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2.1. 일반적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논의

설동훈과 윤홍식(2005)은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성결 혼이민자들의 특성을 출신국가와 거주지별로 파악해 이들 집단 간의 상이 성과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사회적 적응이란 여성결혼이민자 개인 과 이를 둘러싼 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인적관계를 통해서 정의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부부관계, 친족관계, 이웃관계, 자조집단 참여 여부, 한국어 구사능력 정도를 사회적 적응의 핵심적 변수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적응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여부와 해당 가구의 가구소득으로 파악하였다. 전국 885호의 여성결혼이민자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적응에 관한 지원에 있어서 여성결 혼이민자의 욕구 수준이 집단에 따라 상이하며,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적 적응 수준도 출신국가와 거주 지역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금해(2006)는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한국생활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적응의 유형은 무엇인지 밝히고 이들에게 효과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에서 생활한 지 1년 이상 된 기혼 조선족 여성 1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 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설동훈 외(2006)는 ① 전국적 차원에서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 특히 아 동의 생활실태 및 사회문화적 기본욕구를 파악하고, ② 결혼이민자 가족

4 서 론

중장기 지원 정책방향을 정립하고 사회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1,177가족(여성결혼이민자 및 한국인 배우자)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면접 설문 조사의 주요 내용은 국제결혼 과정, 가족생활, 경제활동, 일상생활, 사회정 책 수요 등이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 하였다. 결혼이민자 가족의 중장기 지원 정책으로 ① 민주적이고 양성평등 한 가족생활 실천, ② 바람직한 국제결혼모델의 정립, ③ 아동의 건강한 발 달과 사회적응 지원, ④ 민관협력의 사회통합 모델 구축, ⑤ 결혼이민자가 족지원법 제정을 제시하였다.

구차순(2007)은 결혼이주여성이 가족, 확대가족, 이웃, 지역사회와의 상 호작용을 통하여 어떻게 대처해 나가며 적응해나가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 구방법으로는 부산광역시 결혼이주여성 10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적 연구 를 수행하였다. 결혼이주가족의 적응과정을 ① 혼돈과 갈등의 단계, ② 둘 러보고 시도해봄의 단계, ③ 조화로 위치를 찾음의 단계, ④ 공동체 구성원 으로 뿌리내림의 단계로 설명하였으며,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유형을 ① 안 정된 뿌리내림, ② 희망을 걸어봄, ③ 회의로 흔들림으로 구분하였다.

최운선(2007)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을 한국어 능력, 한 국사회에 대한 지식,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차별에 대한 인식, 사회복지제도 관련 지식, 가족관계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에 거주하는 260명의 국제결혼 이주여성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문화 적응 척도는 한국어 능력(4 문항), 한국사회에 대한 지식(10문항),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10문항), 사회 적 네트워크(3문항), 차별에 대한 인식(10문항), 사회복지제도 관련 지식 (12문항), 가족관계(4문항)로 구성하였다. 한국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 의 이주와 정착과정뿐만 아니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교육수준, 출신국 가, 체류기간, 이주경로, 한국어 실력, 관련 서비스 이용경험 등에 따른 사 회문화 적응의 다양한 양상과 차이를 규명하였다.

정천석과 강기정(2008)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유형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천안시에 거주하면서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

서 론 5

는 25명의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을 실시하였다.

생활적응은 생활만족 적응(4문항)과 심리 적응(우울 13문항, 불안 10문항) 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생활만족 적응 유형의 공통적인 특성으로 이웃 교류 수준이 결합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응 유형의 공통적인 특성으 로는 부부관계 갈등 수준이 낮은 조건의 결합유형으로 나타났다.

정기선과 한지은(2009)은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 제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 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경기도에 거주 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 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적응스트레스(심리적 문화적응)는 정신건강 혹은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존의 평가문항들 중에서 우 울증 척도에 포함되는 8개 문항을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 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 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 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김정훈(2009)은 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을 파악하여 한국사회에 조 기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② 사회적응에 사회자본의 어떤 요소 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사회자본 확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수도권과 충북지역의 255명의 결혼이 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3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 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사회자본 중 신뢰는 정치적응에는 영향을 미치 지만 경제적응과 사회‧문화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자본 중 네트워크는 경제적응과 사회‧문화적응에는 영향을 미 치지만 정치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석회(2009)는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돕는 요인이 무엇인지, 특히 공

6 서 론

간적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작동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 울, 경기, 대구, 경북,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총 391명의 결혼이주여성 대 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주여성의 연령과 본국에서의 직업 경 력,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가정생활의 적응 정도, 배우자의 직업과 연 령, 한국으로 결혼이주 전 한국에 대한 지식과 이미지, 국내의 한국인 및 출신국가 친구, 주민모임에의 참여 여부 등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 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김이선 외(2010a)는 다문화가족의 해체(이혼) 추이를 분석하고 이혼‧사 별 경험 다문화가족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조명하여 정책지원 과제를 발굴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의 기존 관련 자료 를 재분석하고, 이혼‧사별 경험 여성결혼이민자 30명, 이혼 경험 한국인 배우자 및 그 외 가족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다문화가 족의 주요 이혼 사유는 ① 결혼과정상의 문제, ② 외국인 혐오성‧여성인권 침해성 폭력, ③ 체류자격을 둘러싼 갈등, ④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를 둘러싼 갈등, ⑤ 경제적 갈등, ⑥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생활양식의 차이 등 으로 나타났다. 정책 제언으로는 ① 다문화가족 해체 예방 차원의 정책 개 입 강화, ② (예비)다문화가족 대상 프로그램 강화, ③ 가족관계 해소를 둘 러싼 국가 간 제도적 모순 해결 노력, ④ 이혼-귀국 결혼이민자를 위한 지 원 프로그램 실시 검토, ⑤ 결혼이민자-한부모가족의 자립기반 지원, ⑥ 결 혼이민자-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 지원, ⑦ 결혼이민자-한부모가족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 확충을 제시하였다.

김진숙 외(2010)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결혼적응과정과 내용, 결과를 살 펴보고 부부의 적응에 대한 실체이론구성과 이들의 적응을 원조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13쌍의 다문화가정 부부 와 9명의 관계인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조사하였다.

김순규와 이주재(2010)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과 관련 하여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 구방법으로는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208명에 대한 설문

서 론 7

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생활 적응은 심 리, 사회, 문화적 적응으로 세분화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언어능력은 이 주여성의 문화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심리, 사회, 문화적 적응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농어촌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관련 논의

윤형숙(2005)은 전라남도 6개 군에 거주하는 20명의 필리핀 출신의 이 주여성 및 가족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윤형숙(2005)은 전라남도 6개 군에 거주하는 20명의 필리핀 출신의 이 주여성 및 가족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