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경제동향 및 기업활동 지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최근 경제동향 및 기업활동 지원"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기업활동지원 및 해외건설 수주지원 회의

최근 경제동향 및 기업활동 지원

2019. 6. 7 (금)

Ⅰ.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 지표

Ⅱ. 최근 경제 동향

Ⅲ. 최근 우리기업 진출 동향 및 활동 지원

Ⅳ. 토론 사항

/ 1

/ 2

/ 6

/ 7

주나이지리아 대사관

(2)

Ⅰ Ⅰ Ⅰ

나이지리아 주요 경제 지표

□ 일반 지표

구 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명목 GDP(억달러) 5,685.0 4,945.8 4,046.5 3,757.5 3,972.8(IMF) GDP 성장률(%) 6.22 2.79 -1.58 0.83 1.93 1인당 GDP(달러) 2,563.1 2,562.5 2,455.9 2,412.2 2,049 (IMF)

물가상승률소비자 (%) 8.0 9.0 15.7 16.5 12.1

인구(억명) 1.76 1.81 1.86 1.91 1.96

* 자료 : World Bank, NBS(나이지리아 통계청), CBN(나이지리아 중앙은행) 등

□ 수출입 현황 (2018년, 통계청)

ㅇ 총 교역 규모 : 약 32.26조 나이라(전년 대비 39.29% 증가)

- 수 출 : 약 19.1조 나이라(전년 대비 40.44% 증가)

* 주요 수출품목 : 원유(82.3% ; 2017년 81.1%), 가스 등

* 주요 수출국 : 인도(15.88%), 네덜란드(110.74%), 스페인(10.13%) 등

- 수 입 : 약 13.17조 나이라 (전년 대비 37.76% 증가)

* 주요 수입품목 : 정유, 기계류, 화학제품 등

* 주요 수입국 : 중국(19.41%), 네덜란드(11.41%), 한국(10.8%), 미국(7.34%) 등

→ 한국이 점유율 3위 이유 : 삼성중공업 Egina FPSO(‘13년 수주) 건조금액 (1조 1,593억 나이라)이 ’18년 수입실적에 반영 (→ 제외시 점유율 2%)

⇒ 대외수지는 5.93조 나이라 흑자 기록 (전년 대비 46.78% 증가) ※ 우리나라와의 교역 현황 : 【KOTRA 자료】 참조

(3)

Ⅱ 최근 경제 동향

1. 경제 성장 : 1분기, 2.01% 성장

ㅇ 환율 및 국제유가 안정 下,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 비오일 분야 성장 등 영향으로 1분기 실질GDP는 2.01% 성장

- 부문별로는 오일 부문이 –2.4%, 비오일 부문이 2.47% 성장

* GDP 기여율은 오일부문 9.14%, 비오일부문 90.86%

< 경제성장률 추이 >

(단위 : %)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소계 1/4 2/4 3/4 4/4 1/4 성장률 2.79 -1.58 0.83 1.93 1.95 1.5 1.81 2.38 2.01

(오일) -5.45 -14.45 4.69 1.14 14.77 3.95 -2.91 -1.62 -2.40 (비오일) 3.75 -0.22 0.47 2.00 0.76 2.05 2.32 2.70 2.47

ㅇ 국제금융기구들은 비오일 부문 성장, 환율 관리, 국제유가 상승, 확장적 재정정책 등을 이유로 ‘19년 2%대 초반* 성장 전망

* IMF 2.0%, WB 2.1%, AfDB 2.3%, 무디스 2.3% / 연방정부 3.01%

2. 구매관리자지수(PMI) : 26개월 연속 확장세

ㅇ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7.8*로서 제조업 경기는 26개월 연속 확장세 유지

* 조사대상 14개 분야 중 2개 분야(1차 금속, 종이제품) 제외한 분야의 경기가 확장세

* (제조업 PM) 제조업분야 경기사정을 표시하는 지수로, ‘나’는 생산수준, 신규 주문, 공급업체 납품시간, 고용수준, 재고수준 등 5가지 지표의 가중 평균으로 산출

* (‘18.1월) 57.3 → (6월) 57.0 → (12월) 61.1 → (’19.1월) 58.5 → (3월) 57.4 → (4월) 57.7→ (5월) 57.8

(4)

3. 소비자 물가 : 두 자릿수 상승률 유지

ㅇ 4월 11.37%를 기록하여, 작년 5월 이후 월 11%대 상승률 유지

* 물가상승률(%) : (‘18년) 12.1 → (’19.1월) 11.37 → (‘19.2) 11.31 → (‘19.3) 11.25 → (’19.4) 11.37

- 식품가격이 13.7% 상승하여 물가 상승을 주도하였으며, 농산물제외 물가지수는 9.3% 상승

4. 외환 시장 : (외환보유고) 451.2억 달러, (환율) 305 나이라/달러 ㅇ (외환 보유고) 국제유가 상승 등 영향으로 3월 이후 상승세를

유지 중이며, 5월말 현재 451.23억 달러 기록

* ’18.7월(477.99억 달러) 이후 미국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423억 달러 (‘19.2.28)까지 감소후 再상승

< 외환 보유고 변동 추이 > (단위 : 억달러)

‘15년말‘16년말‘17년말‘18년말 ‘19년

1월말 2월말 3월말 4월말 5월말 보유액 290외환 258 387.7 431.2 431.7 423.0 444.3 447.9 451.2

ㅇ (환율) 중앙은행의 적극 개입으로 동 은행 환율은 약 306나이라/

달러 수준에서, 오픈마켓 환율은 360나이라/달러 대에서 유지

5. 외환 유입

ㅇ ‘18년 외환 유입액은 총 168.12억 달러로서, 전년(122.29억 달러)

대비 37.5% 증가

* 외국인 투자액(억 달러) : (2014년) 207.5 → (2015년) 96.4 → (2016년) 51.2 → (2017년) 122.3 → (2018년) 168.1

(5)

< 외환 유입 추이 > (단위 : 억 달러)

‘14 ‘15 ‘16 ‘17 ‘18

금액 증가율

207.5 96.4 51.2 122.3 168.12 (37.5%) 직접투자 22.8 14.5 10.4 9.8 11.95 (21.7%) 간접투자 149.2 60.0 18.1 73.3 118.02 (61.0%) 기타투자 35.5 21.9 22.7 39.2 38.16 (-2.6%)

6. 국가 부채

ㅇ ‘18년말 정부(州정부 포함) 부채는 총 794.4억 달러로서, ’17년말

(709.2억 달러) 대비 12% 증가

- 대외 부채는 252.7억 달러(31.8%)임에 반하여, 국내 부채는 541.6억 달러(68.2%)

* 국내부채 비중이 ‘17년 대비 5.2%p 하락하였지만 아직은 정부의 국내부채 목표치(총 부채의 60%) 초과

7. 고용 현황

ㅇ ‘18년 3분기 △실업률은 10.8%로 전년동기(8.9%) 대비 1.91% 증가한 반면, △불완전 고용률은 20.1%로 전년동기(21.2%) 대비 1.1% 감소

* 경제활동인구는 90.5백만 명, 실업자는 20.9백만 명

8. 기타 주요 동향

① 최저 임금 67%(18,000 → 30,000 나이라/월)로 인상

ㅇ Buhari 대통령이 4.18(목) 최저임금법안에 서명함에 따라, 최 저임금이 기존 18,000 → 30,000나이라/월로 약67% 인상

* 4.18(목)부터 즉시 시행되며, 근로자 25인 이하 고용주는 적용 배제

(6)

② 중앙은행(CBN) 총재에 Godwin Emefiele 총재 재임명

ㅇ Buhari 대통령 지명과 상원 청문회를 거쳐, 5년 임기의 CBN 총재에 Godwin Emefiele 총재 재임명

* Emefiele 총재는 ‘14년 Goodluck Jonathan 前 대통령에 의해 CBN 총재에 처음 임명되었으며, ’15년 Buhari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유임

③ 중앙은행(CBN), 기준금리 13.5%로 인하

ㅇ 경제성장 촉진 등을 위해 ‘15.11월 이후 기준금리를 최초로 인하하여, 기존 14%* → 13.5%로 인하(3월)

* CBN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16.7월 이후 기준금리를 14%로 유지

④ 연방정부, 다중환율정책 유지 발표

ㅇ 연방정부는 인플레이션 완화, 외환보유고 증가 등을 감안시, 통화

(‘나이라’)가 현 정책내 안정 작동하므로 폐지 계획 없다고 발표(4월)

⑤ 연방정부, 연료보조금 유지 발표

ㅇ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춘계 합동연례회의 기간 중 IMF 총재의 연료보조금 폐지 요청에 대해, 완충장치가 없어 현재로서는 폐지 계획이 없다고 설명(4월)

* 석유공사(NNPC)는 의회 승인을 받지 않아 보조금이 아니라고 주장

⑥ 나이지리아, 부패인식지수 세계 144위

ㅇ 국제투명성기구(TI) 발표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의 2018년 부 패인식지수(CPI)는 180개국 중 144위

* (점수) 27점/100점(전년 대비 1점↑), (순위) 전년 대비 4위↑

(7)

Ⅲ 최근 우리기업 진출 동향 및 활동 지원

1. 우리기업 동향

□ 신규 진출 기업

ㅇ 전력산업(발전소 건설 등), 제조업(볼트&너트 생산 등), 보건산업

(말라리아 치료약 등) 등 중심으로 신규사업 진출 추진 중 ㅇ 중소기업 중심으로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정보파악 등 진출

가능성 검토 및 문의도 증가

- 일부 기업들은 믿을만한 현지 파트너사 선정, 현지 사업 절차 및 정보 파악 등에 어려움 호소

※ 정부 부처의 ODA 사업도 증가(경북도의 기계화영농시범단지 조성, 관세청의 관세행정 현대화 컨설팅, KDI의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 (KSP), 농진청의 한-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등)

□ 기 진출 기업

ㅇ 현지 파트너사와의 갈등 등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에너지 분야(LNG train, FPSO 등) 등에서 신규 사업 수주 지속 추진 ㅇ 이에 반하여, 공기업(한전, 석유공사)은 사업 철수 추진 중 2. 대사관 중점 활동사항

□ 기업 애로사항 해소 지원

ㅇ ’나‘측 절차 이행 지연으로 미발효 상태인 이중과세방지협정 관련, 고위인사 설명 및 설득 등으로 상․하원 통과(5.22)

※ ‘06년 서명이후 우리나라는 ’07년 절차를 완료했으나, ‘나’측은 ‘15년 절차 완료 통보 및 번복 등 절차 이행 지연

(8)

ㅇ 우리기업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기업과 대책회의 개최,

‘나’측 유관기관 면담․설명 등 최대한 지원 노력

- 한국석유공사의 해상광구 분쟁 관련, 나 정부의 서명보너스 반환 지원

- 우리기업 직원 사망 사건 관련, 유관기관 면담 및 공한 등을 통한 신속․공정 수사 확보, 영사 조력 등을 통해 사건 조기 해결 및 유가족 위안 지원

□ 기업 진출 및 수주 지원

ㅇ ‘나’ 진출 추진 우리기업들에 유관기관 면담 주선, 현지기업 설명회 개최 등 진출 초기 애로사항 해소 지원

- 로펌 계약을 통해 현지 기업에 대한 신뢰성 조사 및 법률 자문도 시행

ㅇ 우리 산업 및 기업의 우수한 기술 수준 등에 대한 정보를 현지 정부 및 기업 관계자 등에 지속 제공

- 다양한 분야의 고위인사 면담 및 각종 행사 참석 등을 통해 우리기업 우수성 홍보

- 우리 보건산업 우수성에 대해 주요 일간지 기고(3.19~21, This day, Daily trust 등)

Ⅳ Ⅳ Ⅳ

토 론

1. 우리기업 애로사항 및 해소 방안 (사업시 유의사항 포함)

2. 우리기업 진출 및 수주 확대 방안

참조

관련 문서

○ 도매유통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과 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지속적 추진 - 정가·수의매매, 선취거래 등 다양한 거래방법 도입을 위한 기반조성, 정책자금 지원 확대

국산 사이클로트론의 해외 시장 진출 및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해서 한국원자력의 학원 NCT용 사이클로트론 개발과 같은 미래 기술 개발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품질관리 강화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고도화 및 맞춤형 기상서비스 확대 기상기후자료 활용 증진 및 융합서비스 확산.

Ÿ 교육, 훈련을 위한 산학협력 모델 및 생산지원 및 기술이전을 위한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여 산학일체형교육(ICE : Industry Centered Education) 시스템

셋째 관련 및 지원 분야 측면에서 보면 인천국제공항 경기도 및 화성시와 한국수자원공사의 지원 , , ,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사업 시행사의 비협조 핵심 대기업인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GSI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Vale Columbia Center

ㆍ현대그린푸드 영남물류센터 신축공사 수주 ㆍ경동나비엔 연수원 신축공사 수주 ㆍ현대비앤지스틸 통합정보시스템(ERP) 구축 수주 ㆍ하츠

Ÿ 온라인 기반 지원 프로그램 지원 등 예산 집행율 관리 필요 Ÿ 다문화가정 학생 및 새터민 학생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지원 방안 강구 Ÿ 캠퍼스별 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