근 유럽, 일본, 중국 등 글로벌 식품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되고, 태국, 일 본 등은 자국음식의 글로벌화를 위해 해외마케팅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우리나 라 농식품 수출의 증대와 한식세계화의 성공적 추진은 중요한 농정과제 중의 하나이다. 2017년 농식품 수출 200억불 목표를 수립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농식품의 현지시장 진입확대를 위해 해외마케팅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는 농수산물유통 공사(이하 aT)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세계 식품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aT 해외조직망의 운영 체계를 재정립하고,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여 새로운 사업방향을 제시하고자 추 진되었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증대를 위한 aT의 해외시장개척 추진전략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수행 과정에서 조사에 적극 협조해 주신 aT 본사, 해외 aT센터, 식품제조기업, 수출업체 등 관련기관 관계자 여러 분들께 감사드린다. 2011.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6)

(7) iii. 요. 약. ○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농림수산식품 수출 2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해외시 장개척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수출환경 변화에 따라 해외 aT센터의 운영체계 를 재정립하고, 기능과 역할 강화방안을 모색하며, 전략국가에 대한 신규 확 충 운영방안을 도출하는 것임. 이를 위해 첫째, 해외 aT센터 중장기 운영목 표 수립 및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둘째 신규 수출유망 시장 진출을 위 한 기반을 구축하고, 셋째 조직과 인력 운영을 위한 권역별·국가별 조직망 을 재설계하며, 마지막으로 aT 해외수출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임. ○ 농식품의 수출증대요인 분석결과 해외시장의 규모가 클수록, 근거리 시장 일수록 농식품의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정부의 수출지원정책도 단기적 보조인 수출물류비지원액은 0.29의 수출탄력성을, 장기적 성격의 농 식품 수출기반 조성사업, 수출성장동력 확충사업, 해외시장개척사업 등의 누적지원액은 0.73의 수출탄력성을 보여 농식품 수출증대에 실질적으로 기 여한 것으로 나타남. 해외시장의 한국인 체류자 수와 한류의 저변 확대도 농식품의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2007년 이후 국내외 수출 데이터를 활용한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도출 한 결과, 우리나라 농식품 중 경쟁력이 있는 품목은 인삼류, 신선 과채류(파 프리카, 토마토, 딸기 등), 버섯류, 화훼류, 김치, 삼계탕, 커피조제품, 면류 (라면 등), 주류(소주, 막걸리 등), 음료 제품, 과실조제품(유자차 등), 장류 등으로 나타남. ○ 신규 유망시장별 시장 확대전략으로는 우선 기본적으로 지역별 특성과 시 장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야 함. 각 시장별로.

(8) iv 는 중국의 경우 중서부 내륙지역 등 신규시장 개척과 유망상품 발굴로 수출 확대 전략이 필요하며, 동남아 시장은 한류, 일본 방사능 등 국내산 농식품 의 수출확대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EU 시장은 FTA와 한 류열풍 등 시장여건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러시아 시장은 수출지원 인프라 설치를 통한 공격적 마케팅이 필요함. ○ aT의 해외사업에 대한 수요자와 aT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해 외 aT센터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에 대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보였음. 무 역여건 변화에 따른 해외 aT센터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해외 aT센터의 조 직망과 인력의 확충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통한 국별·지역별 시장개 척이 시급한 과제로 조사됨. ○ 농수산식품의 수출확대를 위해 해외 aT센터가 시급히 설치되어야 할 국가 로는 대만, 러시아, 베트남, 호주, 브라질, 프랑스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다 음으로 인도, 연해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영국 등이 순위에 오름. 단기적으 로는 현재처럼 개별 센터 체제를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센터-사무소의 2단 계 체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됨. 해외 aT센터 조직의 활 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인력충원이 필요하며, 전문가 영입을 통한 전 문성 강화 방안과 업무추진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KOTRA와 aT의 해외 마케팅 사업은 어느 정도 차별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특히 aT는 수출주무부처인 농식품부의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사 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며, 농수산식품부문의 수출관련 국내외 네트워 크를 가지고, 해외시장 개척에서 어느 정도 전문성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됨. ○ 종합적으로 aT 해외사업의 장점은 수출 노하우 축적, 수출네트워크 구축, 정 보 등 수출지원 인프라 구축임. 반면 약점은 적은 인력과 예산 규모, 마케팅 전문인력 부족 등임. 위협요인은 국내 농산물의 경쟁력 약화, 세계 경기침체.

(9) v 에 따른 식품수요의 위축, 중국 등과의 수출 경쟁 심화 등임. 그럼에도 불구 하고 정부의 글로벌 식품가공산업의 활성화 정책 추진, 한식세계화사업의 확대, 동남아 등지의 한류 열풍과 러시아 등 수출유망국의 지속적인 성장으 로 우리나라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어 기회요인이 되고 있음. ○ 따라서 이러한 강점과 기회요인을 살려 농식품 수출역량을 극대화하고, 해 외 aT센터의 기능을 확대해야 함.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해외 aT센터의 조직망 확대와 인력보강이 필요하며, 전문성 강화와 차별적인 해외마케팅 전략 수립이 요구됨. 이밖에 해외 aT센터의 단계적 자립경영체계 구축과 권 역별 배치 등을 통한 새로운 시장개척 등이 장기과제로 대두됨. ○ 결과적으로 해외 aT센터는 여건변화에 대응하여 조직 확대와 역량 강화를 통해 다양하고 종합적인 농식품수출 지원 기능을 수행해야 함.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외 aT센터의 비전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수출 지원 해외 허브조직으로 발전”으로 설정하고, 목표를 첫째, 2020년까지 세 계 6개 권역에 25∼30개의 센터를 설립 운영, 둘째, 해외 aT센터 주재지역 의 수출비율을 90%까지 확대, 셋째, 해외 aT센터 주재지역의 수출기여도를 30%까지 확대로 설정함. ○ 이를 위한 3대 핵심전략을 ① 조직운영 체계의 개편, ② 인력운영의 효율화, ③ 재정운용의 효율화로 설정하고, 해외 aT센터의 중장기발전을 위한 5가 지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첫째, 해외 aT센터의 확대 배치와 광역 화를 통한 조직의 체계적 운영, 둘째, 적정인력 배치를 통한 효율적 수출지 원체계 구축, 셋째, 전문성 제고를 통한 사업역량 강화와 수출입관련 종합 서비스 지원사업기능 수행, 넷째, 본사와 해외센터의 업무 조정, 예산관리방 식 개편 등의 사업추진체계 개선을 통한 사업의 자율성과 효율성 제고, 다 섯째, 장기적으로 자체사업 수행을 통한 사업 역량 확대와 독립적이고 자율 적인 경영체제 지향임..

(10) vi ○ 조직운영체계 개편 전략으로 거점지역은 극동권, 중화권, 동남아권, 북미권, 중남미권, 유럽권의 6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2020년까지 25∼30개의 광역 거점센터와 지역사무소 설립을 추진함. ○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략으로 단기적으로는 현재 1∼2명에 불과한 센터의 파견인력을 지역에 따라 2∼3명으로 증원하여 운영함. 장기적으로 거점센터는 파견직원 기준 4∼6명을 포함하여 총 10여명 내외로 운영하여 권역내 핵심지역을 관할토록 하고, 지역사무소는 파견직원 1∼2명으로 총 3∼4명 규모로 운영함. ○ 재정운용의 효율화를 위한 전략으로 ‘시장정보 판매’, ‘비즈니스 지원’, ‘시 장개척 지원’, ‘기업컨설팅’ 등을 자체사업으로 개발하여 추진함. 그러나 현 시점에서 시장정보 판매, 수출기업 컨설팅, 투자기업 유치 컨설팅, 지사화 사업 등은 aT 센터의 인적기반이나 전문성 구축이 미흡하므로 장기과제로 추진함. ○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현지 직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신흥 수출유망국가의 한국산 농식품 수요를 실질적인 수출로 연계할 수 있 는 전문마케터를 육성함. 또한 현지 대형유통업체와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 고, 현지시장에 정통한 시장마케터나 벤더를 단기 계약으로 고용하여 활용함. ○ 예산운영의 효율화를 위한 전략으로 예산 편성 및 집행방식을 턴키(Turn Key) 베이스로 개선하여 해외 aT센터의 예산 계획 수립 및 집행에 자율성 을 부여하고, 집행예산에 대해서는 사후정산하고 평가 및 감사를 통해 모니터 링 함. 장기적으로는 권역센터에서 관할사무소의 예산 운용을 책임 관리하도 록 함. 그리고 현지실정에 맞게 복지제도를 개선하여 사업추진의 효율화를 제고함..

(11) vii ABSTRACT. Mid and Long-term Plan for aT Overseas Oper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part of a strong initiative to expand overseas markets to achieve the goal of agro-foods and fisheries export of USD 20 billion by 2017. It has closely looked at and redesigned the current operating system of Overseas aT Centers, the name of aT’s overseas operations, in alignment with the changing export environment, and considered ways to boost their functions and roles. The plans for new advance into strategically important countries and operations at those sites were also drafted. The vision of Overseas aT Centers is set as “growing into a globally competitive overseas hub for agro-food export.” To realize the vision, the study proposes three objectives for Overseas aT Centers as follows: First, Overseas aT Centers need to open and run 25 to 30 centers in six regional blocks around the world by 2020. Second, the export rates of the regions with Overseas aT Centers should be boosted up to 90%. Third, the export contribution of the Overseas aT Center-located regions should be increased to 30%. The study suggests five key directions supporting the medium and long-term growth of Overseas aT Centers. First, the Centers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operated by expanding geographical reach and enlarging the coverage of each Center. Second, efficient export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proper staffing. Third, the Center's business capability should be improved by accumulating more expertise, and the one-stop services for export and import should be available. Fourth, HQ and Overseas aT Centers should more closely coordinate on business, and the Center's autonomy and efficiency in project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by amending project operating system such as budget reform. And lastly, over the long haul, Overseas aT Centers should nurture individual business capability by initiating projects on their own and pursue for securing more independent and autonomous management. Researchers: Ji-hyeon Choi, In-bae Ji, Jae-bong Chang Research period: 2011. 9 ~ 2011. 12 E-mail address: jihchoi@krei.re.kr.

(12) viii.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 내용 ····································································································· 2 3. 연구 방법 및 범위 ····················································································· 4 제2장 국내외 농식품 수출여건 변화 1. 농식품 수출 및 정책지원 동향 ··································································· 8 2. 농식품 수출의 경제적 요인분석 ······························································· 34 3. 국내 농식품의 수출경쟁력 분석 ······························································· 44 4. 신흥 수출시장 분석 및 수출확대 전략 ··················································· 52 제3장 aT 해외조직망 운영실태와 당면문제 1. 해외 aT센터 현황 ······················································································· 77 2. 해외조직망 확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88 3. 해외 aT센터의 평가 및 당면문제 ·························································· 126 제4장 국내외 유관기관의 농식품수출 지원체계 1. 일본: 일본무역진흥협회(JETRO) ···························································· 132 2. 한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 139 3. 프랑스: 농식품진흥공사(SOPEXA) ························································· 148 제5장 해외조직망 중장기 목표 및 사업추진 방향 1. aT 해외사업의 SWOT 분석 ···································································· 160 2. 기능과 역할의 재정립 ·············································································· 161 3. 해외 aT센터의 비전, 목표 및 핵심전략 ················································ 163.

(13) ix 제6장 해외조직망 중장기 발전전략 1. 기본방향 ···································································································· 165 2. 해외조직망 중장기 발전전략 ·································································· 166 참고 문헌 ·········································································································· 176 부 록 ··············································································································· 179.

(14) x. 표 차 례. 제1장 표 1-1.. 수요자 니즈 조사 내용 ··································································· 5. 표 1-2.. 내부직원 대상 조사 내용 ······························································· 5. 표 1-3.. 분야별 조사대상과 중점조사 내용 ················································ 6. 제2장 표 2-1.. 농림수산식품 유형별 수출 동향 ···················································· 9. 표 2-2.. 우리나라 전체 수출 대비 농림수산식품 수출 현황 ·················· 10. 표 2-3.. 주요 수출대상국별 수출증가기여도: 2005-2010 ························ 11. 표 2-4..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 13. 표 2-5.. aT 농식품 수출지원 세부 사업별 목적 ······································ 26. 표 2-6.. 농림수산식품 수출지원사업 예산 및 구성 ································· 29. 표 2-7.. 농수축산물 수출지원사업 분야별 지원액 ································· 31. 표 2-8.. 농수축산물 수출지원사업 분야별 지원액 비중 ························· 31. 표 2-9.. 5천만 달러 이상 수출품목 ··························································· 33. 표 2-10. 분석에 사용된 주요 변수 ····························································· 39 표 2-11. 농산물 수출증대 요인분석 결과 ·················································· 40 표 2-12. 우리나라의 RCA 평균 1 이상인 농식품 품목(2007∼2010) ···· 45 표 2-13. 우리나라의 RCA 평균 0.5 이상인 농식품 품목(2007∼2010) ··· 46 표 2-14. 우리나라의 RCA 증가 추세 농식품 품목(2007∼2010) ············ 47 표 2-15. 우리나라의 가공식품 주요 수출 품목(2010) ······························ 49 표 2-16. 중국시장 농수산식품 수입 ························································· 54 표 2-17. 대중국 농수산식품 수출추이 ························································ 54 표 2-18. 아세안시장(주요 4개국) 농수산식품 수입 ·································· 60.

(15) xi 표 2-19. 대아세안 농수산식품 수출추이 ···················································· 61 표 2-20. EU시장 농수산식품 수입 ····························································· 66 표 2-21. 대EU 농수산식품 수출추이 ·························································· 67 표 2-22. EU 권역별 구분 ············································································· 69 표 2-23. 러시아 상권별 구분 ······································································· 72 표 2-24. 러시아시장 농수산식품 수입 ························································ 72 표 2-25. 대러시아 농수산식품 수출추이 ···················································· 73 표 2-26. 세계 식품시장 규모 ······································································· 76 제3장 표 3-1.. 해외 aT센터 현황 ·········································································· 78. 표 3-2..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예산 현황 ···················································· 78. 표 3-3.. 국제박람회 지원 실적 ··································································· 80. 표 3-4.. 해외판촉행사 지원 실적 ······························································· 80. 표 3-5.. 품목별 공동마케팅 추진계획 ························································ 82. 표 3-6.. 해외홍보마케팅 지원 실적 ··························································· 83. 표 3-7.. 바이어 거래알선 실적 ··································································· 84. 표 3-8.. 한식세계화 주요 추진사업 내역 ·················································· 85. 표 3-9.. KATI 운영실적 ·············································································· 87. 표 3-10. 거래알선 시스템 운영 실적 ························································· 87 표 3-11. 조사 대상 및 응답자 수 ······························································· 89 표 3-12. 해외 aT센터 사업의 중요도 ························································· 92 표 3-13. 해외 aT 사업의 성과 평가 ··························································· 93 표 3-14. 해외 aT센터 업무에 대한 평가 ··················································· 94 표 3-15. 무역 여건 변화에 따른 해외 aT센터의 가장 시급한 과제 ······ 96 표 3-16. 해외 aT센터의 추가설치에 대한 의견 ········································ 97 표 3-17. 해외 aT센터의 추가설치 및 필요지역 (1순위) ·························· 98 표 3-18. 해외 aT센터의 추가설치 및 필요지역 (1+2+3순위) ················· 99.

(16) xii 표 3-19. 해외 aT센터의 권역/거점 형태 배치에 대한 의견 ·················· 100 표 3-20. 권역/거점 형태 배치 시 2단계 구상에 대한 의견 ·················· 101 표 3-21. 해외 aT센터의 권역/거점 형태 배치 시의 장점 ······················ 102 표 3-22. 해외 aT센터 조직 활성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 ············· 103 표 3-23. 현재 해외 aT센터의 가장 큰 문제점 ········································ 104 표 3-24. 해외 aT센터 인력운영의 적정성 ··············································· 105 표 3-25. 해외 aT센터의 인력충원이 가장 필요한 분야 (1순위) ············· 106 표 3-26. 해외 aT센터의 인력충원이 가장 필요한 분야 (1+2+3순위) ····· 107 표 3-27. 해외 aT센터 근무 직원의 전문성 평가 ···································· 108 표 3-28. 전문성 부족에 대한 원인 ··························································· 109 표 3-29. 해외 aT센터 근무 직원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분야 (1순위) ······ 110 표 3-30. 해외 aT센터 근무 직원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분야 (1+2+3순위) ····· 110 표 3-31. 해외 aT센터가 장기적으로 수행할 업무 ·································· 111 표 3-32. 품목수출확대를 위해 aT센터가 가장 시급히 해야 할 일 ······ 112 표 3-33. 해외 aT센터의 수행기능 확대 필요성 ······································ 113 표 3-34. 해외 aT센터의 수행기능 확대 범위 ·········································· 114 표 3-35. 해외 aT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자체수입에 대한 의견 ·· 115 표 3-36. 해외 aT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자체수입 방법 ··············· 116 표 3-37. 기업대상 식품시장 관련 컨설팅 시 적절한 사업방식 ············ 117 표 3-38. 자체 사업으로 수입확보를 위해 해외 aT가 갖춰야할 사항 ·· 118 표 3-39. 새로운 유망한 농수산식품 수출시장 ········································ 119 표 3-40. 해당 국가별 유망 수출품목 ······················································· 120 표 3-41. 신규시장 개척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 ································· 121 표 3-42. 해외 aT센터와 KOTRA 해외 사무소의 기능, 역할의 차별성 ····· 122 표 3-43. aT와 KOTRA의 기능, 역할의 차별성 이유 ····························· 123 표 3-44. 해외 aT센터와 KOTRA 해외사무소의 비교우위 평가 ··········· 124 표 3-45. KOTRA의 농수산식품 해외마케팅 업무 수행시 문제점 ········ 126 표 3-46. 해외 aT센터 운영의 문제점 ······················································· 129.

(17) xiii. 제4장 표 4-1.. 시대별 KOTRA 해외조직망 수 변화 ········································ 140. 표 4-2.. 2010년 KOTRA 총 예산구성 ····················································· 143. 표 4-3.. 연도별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현황 ············································ 144. 표 4-4.. 지사화 사업 연도별 실적 ··························································· 145. 표 4-5.. 해외비지니스 출장지원 서비스 유형 ········································ 146. 표 4-6.. 프랑스 SOPEXA 해외사무소 운영 현황 ·································· 151. 표 4-7.. SOPEXA 회원 현황 ···································································· 152. 표 4-8.. SOPEXA의 주요 업무 ································································ 156. 제5장 표 5-1.. 해외 aT 사업의 SWOT 분석 ··················································· 161. 표 5-2.. 해외 aT센터의 기능 변화 ························································· 162. 제6장 표 6-1.. 지역별 aT 센터 확대 설치(안) 검토 ········································· 167. 표 6-2.. 해외 aT센터의 광역구분, 거점지역 및 사무소 배치(안) ········ 168. 표 6-3.. 해외 거점 aT센터 설립로드맵(안) ············································· 169. 표 6-4.. 권역별 파견직원 인원규모 추정 ················································ 170. 표 6-5.. 수출전문마케터 국가별 파견 실적(2011.11월 현재) ··············· 172. 표 6-6.. 향후 유료서비스 가능 사업 분야 ·············································· 174.

(18) xiv.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1.. 농식품 수출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18. 그림 2-2.. 농림수산식품 수출지원정책 체계도 ········································· 21. 그림 2-3.. 농식품 수출지원 체계 ······························································· 21. 그림 2-4.. 농림수산식품 수출지원사업 유형 ············································ 22. 제3장 그림 3-1.. 해외판촉행사 지원 실적 ··························································· 81. 제4장 그림 4-1.. JETRO 조직도 ·········································································· 133. 그림 4-2.. JETRO 해외조직망 분포도 ····················································· 134. 그림 4-3.. KOTRA 국내조직도 ································································ 141. 그림 4-4.. KOTRA 해외조직망 분포도 ··················································· 142. 그림 4-5.. SOPEXA 조직도 ······································································ 149. 그림 4-6.. SOPEXA 해외조직망 분포도 ················································· 150. 그림 4-7.. SOPEXA의 수출촉진활동 주요 대상 품목 ··························· 155. 그림 4-8.. SOPEXA의 주요 고객 ····························································· 157. 제5장 그림 5-1.. 해외조직망 중장기 목표 및 추진전략 ··································· 164.

(19) 1. 제. 서. 1. 장.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의 필요성 ○ 최근 국제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농식품 수출은 2011년 76.8억 달러로 역 대 최고치를 달성함에 따라 수출을 통한 농림수산식품부문의 성장동력 확보 전략이 현실화되고 있음. ○ 농식품 수출은 농가 소득 향상과 국내 농산물 가격 안정 및 국산 농산물의 품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므로 해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 ○ 일본, 중국 등의 글로벌 식품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되고, 태국, 일본 등은 자국음식의 글로벌화를 위해 해외마케팅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농 식품 수출의 증대와 한식세계화의 성공적 추진은 중요한 과제임. ○ 정부는 2012년 100억 달러, 2017년 200억 달러의 농식품 수출목표를 수립.

(20) 2 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농식품의 현지시장 진입확대를 위한 해외마케팅 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는 농수산물유통공사(이하 aT)의 역할이 더욱 중요 하게 대두되고 있음. ○ aT는 현재 7개국에 10개의 해외 aT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변화하는 세계 식품무역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외조직망의 운영체계를 재정립하고,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여 새로운 사업방향을 수립하는 한편, 수출 유망시장 진출 등 사업 확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1.2. 연구의 목적 ○ 2017년 농수산식품 수출 2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해외시장개척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수출환경 변화에 따라 해외 aT센터의 운영체계를 재정립하고, 기능 과 역할 강화방안을 모색하며, 전략국가에 대한 신규 확충 운영방안을 도출함. - 세부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음. 첫째, 해외 aT센터 중장기 운영목표 수립 및 기능과 역할 재정립 둘째, 신규 수출유망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 구축 셋째, 권역별·국가별 조직망 재설계 넷째, aT 해외수출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2. 연구 내용. ○ 여건변화에 대응한 운영전략 재정립 - 수출 여건변화분석 ㆍFTA/DDA 등 시장 개방.

(21) 3 ㆍ국내 농식품정책기조 변화 ㆍ식품산업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ㆍ해외 식품시장의 변화 - 여건변화에 대응한 aT 해외사업의 중장기 사업 추진방향과 전략 설정 ㆍ추진 목표 ㆍ미션⋅중점과제 ㆍ추진전략 검토 ○ 해외조직망 기능 및 역할 재정립과 당면문제 - 식품산업 및 수출정책과의 적합성 검토 ㆍ한식세계화, 수출확대, 식품가공업의 글로벌화 등 연계 - 다양한 수요에 대응한 종합 서비스 기능 수행 ㆍ홍보, 투자유치, 현지진출 기업지원, 시장조사, 인력채용 지원 등 종합 서비스업무 수행 ㆍ수출 진흥 외에 국내외기업 투자 협력 관련업무까지 기능 확대 - aT 농식품 수출 진흥 사업 추진체계 검토 ㆍ선제적 대응을 위한 조직체계 구축 - aT 해외조직망의 역량 강화 ㆍ인력 및 예산 확충 ㆍ전문성 확보 ○ 신규시장 진출방안 및 중장기 발전방안 모색 - 권역별 신규수출 유망시장 분석 ㆍ경제전망, 수출입동향, 국가별 농식품시장분석 등 - 신규시장 진출에 따른 기반 조성방안 ㆍ인력 운용, 네트워크 구축 등 ○ 해외조직망 재설계 방안 : 권역별·거점별 재설계 대안 비교.

(22) 4 - 인력 운영 및 조직 설계 ㆍ권역별 및 거점별 조직설계의 장단점 분석 - 예산의 안정적 조달방안 ㆍ자체수익 확보를 위한 사업 개발 - 중장기 조직 효율적 운영 방안 ㆍ중장기 조직 운영의 로드맵 작성. 3. 연구 방법 및 범위. 3.1. 연구 방법 ○ 선행연구를 통한 해외 수출시장 분석 - 기존 연구들의 해외 유망 수출시장 분석 및 유망 품목 선정 정리 ○ 계량분석을 통한 해외 수출시장 및 수출 유망 품목 선정 - 중력방정식을 이용한 농식품 수출확대 요인 및 효과 분석 - 현시비교우위지표(RCA)를 이용한 수출유망 품목 및 수출시장 선정 ○ 설문조사를 통한 aT 해외조직망의 당면문제 및 추진과제 도출 - 관계기관 등 수요자 니즈 조사 ㆍ국회, 정부(기재부, 농식품부), 수출업계(협회, 업체) 및 지자체 등 대 내외 관계자 ㆍ여건변화에 따른 정책 우선순위 도출, 해외조직망 운영 방향과 추진전 략 수립.

(23) 5 표 1-1. 수요자 니즈 조사 내용 구 분 정책부서 생산자단체, 업계, 지자체. 공통조사항목 ⋅새로운 기능과 역할분야 ⋅당면정책과제 및 우선순위 ⋅개선사항 및 추진방향. 특정조사항목 ⋅바람직한 조직 및 인력운영체계 ⋅정책방향과 예산확보 대안 ⋅해외마케팅사업평가(수요자평가) ⋅현지투자, 컨설팅, 조사 등 신규사업. - aT 직원대상 의견 수렴 조사 ㆍ해외사업처, 수출전략처, 수출개발처 직원 대상 해외조직망 운영전략 의견 수렴 ㆍaT의 도입 가능한 해외조직망 체계 구축으로 사업효율성 제고 표 1-2. 내부직원 대상 조사 내용 구 분. 조사내용 ⋅해외지사의 역할과 기능의 방향성. 수출전략처. ⋅해외사업의 자체 평가 및 개선과제(우선순위). 수출개발처. ⋅예산 확보 및 전문성 확보방향. 해외사업처. ⋅aT 해외센터 조직 및 인력 운용방향 - 시나리오제시(예: 권역, 거점, 전문가 채용 등). ○ 방문조사를 통한 aT 해외조직망의 당면문제 및 추진과제 도출 - 해외 조사 ㆍ해외 aT센터 주재원 대상 수행업무 및 추진과제 등에 대한 방문조사 실시: 미국, 홍콩, 태국, 싱가포르 - 기관방문조사 ㆍKOTRA 사업 추진체계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 ㆍ주요조사내용 : 무역정보지원체계, 자체수익사업, 업체해외진출지원 사업, 지사화사업, 해외시장조사 추진체계 등.

(24) 6 표 1-3. 분야별 조사대상과 중점조사 내용 구분. 조사대상 ⋅정책당국, 전문가, 지자체. 국내. ⋅업계, 생산자단체 ⋅국내 aT 센터 ⋅KOTRA. 해외 ⋅해외 aT센터. 조사방법 등. 중점조사사항. ⋅설문조사. ⋅미래 역할 및 기능 재조명. ⋅정부, 전문가, 지자체,. ⋅정책수요분야/우선순위. 업계, 생산자 단체 ⋅aT 직원(수출분야중심) 설문조사 ⋅방문조사 ⋅미국, 동남아 현지조사. ⋅추진전략 ⋅당면문제 및 과제 발굴 ⋅시사점 도출 ⋅시사점 도출 ⋅당면문제 및 과제 발굴. ○ 기존 자료 및 인터넷 조사 - 프랑스의 SOPEXA와 일본 JETRO(무역진흥기구) 조사: 프랑스와 일본 의 농식품부문 수출 지원확대 모델 검토 및 시사점 도출 ㆍ주요조사내용 : 농산물 및 식품분야 무역 진흥 조직, 인력 운용, 예산 조사사업, 컨설팅, 교육, 투자유치 등 세부 사업추진방식 ○ aT 관련 T/F 팀과 현안 발굴 등 협력 - aT 내 관련 T/F 팀과 연구진이 수시로 현안 도출과 자료 협조 ㆍ총 4회 업무회의 개최(착수보고, 중간보고 2회, 최종보고 1회) ㆍaT의 각종 내부자료 제공 협조. 3.2. 연구 범위 ○ 국내외환경 분석 - 국내외 농업환경 변화추이 및 수출농업의 경제적 효과 - 국제 농수산식품의 교역환경 분석과 특징 및 향후 변화 전망 - 국내 농수산식품의 수출확대기반 여건 및 경쟁력 분석.

(25) 7 - 해외조직망 운영 전략의 문제점 도출 - 권역별·국가별 수출입환경 변화의 특성과 요인 분석 - 수출확대 및 해외조직망 확충의 여건분석(SWOT)과 시사점 및 대응방향 - 권역별·국가별 수출확대와 해외조직망 운영의 Value Chain 분석 및 시사점 ○ 유관기관 벤치마킹 및 Best Practice분석 - 국내외 선진기관 벤치마킹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해외조직망 중장기 운영목표 및 추진전략 재정립 - 대내외 환경 분석을 통한 해외조직망의 기능과 역할 정립(권역별·국가별) - 권역별·국가별 해외조직망 운영전략 목표 수립 - 추진 전략 및 세부과제 도출 - 전략과제 우선순위 결정 및 로드맵 수립 ○ 신규 수출유망 전략국가 진출 및 중장기 확충방안 - 신규권역·신규시장 진출방안 마련 및 로드맵 수립 - 중장기 해외조직망 인프라(인력, 네트워크, 법·제도 등) 확충 및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26) 8. 제. 2. 장. 국내외 농식품 수출여건 변화. 1. 농식품 수출 및 정책지원 동향1. 1.1. 수출시장 동향 ○ 최근 4년 동안 농식품 수출이 급격히 증가함. 수출증가율은 2007년 10.7%, 2008년 19.6%, 2009년 7.0%, 2010년 22.3%, 2011년 28.8%로 최근 6년 동 안 평균 11.5%씩 증가함. - 2010년 농림수산식품 수출 58.8억 달러로 역대 최고를 달성하였으며, 2011년에는 76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최근 모든 부류의 수출이 증가추세에 있으나, 수산식품과 신선농식품의 수 출 증가율에 비해 가공농식품의 수출이 더욱 크게 증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전체 농림수산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 중이 1995년 약 32% 수준에서 2010년에 약 55%로 늘어난 반면에 전체. 1 본 절의 내용은 어명근 외(2011)의 「농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 내용을 발췌, 정 리하였음..

참조

관련 문서

셋째 관련 및 지원 분야 측면에서 보면 인천국제공항 경기도 및 화성시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지원 , , ,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사업 시행사의 비협조 핵심 대기업인

국제통상대출프로그램 - 국제시장에서 경쟁하고 있고 시장개척을 추진 중인 중소기업에 대한 장기자금조달을 지원 수출지원센터 - 수출중소기업에

Ÿ 온라인 기반 지원 프로그램 지원 등 예산 집행율 관리 필요 Ÿ 다문화가정 학생 및 새터민 학생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지원 방안 강구 Ÿ 캠퍼스별 외국인

BB 프로젝트 지원 Project 추진 리더 개선 활동 생활화 Six Sigma 전략결정 및 Project 승인.. White Belt

신상품 가격결정의 요인 및 프로세스... 신상품 가격결정의

코로나 이후 온라인을 통한 기업 미팅 수요가 매우 높으나, 온라인 바이어

- ‘사회적 기업가 대상(Skoll Awards For Social Entrepreneurship)’을 통해 사회적 기업가를 발굴, 지원 ‘새로운 영웅들(New Heroes)’이라는 다큐멘터리를

○ 도매유통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지속적 추진 - 정가·수의매매, 선취거래 등 다양한 거래방법 도입을 위한 기반조성, 정책자금 지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