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Copied!
1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2014-23 | 2014. 5..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민 정 구 김 임. 경 호 자 명 철. 택 근 춘 은 균. 연 구 위 원 부연구위원. 위촉전문연구원 위촉연구원 위촉연구원.

(2) 연구 담당 민경택 정호근 구자춘 김명은 임철균. 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위촉전문연구원 위촉연구원 위촉연구원. 연구 총괄, 제1,2,3,4,6장 집필 제6장 집필 제5장 집필 제2장 집필 제1,3,4장 집필.

(3) 머 리 말. 국민 소득이 높아지면 꽃 소비도 증가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훼 산업도. 크게 성장하여 연간 생산액이 1조 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꽃의 대. 부분이 장미와 백합 등 외국에서 개발되어 도입된 원예품종이고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다. 우리나라에는 원래 다양한 식물자원이 서식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품성 높 은 종들도 많다. 우리 자신이 자생식물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다른 나라에서 우리 자원을 가져다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 야생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매우 다행스런 일 이다. 야생화의 소박한 매력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야생화를 활용. ·. 한 예술 취미 활동, 농산촌마을 가꾸기 등 새로운 관점에서 야생화를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우리 자생식물에는 약리 성분도 풍부하여 생물기술을 응용 하면 앞으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 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기술개발과 상품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우리 야생화 자원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국내외 활용가능한 사례 를 살펴보고 야생화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 많은 조언을 해 주신 야생화 생산자, 설문조사에. 응해준 분들께 감사드린다. 아무쪼록 이 연구결과가 우리 야생화에 대한 국민. 관심을 환기하고 야생화 생산이 우리 농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잡는 데 기 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4.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4)

(5) iii 요. 약.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악지형이 많아서 국토 면적에 비하면 매우 풍부한 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야생화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미흡하여 상품화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오히려 해외에서 우리 식물자원 을 활용하여 상업용 품종으로 개량, 역수입되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 향상, 꽃과 자연에 대한 국민의식 증가, 자연 치유에 대한 관. 심 증가로 우리 야생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우리 야생화를 정원소재, 조경재, 취미소재, 문화관광자원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외래. 원예품종에 지불하는 로열티를 절약할 수 있고 임업인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꽃이 작고 소박한 야생화는 절화로 이용되는 비율이 낮아 도시 조경 용과 정원용에 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야생화 산업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는 정원문화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야생화를 문화 관광 산업 자원으로 개발하여 산업화 하고, 나아가 정원문화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 해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야생화 생산 현황, 야생 화에 대한 국민의식을 각각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야생화 산업을 둘러싼. SWOT. 분석을 실시하고, 야생화 산업화와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국. 립수목원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야생화 활용 분야와 정부의 지원 체계를 파악 하였다. 국내에서는 공간디자인, 꽃 예술, 가공제품(화장품, 음식재료, 약재), 지 역문화와 축제의 소재로 야생화가 활용되고 있었다. 미국의 커뮤니티 가든과. 공공농장, 일본의 꽃 테마 가든, 유럽의 꽃축제와 농산촌 관광 등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는 야생화 저변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세 부 정책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야생화 생산량은. 2009년 이후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12년에는 전.

(6) iv 312억 원의 생산규모를 형성하였다. 1조 원 규모의 화 훼 시장에 비한다면 야생화 생산액은 매우 작다. 야생화 생산자들은 생산과정 에서 노동력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야생화 생산은 다품목 소량 생산체제, 생산기술의 불균형, 판로 부족, 소비자 인식 부재 등 생산, 유 통, 수요, 수출 전반에서 산업화에 취약한 구조이다. 전국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 하였다. 야생화의 구매빈도는 일반 식물과 화훼류보다 낮았으며, 경재재로 인 정받지 못하고 있다. 장미, 프리지어, 튤립 등 일반적인 화훼품종과 경쟁력에서 상대적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은방울꽃, 금낭화, 할미꽃, 돌단풍 등 은 기타 외래종과 견주어서 경쟁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생화를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 ‘키우기 어려울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야생화 선 택에서 관리 용이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야생화를 활용한 미용품과 음 식품에 대한 접촉 빈도가 높고, 응답자의 80%는 꽃을 주제로 한 축제에 방문한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야생화 자체만으로 산업화 소재로 활용하기에 부적합함을 보여준다. 야생화 산업화는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뒷 받침 하는 기술개발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이상의 수집 자료와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SWOT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립수목원의 기술개발 전략, 즉 정책수단을 개발하였다. 본 전략은 4대 전략목표(①야생화 조사연구 증진, 보급 인프라 확대, ②정원문화 확산 인 프라 구축, ③생활주변 야생화 조성 및 정원문화 확산, ④야생화 및 정원문화 산업화기반 구축)와 14개 세부목표(①-1. 야생화 자원 정보 조사·연구 강화, ① -2. 야생화 보급·교육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 ②-1. 모델정원 개발 및 관리기술 체계화, ②-2. 공공정원 조성, ②-3.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③-1. 생활공 간에 야생화 식재 확대, ③-2. 정원가꾸기 범국민운동 전개, ③-3. 국내외 한국 정원 조성 및 사후관리체계 강화, ④-1. 야생화 기능·생산·종자 연구로 고부가 가치 창출, ④-2. 야생화 특화 생태관광 상품 개발, ④-3. 야생화 생산자 육성, ④-4. 정원식물 소재 개발 및 전후방 산업 육성, ④-5. 스토리텔링으로 문화상 품 개발, ④-6. 실생활 이용가능한 상품개발 및 꽃예술 보급)로 구성되며, 2014 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단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설계하였다. 년보다 조금 줄어든 약.

(7) v ABSTRACT.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to Industrialize Wildflower and Expand Gardening Culture. Wildflowers are plants growing wild, meaning they are not intestinally seeded or planted. Characterized by typical four seasons and lots of mountain area, Korea has various wildflowers considering relatively small land size. However, lacking systematic survey and research, it hasn’t utilized such affluent natural resources. Rather, the commercialized breeds based on domestic wildflower resources developed overseas are imported. As income growing, peoples’ interest on nature and natural healing grows, and the interest on wildflowers as well. If we can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in areas of gardening, landscaping, hobby and sightseeing, we can not only save the money being paid for imported flower species but also benefit the farmers with better income. Especially, small and artless wildflowers have lots of potentials in urban landscaping and garde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step by step policy schemes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For this, we search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o commercialize wildflowers, surveyed the members of the Native Plants Growers Association to understand the supply side, and surveyed the people to know the demand side.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the followed SWOT analysis were used in developing policy schemes of the National Arboretum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Domestically wildflowers are used for space design, flower arts, processed products (cosmetics, food, and medicine), local culture and festivals. From the survey on community garden and public farm in the US, flower theme garden in Japan, and various flower festivals in Europe we could identify much broad wildflower usages and supporting policies. From the survey on producers, we verified the obstacles in wildflower industry growth. They include shortage of labor; small business size with various products; lacks in production technique; limited markets; and lacks in consume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mand side, people purchase.

(8) wildflowers less often than other plants or flowers. People perceive that wildflowers are difficult to grow. More than 80% of people have experienced flower festivals. Among the processed products using wildflowers cosmetics and foods are most common to people. In flower market, most of wildflowers are less competitive than rose, freesia, and tulips. Though small number of wildflowers such as lily of the valley, dicentra, Korean Pasque Flower, aceriphyllum rossii has some potential to compete with exotic species. The policy schemes have two hierarchies, which are four basic targets and the fourteen actions to reach the targets. The four basic targets are more field research, expansion of supply infrastructure; building the infrastructure to expand garden culture; making the wildflower area closely; building the industrializing foundation of wildflower and garden culture. The actions underneath the first target are 1) strengthening the survey and research on wildflower resource information; 2) strengthening the infrastructure to supply and educate wildflower. The actions to reach the second target are 3) developing the garden model and organizing the management skill; 4) forming public gardens; 5) developing and providing garden education program. The actions for the third target are 6) more planting wildflowers in living area; 7) composing a national movement to garden; 8) building and managing Korean style gardens in domestic and overseas. The actions for the last target are 9) creating the value from the research on efficacy, seed, and production of wildflowers; 10) developing a sightseeing item specialized for wildflower; 11) more wildflower growers; 12) promoting the downstream and upstream industry of wildflower; 13) more cultural interest with storytelling; 14) developing easily usable wildflower related products and easily applicable flower arts. The whole plan of policy schemes is structured to proceed from 2014 to 2018 during 5 years.. ④. ③. ②. ①. Researchers: Kyung-Taek Min, Ja-Choon Koo, Ho-Gun Chong, Myeong-Eun Kim, Chul-Kyun Yim Research period: 2014. 4. - 2014. 5. E-mail address: minkt@krei.re.kr.

(9) vii 차. 제1장 서 론. 례. ····················································································· 1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방법과 범위 ··························································································· 5 제2장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생식물 현황 ·············································································· 7 2. 야생화의 생산과 유통 ·················································································· 9 제3장 야생화(식물자원) 활용의 사례 1. 공간 디자인 ································································································· 21 2. 꽃예술 소재 ································································································· 23 3. 꽃을 이용한 가공제품 ················································································ 26 4. 지역축제와 문화 ························································································· 31 제4장 해외의 야생화 활용 및 정원문화 사례 1. 미국 ·············································································································· 35 2. 일본 ·············································································································· 41 3. 유럽 ·············································································································· 47 제5장 야생화 및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1. 조사개요 ······································································································ 55 2. 조사결과 ······································································································ 56 3. 시사점 ·········································································································· 85 1. 2. 3.. 연구의 배경과 목적.

(10) viii. 제6장 야생화의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방안 1. 여건분석(SWOT 분석) ··············································································· 87 2. 기본방향 ······································································································ 91 3.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정책과제 ······························································· 92 4. 세부 기술개발 전략 ·················································································· 103 부록 1. 조사표 ········································································································ 109 2. 통계 검정 결과 ························································································· 116 3. 야생화 자유연상 결과 ·············································································· 117 4. 야생화 꽃 이름 연상 ················································································ 120 참고 문헌. ······································································································· 121.

(11) ix 표 차 례. 제2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2-1. 2-2. 2-3. 2-4. 2-5. 2-6. 2-7.. 제3장 표 표 표 표 표. 3-1. 3-2. 3-3. 3-4. 3-5.. 제5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5-1. 5-2. 5-3. 5-4. 5-5. 5-6. 5-7.. ·············································································· 8 야생화의 생산량 및 생산액 추이 ·················································· 10 야생화 생산의 경영유형 ································································· 12 야생화 생산실태조사 설문내용 ······················································ 13 규모별 조사 농가 분포 ··································································· 14 지역별 주요 생산품종 ····································································· 14 규모별 재배자의 수익 및 공급 전망 ············································ 16 국가표준식물현황. ············································ 24 한국의 식용 꽃과 조리 ··································································· 28 약재로 활용된 야생화 ····································································· 29 야생화를 테마로 하는 지역축제 ···················································· 32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 꽃 축제 ······················································ 33 꽃예술 소재로 이용가능한 자생식물. ····························································· 56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식물 보유 여부 비교 ·········· 58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 61 야생화를 구입하지 않은 이유 ······················································ 66 야생화 구입 종류 ············································································ 67 연간 품목별 식물 구입 빈도 ························································· 68 품목별 구입 이유 ············································································ 69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12) x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5-8. 품목별 구입처 ·················································································· 69 5-9.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 70 5-10.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 사항 ·················································· 71 5-11. 다중회귀식 추정 결과 ··································································· 74 5-12. 실험에 사용한 꽃 목록 (가나다 순) ··········································· 77 5-13. Bradley-Terry 모형 추정 결과 ····················································· 78 5-14.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 81 5-15. 축제별 방문 빈도 ·········································································· 82 5-16.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의 추진전략 ······························· 83 5-17. 순서화로짓모형 추정 결과 ··························································· 84. 제6장 표 표 표 표 표 표. 6-1. 6-2. 6-3. 6-4. 6-5. 6-6.. ·············································· 90 자생식물 분포조사 및 정보화 기술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4 자생식물 수집 및 보전기반 구축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5 자생식물의 산업적 이용기술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5 자생식물 인식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6 전시원 조성 및 가드닝 매뉴얼 개발 일정 및 추정 연구비 ····· 107 야생화 산업화에 대한. SWOT. 분석.

(13) x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연구추진체계. 2-1. 2-2.. 주요 야생화 품종별 생산량. 제2장 그림 그림. 제3장 그림 그림. 제4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 6. 1-1.. 3-1. 3-2.. ·························································· 11 경영상 애로사항 ············································································ 18 ································································· 25 꽃비빔밥 ························································································ 27 압화를 이용한 장신구. 4-1. 뉴욕의 공공농장 ·········································································· 37 4-2. 시카고의 루리 가든 ····································································· 38 4-3.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에서 출판하는 잡지 ···· 39 4-4.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의 가상 투어 ··············· 40 4-5. 자생 나리류와 기타 식물들로 꾸며놓은 하나카이로 ·············· 42 4-6. 카모 꽃 창포원 ············································································ 43 4-7. 유시엔 ··························································································· 44 4-8. 일본 도매 및 소매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자생식물 ············ 46 4-9. 퀴켄호프 플라워 쇼 ····································································· 49 4-10. 스위스 야생화 투어 관련 자료 ················································ 51 4-11. 이태리의 야생화 트레킹 관광 안내 ········································ 52.

(14) 제5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5-1. 5-2. 5-3. 5-4. 5-5. 5-6. 5-7. 5-8. 5-9. 5-10. 5-11.. ······························································· 60 연령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 64 소득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 64 주거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 65 거주형태에 따른 식물/야생화 구입 비율 ·································· 65 최근 1년 동안 야생화 구입 종류 ·············································· 67 품목별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 ·················································· 72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 ···················································· 73 식물과 야생화에 대한 지출액과 소득의 관계 ························· 75 선호도 순위 결과 ······································································· 79 경합에서 더 선호될 확률의 열지도 ········································ 80 가구당 보유 식물 현황. 제6장 그림. 6-1.. 야생화 산업화의 추진과제와 목표. ·············································· 91.

(15) 1.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야생화(자생식물)는 본래 산과 들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자연 상태 그대로 자. 라는 식물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 본다면 원래부터 그곳에서 살아온 토착식물 을 의미하는 것이겠지만 넓게 보아 외국에서 도입된 식물도 오래 전부터 이곳 에 적응하여 살고 있다면 자생식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물자원은 전 통적으로 약재와 식자재로써 이용되어 왔고 우리 국토의 산과 들을 꾸미면서 우리 민족의 삶과 애환을 함께하여 왔다. 이 때문에 야생화는 우리 국민의 정 서적 친근감이 높은 대상이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악지형이 많아서 국토 면적에 비하면 매우 풍부한 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자원의 종류가 많은 것에 비하 면 이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는 미흡하여 식물자원을 상품화하는 데에 는 이르지 못하였다. 우리 생활에 장미와 튤립 등 외래 원예종이 자리잡은 지.

(16) 2. ·. 오래 되었고 주택 도시의 조경에도 외래 원예종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추진하는 과정에 서식처를 잃어 사라진 야생화도 적지 않다. 우리. 나라에서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에 대한 관심이 소홀한 동안 해외에서 우리의 식물자원을 가져다가 상업용 품종으로 개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개발된 품종은 세계 시장에서 호평 받으며 국내에 역수입되기도 한다.. 최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꽃과 자연에 대한 국민의식이 변하고 치유(힐링).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 고유의 야생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야생화는 화려하지는 않아도 자연스러운 멋이 있어 우리 정서와도 부합하여 동호인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를 살려 우리 야생화를 산업화한다면 외 래 원예품종 도입에 지불하는 로열티를 절약할 수 있고 야생화를 재배하는 임 업인들의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우리 야생화를 도시 조경에 활용한 다면 지역과 국가의 문화 이미지를 높이고 도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折花)로 이용되는 비율이 낮다. 우리 야생. 야생화는 일반 화훼와 달리 절화(. 화는 꽃이 작고 화려함보다 소박한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시조경과 정 원꾸미기에 활용되거나 분재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야생화를 산업화 하기 위해 정원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생활에 정원 문화를 확산. ·. 하고, 야생화를 정원소재 식물로 개발 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원은 그 자. 체로 매력적인 문화자원이며 도시와 주택의 품격을 높여준다. 이미 주요 선진. 국에서는 가드닝(gardening) 문화가 생활에 정착되어 삶의 여유를 보여주고 국 가의 정신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순천만정원박람회에. 2013년도. 432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여 꽃과 정원에 대한 높은 관. 심을 보여 주었다. 이를 배경으로 하여 정원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문화산 업으로 발전시켜 거대한 정원문화 시장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정원소재, 도시와 주택 조경재, 꽃꽂이 등 취미소재,. 마을가꾸기와 지역축제 등의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여 야생화와 정원 문화를 창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된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

(17) 3 이다. 특히, 우리나라 자생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국립수 목원은 야생화 자원의 홍보 및 기술 확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1.2. 연구의 목적. ·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고유의 야생화를 산업화하여 문화 관광 산업 자원으 로 개발하고 국민 생활에 정원문화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제를 도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운데 국립수목원이 담당해야 하는 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검토. 2.1. 야생화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연구 홍의기(1997)는 야생화 캔 재배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캔 형태의 용기를 이 용한 야생화의 대량생산을 통해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야생화 소비 증대를 가 져올 것이라 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산 야생화에 대한 외국인 선호도를 조사하 였는데 유럽에서는 은방울꽃, 각시원추리, 하늘말나리 등의 선호가 높고, 일본 에서는 하늘매발톱, 하늘말나리, 흰일월비비추 순으로 우리 야생화에 대한 선 호가 높다고 하였다.. 이택주(2007)는 자생식물의 식재관리 표준화 매뉴얼을 개발하였는데 자생식. ·. 물을 화훼 조경용 소재로 적극 이용하는 것이 자생식물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고 보았다.. 이철희(2010)는 자생식물을 관상 소재로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산업화 방안을 강조하였다. 자생식물은 관상용으로 활용하는 것 외에도.

(18) 4 공기정화, 실내 온습도 조절, 새집 증후군 방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이 용방법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였다.. 이철희(2012)는 자생 약용식물을 이용한 체험공원 조성방안에 대해 연구하. 였다. 합성조미료, 방부제 인공향료 등에서 파생되는 각종 문제 때문에 자생 약 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약초체험공원에 생태, 웰빙, 교육, 문화, 역사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여 바이오산업 및 자생식물 활. 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자생 약용식물을 이용한 스파, 아로 마테라피 등을 통해 의료관광과 연계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2.2. 야생화의 관광자원 활용방안 연구 이회숙(2008)은 야생화를 관광자원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형태의 관광문화를 개발함으로써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조성하고 세계인의 관광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김태연(2009)은 함백산 야생화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축제에 방문하는 동기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식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 운영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김점수 박상용(2012)은 강원도의 다양한 생물자원을 기반으로 현재의 식물. 자원 관련 국내외 정책 및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고, 식물자원을 이용한 자연학 습장, 생태교육장, 자연휴양 및 자연치유 장소로 활용하는 등의 사례를 살펴보 았다. 식물자원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 연구 등 생물 산업으로서의 활용전 략과 식물자원의 교육 및 축제 등으로 식물자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유 용식물자원의. DB를. 구축하고, 생물 산업 시범단지, 강원도 생물자원의 종합. 연구 및 지원센터 설치 등을 제안하였다..

(19) 5. 3.. 연구방법과 범위. 3.1. 연구방법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내외 사례는 선행 연구, 언론, 인터넷 등에서 조사하. 였다. 국내 야생화 생산실태는 자생식물생산자협회 회원 명부를 이용하여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해 야생화를 비롯하여 꽃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꽃과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야생화의 산업화 그리고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도 출하였고 여기에서 국립수목원이 수행해야 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제시하였다.. 3.2. 연구의 범위 이 연구에서 다루는 범위는 야생화에 한정하며 일반 화훼에 대해서는 다루 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야생화는 꽃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리나라 자생식. 물을 가리키는데 경우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한다. 또,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은 국립수목원의 역할에 한정한다..

(20) 6.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21) 7. 제. 2. 장.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생식물 현황 자생식물(야생화)은 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 대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식물(spontaneous. plant)을. 지칭한다. 외래식물. (exotic/alien plant)이라도 오래 전부터 이 땅에 적응하여 살아 온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은 토착식물(indigenous plants)과 함께 자생식물에 포함된다. 그러나 협의로 본다면 자생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토착식물 을 말한다. 따라서 그 지역에 서식하는 모든 식물을 망라할 수 있다.1 보다 세 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한다. 귀화식물은 오래 전에 외래에서 들어와. 그곳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식물, 특산식물은 어느 특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식. 물, 야생식물은 인간의 활동이 개입되지 않고 들이나 산에 스스로 자라는 식물, 향토식물은 어떤 지역에서 오랫동안 길러 온 식물을 각각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과 다양한 지리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 환경관리공단 블로그(http://keco.tistory.com/397).

(22) 8 식물의 종류도 풍부하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179과, 917속,. 4,180종으로 보고되고 있다<표 2-1>. 국토의 단위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종수는 일본이나 중국보다 많고 영국(2,000여 종)이나 덴마크(1,500여 종)에 비하면 거 의 2배에 가깝다.. 학명 식물종. 표 2-1. 국가표준식물현황 자생식물 재배식물 귀화식물. 자료: 국가표준식물목록(www.nature.go.kr,. 179과 224과 40과. 2014.4.22.). 27,404 (14,442종) 917속 1,432속 175속. 4,180종 9,941종 321종. 자생식물의 가치는 특정 지역 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성과 생물학적 다양성 에서 비롯된다.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기 때문에 기존 재배식물보다 생육관 리가 쉽고 다양성에서 비롯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유용한 변종을 개발할 가 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자생식물은 관상용을 물론 식용, 약용, 공예, 기호 등 다. 양한 형태로 개발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과거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가치는 외국. 인들에 의해 높이 평가받아 그들에 의해 수집되고 개발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자생식물이 다른 나라로 반출되었으며, 우리나라로 역수입되고 있는 것 도 있다.2 자생식물의 잠재가치를 뒤늦게 깨달은 세계 각 나라들은 자국의 자생 식물 자원을 적극 보호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개발한 제품에 대해서 권리를 주 장하고 있다. 이미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에서. 2 고유종인 수수꽃다리와 원추리가 각각 미스김라일락, 데이릴리로 개량되어 로열티를 지불하며 역수입되고 있다. 1954년 북한산 백운대의 수수꽃다리 종자가 미국으로 들 어가 미스림라일락이라는 원예품종으로 개량되었는데 미국 라일락 시장의 30%를 차 지하였다(김원희 등 2011). 심경구(1999)는 미국에 유출된 우리나라 토종 수종이 119 종이라 하였다..

(23) 9 식물자원의 무분별한 유출과 활용을 통제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 ·. 원예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가운데 화훼 약초 산. 채 등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은 품목이 유망한 품목은. 125종으로. 570여. 종에 이른다. 특히, 화훼용으로. 나타났는데, 깽깽이풀, 비비추류, 나리류 등이 상품.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식물종은 극소수. 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야생화는 상업화 수준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바꾸어 생 각하면 야생화에서 새로운 화훼품종을 개발하거나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수출품목으로 급성 장하고 있지만 종묘의 해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로열티 지급문제로 어려움 을 겪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 자생식물은 종묘를 자급할 수 있으며 상품가 치가 높은 품종을 선발하여 개량한다면 수출품목으로 육성할 수 있다.. 2.. 야생화의 생산과 유통. 2.1. 생산현황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꽃에 대한 수요도 증대하였고 이와 함께 우리나라 꽃 산업도 크게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꽃 산업은. 1980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현재 생산규모가 약 1조원에 달하고 있다. 꽃 산업은 수출이 주도적 인 역할을 하여 성장하였는데 수출액이 억. 300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1990년 140만 달러에서 2010년에는 1. 야생화는 임산물로 분류되어 산림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임산물생산통계에. 따르면 야생화 재배는 그 규모와 액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주요 야생화로 감국, 벌개미취, 금낭화, 비비추, 구절초, 제비동자꽃, 원추리, 쑥부쟁이, 돌단풍 등에 대한 생산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야생화 생산량은. 2009년 이후 꾸준히 늘.

(24) 10. 표 2-2. 야생화의 생산량 및 생산액 추이 생산량 생산액. 2008 28,795 25,681,869. 2009 25,207 24,634,699. 2010 28,283 25,151,449. (단위: 천본, 천원). 2011 32,051 33,532,327. 2012 29,989 31,232,553. 자료: 임업통계연보. 고 있으며,. 2012년에는 전년보다 조금 줄어든 약 312억 원의 생산규모를 형성 하였다. 꽃 시장의 규모를 1조원으로 평가하는 것에 비하면 야생화 생산액은 매우 낮다. 야생화 생산은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도심 조경에 우리 꽃을 식재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또, 정부에서 우리꽃 거리 조성사 업을 추진하면서 야생화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연도별로 변동이 있지만 1999년 야생화 생산량은 1,400만 본, 생산액 136억 원 수준에 그쳤지만, 2004 년에는 생산량 2,600만 본, 생산액 273억 원으로 약 2배로 늘었으며, 2012년에 는 생산량 2,999만 본, 생산액 312억 원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야생화 생산농가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실제 재배농가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보면 과거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생산하였지만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여전히 소비의 중심지가 수도권이 기 때문에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재배면적과 농가의 비중이 가장 크다.. 2012년 생산액 기준으로 보면, 구례군, 충주시, 부안군, 평창군, 고성군이 상위 5개 주 산지이다. 품종별로 보면 구절초(12%), 벌개미취(11%), 원추리(8.2%), 비비추(7.2%) 등 이 많다. 전체에서 기타 야생화의 비중이 52.5%를 차지하여 대단히 많은 품종 의 야생화가 재배·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산 규모별 경영유형을 보면, 대규모 생산자의 경우 여러 품종을 대량 생산 하여 주로 조경회사 또는 공공기관에 판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생산 자들의 주요 재배 품종은 지피식물과 다년생 초화류이다. 또 일반 생산자는.

(25) 11. 그림 2-1. 주요 야생화 품종별 생산량. 자료: 임산물생산조사. ·. 중 소규모로 다품종을 생산하며 공공기관이나 조경회사 뿐만 아니라 도매업체 또는 다른 대규모 생산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계약재배 생산자는 지피식물 중 심으로 소품종 생산하여 이를 대규모 생산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분경제작 생 산자는 다양한 관상용 야생화를 생산하여 마니아를 비롯한 일반 소비자를 대 상으로 생산하고 있다.. 야생화 재배농가는 많은 품목을 소량씩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야생화의 종. 류가 워낙 많기도 하고 다양한 품목에 대한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 산농가의 기술수준도 큰 차이가 있으며, 번식은 대부분 단순 포기나누기 또는 삽목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농가당 연간. 10만본 이상 대규모로 생산하는 품목. 은 구절초, 벌개미취 등 숙근류 국화과 식물인데 이들은 번식과 관리가 비교적 쉬우며 도시조경용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참조

관련 문서

- 가압경수로 및 SMART 피동원자로건물냉각계통의 성능검증을 위한 다양한 시험 이 수행될 예정이나, 해양원자로플랜트 고유의 원자로건물 설계에 대한 건전성

국산 사이클로트론의 해외 시장 진출 및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해서 한국원자력의 학원 NCT용 사이클로트론 개발과 같은 미래 기술 개발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STEAM

탄력적 교육과정 속 교과 융합 프로그램 개발 STEAM 교육을 위한 MAKER SPACE 활용.. 프로젝트 공동연구(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STEAM 프로그램의 품질을 높이고, 현장 교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해외 STEAM 관련 우수 콘텐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연수를

이 연구에서는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담당자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STEAM 학습능력 연구 STEAM 교육과정 편성 운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TEAM 교육을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국내 STEAM 프로그램의 품질을 높이고, 현장 교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해외 STEM 관련 우수 콘텐츠를 활용한 S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