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연구방법

야생화와 정원에 대한 국내외 사례는 선행 연구, 언론, 인터넷 등에서 조사하 였다. 국내 야생화 생산실태는 자생식물생산자협회 회원 명부를 이용하여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해 야생화를 비롯하여 꽃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꽃과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야생화의 산업화 그리고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도 출하였고 여기에서 국립수목원이 수행해야 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제시하였다.

3.2. 연구의 범위

이 연구에서 다루는 범위는 야생화에 한정하며 일반 화훼에 대해서는 다루 지 않는다. 여기에서 말하는 야생화는 꽃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리나라 자생식 물을 가리키는데 경우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한다. 또, 야생화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은 국립수목원의 역할에 한정한다.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2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생식물 현황

자생식물(야생화)은 어떤 지역에서 인공적인 보호를 받지 않고 자연상태 그 대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식물(spontaneous plant)을 지칭한다. 외래식물 (exotic/alien plant)이라도 오래 전부터 이 땅에 적응하여 살아 온 귀화식물 (naturalized plant)은 토착식물(indigenous plants)과 함께 자생식물에 포함된다.

그러나 협의로 본다면 자생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토착식물 을 말한다. 따라서 그 지역에 서식하는 모든 식물을 망라할 수 있다.1 보다 세 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한다. 귀화식물은 오래 전에 외래에서 들어와 그곳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식물, 특산식물은 어느 특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식 물, 야생식물은 인간의 활동이 개입되지 않고 들이나 산에 스스로 자라는 식물, 향토식물은 어떤 지역에서 오랫동안 길러 온 식물을 각각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과 다양한 지리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 환경관리공단 블로그(http://keco.tistory.com/397)

학 명 27,404 (14,442종) 장하고 있다. 이미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에서

2 고유종인 수수꽃다리와 원추리가 각각 미스김라일락, 데이릴리로 개량되어 로열티를 지불하며 역수입되고 있다. 1954년 북한산 백운대의 수수꽃다리 종자가 미국으로 들 어가 미스림라일락이라는 원예품종으로 개량되었는데 미국 라일락 시장의 30%를 차 지하였다(김원희 등 2011). 심경구(1999)는 미국에 유출된 우리나라 토종 수종이 119 종이라 하였다.

식물자원의 무분별한 유출과 활용을 통제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원예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자생식물 가운데 화훼·약초·산 채 등으로 개발할 가치가 높은 품목이 570여 종에 이른다. 특히, 화훼용으로 유망한 품목은 125종으로 나타났는데, 깽깽이풀, 비비추류, 나리류 등이 상품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식물종은 극소수 에 불과하여 우리나라 야생화는 상업화 수준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바꾸어 생 각하면 야생화에서 새로운 화훼품종을 개발하거나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높은 성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수출품목으로 급성 장하고 있지만 종묘의 해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로열티 지급문제로 어려움 을 겪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 자생식물은 종묘를 자급할 수 있으며 상품가 치가 높은 품종을 선발하여 개량한다면 수출품목으로 육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