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 Ⅰ장 서론
1. 대학자체평가의 목적 ··· 1
2. 대학자체평가의 내용 ··· 1
3. 대학자체평가의 방법 ··· 2
제 Ⅱ장 대학개황
1. 대학의 사명 ··· 52. 대학의 설립목적 및 교육 목표 ··· 5
3. 대학 연혁 ··· 7
4. 행정조직 및 기구표 ··· 10
5. 주요 보직자 ··· 12
6. 교수 · 직원 · 학생 현황 ··· 13
7. 주요 시설 · 설비 현황 ··· 16
8. 예산 · 결산 현황 ··· 18
제 Ⅲ장 평가결과
1. 대학이념 및 경영 ··· 191.1 교육목표 및 인재상 ··· 19
1.2 발전계획 ··· 27
1.3 거버넌스 ··· 48
1.4 재정 확보 ··· 56
1.5 재정 집행 ··· 62
1.6 감사 ··· 70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 ··· 77
2.1 교육과정 체계 ··· 77
2.2 교양 교육과정 ··· 89
2.3 전공 교육과정 ··· 109
2.4 학사관리 ··· 127
2.5 수업 ··· 143
2.6 교수 · 학습 지원 ··· 150
3. 교원 및 직원 ··· 165
3.1 교원 확보 ··· 165
3.2 교원 인사 및 업적평가 ··· 173
3.3 교원 처우 및 복지 ··· 179
3.4 교원의 교육 및 연구 활동 지원 ··· 182
3.5 직원 확보 및 인사 ··· 194
3.6 직원 복지 및 업무 역량 개발 지원 ··· 202
4. 학생지원 및 시설 ··· 209
4.1 장학 제도 및 학생자치활동 지원 ··· 209
4.2 학생 심리 및 진로 상담 ··· 220
4.3 학생 권익 보호를 위한 규정 및 체계 ··· 229
4.4 교육시설 ··· 249
4.5 기숙사 및 학생 복지시설 ··· 258
4.6 도서관 ··· 268
5. 대학성과 및 사회적 책무 ··· 279
5.1 성과관리 ··· 279
5.2 교육성과 ··· 324
5.3 연구성과 ··· 329
5.4 취 · 창업지원 및 성과 ··· 332
5.5 사회봉사 ··· 371
5.6 지역사회 연계 · 협력 ··· 384
제 Ⅳ장 종합 및 논의
1. 대학이념 및 경영 ··· 407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 ··· 410
3. 교원 및 직원 ··· 415
4. 학생지원 및 시설 ··· 419
5. 대학성과 및 사회적 책무 ··· 425
1
대학자체평가의 목적[그림 Ⅰ-1] 자체진단평가 목적
관련 법 및 규정에 근거한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알 권리 충족 및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제고 한국대학평가원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에 근거한 지표 점검을 통해 실적 자체점검 체계 확립 대학 구성원의 평가 참여를 통해 교육목표 대비 달성도를 진단 및 규명하여 대학발전방안 마련
2
대학자체평가의 내용한국대학평가원의 대학기관평가인증 평가준거(30개)를 평가지표화하여 2021년도 자체평가 시 적용 매년 대학운영 전반에 대한 진단 및 점검을 통한 대학의 지속적인 질 개선 지향
[그림 Ⅰ-2] 평가영역 및 평가준거
대학자체평가 내용
- 평가영역별 평가준거 30개에 대한 지표점검 및 현황 보고서 작성을 통한 자체진단평가
- 각 영역별 성과 분석을 통한 자체진단평가 요약, 대학 구성원 평가의견, 문제점 및 발전방안 모색
대학자체평가 결과 활용
- 자체진단평가를 통해 대학의 문제점과 미흡한 지표를 파악하여 대학발전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에 반영 - 평가결과를 전 부서에 공유하고 대학발전의 자료로 활용하여 대학 구성원 참여 유도
- 매년 자체진단평가결과 보고서를 학교 및 정보공시 홈페이지에 공개 - 자체진단평가 결과반영을 위해 환류체계를 구축하여 부서별 이행실적 점검
3
대학자체평가의 방법대학자체평가위원회, 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실적관리지원팀 구성
대학자체평가위원회에서 자체평가에 대한 업무를 총괄· 관리하며, 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중심으로 자체평가 보고서 작성 추진
자체평가 보고서 작성을 위해 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내 3개의 실무분과(교육, 대학운영, 학생지원) 및 실적관리지원팀 운영
[그림 Ⅰ-3] 대학자체평가 조직체계도
대학자체평가위원회 - 위 원 장: 교학부총장
- 위 원: 대학본부 주요 보직자 및 외부전문가(총 10명)
- 주요역할: 평가 운영방향, 실무위원회에서 준비한 평가보고서 검증 및 조정 등 심의
구 분 직 위 성 명 비 고
위원장 교학부총장 이 의 한
당연직 위 원
교무처장 홍 성 구
학생처장 김 경 수
기획처장 송 영 훈
사무국장 구 연 희
산학협력단장 신 대 용
교육지원처장 변 형 기
기획지원처장 박 준 석
행정본부장 오 성 배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사업화본부장 김 창 혁 강원테크노파크 행정지원실장 안 재 호 위촉직
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 위 원 장: 기획처장
- 위 원: 대학본부 주요 보직자(총 10명)
- 주요역할: 자체평가의 평가지표 · 방법 · 배점 등에 관한 사항 검토, 심사평가 및 실사, 결과의 분석, 평가보고서 작성 및 기타 대학자체평가위원회에서 요청한 사항 분석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위원장 기획처 기획처장 송 영 훈
실무위원
교무처 교무부처장 장 철 우
학사부처장 강 현 주
학생처 학생부처장 강 성 훈
취업부처장 정 다 래
기획처
정책기획부처장 박 원 선
평가기획부처장 민 주 희
재정기획부처장 장 애 라
교육지원처 학생지원부처장 김 승 렬
교무지원부처장 이 두 호
기획지원처 기획지원부처장 윤 종 철
실적관리지원팀
- 팀원구성: 평가준거별 업무담당 부서 팀장 또는 실무담당자 - 주요역할: 담당 평가준거별 실적자료 작성 및 증빙자료 구비
분 과 실 무 위 원 평 가 준 거 업무담당 부서 실적관리지원팀원
1분과 (교육)
교무부처장 학사부처장 교무지원부처장
2.1 교육과정 체계 학사지원과 김 수 진
2.2 교양 교육과정 교양교육원 정 연 종
2.3 전공 교육과정 학사지원과 김 수 진
2.4 학사관리 학사지원과 김 수 진
2.5 수업 학사지원과 김 수 진
2.6 교수 · 학습 지원 교육혁신원 한 상 미
3.1 교원 확보 교무과 최 보 람
3.2 교원 인사 및 업적평가 교무과 최 보 람
3.3 교원 처우 및 복지 교무과 최 보 람
3.4 교원의 교육 및 연구활동 지원 교무과 윤 지 영
4.4 교육시설 학사지원과 김 수 진
5.2 교육성과 학사지원과 김 서 희
5.3 연구성과 연구진흥과 김 진 황
대학자체평가 주요 추진일정
분 과 실 무 위 원 평 가 준 거 업무담당 부서 실적관리지원팀원
2분과 (대학운영)
정책기획부처장 평가기획부처장 재정기획부처장 기획지원부처장
1.1 교육목표 및 인재상 기획평가과 우 정 임
1.2 발전계획 기획평가과 우 정 임
1.3 거버넌스 기획평가과 우 정 임
1.4 재정 확보 재무과 최 영 애
1.5 재정 집행 재무과 최 영 애
1.6 감사 총무과 김 정 훈
3.5 직원 확보 및 인사 총무과 정 근 억
3.6 직원 복지 및 업무 역량 개발 지원 총무과 정 근 억
5.1 성과관리 기획평가과 신 혜 리
3분과 (학생지원)
학생부처장 취업부처장 학생지원부처장
4.1 장학 제도 및 학생자치활동 지원 학생과 조 미 원
4.2 학생 심리 및 진로 상담 취업지원과 이 병 훈
4.3 학생 권익 보호 및 소수집단학생 지원 학생과 김 소 정
4.5 기숙사 및 학생 복지시설 학생과 김 소 정
4.6 도서관 학술정보지원과 박 정 식
5.4 취 · 창업지원 및 성과 취업지원과 이 병 훈
5.5 사회봉사 학생과 김 소 정
5.6 지역사회 연계 · 협력 기획평가과 윤 정 빈
일 자 내 용
2021. 4. 9.(금) Ÿ대학자체평가 추진계획 자체평가위원회 심의 및 확정
2021. 5. 27.(목) Ÿ대학자체평가 실적관리지원팀 회의(설명회 개최)
2021. 5. 28.(금) ~ 7. 16.(금) Ÿ대학자체평가보고서 부서 평가자료 취합 및 평가자료 초안 작성
2021. 7. 21.(수) Ÿ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회의
2021. 7. 21. (수) ~ 9. 29.(수) Ÿ대학자체평가실무위원회 보고서 자료 검토 및 자체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완료
2021. 9. 30.(목) ~ 10. 1.(금) Ÿ대학자체평가결과 보고서 전 부서 의견수렴 실시
2021. 10. 4.(월) ~ 10. 5.(화) Ÿ대학자체평가결과 보고서 대학자체평가위원회 심의 및 확정
2021. 10. 6.(수) Ÿ대학자체평가결과 총장보고 2021. 10. 8.(금) Ÿ대학자체평가결과 정보 공시
1
대학의 사명지역밀착형 교육 · 연구중심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거점국립대학
재학생 19,297명 규모의 거점국립대학으로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혁신성장의 거점 대학 - 지역우수인재 발굴 · 육성의 중심 역할
Ÿ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대학 부문 대상 수상(2019)Ÿ
「2020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6년 연속 최우수 대학 선정(공학대학 건축공학전공)Ÿ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네트워크 캠퍼스 구축사업」업무협약(2021, 인제군-양구군-화천군) -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혁신성장의 거점 역할Ÿ
강원도 수소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그린에너지연구관 준공(2019)Ÿ
「캠퍼스 혁신 파크 사업」 선정(총사업비 50,670,000천원, 2019~2022)Ÿ
「열린 캠퍼스 타운 조성사업」업무협약(2021, 춘천시)글로벌 역량 강화로 세계로 발돋움하는 거점국립대학
Ÿ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MITx MicroMaster program」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2019)Ÿ
국제교류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글로벌 춘천장학사업 업무 협약」(6개국/12개 도시, 2021)Ÿ
「2021 THE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3년 연속 200위권(국내 6위)2
대학의 설립목적 및 교육 목표설립목적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가르침과 배움의 근본으로 삼아 인류의 지적 지평을 일구어 나가는 학술공동체 지향 거점국립대학으로서 실사구시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교육 · 연구 · 봉사를 통해 지역의 우수 인재를 발굴 · 육성 하여 지역사회 및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인재 양성
교육목표
강원대학교는 학칙 제1장 제2조에서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이념을 바탕으로 심오한 학술이론을 연구하고 교육 함으로써 현대사회를 이끌어 갈 도덕적 품성과 창조적 지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사회와 국가 그 리고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교육목표로 한다.”라고 명시
강원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KNU VISION 2030+)에서 인재상을 ‘실사구시형 창의 · 협동 인재’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5대 핵심역량과 15개 하위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5대 교육혁신전략을 수립하여 세부추진과제를 제시
[그림Ⅱ-1] 교육목표 및 추진전략
교육목표와 강원대학교 중장기 발전계획(KNU VISION 2030+) 비전인 ‘통일한국의 중심대학’의 실현을 위해 4대 추진전략과 5대 영역별 전략과제 수립
[그림Ⅱ-2] 중장기 발전계획 4대 추진전략 및 대응방안
3
대학 연혁 주요 연혁[그림Ⅱ-3] 주요 연혁(태동기-성장기-확장기-특성화기)
주요 국가재정 지원사업 선정 현황
[그림Ⅱ-4] 국가재정 지원사업 선정 주요 현황
주요 시스템 및 제도(학사, 행정, 전산 등) 구축 현황
일 자 내 용
1985.10.15. 학부 학사업무 전산화 개발 1995.10.01. 교내 전산망(LAN)설치
2000.12.01. C/S방식 전자결재 시스템(핸디 오피스 도입) 2003.08.01. WEB기반 수강신청 시스템 구축
2004.10.20. 인터넷 입학원서 접수 시스템 개통 2005.04.01. 연구관리 시스템 개발
2007.07.01. Bravo(행정정보시스템) 개통 2008.10.01. 차세대통합정보시스템 개통
2010.08.01. 학내전산망 고도화 사업 완료(건물 간 10G 및 이중화) 2011.09.01. 춘천캠퍼스 전 구간 무선랜 구축
2013.05.16. 춘천/삼척 통합 모바일서비스 구축 2013.06.24. 대학원 학사정보시스템 통합구축
2015.08.25. 강원대학교 인터넷(춘천/삼척/도계) 망 통합
2015.09.21. “수강신청시스템 및 방법” 특허 등록(번호: 10-1556068) 2017.02.28. “스마트출결관리” 특허 등록(번호: 10-1713484) 2018.01.27. 무선 인터넷망 분리 구축
2018.02.27. K-Cloud(통합플랫폼) 구축, 비교과통합관리· 통계취합관리· 지표관리 시스템 구축 2018.09.19. 개인정보 영향평가(학사 · 입시)
2019.02.20. 교육 · 연구 · 학생지도 시스템, 대학원 연구실적시스템 구축 2019.06.02. 차세대 온라인 교수채용시스템 구축
2019.06.04. 미래형 통합학사정보시스템 구축(1단계, 분석/설계) 2019.06.04. 수업평가 진단시스템 구축
2019.06.04. 교육혁신 진단도구 비교과시스템과 연계 DB 구축 2019.06.04. 행정부서평가/학과평가 시스템 구축
2019.09.24.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춘천지역망센터 지정 협약 2019.12.02. 클라우드 웹메일시스템 구축
2020.05.22. K-Cloud(학사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 감리 및 개인정보 영향평가 2020.06.18. 미래형 통합학사정보시스템 구축(2단계, 완성)
2021.03.02. 모바일 K-Cloud 앱 구축 2021.03.02. 강원대학교 홈페이지 통합 구축 2021.03.02. 강사재임용 시스템 구축
역대총장
4
행정조직 및 기구표조직개요
구 분 기 관 수
대학본부 7처 1국 6본부 23과
대학원 10개 대학원
대학 및 학부 18개 대학, 2개 독립학부, 28개학부(65개 전공) 64개학과 부속시설 1개 교육기본시설, 36개 부속시설, 11개 대학부속시설 연구시설 46개 부속연구소, 6개 대학부속연구소
구 분 학 위 성 명 재임기간 비 고
학장
제1대
농학박사 함인섭
1949.08.30.∼1957.03.31.
제2대 1957.04.01.∼1960.07.01.
제3대 농학박사 정계완 1960.08.29.∼1962.07.12.
제4대
농학박사 함인섭
1962.08.11.∼1967.12.31.
제5대 1968.01.01.∼1971.12.31.
제6대 1972.01.01.∼1972.08.31.
제7대
농학박사 최종렬
1972.09.04.∼1976.09.03.
제8대 1976.09.04.∼1978.02.28.
총장
제1대 이학박사 이민재 1978.03.01.∼1982.01.10.
제2대
철학박사 이상주
1982.01.11.∼1986.01.10.
제3대 1986.01.11.∼1988.03.15.
제4대 경제학박사 이춘근 1988.07.15.∼1992.07.14.
제5대 교육학박사 문선재 1992.07.15.∼1996.07.14.
제6대 농학박사 하서현 1996.07.15.∼2000.07.14.
제7대 문학박사 박용수 2000.07.15.∼2004.07.14.
제8대 교육학박사 최현섭 2004.08.05.∼2008.08.04.
제9대 공학박사 권영중 2008.08.05.∼2012.08.04.
제10대 이학박사 신승호 2012.08.09.∼2015.09.16. 2015.09.17. ~ 2016.06.06.
강용옥 교육연구부총장 직무대행
제11대
공학박사 김헌영
2016.06.07.∼2020.02.13. 2020.02.14. ~ 2020.03.11.
한광석 교육연구부총장 직무대행
제12대 2020.03.12.~현재
행정조직
[그림Ⅱ-5] 행정조직 및 기구표
5
주요 보직자(2021. 8월 기준)주요 보직현황
총 장 부총장 대학원장 처 장 국 장 단 장 본부장 학 장
1 3 10 7 1 2 6 18
주요 보직자 명단
소 속 직 위 직 명 성 명 비 고
강원대학교
총장 총장 김헌영
교학부총장 교수 이의한 겸직(일반대학원장)
삼척부총장 교수 윤정의 겸직(방재전문대학원장)
산학연구부총장 교수 최황규
교무처 처장 교수 홍성구
교육지원처 처장 교수 변형기
학생처 처장 교수 김경수
기획처 처장 교수 송영훈
기획지원처장 처장 교수 박준석
연구처장 처장 교수 정영미
국제교류처장 처장 교수 김경태
사무국 국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구연희
산학협력단 단장 교수 신대용
삼척산학협력단 단장 교수 김병식
입학본부 본부장 교수 서영호
대외협력본부 본부장 교수 장희순
정보화본부 본부장 교수 김동회
서울본부 본부장 조교수 김제원
도계총괄본부 본부장 교수 김태형
행정본부 본부장 사무관 오성배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교수 정진근
의학전문대학원 원장 교수 조성준 당연겸직(의과대학장)
(단위: 명)
6
교수 · 직원 · 학생 현황(2021. 8월 기준)교수현황
총장 캠퍼스
전 임 교 원 조 교 대학회계조교 기 타 교 원
정원
현 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명예
교수 강사 겸임 교수
초빙 교수 기타 계 교수 부교수 조교수
1
춘천 792 791 468 147 176 154 154 - - 332 642 8 22 81
삼척 211 199 125 38 36 27 26 37 37 67 229 4 7 14
계 1,003 990 593 185 212 181 180 37 37 399 871 12 29 95
소 속 직 위 직 명 성 명 비 고
경영대학원 원장 교수 변혜영 당연겸직(경영대학장)
교육대학원 원장 교수 박대식 당연겸직(사범대학장)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원장 교수 이승환 당연겸직(산림환경과학대학장)
산업대학원 원장 교수 백환조 당연겸직(문화예술 · 공과대학장)
정보과학ㆍ행정대학원 원장 교수 임의영 당연겸직(사회과학대학장)
산업과학대학원 원장 교수 이승철 당연겸직(공학대학장)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교수 오덕환
동물생명과학대학 학장 교수 주진우
수의과대학 학장 교수 김현철
약학대학 학장 교수 고현정
간호대학 학장 교수 채영란
의생명과학대학 학장 교수 임영석
인문대학 학장 교수 조세연
자연과학대학 학장 교수 안덕근
IT대학 학장 교수 김정범
보건과학대학 학장 교수 문병연
인문사회 ·
디자인스포츠대학 학장 교수 전기순
(단위: 명)
단과대학별 전임교원 현황
※ 총장 1명 제외
대학(원)명 교 수 부교수 조교수 합 계
IT대학 37 3 10 50
간호대학 6 4 2 12
강원종합기술연구원 - - 1 1
경영대학 21 16 10 47
교양교육원 2 1 - 3
농업생명과학대학 35 14 13 62
독립학부 1 2 2 5
동물생명과학대학 14 5 3 22
문화예술 · 공과대학 71 19 29 119
법학전문대학원 24 2 3 29
보건과학대학 2 - 1 3
사범대학 35 12 19 66
사회과학대학 22 7 12 41
산림환경과학대학 15 6 8 29
산학협력단 - 3 1 4
수의과대학 16 4 5 25
약학대학 9 2 4 15
의생명과학대학 25 3 4 32
의학전문대학원 73 26 20 119
인문과학연구소 - 1 1 2
인문대학 21 9 11 41
일반대학원 - 1 - 1
자연과학대학 39 8 17 64
춘천캠퍼스(소계) 468 148 176 792
공학대학 52 17 17 86
독립학부 3 3 3 9
방재전문대학원 8 1 - 9
보건과학대학 16 13 10 39
인문사회 · 디자인스포츠대학 46 4 6 56
삼척캠퍼스(소계) 125 38 36 199
총 계 593 185 212 990
(단위: 명)
직원현황
합 계 행 정 직 기 술 직 관리운영직 전문경력관 연구직 대학회계직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406 398 167 185 106 103 8 8 2 1 2 2 121 99
학생현황
구 분 편제정원 현 원
재적생 재학생
소계 18,280 29,995 19,297
춘천캠퍼스 12,164 20,383 13,610
삼척캠퍼스 6,116 9,612 5,687
단과대학별 학생 현황
대학 재적생(C=A+B+C) 재학생(A) 휴학생(B)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C)
간호대학 348 302 45 1
경영대학 2,808 1,817 968 23
농업생명과학대학 1,660 1,147 508 5
동물생명과학대학 799 566 227 6
문화예술 · 공과대학 3,987 2,561 1,403 23
법과대학 14 0 14 0
사범대학 1,328 1,008 320 0
사회과학대학 1,549 950 592 7
산림환경과학대학 1,081 710 362 9
수의과대학 260 247 13 0
약학대학 214 209 5 0
의과대학 49 49 0 0
의생명과학대학 922 634 286 2
인문대학 1,645 1,089 542 14
자연과학대학 1,443 866 570 7
IT대학 2,073 1,280 773 20
독립학부(춘천) 203 175 28 0
공학대학 5,123 2,682 2,431 10
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 2,692 1,644 1,043 5
보건과학대학 1,653 1,249 401 3
독립학부(삼척) 144 112 32 0
(단위: 명)
(단위: 명)
(단위: 명)
7
주요 시설 · 설비 현황 교육시설지적 현황
캠퍼스 합 계 교 지
실 습 장 학 술 림 기 타
대 지 체 육 장
춘천 32,919,775 963,425 37,606 374,345 31,468,594 75,805
삼척 632,891 586,863 32,500 - - 13,528
합계 33,552,666 1,550,288 70,106 374,345 31,468,594 89,333
건물 현황
캠퍼스 건물동수 건축면적
연 면 적
합 계 교육기본시설 지원시설 연구시설 부속시설 기타시설 춘천 169 135,476 438,110 221,593 81,881 56,433 37,314 40,889 삼척 60 51,944 198,076 120,614 54,721 12,000 3,373 7,368 합계 229 187,420 636,186 342,207 136,602 68,433 40,687 48,257
주요 신축 건물
준 공 일 건 물 명 규 모
1984.10.10. 중앙도서관 11,446
1992.03.01. 약학대학 2,847
2005.12.22. 사범대학부설고 학습관 4,243
2005.12.26. 국제생활관 4,915
2007.05.14. 종합강의동 9,834.44
2007.08.24. 약학관 3,715
2007.09.07. 삼척캠퍼스 제5공학관 10,142
2007.12.23. 삼척캠퍼스 해양레저스포츠센터(별관) 1,749
2008.12.30. 삼척캠퍼스 인문사회과학관 6,544
2009.02.12. 학생생활원(BTL) 32,979
2009.02.25. 삼척 제2(도계)캠퍼스 종합강의동 3,030
관광예술학과/방재공학과 10,727
2009.02.25. 삼척 제2(도계)캠퍼스
한방보건의료학관/한방종합연구센터 14,404
대학본관/전산정보원 2,406
학생회관/종합복지센터 6,260
학술정보센터 3,853
실내체육관 3,177
(단위: 동, ㎡)
(단위: ㎡)
설비현황
보일러
캠퍼스 용 량 연간 사용량 연간 사용금액
춘천
증기보일러: 55T/H LNG: 602,249㎥ 454,888천원
온수보일러: 19T/H LNG: 238,991㎥ 182,590천원
삼척 증기보일러: 10T/H LNG: 45,634㎥ 36,350천원
급수설비
캠퍼스 저수조 용량 연간 사용량 연간 사용금액
춘천 2,697㎥ 211,391㎥ 402,177천원
삼척 2,100㎥ 91,525㎥ 104,582천원
준 공 일 건 물 명 규 모
2009.02.25. 삼척 제2(도계)캠퍼스
파워플랜트 1,245
경비실 23
본부석 152
LPG저장고 32
2009.02.25. 삼척 제2(도계)캠퍼스 생활단지
교수회관 2,080
도원관(기숙사) A동 4,119
도원관(기숙사) B동 3,980
도원관(기숙사) C동 3,459
경비실 10
LPG 저장고 39
2009.06.28. 법학전문도서관 3,284.85
2009.09.28. 사회과학대학2호관 2,032.54
2010.03.05. 삼척 제2(도계)캠퍼스 황조관(기숙사) 9,303
학생식당 718
2010.08.30. 국제인재양성관 4,553.28
2010.09.13. 생명건강지역혁신특성화센터 12,368
2011.07.07. 삼척캠퍼스 해솔관(기숙사) 6,984
2011.11.30. 친환경농업연구센터 4,639.72
2013.09.06. 청정산업신기술지원센터 11,147.37
2016.08.22. 백령스포츠센터 10,704.34
2016.08.26. 삼척 제2(도계)캠퍼스 가온관(기숙사) 12,403.65
2017.01.15. 글로벌경영관 7,866.16
2018.07.21. 혁신제약임상연구동 4,598.2
2019.02.20. BTL 2차기숙사(이룸관) 18,330.24
2020.03.26. 학생회관 1,368
전기설비
캠퍼스 수전 용량 연간 사용량 연간 사용금액
춘천 14,000KVA 31,450천KWh 3,482,368천원
삼척 8,950KVA 8,668천KWh 1,136,400천원
냉 · 난방설비
캠퍼스 냉동기 냉ㆍ온수기 가스 냉 · 난방기 전기 냉 · 난방기 지열
춘천 280 R/T 610 R/T 2,414HP 4,609HP 1,250kW
삼척 - - 7 HP 2,650HP -
정보통신설비
캠퍼스 교환기 용량 연간 사용량 연간 사용금액
춘천 10,000회선 내선: 2,445회선 국선: 240회선 103,778천원
삼척 1,628회선 내선: 811회선 국선: 210회선 46,558천원
8
예산 · 결산 현황예산 · 결산 현황
연도 회계구분 세입예산 세출예산 세입결산 세출결산
2018
대 학 회 계 244,416 244,416 299,432 278,026
산학협력단회계 137,809 137,809 147,516 147,516
발전기금회계 20,984 20,984 21,644 21,644
합 계 403,209 403,209 468,592 447,186
2019
대 학 회 계 219,681 219,681 303,066 283,616
산학협력단회계 136,396 136,396 137,516 137,516
발전기금회계 18,409 18,409 20,116 20,116
합 계 374,486 374,486 460,698 441,248
2020
대 학 회 계 250,853 250,853 302,650 288,997
산학협력단회계 145,750 145,750 149,885 149,885
발전기금회계 20,721 20,721 19,575 19,575
합 계 417,324 417,324 472,110 458,457
※ 2018∼2020 회계연도 기준
(단위: 백만원)
1
대학이념 및 경영 평가결과요약평가준거 충족여부
1.1 교육목표 및 인재상 충족
1.1. 교육목표 및 인재상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표의 체계성
- 학칙, 대학요람, 대학헌장 및 중장기 발전계획에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표를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제시 -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이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와 연계된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체계적 확립
교육목표의 명료성
- 실사구시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심오한 학술이론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현대사회를 이끌어 갈 도덕적 품성과 창조적 지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사회와 국가 그리고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내용의 구체적 교육 이념 확립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와 인재상과의 연계성
- 인재상인 실사구시형 창의 협동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목표 제시
- 5대 핵심역량 (미래, 인성, 창의, 협동, 실천) 구성으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역량강화 모델 구성 학생학습성과 제고 노력
- 인재상 구현을 위한 핵심역량 기반 전공 · 교양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 인재상 구현을 위한 수요 맞춤형 다전공 운영, 부 · 복수 전공 활성화 - 교양-전공-비교과의 초연결형 선순환 교육체계 완성
- 수요 및 만족도 조사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육의 질 환류체계 구축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1
대학이념 및 경영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1.2 발전계획 충족
1.3 거버넌스 충족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학생역량 강화를 위한 환류체계 내용 미약 Ÿ학습수요자 대상 적극적인 설문조사 및 만족도 조사 실시
1.2. 발전계획
발전계획의 수립과정 및 내용의 합리성
- 기존 중장기 발전계획에 대한 자체평가 및 대내외 의견수렴, 외부평가 진행 등 추진성과 점검을 통하여 합리적 으로 새로운 중장기 발전계획(KNU VISION 2030+) 수립
-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을 위한 영역별 재정 소요계획 및 재정 확보계획 확립 발전계획에 대한 점검 및 환류의 체계성
- 유사 중복과제 검토를 통한 주기적 전략과제 및 세부과제의 재구조화 확립
-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해 성과 분석 및 환류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합리적으로 수립
1.3. 거버넌스
대학 의사결정구조의 합리성
- 법령상 위원회 및 비법령상 위원회가 학칙, 규정, 지침에 맞게 합리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법령상 위원회 및 비법령상 위원회 개최 사전공개, 회의 결과공개 등을 통한 투명성 확보
구성원 참여와 소통을 위한 계획 수립과정의 체계성
- 법령상 위원회 구성원의 당연직과 임명직(학생, 성별 등)을 합리적으로 구성 - 의사결정의 대표성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참여 구성원 수정 · 보완 노력
대학 구성원 참여 및 소통 관련 점검 및 환류 체계
- 법령상위원회 및 비법령상 위원회상 대학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 및 환류체계 구축 - 학내 의사결정 시 학생의견 반영을 위한 다양한 소통기구 운영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1
대학이념 및 경영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1.4 재정 확보 충족
1.5 재정 집행 충족
1.6 감사 충족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2021년도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과제 성과분석 필요 Ÿ특성화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 필요
Ÿ대학평의원회 심의 실적 부족 Ÿ탄력정원제 운영 시 학생위원 부재
Ÿ발전계획실행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인 세부과제 조정회의를 거쳐 과제의 재구조화 가능
Ÿ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서 상의 특성화와 자체특성화를 구분하여 기술 후, 2021년 특성화 외부분석 결과를 차년도 보고서에 첨가 Ÿ대학평의원회 심의안건 확충 및 활성화 필요
Ÿ탄력정원제 위원에 학생회가 참여할 수 있는 소통의 길 제공
1.4. 재정 확보
안정적 재원 확보를 위한 세입 중 등록금 및 기부금 비율
- 최근 3년간 세입 대비 등록금 비율 및 기부금 비율은 편람 기준을 크게 상회하여 충족 - 최근 3년간 세입 중 등록금 비율은 감소 추세이나 기부금 비율도 소폭 감소하는 문제점 발생
재원별 확보 추이의 적절성
- 최근 3년간 국가지원금, 국가보조금, 산단운영수익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등록금, 수입대체경비, 국가장학금, 발전기금은 감소 추세
- 재정수입은 양호한 편이나 학령인구 감소 등에 따른 수입 감소 대비를 위한 다양한 수입 확대 전략 필요 다양한 재원 확보 노력
- 발전기금 확충을 위하여 모금 프로그램 다각화 및 기부자에 대한 예우 개선 - 산학협력수익 증대를 위한 기술 산업화 및 직접 사업화, 연구비 수주 확대 노력
- 정부재정지원사업 수주를 위한 정부재정지원사업 준비위원회 운영, 자체특성화사업단 육성 등 안정적 재원 확보 노력
각 재원들의 지속적인 확보 가능성
- 중장기 발전계획(KNU VISION 2030+)에 근거한 중장기재정운용계획을 바탕으로 거시적 장기 재정 운영을 위한 재정상태 파악 및 다양한 재정 확보 지속 가능성 제고
1.5. 재정 집행
학생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교육비 환원율
- 최근 3년간 교육비 환원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편람 기준 충족 합리적 예산편성
- 중장기 발전계획 및 중기재정운영계획과 연계하여 합리적으로 예산편성
- 재정위원회, 예산심위위원회,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운영하여 합리적인 예산편성절차 및 검토체계 구축 예산집행의 적절성
- 2020년 대학회계 예산은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대학회계 예산 집행률은 감소 예산 집행 결과 평가 및 환류
- 연차별 자체평가를 바탕으로 집행률 70% 미만 등 부진 · 미흡 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 수립 · 실행 - 각 부처별 요구사항 조사 및 관련 위원회를 통한 의견수렴 후 차년도 예산편성
1.6. 감사
감사제도 운영의 합리성
- 감사제도 운영을 위한 규정 및 지침을 완비하고 이를 근거로 매년 주기적인 내 · 외부 감사 실시
- 감사처분 및 재심의 신청 등에 대한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감사처분심의위원회 설치 운영 감사결과 대학운영 반영
- 감사결과에 따른 조치 실시, 연차별 사례 및 조치사항 공개
- 자체행정 감사결과를 해당 부서에 통보하고 후속조치를 통해 재발방지 노력 - 내 · 외부 감사결과를 분석하여 행정제도 개선에 충실히 반영
감사결과 공개여부(투명성)
- 감사결과 부서 간 공유를 통해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 대내 · 외 감사결과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외부로 공개하여 재발 방지 노력 공익제보 절차 및 공익제보자 보호 제도 구축
- 공익제보처리 및 신고와 보호 등에 관한 운영지침을 제정 · 운영하고, 공익제보 절차 및 공익제보자 보호에 관한 내용을 명확하게 규정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2.1 교육과정 체계 충족
2.1. 교육과정 체계
대학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 실사구시(實事求是) 건학이념과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개인의 자아실현 및 공동체 진보를 구현하는 실사구시형 창의 · 협동 인재 양성의 교육목표와 인재상을 설정하고 이를 반영한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을 설정
- 학칙, 학사운영 규정,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 지침으로 교육목표 체계와 핵심역량, 전공역량 설정 방법과 절차 를 규정화하고 역량 기반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교육과정 편성의 적절성
-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원칙과 기준 · 절차 · 방법을 학칙, 학사운영 규정, 교육과정위원회 규정,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 지침으로 규정화하고 이를 근거로 교육과정 편성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지속가능한 발전기금 확충방안이 단순 모금 등 미시적 관점의 해결책만이 마련되어 있음
Ÿ세입 중 기부금(발전기금) 비율 해마다 감소 Ÿ대학회계 및 주요사업예산 집행률 둔화 Ÿ감사관련 위원회 구성에 대한 구체적 기준 모호 Ÿ자체감사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노력 부족
Ÿ공익신고센터 운영 등 공익신고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
Ÿ고액 기부자에 대한 혜택 강화 등의 거시적 관점에 대한 추가 기술 및 제도 보완 필요
Ÿ기부금(발전기금) 확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 Ÿ코로나19시대 집행률 제고방안 마련 및 전략적 예산 배분 Ÿ위원회 구성에 대한 정확한 기준 마련
Ÿ감사팀 별도 운영, 감사반 전문성 확대 등 독립성 확보 방안 모색 Ÿ공익신고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수립
- 매 학년도 의견수렴과 교육과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편성 기본 계획을 마련하고, 편성 운영 계획을 수립 · 확정 하여 새 학년도 교육과정에 적용
교육과정위원회 운영
- 전임교원 · 재학생 · 산업계 인사 · 지역사회 인사 등 다양한 교육과정 이해관계자를 포함을 포함하여 위원회 구성 - 교양 교육과정 편성 · 운영에 관한 심의, 검토, 연구를 위하여 교양교육소위원회 설치 · 운영
- 교육과정 편성 · 운영 등에 대한 재학생의 의견 수렴과 교과목에 대한 재학생 수요 조사 등을 위하여 캠퍼스별 학생소위원회 설치 · 운영
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체계 구축
- 대학생활만족도 조사, 수업평가 결과, 대학 교수 · 학습과정 분석 결과 등을 종합하여 교육과정 및 관련 제도 개선에 반영
- 사회 · 산업 수요, 고등교육 정책, 중장기 발전계획, 학사구조 혁신 등 다양한 요인을 평가 · 환류 요소로 반영하여 교육과정 개선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2.2 교양 교육과정 충족
2.2. 교양 교육과정
교양 교과과정 편성의 적절성
- 교양 교육과정을 4개 영역(기초, 균형, 특화, 대학별 교양)으로 구성하고 학문영역 및 학과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 수준의 교양 이수 학점 편성
- 2020년 교양 교육과정이 확대 개편되어 교과목 학점 비율이 16~36%에서 19~38%로 약 3%p 증가 인재상 및 핵심역량과 교양 교과과정의 연계성
- 대학의 교육목표와 인재상에 적합한 5대 핵심역량과 세부역량을 설정하고 구체화하여 이를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지침에 명시
- 학사운영 규정, 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지침을 근거로 체계적인 교양 교과과정 편성 절차 확보 및 운영 교양 교과과정 운영의 내실화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교육과정운영위원회 구성원의 다양화 필요
Ÿ교육과정 평가결과 등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일원화된 환류 체계 미비
Ÿ학생교육의 주체인 강사 및 비전임교원의 참여를 통해서 실질적인 현장의 목소리 반영
Ÿ교육과정 전 과정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종합하여 환류하는 총괄 체계 구축방안 검토
- 강의 규모의 적절성 유지를 위하여 강좌 당 수강 정원 소규모 운영 노력(2020년 수강인원 50명 이하 강좌 수 비율 약 92.7%)
- 양질의 교양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전임교원의 교양 교과목 담당 비율 증가 추세
- 코로나19 대응 유연성 확보 위한 적정 규모 강좌 개설 · 운영, 수업관련 규정 준수를 통한 교과목 운영 효율성 제고 교양교육 운영 지원 체계의 적절성
- 캠퍼스 간 교양교육의 통합 편성 · 운영을 위한 전담조직으로 교양교육원을 통합 · 확대 개편하고 교양 교육과정 관련 업무를 총괄
- 교양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교양교육 질 관리센터’, 기초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역량증진센터‘ 신설 및 운영 - 교양 영역별 책임교수를 지정하고 세부 영역의 교과목 편성 · 개설, 교과목 평가 · 환류 · 조정에 관한 사항 담당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2.3 전공 교육과정 충족
2.3. 전공 교육과정
대학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과 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 ‘실사구시형 창의 · 협동 인재’ 를 양성하기 위하여 전공 교육목표를 ‘차세대 미래 변화를 주도할 실사구시형 창의 · 협동 인재 양성’으로 설정하고 단과대학 및 학부 · 학과의 전공 교육목표가 일관성 있게 연계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전공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의 적절성
- 대내 · 외 환경분석,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학부 · 학과의 특성화 및 발전계획을 기반으로 전공능력을 도출, 전공능력과 연계한 전공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
- 학과 교육목표 및 인재상을 바탕으로 도출한 전공능력 기반 교과목 편성, 전공 분야별 학년 · 학기 · 진로트랙 이수 단계 등을 서로 연계하여 전공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
전공 교과목 체계적 이수 지원 노력
- 재학생이 다양한 전공을 이수할 수 있도록 전공선택 이수학점 비율 확대, 최소전공학점제 시행
- 전공 교과목 편성 및 이수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 전용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 학부 · 학과 · 전공별 교육목표, 전공역량, 진로트랙, 편성 교과목 내역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공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학사정보시스템으로 제공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시대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양교육 체계 변화 필요 Ÿ교양 영역 체계의 간소화와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과 과정 개편
부 · 복수 · 다전공 · 기타 전공제도 운영의 적절성
- 신산업 · 신학문 분야 대응 및 선순환 학사구조 생태계 조성 위한 학사구조 유연화 방안으로서 ‘미래융합가상 학과’ 설치 및 운영
- 학제성 기반으로 전공 간 연계 교육 위한 연계전공 운영
- 부 · 복수전공 이수 활성화 및 다전공 활성화를 위한 학생 의견 수렴 및 제도 개선 추진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2.4 학사관리 충족
2.5 수업 충족
2.4. 학사관리
학사관리 체제 구축 및 지속적 개선
- 대학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칙, 학사운영 규정, 수업관리지침을 마련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학사관리 운영
- 학기 전 · 중 · 종료 후 시기별 분반 및 폐강기준 점검, 엄정한 수업운영 및 관리, 수업규정 준수 여부 점검, 휴 · 보강 관리, 출결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후속 조치 시행
학사운영의 체계성
- 학칙과 학사운영 규정에 학사운영 절차 등을 규정하고 학기 전, 학기 중, 학기 종료 후로 구분하여 체계적인 학사 관리 시행
- 캠퍼스 간 통합 학사관리시스템을 추진하고 고도화하여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확보 및 운영 성적관리의 체계성 및 대학의 지원
- 학사운영 규정, 학업성적처리지침에 따라 성적부여 기준과 방법을 정하고 체계적인 성적관리 제도 운영 - 상대평가 전산입력 비율 제어, 비율, 재이수자 및 조기취업자 등급 상한 전산제어를 통해 합리적 성적부여 - 교수-자녀 수강 공정성 확인을 통해 성적관리의 엄정성 제고 노력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다전공(학생설계전공)의 운영실적 부족
Ÿ캡스톤 디자인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학생들의 참여 저조
Ÿ학생설계전공에 대한 평가와 환류를 통해 구체적으로 운영방향 결정 및 조정 필요
Ÿ전체 학생들, 특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홍보 강화 필요. 기존 홈 페이지 게시, 학과 공문 발송 등의 방식 이외에 학생 커뮤니티, 총학생회 · 총동아리연합회 · 학교홍보대사 등 SNS 등 활용
2.5. 수업
전임교원 강의비율의 적절성
- 전임교원 책임 교수시간 미달 시 제재 조치하며, 이를 학칙과 전임교원 책임 교수시간 운영에 관한 규정에 명시 - 최근 3년간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평균 60%대, 학기 당 평균 강의 시수는 8시간 이상 유지
수업 지원을 위한 정보체계 구축 및 원격수업 운영의 적절성
- 학습관리시스템인 ‘스마트캠퍼스 e-루리’ 운영을 통해 시 ·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교수 · 학습 체계 구축
-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비대면 수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스마트캠퍼스 e-루리 ’ 개선 및 온라인 학습지원 체계 구축
- 원격수업 운영지침을 전부 개정하여 원격수업 운영의 체계화 및 교원의 원격수업 역량 강화 노력
- 이러닝, 블렌디드 러닝, 플립드 러닝 등 정규 교과과정에 다양한 형태의 원격수업을 도입 · 운영하여 디지털 기반 미래형 교육 플랫폼 구축
수업평가의 투명성 및 수업 개선 노력
- 학사운영 규정, 수업평가 운영지침에 수업평가 시행 근거 마련
- 5인 이하 강좌 등 일부 교과목 제외한 모든 교과목 대상으로 중간 · 기말 수업평가 실시, 수업평가 결과는 100%
공개 및 결과 분석하여 교원의 업적평가 및 교연비 지급의 근거로 활용하여 교원 책무성 강화
- 수업평가 우수사례 공유, 수업평가 하위 교수자 연수 프로그램 마련, 교수법 세미나 등 강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 실시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2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2.6 교수 · 학습 지원 충족
2.6. 교수 · 학습 지원
교수 · 학습 지원을 위한 인적 구성의 적절성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수업평가 질문 내용 중에‘핵심역량 향상’ 등 모호한평가문항에대한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
Ÿ스마트출결관리시스템필수운영에따른안정적인시스템운영및교원 안내 필요
Ÿ학사경고위험군신설에따른학사경고자예방프로그램활성화필요
Ÿ수업평가 문항은 최대한 직관적이고 간결하게 하되, 불가피한 경우 추가설명을 곁들여 수업평가의 정확성 개선
Ÿ스마트출결관리시스템 매뉴얼 및 교원대상 교육자료 개선 · 개발 Ÿ학사경고자 예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홍보 콘텐츠
개발 및 배포(학교SNS, 커뮤니티 등)
- 교수 · 학습 지원 및 관리를 위한 전담조직으로 교육혁신원을 신설하고 다양한 교내 부서 간 유기적 연계 및 협력체계 구축
- 교육혁신원 내 교수학습센터, 교육성과관리센터, e-Edu센터, 원격교육지원센터, 비교과통합관리센터, 융합 교육센터 등 전문 센터를 설치하고 센터 별 연구교수 및 연구원 등 전문인력을 각각 확대 배치하여 인력 구성 및 전문성 제고
전임 연구 · 개발 인력 확보 및 전문성 개발 노력
- 교수혁신원 내 센터별로 전문성을 갖춘 전임 연구교수 및 연구원을 확보하여 지원 업무의 전문성 제고 - 매년 전임 연구교수 및 연구원 대상 연수 · 교육, 워크숍 · 세미나, 심포지엄 · 간담회 등을 지원하여 전담 인력의
전문성 개발 및 향상을 위해 노력 관련 예산편성 및 집행의 적절성
- 사회 수요, 학생 요구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매년 총 예산편성 및 집행률 크게 증가
-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교수 지원, 학습 지원, 교육매체 지원의 예산과 집행액 모두 최근 3년간 크게 증가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실시 및 결과 반영
- 교수 · 학습 지원을 위한 개별 프로그램 종료 후 교수 및 학습 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정량 · 정성적 실적 도출, 개선방안 수립하여 차년도 운영에 반영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평가 · 환류 시스템 마련 - 교육혁신원 차원에서 평가 및 환류 보고서 작성을 통해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정리, 분석,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도출 반영하여 프로그램 전반의 환류 기반 마련 문제점 및 대학 발전 방안
3
교원 및 직원평가결과요약
평가준거 충족여부
3.1 교원 확보 충족
3.2 교원 인사 및 업적평가 충족
3.1. 교원 확보
충분한 규모의 전임교원 확보
- 최근 3년간 전임교원 확보율은 86.93%로 기준 값(64%)을 충족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전임교원 확보 노력으로 확보율 증가 추세
교원 임용 절차의 합리성 및 투명성
문 제 점 대학 발전 방안
Ÿ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따른 교수지원 프로그램 일부 미개최 Ÿ교수 · 학습 지원을 위한 비대면 교육 확대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