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Copied!
25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보고 R634 | 2011. 11..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책과제. 박 대 식 마 상 진 권 인 혜.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연 구 원.

(2) 연구 담당 박 대 식. 연구위원. 연구총괄,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이론적 검토,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 독일 및 일본의 사례 조사,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마 상 진. 연구위원. 다문화가족에 대한 농어촌주민의 인식,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네덜란드 및 덴마크 등의 사례 조사. 권 인 혜. 연 구 원.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국내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프랑스 및 캐나다의 사례 조사,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3) i. 머 리 말. 농어촌으로 유입되는 대다수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사회에서 적응하 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한국인 남편, 시부모 등 도 여성결혼이민자와의 생활에 적응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이대로 덮어둘 경우 향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으며, 앞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사 회가 지불하게 될 비용 또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농어촌 다문화가족은 앞으로 우리나라 농어업과 농어촌의 미래 를 이끌어갈 중요한 인적 자원이다. 따라서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수준을 개선하는 것은 우리나라 농어업과 농어촌의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농어촌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을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 파악하여 이들의 사회적응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이 연구 결과가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집행에 참고가 되고, 이 분야의 연구에 관심을 가진 분들에게 유익 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졌다. 먼저, 전국의 다문화가 족 관련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계자, 설문조사를 대행해 준 현대리서 치에 감사드린다.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 여성가족부, 통계청,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기타 관련 기관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와 고견에도 감사드린 다. 끝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농어촌 다문화가족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1.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4) ii. 요 약.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①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 을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②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며, ③ 국내외의 다문화가족 사회적응 관련 정책 및 사업을 검토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④ 농어촌 다문 화가족의 사회적응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기존 문헌 조사, 면접 설문조사, 우편조 사, 심층면접조사, 외국사례 분석, 전문가 및 관련자 의견 수렴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이란 ‘여성결혼이민자가 가족의 일 원이 됨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 구성원 들이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 환경에 적합한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것’을 지칭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사회 적응을 경제적 적응, 사회문화적 적응, 심리적 적응으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요약해보면, 출신국가, 거주 지역, 연령, 연령차, 이주경로, 사회 적 지지, 직업 경력, 체류기간 등을 들 수 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적응 실태를 살펴보면, 여성결혼이민자의. 86.5%는 농어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는 농사(어업) 일을 집안 일이 많아서 부담스러워하고 체력적으로도 힘들어 하고 있었다. 총 가구소득에서 농어업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75% 이상인 응답자가. 71.0%로 나타나 농어촌 다문화가족에 있어서 농어업은 절대적인 소득원임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의 15.3%, 한국인 남편의 27.5%가 농어업 이외 소득활동(직장일)을 하고 있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54.8% 가 연간 가구소득이 2,000만 원 미만이고, 연간 가구소득이 3,000만 원 이 상인 가구는 9.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경제적 상황이 매우 열 악함을 알 수 있다. 경제 만족도 척도(5점 만점)의 평균 점수는 여성결혼이.

(5) iii 민자가 2.91점, 남편이 2.86점, 시부모가 2.80점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족‧친척의 지지, 가구 총소득, 여성결혼이민자 및 남편의 문화적응 노력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문화적 적응 실태를 살펴보면, 여성결혼이민자 가 가족 중에서 힘든 관계인 사람이 있는 비율은 27.7%로 나타났고, 남편. (11.0%), 시어머니(8.8%) 순으로 높았다. 지난 1년간 가족들로부터 각종 폭 력을 경험한 여성결혼이민자의 비율은 16.0%로 나타났다. 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문제점이나 걱정거리를 이야기할 수 있는(친하게 지내는) 사람 수. (평균)는 동일 국적인은 3.0명, 한국인은 1.4명, 제3국인은 0.5명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주로 가족‧친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그 다음이 친 구‧이웃에 의해서 일부분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복지 기관 담당자와 같은 공공의 사회적 지지는 아주 부족하고 종교단체와 자원 봉사자에 의한 사회적 지지도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1순위,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교육(30.0%), 한국문화 이해(14.2%), 자녀교육 상담 및 지도(14.2%), 직업훈련 및 취업교육(7.0%), 일자리 알선(7.0%) 순이었다. 문화적응 노력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하고 시부모 가 가장 적게 하였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의 평균 점수는 3.04로 나타나 보통 수준이었다. 학교‧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가 있는 경우는 282가구(70.5%)였 다. 자녀 교육적응 척도의 평균 점수는 여성결혼이민자(4.02)에 비해서 남 편(4.08)이 약간 높았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 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선족, 거주 지역, 가구 총소득은 문화적응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공공 지지, 친구‧이웃 지 지, 결혼경로(결혼중개업체), 캄보디아, 필리핀은 문화적응 정도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6) iv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선족, 남편의 문화적응 노력, 남편과의 나이차, 일본, 고민 교류 정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결혼동기(경제적 이유)와 공공 지지는 문화적응 스 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인지하는 자녀 교육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의 문화적응 노력, 거주 지역은 자녀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남편 초혼 여부, 캄보디아, 필리핀, 결혼 전 농어업 경험, 가족‧친척 지지, 한국국적 소지 여 부는 자녀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심리적 적응 실태를 살펴보면, 대체로 심리적 안정 수준은 남편, 시부모, 여성결혼이민자 순이었다. 자아존중감 척도의 평균 점수는 여성결혼이민자 2.77, 남편 2.72, 시부모 2.68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의 문화적응 노력, 가족‧친척 지 지, 친구‧이웃 지지, 한국거주기간, 거주 지역이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공공 지지, 남편의 문화적응 노력, 필리핀, 결혼 전 농어업 경험, 고민 교류 정도는 심리적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의 문화적응 노력, 친구‧이웃 지 지는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결혼동기(남편과 애 정), 필리핀, 공공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농어촌주민의 인식을 살펴보면, 농어촌주민 대다수 가 다문화가족 관련 경험을 하고 있었다. 농어촌주민들이 사는 마을에 다 문화가족이 있는 경우는 2/3가 넘었고, 친척 중에 다문화가족이 있는 경우 는 1/5 수준에 이르렀다. 농어촌주민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었다. 농 어촌주민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 다문화가족에 대한 태도, 여성결혼이민자의 농촌사회 기여에 대한 태도,.

(7) v 다문화가족 정책 확대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어 설문조사한 결과, 모두 긍정적 응답자 비율이 부정적 응답자 비율보다 높았다. 농어촌주민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가장 관련이 높은 요인 은 ‘여성결혼이민자와 교류’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남성일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마을주민 중에 다문화가족이 없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 와의 교류가 없을수록 다문화가족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과 관련한 국내 정책의 문제점은 ① 유사 사 업의 부처‧기관별 분산 추진으로 인한 정책의 비효율성, ② 지역 단위에서의 통합적 지원창구 부재, ③ 다문화가족지원사업 관련 주체들 간 역할 배분체 계 미 정립, ④ 정책 추진체계상 민간부문과의 연계협력 부족, ⑤ 정책의 사 각지대 상존, ⑥ 지역별 특성 및 수요에 따른 다양한 사업 발굴 노력 미흡,. ⑦ ‘가족’보다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프로그램의 편중 등을 들 수 있다. 외국의 관련 사례 검토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① 사회 구성원으로 정착하도록 지원하는 의무적 통합교육 제공, ② 통합교육 이수 결과에 따 른 인센티브나 페널티 적용, ③ 언어교육에 대한 강조와 지원, ④ 자녀 교 육에 대한 강조와 지원, ⑤ 이주 관련 정책을 다루는 별도의 기관 운영, ⑥ 지역사회 및 민간부문의 다문화정책 참여, ⑦ 국가의 이익을 위한 이민자 의 문화 및 능력의 적극적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의 기본방향은 다 음과 같다: ① 건강가족 육성이라는 큰 틀 속에서 다문화가족을 바라보아 야 한다. ② 생애주기를 고려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③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의 통합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개선을 위한 단기적 정책과제로는 ① 여 성결혼이민자 대상 영농교육 개선, ② 한국어교육 개선 및 방과 후 교육지 원 강화, ③ 다문화가족의 영농기반 구축 지원을 들 수 있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과제로는 ① 농 어촌 다문화가족 관련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② 다문화가족을 위한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 활성화 및 중간지원조직 육성, ③ 농식품 관련 산업에서의 경제 활동 지원, ④ 사회보장에서의 차별 해소 및 사회서비스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8) vi ABSTRACT. Social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Task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multi-dimensionally centering on social adaptation, 2)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social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3) to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related policies, and 4) to suggest policy tasks to improve the social adaptation level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methods were the field survey, mail survey, in-depth interview,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so on.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0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Mail survey was conducted among 809 farmer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5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Existing related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data of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s and F-test tables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social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most of the femal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participating in farming or fishing.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 femal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participating non-farm economic activities. 54.8 percent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had the annual household income of 20 million won or less. Major short-term policy tasks to improve the social adaptation level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follows: 1) improvement of agricultural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2)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after-school assistance, and 3) construction assistance of agricultural foundation..

(9) vii Major mid and long-term policy tasks to improve the social adaptation level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follows: 1) improvement of rural multi-cultural family related service delivery system, 2) activation of social enterprises networks and fostering middle assistance organizations, 3) support of agribusiness and related activities, and 4)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Researchers: Dae-Shik Park, Sang-Jin Ma, In-Hye Kwon Research Period : 2011. 1 ~ 2011. 11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10)

(11) ix.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 3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 14 4. 연구 방법 ····························································································· 15. 제2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사회적응 관련 이론 1.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현황 ································································· 31 2. 사회적응의 개념 정의와 유형 ··························································· 33 3. 사회적응 관련 이론 ············································································ 34 4.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5. 제3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적응 실태 1. 농어업 분야 경제활동 ········································································ 39 2. 비 농어업 분야 경제활동 ··································································· 41 3. 가구소득 및 경제 만족도 ··································································· 45 4. 경제적 적응 사례 ················································································ 48 5. 경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1 6. 소결 ······································································································· 52. 제4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문화적 적응 실태 1. 가족관계 ······························································································· 55 2. 사회적 지지 ························································································· 57 3. 사회복지서비스 욕구 ·········································································· 63.

(12) x 4. 문화적응 ······························································································· 64 5. 자녀의 교육적응 ·················································································· 69 6. 사회문화적 적응 사례 ········································································ 73 7. 사회문화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6 8. 소결 ······································································································· 79. 제5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심리적 적응 실태 1. 심리적 안정 ························································································· 83 2. 자아존중감 ··························································································· 86 3. 심리적 적응 사례 ················································································ 88 4.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0 5. 소결 ······································································································· 92. 제6장 다문화가족에 대한 농어촌주민의 인식 1. 다문화가족 관련 경험 ········································································ 95 2.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 97 3.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관련 변인 ················································ 100 4. 소결 ····································································································· 103. 제7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국내외 정책 1. 국내 관련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105 2. 외국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과 시사점 ·········································· 141. 제8장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1. 기본방향 ····························································································· 159 2. 정책과제 ····························································································· 161.

(13) xi. 제9장 요약 및 결론 1. 요약 ····································································································· 171 2. 결론 ····································································································· 179. 부록 부록 1. 여성결혼이민자 설문조사표 ··············································· 183 부록 2. 남편 설문조사표 ·································································· 198 부록 3. 시부모 설문조사표 ······························································ 208 부록 4. 농촌주민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조사표(현지통신원 조사) ··· 215 부록 5. 심층면접조사 지침 ······························································ 219 부록 6. 다문화가족지원사업 부처별 예산 현황 ···························· 221 부록 7. 2011년 시행계획 5대 영역별 부처‧기관 추진 사업내용 ··· 224 참고 문헌 ···························································································· 226.

(14) xii. 표 차 례. 제1장 표 1-1.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 ··········· 13 표 1-2. 다문화가족 구성원별 사회적응 주요 조사항목 ···················· 17 표 1-3. 연구내용별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19 표 1-4.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의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 측정방법 ······· 21 표 1-5. 설문조사 대상 다문화가족의 일반적 특성 ···························· 28 표 1-6. 우편조사 응답자 (KREI 현지통신원)의 일반적 특성 ············ 29 표 1-7. 심층면접 대상 다문화가족의 일반적 특성 ···························· 30. 제3장 표 3-1.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 52. 제4장 표 4-1. 가정에서의 의사결정 주체(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 57 표 4-2. 사회적 지지(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 62 표 4-3. 자녀의 학교(유치원‧어린이집) 생활에 문제가 생길 때 해결 노력 ···· 72 표 4-4.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 77 표 4-5.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 78 표 4-6. 여성결혼이민자가 인지하는 자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 79.

(15) xiii. 제5장 표 5-1.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 91 표 5-2.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Stepwise 방식) ········································· 92. 제6장 표 6-1. 농촌주민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척도 ······························ 97 표 6-2.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농촌주민의 태도 ···················· 98 표 6-3. 다문화가족에 대한 농촌주민의 태도 ····································· 98 표 6-4. 여성결혼 이민자의 사회기여와 참여에 대한 농촌주민의 태도 ·· 99 표 6-5. 다문화가족 대상 정책의 확대에 대한 농촌주민의 태도 ··· 100 표 6-6. 다문화가족에 대한 농촌주민의 인식과 관련변인(변량분석 결과) ·· 102. 제7장 표 7-1.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0-2012)의 주요 내용 ··········· 106 표 7-2. 2011년 시행계획 5대 영역별 중점 추진과제 ····················· 109 표 7-3.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소관부처별 주요 업무 ·········· 111 표 7-4. 부처별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예산(’08-’11) ·························· 114 표 7-5. 지자체 다문화가족지원종합계획 5대 영역별 사업 수 및 예산 현황 ··· 115 표 7-6. 2011년 지자체 공통 및 특정 추진 사업 ····························· 116 표 7-7. 지자체 다문화가족지원 관련 예산 현황(2010-2011년) ······ 118 표 7-8. 시‧도교육청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 120 표 7-9..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추진 사업 ····························· 122. 표 7-10.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추진 사업 및 이용 현황 ·················· 123 표 7-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수탁기관 현황 ··································· 124 표 7-12. 지역유형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 125.

(16) xiv 표 7-13.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없는 기초지자체 ···························· 125 표 7-14. 입지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개소 현황 ····························· 126 표 7-15. 외국인주민 지원기관‧단체 현황 ········································· 127 표 7-16. 이주‧다문화가족 지원단체들의 지원활동 내용 ················ 128 표 7-17. 시‧도별 위탁단체 유형별 사업 분포 ································· 130 표 7-18. 다문화 관련 사회적기업 현황 ············································ 131 표 7-19. 농협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 135.

(17) xv.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1.. 국적별 여성결혼이민자의 농어촌 유입 건수 추이(2000-2010) ··· 32. 그림 2-2.. 농어촌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분포(2010년) ··················· 32. 제3장 그림 3-1.. 농어업 참여 정도 ······························································· 40. 그림 3-2.. 농어업 일 수행 시 어려움 ················································ 41. 그림 3-3.. 농사(어업)일과 직장일의 분담 ·········································· 42. 그림 3-4.. 농사(어업)일 외 소득활동(직장일) 하는 이유 ················· 43. 그림 3-5.. 농사(어업)일 외 소득활동(직장일) 수행 시 어려움 ······· 43. 그림 3-6..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 만족도 ········································· 46. 그림 3-7.. 남편의 경제 만족도 ···························································· 46. 그림 3-8.. 시부모의 경제 만족도 ························································ 47. 그림 3-9.. 경제 만족도 평균점수 비교 ·············································· 47. 그림 3-10. 다림촌 ·················································································· 50. 제4장 그림 4-1.. 가족 중에서 가장 힘든 관계 ············································· 56. 그림 4-2..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 ············································· 56. 그림 4-3.. 친하게 지내는 동일 국적인 수 ········································· 58. 그림 4-4.. 친하게 지내는 동일 국적인과 연락빈도 ·························· 58. 그림 4-5.. 친하게 지내는 한국인 수 ·················································· 59. 그림 4-6.. 친하게 지내는 한국인과 연락빈도 ··································· 60. 그림 4-7.. 친하게 지내는 제3국인 수 ················································ 60.

(18) xvi 그림 4-8.. 친하게 지내는 제3국인과 연락빈도 ································· 61. 그림 4-9.. 가장 필요한 사회복지서비스 ············································· 63. 그림 4-10.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노력 ····································· 65 그림 4-11. 남편의 문화적응 노력 ························································ 65 그림 4-12. 시부모의 문화적응 노력 ···················································· 66 그림 4-13. 문화적응 노력 평균 점수 비교 ······································· 66 그림 4-14.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정도 ····································· 68 그림 4-15.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 69 그림 4-16. 여성결혼이민자 관점에서의 자녀 교육적응 수준 ··········· 70 그림 4-17. 자녀의 교육적응 수준 관련 문항(남편) ··························· 70 그림 4-18. 자녀 교육적응 척도의 평균 점수 비교 ···························· 71. 제5장 그림 5-1.. 여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안정 관련 응답 ······················ 84. 그림 5-2.. 남편의 심리적 안정 관련 응답 ········································· 84. 그림 5-3.. 시부모의 심리적 안정 관련 응답 ····································· 85. 그림 5-4.. 심리적 안정 평균점수의 비교 ··········································· 85. 그림 5-5..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관련 응답 ························ 86. 그림 5-6.. 자아존중감 관련 문항(남편) ·············································· 87. 그림 5-7.. 자아존중감 관련 문항(시부모) ·········································· 87. 그림 5-8.. 자아존중감 평균점수의 비교 ············································· 88. 제6장 그림 6-1.. 마을의 아동 중 다문화가족 자녀의 비율 ························ 96. 그림 6-2.. 여성결혼 이민자와의 교류 정도 ······································· 96. 제7장 그림 7-1..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추진체계 ········································· 110.

(19) xvii 그림 7-2. 지방자치단체 사업별 예산 분포 ······································· 119 그림 7-3. 시‧도 교육청 다문화 관련 사업 예산 ····························· 121 그림 7-4. 주식회사 사람 ····································································· 133 그림 7-5. 주식회사 다문화사회적기업 어울림 ································· 133 그림 7-6. 농협의 복지사업 추진체계 ················································ 134.

(20)

(2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최근 농어촌에서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 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2010년에 혼인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남성 5,971명 중 33.9%에 해당하는 2,023명이 외국 여성과 혼인하였다. 더구나 농어촌에 거주하면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남 성의 외국여성과의 혼인 비율은 37.5%나 된다(통계청, 2011). 농어촌으로 유입되는 대다수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인종‧사회적 편견과 차별적 태도,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 대한 무관심과 배려의 부족 등으로 인 해서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다문화가족 의 한국인 남편, 시부모 등도 여성결혼이민자와의 생활에 적응하는 데 있 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외관적으로 구분되는 신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와 문화가 다른 외국인이고, 한국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약소국 출 신이 대부분이며, 한국인 남편의 사회적 지위가 낮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여러 가지로 불리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경제. 제. 1장.

(22) 2 서 론. 적 불리함에 더하여 문화적 적응과 의사소통상의 장애로 인하여 사회적 편 견과 차별적 대우가 심화된다. 그리하여 농어촌의 다문화가족은 일반가족과는 다른 여러 가지 독특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의사소통의 제한,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농어촌의 다 문화가족은 부부관계, 자녀양육, 가족관계, 이웃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 에서 여러 가지 갈등과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하며 이에 따라 국제 결혼의 파탄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문제들을 이대로 덮어둘 경우 향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으며, 앞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사 회가 지불하게 될 비용 또한 막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어촌 다문화가족은 앞으로 우리나라 농어업과 농어촌의 미래를 이끌 어갈 중요한 인적 자원이다. 그러므로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수준 을 개선하는 것은 우리나라 농어업과 농어촌의 발전을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를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문 제점을 파악하여 이들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마 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여러 가지로 불리한 여건 속에서 한국 농어 촌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찾아서 그들의 사회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농어촌 다문화가족 관련 선행연구들은 일반적인 생활실태와 문 제점을 조사하여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선행연 구들은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문제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더 구나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문제를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연 구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①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실태와 문제점을 경제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② 농어촌 다문 화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며, ③ 국내외의 다문화가족 사회적응 관련 정책 및 사업을 검토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④ 농.

참조

관련 문서

지자체의 이행을 독려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행 실태 가 특히 저조한 지역은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촉진지역’으로 지정하여 공공

다음에서는 주로 경관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농어촌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동향과

- 이와 더불어 지역 공동체성이 복원되고 이를 바탕으로 농어촌 정책 사업이 추진되어 야 바람직하겠지만, 이러한 기대와는 반대로 국비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대표적으로 농어촌 소규모 통폐합 정책은 농어촌 교육력 회복 을 위한 장기적ㆍ유기적인 성격의 정책이라기보다는 단기간에 나타날 교육 재정적 효과를 위해

- 시행 중 또는 시행 예정인 정책이나 제도가 농촌에서 비의도적일지라도 부정적이거나 차별적 인 효과를 낳고 있거나 낳을 가능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검토하는

대학교수, 연구자, 현장 전문가 및 활동가, 중앙 및 지방 공무원, 농어촌 주민, 관련 학회, 전국농어촌지역군 수협의회 등 다양한 분들이 농어촌지역정책포럼에 참여하여

○ 두 산업의 수익성 악화 추세는 두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수익성 증가가 매출 증 가의 원인이 아니며, 오히려 시장 확대를 위한 기업의 노력이 기업의 수익성에

이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에서 장기요양기관 운영에 필요한 수입 및 지출 구 조 차이를 분석하여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