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대의 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대의 글"

Copied!
7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초대의 글

안녕하십니까? 계절이 겨울로 접어들어 이제 한 해 일을 마무리 할 때가 되었습니다.

농어촌정책의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과 아젠다 발굴을 위해 활동해온 ‘농어촌지역정책 포럼’이 출범한 지도 어느덧 만 4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대학교수, 연구자, 현장 전문가 및 활동가, 중앙 및 지방 공무원, 농어촌 주민, 관련 학회, 전국농어촌지역군 수협의회 등 다양한 분들이 농어촌지역정책포럼에 참여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우리 농어촌의 발전을 지지하고 후원하는 분들의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한 점이 농어촌지역 정책포럼의 최대 성과 중 하나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올 한 해는 그간의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운영방식에 변화를 주어 총 5차례의 소규모 전문가 세미나를 진행해 왔습니다. 특히 세미나를 통해 향후 농어촌정책의 방향 설정과 아젠다 도출을 위해 시‧도발전연구원 소속 중견연구자들과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며 그간의 논의를 포럼 회원님들과 함께 다시 한 번 심화시키고 지역의 관점에서 농어촌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이번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이번 행사에 참석하셔서 앞으로 다 함께 추구하고 실천해야할 농어촌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진지하게 논의하는 귀중한 자리로 만들어주시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12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최 세 균

(4)
(5)

제13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1. 개요

일시: 2014. 12. 15(월) 14:30 ~ 18:00 장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

주최: 농어촌지역정책포럼 주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후원: 농림축산식품부

2. 일정

시 간 주요 내용

14:30-14:50

(20분) ◆ 참가자 접수 14:50-15:00

(10분) ◆ 개회사: 최세균(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15:00-16:00 (60분)

◆ 주제발표

◉ [주제1]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 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 노승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2]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 전영미 박사(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주제3]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 이수일 사무관(지역발전위원회) 16:00-16:20

(20분) ◆ 휴식 및 장내 정리

16:20-17:50 (90분)

◆ 종합토론

◉ 좌장: 정철모 교수(전주대학교) ◉ 토론: 김승철 교수(서강대학교)

송미령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광희 박사(충북발전연구원) 유정규 박사(지역재단) 이규정 대표(아산시 외암마을) 정연근 기자(내일신문) 최창영 과장(증평군) 17:50-20:00

(130분) ◆ 폐회 및 저녁식사(연구원 대회의실 로비)

(6)

구 분 일자 포럼 주제 및 주제 발표

2011년

제1차 04.12

○ 주제: 왜 통합적 농어촌 지역개발인가

∙ 주제 발표 1. 통합적 농어촌 지역개발: 진안군 마을만들기의 경험 - 구자인 박사(전북 진안군청)

∙ 주제 발표 2. 도농통합적 지역개발의 새로운 아젠다 - 김정연 박사(충남발전연구원)

∙ 주제 발표 3. 통합적 농어촌 지역개발의 쟁점과 과제 - 김광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2차 07.04

○ 주제: 농어촌의 자원을 말한다

∙ 주제 발표 1.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 윤원근 교수(협성대학교) *한국다랑이논연구회

∙ 주제 발표 2. 한국에서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현황과 발전방안 - 정남수 교수(공주대학교) *한국농촌계획학회

∙ 주제 발표 3.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농어촌계획제도 발전 방향과 과제 - 성주인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3차 10.14

○ 주제: 농어촌지역정책의 성과 진단과 새로운 도전

∙ 주제 발표 1. 신활력사업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 이기원 교수(한림대학교)․손은일 교수(한국국제대학교) *한국농어촌산업학회

∙ 주제 발표 2. 농촌개발정책의 변천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김정섭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4차 12.08

○ 주제: 농어촌정책, 어디로 가야 하나

∙ 주제 발표 1. 농어촌의 여건 변화에 대응한 정책 방향과 과제 - 성주인 박사・김광선 박사・김정섭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완주군의 통합적 농업‧농촌정책 추진사례 - 강평석 계장(전북 완주군청)

2012년

제5차 04.06

○ 주제: 농어촌정책이 추구할 새로운 가치

∙ 주제 발표 1. 농어촌정책의 새로운 목표 가치와 주요 과제 - 박시현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지역발전정책의 방향과 과제 - 이원섭 팀장(지역발전위원회)

∙ 주제 발표 3. 현장의 시각에서 본 농어촌정책의 새로운 과제 - 오형은 대표(지역활성화센터)

제6차 06.12

○ 주제: 농어촌 마을, 이제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 주제 발표 1. 농어촌 마을의 정주 여건과 재정비 방향 - 성주인 박사・박시현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농어촌마을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제정 배경 및 주요 내용 - 김운기 사무관(농림수산식품부 지역개발과)

농어촌지역정책포럼 개최 내역

1. 농어촌지역정책포럼 개최 내역 (2011-2013년)

(7)

구 분 일자 포럼 주제 및 주제 발표

제7차 09.26

○ 주제: 농어촌정책, 현장에서 길을 묻다

∙ 주제 발표 1. 농촌정책 현장에서 거버넌스의 구조와 기능 - 김정섭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전북의 농어촌 마을 여건 변화에 대응한 지역개발사업 과제 - 이창우 박사(전북발전연구원)

∙ 주제 발표 3. 농어촌개발에 있어서 중간지원조직을 통한 민관협력 과제 - 임경수 상임이사(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제8차 12.12

○ 주제: 포괄보조사업 재편, 어떻게 해야 하나

∙ 주제 발표 1. 시・군 자율편성사업 추진 실태와 개편의 쟁점 - 송미령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지자체 담당자가 바라본 농어촌정책 과제 - 최창영 계장(증평군 기획감사실)

∙ 주제 발표 3. 농산어촌 지역개발정책의 추진 방향 - 안완기 사무관(농림수산식품부 지역개발과)

2013년

제9차 04.24

○ 주제: 새 시대의 희망 슬로건, 행복한 농어촌 만들기

∙ 주제 발표 1. 창조경제시대 농촌 지역개발의 새로운 아젠다 - 송미령 박사・성주인 박사・김광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농촌 공동체 활력 찾기의 새로운 가능성, 마을만들기 - 이현민 이사장(전북지역개발협동조합・부안시민발전소)

∙ 주제 발표 3. 지역개발전략으로서 마을만들기 제도화 - 이재식 서기관(농림축산식품부 지역개발과)

제10차 07.08

○ 주제: 농촌 활성화 컨퍼런스: 농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주제 발표 1. 농촌정책 방향과 과제 - 김정희 과장(농림축산식품부 지역개발과)

∙ 사례 발표 2. 농촌 마을 네트워킹을 통한 지역 활성화 - 지경식 회장(원주시 농축산물유통협의회)

∙ 주제 발표 3.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 실태와 향후 개선 방안 - 김광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사례 발표 4. 전라북도 삶의 질 정책: 5대 생활밀착형 작은 시리즈 중심 - 김중기 계장(전라북도 삶의질정책과)

제11차 10.08

○ 주제: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한 농촌 활성화

∙ 주제 발표 1. 지역행복생활권 구현을 위한 지역 간 연계・협력 과제 - 송미령・성주인・김광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농어촌 지자체 간 연계・협력 사업 경험과 시사점 : 외씨버선길 조성과 지역공동체

- 권오상 단장(BY2C연계협력사업단, 경북대학교)

∙ 주제 발표 3. 도농 간 연계・협력을 통한 지역발전 사례와 시사점 : 로컬푸드를 통한 농촌 활성화를 중심으로

- 나영삼 계장(완주군 농촌활력과 로컬푸드)

제12차 12.13

○ 주제: 농촌 공간 재편에 대응한 전략 모색

∙ 주제 발표 1. 농촌 정주공간 변화 진단과 정책 시사점 - 성주인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 발표 2. 농촌 활성화를 위한 중심지 개발 정책의 방향 - 김정연・이상준 박사(충남발전연구원)

∙ 주제 발표 3. 농촌 지역개발정책 개편 방안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김기환 사무관(농림축산식품부)

(8)

2. 창조적 농어촌지역정책 발굴 세미나 개최 내역 (2014년)

구 분 일자 세미나 주제 및 발제

2014년

제1회 5.14

○ 주제: 농어촌 변화에 따른 마을 정비 및 리모델링 사업 추진 방안 ∙ 발제 1. 농어촌 리모델링 시범사업 추진 현황과 개선 방향 - 한상욱 박사(충남발전연구원)

∙ 발제 2. 강원도 고령화 현황분석과 고령친화마을 조성 - 김승희 박사(강원발전연구원)

제2회 7.17

○ 주제: 농촌사회 변화에 대응한 농촌 주거문제 개선방안 ∙ 발제 1. 농촌의 주거현황과 주택정책 현황

- 강미나 박사(국토연구원)

∙ 발제 2. 과소・고령마을에 대한 정책 추진 방안 - 조영재 박사(충남발전연구원)

제3회 9.25

○ 주제: 농촌사회 변화에 대응한 농촌 주거문제 개선방안

∙ 발제 1. 농촌사회 고령화에 대응한 노인공동생활홈 정책지원방안 : 전라북도 노인공동생활홈 사례를 중심으로

- 이중섭 박사(전북발전연구원)

∙ 발제 2. 귀농・귀촌인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정책지원방안 : 한국귀농인협회/귀농사모 사례를 중심으로

- 정성근 교수(한경대학교 교수, 귀농사모 대표)

제4회 11.18

○ 주제: 농촌 정책의 방향 모색과 아젠다 발굴

∙ 발제 1. 정부의 향후 농촌정책 방향과 주요 정책 아젠다 - 강 식 박사(경기개발연구원)

∙ 발제 2. 농촌정책의 방향 모색과 아젠다 발굴 - 권용덕 박사(경남발전연구원)

∙ 발제 3. 정부의 향후 농촌정책 방향과 주요 정책 아젠다 제안 - 변혜선 박사(충북발전연구원)

∙ 발제 4. 농촌정책에 관한 단상 - 석태문 박사(대구경북연구원)

제5회 11.20

○ 주제: 농촌 정책의 방향 모색과 아젠다 발굴 ∙ 발제 1. 미래 농촌정책 아젠다에 대한 소고 - 강승진 박사(제주발전연구원)

∙ 발제 2. 다기능 농업을 통한 농업농촌정책의 통합적 추진전략 - 이관률 박사(충남발전연구원)

∙ 발제 3. 통합적 농촌개발정책과 평가체계 구축 방향 - 이민수 박사(전북발전연구원)

∙ 발제 4. 농촌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 조상필 박사(전남발전연구원)

(9)

주제발표

제1주제.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노승철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

제2주제.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전영미 박사(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17

제3주제.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이수일 사무관(지역발전위원회) ··· 37

목차

(10)
(11)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주제발표

❙ 노승철 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13)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3

(1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

(15)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5

(16)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6

(17)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7

(18)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8

(19)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9

(20)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10

(21)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11

(22)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12

(23)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13

(2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14

(25)

농촌정책의 방향과 과제: 지역전문가들이 보는 농촌정책 아젠다

15

(26)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16

(27)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주제발표

❙ 전영미 박사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8)
(29)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19

(30)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20

(31)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21

(32)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22

(33)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23

(3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24

(35)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25

(36)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26

(37)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27

(38)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28

(39)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29

(40)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30

(41)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31

(42)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32

(43)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33

(4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34

(45)

홍성통, 농촌정책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농촌 공동체 및 지역발전 활성화 사례

35

(46)
(47)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주제발표

❙ 이수일 사무관

(지역발전위원회)

(48)
(49)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39

(50)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0

(51)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41

(52)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2

(53)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43

(5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4

(55)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45

(56)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6

(57)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47

(58)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48

(59)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49

(60)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50

(61)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51

(62)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52

(63)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53

(64)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 지역 현장의 관점에서 보다

54

(65)

지역행복생활권 사업 추진동향: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55

(66)
(67)
(68)
(69)
(70)
(71)
(72)

참조

관련 문서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성장기에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 기술, 장비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는 과정에 있으므로 사업유형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기존

이에 이번 춘계학술발표회에서 학회 회원 여러분과 윤석열 시대에 원자력계의 앞날을 전망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와 이를 위한 학회의 역할 및 어떤 변화가

학술발표회 발표 논문 중 우수한 논문을 각 연구부회에서 추천 받아 학회 포상 및 장학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을 선정합니다.. 학술발표회

그 중, 현장 견학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것 은 강사 경력이 있는 나에게는 굉장히 유리한 점이 많은 업무이다.. 학생부터 일반인, 관련 분야 전공 자 등 다양한

현장 및 위성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경계층 바람 환경의 관측 및 분석 기술과 초고해상도 유체역학 모델링의 지역규모 적용을 위한 계산 및 이론, 그리고

ㅇ 터키 내에서 한국어의 제2외국어 지정 등으로 한국어 및 한국학 연구자 료가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터키국립도서관의 한국자료실 이 터키 내

학교 현장 밀착형 학교내 무한상상실 지원연구단 운영을 통해 현장의 애로사항과 요구를 반영한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 및 교원 역량강화 워크숍 운영,

학생 본인이 농어촌 소재지 학교에서 중학교 입학 시부터 고등학교 졸업 시까지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본인 및 부모가 농어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