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숨마쿰라우데 개념기본서2 하 해설BOO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숨마쿰라우데 개념기본서2 하 해설BOOK"

Copied!
9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개념 BOOK 002 •테스트 BOOK 051

(2)

0

2

⑴ ∠x=;2!;(180˘-76˘)=52˘ ⑵ ∠B=∠ACB=180˘-117˘=63˘이므로 ⑵∠x=180˘-(63˘+63˘)=54˘

0

3

△ABC와` △EFD에서 ∠C=∠D=90˘, AB”=EF”=10 cm, ∠A=180˘-(60˘+90˘)=30˘=∠E이므로 △ABC™△EFD (RHA 합동) 따라서 DF”=CB”이므로 x=5

0

4

⑤ ∠COD+∠DPC=180˘이지만 ⑤∠COD=∠DPC라고 할 수는 없다. 유형`` ① BD”=CD”=3 cm ② △ABD에서 ∠BAD=180˘-(90˘+70˘)=20˘ ⑤ ∠ABD=70˘이므로 △ABC는 정삼각형이 아니다. ∴ AB”+6 cm

2

-1 △ABD에서 ∠ADB=90˘이므로 ∠x=180˘-(50˘+90˘)=40˘

2

-2 △ABD에서 ∠ADB=90˘, ∠B=∠C=54˘이므로 ∠DAB=180˘-(90˘+54˘)=36˘ ∴ x=36 또` BD”=CD”이므로 BC”=2_6=12(cm) ∴ y=12 ∴ x+y=36+12=48

1. 삼각형의 성질

S U M M A C U M L A U D E 정 답 및 풀 이

>

개념

BOOK

>

>

>

도형의 성질

V

01. 이등변삼각형과 직각삼각형

개념

CHECK

025쪽 ⑴ 수직이등분 ⑵ 예각 ⑶ 변 01㈎ AC”, ㈏ ∠CAD, ㈐ AD”, ㈑ SAS 02⑴ 52˘ ⑵ 54˘ 035 04⑤ 유형 35˘ 1-1 50˘ 1-2 40˘ 1-3 55˘ 유형 ⑤ 2-1 40˘ 2-2 48 유형 123˘ 3-1 20˘ 3-2 36˘ 3-3 20˘ 유형 12 cm 4-14-2 ④ 유형 63˘ 5-1 13 5-2 98˘ 5-3 30 cm¤ 유형 ⑤ 6-1 AB”=DE” 또는 BC”=EF” 6-2 ㄱ, ㄴ 유형 ⑴ 8 cm ⑵ 32 cm¤ 7-17-2 22 cm¤ 유형 ④ 8-1 8 cm¤ 8-2

유형

EXERCISES

026~029쪽 2 3 1 4 6 7 5 8

2

유형`` △ABC는 AB”=AC”이므로 ∠B=;2!;(180˘-40˘)=70˘ ∴ ∠ABD=;2!;_70˘=35˘

1

-1 ∠C=∠B=65˘ ∴ ∠A=180˘-(65˘+65˘)=50˘

1

-2 △ACD는 AC”=DC”이므로 ∠CAD=∠CDA=50˘ 따라서 △ABC에서 ∠x=180˘-(90˘+50˘)=40˘

1

-3 △ABC는 AB”=AC”이므로 ∠B=∠C=;2!;(180˘-70˘)=55˘ 이때 ∠EAD=∠B (동위각)이므로 ∠EAD=55˘

1

(3)

개념 BOOK 유형``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C=;2!;(180˘-36˘)=72˘ ∴ ∠ABD=;2!;∠ABC=;2!;_72˘=36˘ 또` △DAB에서 ∠BDC=36˘+36˘=72˘ 따라서 ∠BCD=∠BDC=72˘이므로 △BCD는 BC”=BD”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BD”=BC”=12 cm A D B 12`cm C 36æ 36æ 72æ 72æ 유형`` △ABC에서 ∠B=∠ACB=;2!;(180˘-98˘)=41˘ △CAD에서 ∠D=∠CAD=180˘-98˘=82˘ 따라서 △DBC에서 ∠x=82˘+41˘=123˘

3

-1 ∠DCA=∠DCE=55˘이므로 ∠ACB=180˘-(55˘+55˘)=70˘ 이때 AB”=AC”이므로 ∠ABC=∠ACB=70˘ ∴ ∠DBC=;2!;∠ABC ∴ ∠DBC=;2!;_70˘=35˘ 따라서 △DBC에서 ∠D=55˘-35˘=20˘

3

-2 △ABD에서 AD”=BD”이므로 ∠ABD=∠A=∠x 이때 ∠C=∠BDC=∠A+∠ABD=2∠x AB”=AC”이므로 ∠ABC=∠C=2∠x 따라서 ∠x+2∠x+2∠x=180˘이므로 5∠x=180˘ ∴ ∠x=36˘

3

-3 ∠A=∠x라고 하면 AB”=BC”이므로 ∠BCA=∠A=∠x △BAC에서 ∠DBC=∠x+∠x=2∠x △DBC에서 BC”=CD”이므로 ∠BDC=∠DBC=2∠x △DAC에서 ∠DCE=∠x+2∠x=3∠x △DCE에서 DC”=DE””이므로 ∠DEC=∠DCE=3∠x △DAE에서 ∠x+3∠x+100˘=180˘ 즉, 4∠x=80˘이므로 ∠x=20˘ ∴ ∠A=20˘ A D B C E 35æ 70æ55æ55æ 35æ

4

-1 ∠A=96˘-48˘=48˘

즉, ∠B=∠A이므로 △CAB는 AC”=BC”인 이등변삼 각형이다. ∴ BC”=AC”=6 cm

4

-2 ① ∠A=∠C=45˘ ②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M”⊥AC” ③, ⑤ ∠ABM=∠MBC=;2!;_90˘=45˘ ①△ABM과 △MBC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①AM”=BM”=CM”

3

4

유형`` BA”∥CD”이므로 ∠BAC=∠ACD=∠x (엇각) ∠BCA=∠ACD=∠x (접은 각) 따라서 △ABC에서 AB”=BC”이므로 ∠x=;2!;(180˘-54˘)=63˘

5

-1 ∠BAC=∠DAC (접은 각), ∠DAC=∠BCA (엇각) 이므로 ∠BAC=∠BCA 따라서 △ABC에서 BA”=BC”=13 cm ∴ x=13

5

-2 ∠CAB=∠DAB ∠CAB=∠CBA=49˘ 따라서 △ABC에서 ∠x=49˘+49˘=98˘

5

-3 ∠ABC=∠CBD=∠ACB 따라서 △ABC에서 AC”=AB”=10 cm ∴ △ABC=;2!;_6_10 ∴ △ABC=30(cm¤ ) D A C B 10`cm 6`cm D A C B 49æ x A D C B 13`cm x`cm 10`cm A D 54æ B C x xx

5

(4)

유형`` ① RHS 합동 ② SAS 합동 ③ RHA 합동 ④ RHA 합동 ⑤ 모양은 같으나 크기가 같다고 할 수 없으므로 합동이 아니 다.

6

-1 RHS 합동이 되려면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같아야 한다.

6

-2 ㄱ.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ㄱ. 나머지 한 각의 크기는 180˘-(90˘+30˘)=60˘ 따라서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같은 두 직각삼 각형 ㄱ, ㄴ은 서로 합동이다. (RHA 합동)

6

유형`` ⑴ △ABD™△CAE (RHA 합동)이므로 ⑴DE”=AD”+AE”=CE”+BD”=8(cm) ⑵ DBCE=;2!;_(BD”+CE”)_DE” ⑵ DBCE=;2!;_(5+3)_8=32(cm¤ )

7

-1 △ADE와 △ACE에서 ∠ADE=∠ACE=90˘, AD”=AC”, AE”는 공통이므로 △ADE™△ACE (RHS 합동) 이때 ∠EAD=90˘-55˘=35˘이므로 ∠A=2∠EAD=70˘ ∴ ∠B=90˘-70˘=20˘

7

-2 △BDM과 △CEM에서 ∠D=∠CEM=90˘, BM”=CM”, ∠BMD=∠CME (맞꼭지각)이므로 △BDM≡△CEM (RHA 합동) 따라서 BD”=CE”=4 cm, DM”=EM”=3 cm이므로 △ABD=;2!;_4_(8+3)=22(cm¤ )

7

유형``

△AOP와 △BOP에서 ∠PAO=∠PBO=90˘, OP”는 공통, ∠AOP=∠BOP이므로

△AOP≡△BOP (RHA 합동)

∴ OA”=OB”, PA”=PB”, ∠OPA=∠OPB

8

8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변 A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ABD와 △AED에서 ∠ABD=∠AED=90˘, ∠BAD=∠EAD, AD”는 공통이므로 △ABD™△AED (RHA 합동) ∴ DE”=DB”=2 cm ∴ △ADC=;2!;_AC”_DE”=;2!;_8_2=8(cm¤ )

8

-2 △ADE와 △CDE에서

AD”=CD”, ∠ADE=∠CDE, DE”는 공통이므로 △ADE≡△CDE (SAS 합동)

∴ ∠DAE=∠DCE=∠x △ABE와 △ADE에서

∠B=∠ADE=90˘, AE”는 공통, BE”=DE”이므로 △ABE≡△ADE (RHS 합동) ∴ ∠BAE=∠DAE=∠x 따라서 △ABC에서 2∠x+90˘+∠x=180˘ 3∠x=90˘ ∴ ∠x=30˘ D B C A 8`cm 2`cm E

0

1

ㄴ. 삼각형의 외심에서 각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므 로 OA”=OB”=OC” ㄹ. 삼각형의 외심은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AD”=BD” ㅁ. △OAF와 △OCF에서

AF”=CF”, ∠OFA=∠OFC=90˘, OF”는 공통 ㅁ. ∴ △OAF™△OCF (SAS 합동)

0

2

⑴ ∠x+45˘+30˘=90˘ ∴ ∠x=15˘ ⑵ ∠x=2_70˘=140˘

0

3

ㄱ. △IEC와 △IFC에서

ㄱ. ∠IEC=∠IFC=90˘, ∠ICE=∠ICF, IC”는 공통 02.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개념

CHECK

042쪽

⑴ 외심 ⑵ 꼭짓점 ⑶ 내심 ⑷ 변 01ㄴ, ㄹ, ㅁ 02⑴ 15˘ ⑵ 140˘ 03ㄱ, ㄴ, ㄹ 04⑴ 20˘ ⑵ 125˘

(5)

개념 BOOK ㄱ. ∴ △IEC™△IFC (RHA 합동) ㄱ. ∴ CE”=CF” ㄴ.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ID”=IE”=IF” ㄹ. ㄱ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ㄷ. △IAD™△IAF (RHA 합동)

0

4

⑴ ∠x+30˘+40˘=90˘ ∴ ∠x=20˘ ⑵ ∠x=90˘+;2!;_70˘=125˘

1

-2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B”=OC” △OAB에서 ∠OAB=;2!;_(180˘-80˘)=50˘ △OCA에서 ∠OAC=;2!;_(180˘-60˘)=60˘ ∴ ∠BAC=∠OAB+∠OAC=50˘+60˘=110˘ 유형 ④ 1-1 76˘ 1-2 110˘ 유형 16 cm 2-1 20p cm 2-2 60˘ 유형 128˘ 3-1 24˘ 3-2 48˘ 3-3 23˘ 유형 ② 4-1 3 cm 4-2 105˘ 4-3 42˘ 유형 20˘ 5-15-2 114˘ 5-3 115˘ 유형 2 cm 6-1 30 cm¤6-2 ;;¡3º;; cm 6-3 32 cm¤ 유형 ;2(; 7-1 10 cm7-2 12 cm 7-3 10 cm 유형 64˘ 8-18-2 150˘ 8-3 15˘

유형

EXERCISES

043~046쪽 2 3 1 4 6 7 5 8 유형``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B”=OC”=OA”=;2!;AB”=5(cm) 따라서 △OBC의 둘레의 길이는 OB”+BC”+CO”=5+6+5=16(cm)

2

-1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ABC의 외접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_20=10(cm) 따라서 △ABC의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2p_10=20p(cm)

2

-2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이므로 AM”=BM”=CM” 즉, △MAB는 이등변삼각형 이므로 ∠MAB=∠MBA=30˘ 따라서 △ABM에서 ∠AMC=30˘+30˘=60˘ B M C A 30æ 30æ

2

유형`` ①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①∴ OA”=OB”=OC” ② 삼각형의 외심은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①BE”=CE” ③, ⑤ △OAD와 △OBD에서

①∠ODA=∠ODB=90˘, OA”=OB”, OD”는 공통이므로 △OAD™△OBD (RHS 합동)

①∴ ∠OAD=∠OBD

1

-1 OC”를 그으면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B”=OC” 따라서 ∠OCA=∠OAC=42˘ ∠OCB=∠OBC=34˘ ∴ ∠C=∠OCA+∠OCB =42˘+34˘=76˘ B C O A 42æ 34æ 34æ 42æ

1

유형``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30˘+∠OBC+34˘=90˘ ∴ ∠OBC=26˘

∴ ∠BOC=180˘-2_26˘=128˘ ■ 다른 풀이 ■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CA에서 OC”=OA” ∴ ∠OAC=34˘ ∠BAC=∠BAO+∠OAC=30˘+34˘=64˘이므로 ∠BOC=2∠BAC=2_64˘=128˘

3

-1 ∠OCB=∠OBC=26˘, ∠OAC=∠OCA=40˘ ∠OAB=∠OBA=∠x이므로 26˘+40˘+∠x=90˘ 66˘+∠x=90˘ ∴ ∠x=24˘

3

(6)

3

-2 ∠AOB=2∠C=2_42˘=84˘ 따라서 △AOB에서 OA”=OB”이므로 ∠x=;2!;(180˘-84˘)=48˘

3

-3 ∠BAC=;2!;∠BOC=;2!;_96˘=48˘ ∠BAO=∠ABO=25˘ ∴ ∠x=48˘-25˘=23˘ ■ 다른 풀이 ■ ∠OCB=;2!;(180˘-96˘)=42˘ ∴ ∠x=90˘-(25˘+42˘)=23˘ 유형`` ①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ID”=IE”=IF” ③ 삼각형의 내심은 세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IAD=∠IAF ④, ⑤ △IBD와 △IBE에서 ③∠IDB=∠IEB=90˘, ∠IBD=∠IBE, ③` IB”는 공통이므로 ③△IBD™△IBE (RHA 합동) ③∴ BD”=BE”

4

-1 △IBD≡△IBE이므로 BE”=BD”=5 cm ∴ EC”=BC”-BE”=8-5=3(cm) ∴ FC”=EC”=3(cm)

4

-2 점 I는 △ABC의 내심이므로 ∠IBC=∠ABI=40˘, ∠ICB=∠ACI=35˘ 따라서 △IBC에서 ∠BIC=180˘-(40˘+35˘)=105˘

4

-3 점 I는 △ABC의 내심이므로 ∠ABC=2∠IBC=2_31˘=62˘ ∠ACB=2∠ICB=2_38˘=76˘ ∴ ∠x=180˘-(62˘+76˘)=42˘

4

유형`` AI”를 그으면 ∠IAC=;2!;_80˘=40˘ 30˘+∠x+40˘=90˘이므로 ∠x=20˘ ■ 다른 풀이 ■ ∠IBC=∠IBA=30˘이고 ∠BIC=90˘+;2!;∠A=90˘+40˘=130˘이므로 △IBC에서 ∠x=180˘-(30˘+130˘)=20˘

5

-1 ∠IAB=∠IAC이므로 ∠x=30˘ 30˘+∠y+36˘=90˘이므로 ∠y=24˘ ∴ ∠x-∠y=30˘-24˘=6˘

5

-2 ∠BIC=90˘+;2!;∠BAC=90˘+24˘=114˘

5

-3 AB”=AC”이므로 ∠B=;2!;(180˘-80˘)=50˘ ∴ ∠AIC=90˘+;2!;∠B=90˘+25˘=115˘ I A 30æ B x C 80æ

5

유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2!;_r_(6+8+10)=;2!;_6_8 ∴ r=2

6

-1 △ABC=;2!;_2_(5+13+12)=30(cm¤ )

6

-2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2!;_r_(AB”+BC”+CA”)이므로 60=;2!;_r_36 ∴ r=:¡3º:

6

-3 △ABC=;2!;_16_12=96(cm¤ )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2!;_r_(20+16+12)=96 96=24r ∴ r=4 ∴ △IBC=;2!;_16_4=32(cm¤ )

6

(7)

개념 BOOK

8

-2 △ABC에서 ∠B=180˘-(90˘+70˘)=20˘ 이때 점 O는 △ABC의 외심이므로 OA”=OB”=OC” ∴ ∠OCB=∠OBC=20˘ 또 점 I는 △ABC의 내심이므로 ∠IBC=;2!;∠B=;2!;_20˘=10˘ 따라서 △PBC에서 ∠BPC=180˘-(10˘+20˘)=150˘

8

-3 점 O는 △ABC의 외심이므로 ∠BOC=2∠A=2_40˘=80˘ 이때 OA”=OB”=OC”이므로 ∠OBC=∠OCB=;2!;(180˘-80˘)=50˘ 또 AB”=AC”이므로 ∠ABC=∠ACB=;2!;(180˘-40˘)=70˘ 점 I는 △ABC의 내심이므로 ∠ABI=∠IBC=;2!;∠ABC=;2!;_70˘=35˘ ∴ ∠OBI=∠OBC-∠IBC=50˘-35˘=15˘ 유형`` CD”=CE”=x라고 하면 AF”=AE”=8-x BF”=BD”=10-x AB”=AF”+BF”이므로 9=(8-x)+(10-x) ∴ x=;2(;

7

-1 BQ”=BP”=16-12=4(cm) AR”=AP”=12 cm이므로 CQ”=CR”=18-12=6(cm) ∴ BC”=BQ”+CQ”=4+6=10(cm)

7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ABC의 내접원과 세 변 AB, BC, CA의 접점 을 각각 D, E, F라 하자. DBEI는 정사각형이므로 BD”=DI”=3 cm AF”=AD”=AB”-DB”=9-3=6(cm)이므로 CE”=CF”=15-6=9(cm) ∴ BC”=BE”+CE”=3+9=12(cm)

7

-3 AB”=AC”인 이등변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30 cm이므로 2AB”+10=30 ∴ AB”=10(cm) 점 I는 △ABC의 내심이고 DE”∥BC”이므로 ∠DBI=∠IBC=∠DIB ∴ DB”=DI” ∴ AD”+DI”=AD”+DB”=AB”=10(cm) B D E C 10`cm I A B D 6`cm I A C F 6`cm 3`cm 9`cm E B D E F C 10-x 10-x 8-x 8-x x x I A

7

유형`` ∠BOC=2∠A=104˘이므로 ∠A=52˘ ∠BIC=90˘+;2!;∠A=90˘+26˘=116˘ 따라서 ∠BIC의 크기와 ∠A의 크기의 차는 116˘-52˘=64˘

8

-1 정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은 일치한다.

8

01020345˘ 04056 cm 069 m 078 cm¤ 080910111248 cm¤ 1330˘ 14150˘ 1519 cm 16 10 cm 171829p cm¤ 1944˘ 20 58˘ 218 cm 22110˘ 2354˘ 2420 cm¤

중단원

EXERCISES

047~050쪽

0

1

AB”=AC”이므로 ∠C=∠B=3∠x-15˘ 따라서 △ABC에서 ∠x+(3∠x-15˘)+(3∠x-15˘)=180˘ 7∠x=210˘ ∴ ∠x=30˘

0

2

∠A=180˘-2∠C=36˘ ∠ABD=;2!;∠ABC=;2!;∠C=36˘이므로 △ABD에서 ∠BDC=∠A+∠ABD=36˘+36˘=72˘ ∴ ∠A+∠BDC=36˘+72˘=108˘

(8)

03

∠ACD=;2!;(180˘-72˘)=54˘이므로 ∠DBC=∠D=;2!;(180˘-72˘-54˘)=27˘ 이때 ∠ABC=∠ACB=72˘이므로 ∠x=∠ABC-∠DBC=72˘-27˘=45˘

04

BC”∥AD”이므로 ∠CAD=∠BCA=28˘ (엇각) ∴ ∠ADC=;2!;(180˘-28˘)=76˘ 이때 AD”=ED”이므로 ∠DAE=∠DEA=∠x 따라서 △DAE에서 ∠x+∠x=76˘ ∴ ∠x=38˘

05

△ABC에서 ∠B=∠C이므로 AC”=AB”=8 cm 오른쪽 그림과 같이 AP”를 그으면 △ABC=△ABP+△APC이므로 24=;2!;_8_PD”+;2!;_8_PE” 24=4(PD”+PE”) ∴ PD”+PE”=6(cm)

06

AB”=AC”이므로 AD”⊥BC” △ABD에서 ∠ABD=180˘-(45˘+90˘)=45˘ 따라서 △ABD에서 ∠BAD=∠ABD이므로 AD”=BD”=3 m 또` CD”=BD”=3 m이므로 BC”=BD”+CD”=6(m) ∴ AD”+BC”=3+6=9(m)

07

△AED와 △AEC에서

AD”=AC”, AE”는 공통, ∠ADE=∠ACE=90˘이므로 △AED™△AEC(RHS 합동) ∴ DE”=CE”=4 cm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B=45˘이므로 ∠DEB=90˘-45˘=45˘ 따라서 △BDE에서 DB”=DE”=4 cm이므로 △BDE=;2!;_4_4=8(cm¤ )

08

△AMD≡△BMD (SAS 합동)이므로 ∠A=∠DBM 또 △BDM≡△BDC (RHS 합동)이므로 A B C D E 8`cm P 8`cm ∠DBM=∠DBC ∴ ∠A=∠DBM=∠DBC 따라서 △ABC에서 ∠A+∠DBM+∠DBC+90˘=180˘이므로 3∠A=90˘ ∴ ∠A=30˘

09

△ADB와 △CEA에서 ∠D=∠E=90˘, AB”=AC”, ∠BAD=90˘-∠CAE=∠ACE 이므로 △ADB™△CEA(RHA 합동) ∴ AD”=CE” 또 ∠BAD+∠CAE=180˘-90˘=90˘

10

④ ∠OCB=∠OBC=∠y, ∠OCA=∠OAC=∠z 이므로 ∠y와 ∠z가 항상 같지는 않다.

11

주어진 원은 △ABC의 외접원이므로 외심을 찾으면 된다. 외심은 세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③이다.

12

OA”=OB”이므로 ∠OBA=∠OAB=50˘ ∴ ∠AOB=180˘-(50˘+50˘)=80˘ ∠ABC=50˘+30˘=80˘이므로 ∠AOC=2∠ABC=160˘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부채꼴 OAC의 넓이는 부채꼴 OAB의 넓이의 2배이다. 따라서 부채꼴 OAC의 넓이는 24_2=48(cm¤ )

13

점 O가 △ABC의 외심이므로 OA”=OB”=OC”=8 cm 따라서 △AOC는 정삼각형 이므로 ∠BAC=60˘ ∴ ∠B=180˘-(60˘+90˘)=30˘

14

∠IBC=∠IBA=30˘, ∠ICB=∠ICA=40˘이므로 ∠y=180˘-(30˘+40˘)=110˘ 110˘=90˘+;2!;∠x이므로 ∠x=40˘ ∴ ∠x+∠y=40˘+110˘=150˘

15

DE”∥BC”이므로 ∠DIB=∠IBC (엇각) 점 I가 △ABC의 내심이므로 ∠DBI=∠IBC A B C D I E 9`cm 10`cm 11`cm A B C O 8`cm 8`cm 8`cm

(9)

개념 BOOK ∴ ∠DIB=∠DBI 즉, △DBI는DB”=DI”인 이등변삼각형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면 △EIC도EI”=EC”인 이등변삼각형 이다. 따라서 △ADE의 둘레의 길이는 AD”+DE”+EA”=AD”+(DB”+EC”)+EA” AD”+DE”+EA”=AB”+AC” AD”+DE”+EA=9+10=19(cm)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인 △ABC의 내 접원의 중심을 I라고 하자. △ABC의 넓이는 ;2!;_24_70=840(cm¤ )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할 때,

△ABC의 넓이는 △IAB, △IBC, △ICA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2!;_24_r+;2!;_70_r+;2!;_74_r=840 84r=840 ∴ r=10 따라서 넣을 수 있는 가장 큰 공의 반지름의 길이는 10 cm이다.

17

정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은 일치한다. 따라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I”=9-3=6(cm)

18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2!;BC”=;2!;_10=5(cm) 이때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의 넓이는 ;2!;_r_(10+6+8)=;2!;_6_8 ∴ r=2 따라서 외접원과 내접원의 넓이의 합은 p_5¤ +p_2¤ =29p(cm¤ )

19

∠DBE=∠A이므로 ∠ABC=∠A+24˘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C=∠C ∠A+∠ABC+∠C=180˘이므로 ∠A+(∠A+24˘)+(∠A+24˘)=180˘, 3∠A=132˘ ∴ ∠A=44˘ B C A I r cm 74 cm 70 cm 24 cm

20

△BDF와 △CED에서 BF”=CD”, BD”=CE”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C ∠B=;2!;(180˘-52˘)=64˘ ∴ △BDF™△CED (SAS 합동)

∴ ∠BFD=∠CDE, ∠BDF=∠CED, DF”=ED” ∠BDF=a, ∠BFD=b라고 하면 a+b=180˘-64˘=116˘ ∴ ∠FDE=180˘-(a+b) ∴ ∠FDE=180˘-116˘=64˘ 따라서 △DEF에서 DF”=DE”이므로 ∠DEF=∠DFE ∴ ∠x=;2!;(180˘-64˘)=58˘

21

△ADB와 △BEC에서 ∠ADB=∠BEC=90˘, AB”=BC”, ∠BAD=90˘-∠DBA=∠CBE이므로 △ADB≡△BEC (RHA 합동) ∴ DB”=EC”=6(cm), BE”=AD”=14(cm) ∴ DE”=BE”-DB”=14-6=8(cm)

22

OA”를 그으면OA”=OB” 이므로 ∠OAB=∠OBA=50˘ 또, OB”=OC”이므로 ∠OCB=∠OBC=20˘ 이때 ∠BCA=∠x라고 하면OA”=OC”이므로 ∠OAC=∠OCA=∠x+20˘ △ABC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BAC+∠ABC+∠ACB=180˘ (50˘+∠x+20˘)+30˘+∠x=180˘ 100˘+2∠x=180˘ ∴ ∠x=40˘ ∴ ∠A=50˘+40˘+20˘=110˘

23

∠BAD=∠CAD=∠a, ∠ABE=∠CBE=∠b라고 하면

△ABE에서 2∠a+∠b=180˘-87˘=93˘ yy`㉠ △ABD에서 ∠a+2∠b=180˘-84˘=96˘ yy`㉡ ㉠+㉡을 하면 3∠a+3∠b=189˘ ∴ ∠a+∠b=63˘ A B C O 30æ 50æ x+20æ x 20æ 20æ A B C E F D 52æ x a a b b 64æ 64æ 64æ

(10)

따라서 △ABC에서 ∠C=180˘-2(∠a+∠b)=180˘-126˘=54˘

24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ABC의 넓이에서 ;2!;_12_5=;2!;_(13+12+5)_r 30=15r ∴ r=2 `IECF는 한 변의 길이가 2 cm인 정사각형이므로 BE”=BC”-EC” BE=12-2=10(cm) △BEI≡△BDI (RHS 합동)이므로 `DBEI=2△BEI `DBEI=2_;2!;_10_2=20(cm¤ ) B C I A D E 13`cm 12`cm 5`cm F

0

1

⑴ 평행사변형에서 대변의 길이와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 으므로 a=10, b=120 ⑵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 로 a=5, b=3

2. 사각형의 성질

01. 평행사변형

개념

CHECK

060쪽 ⑴ 평행 ⑵ 이등분 ⑶ 평행사변형 01⑴ a=10, b=120 ⑵ a=5, b=3 02⑴ DC”, BC” ⑵ DC”, BC” ⑶ ∠C, ∠D ⑷ OC”, OD” ⑸ DC”, DC” 03㈎ ∠EDF, ㈏ ∠DFC, ㈐ ∠BFD 유형 84˘ 1-1 4 cm 1-2 87˘ 유형 8 cm 2-1 7 2-2 20 cm 유형 70˘ 3-13-2 36˘ 3-3 58˘ 유형 24 cm 4-14-2 4 cm¤ 유형 ③ 5-1 ㈎ DA”, ㈏ SSS, ㈐ ∠DCA, ㈑ ∠CAD

5-2 ㈎ ∠DCA, ㈏ SAS, ㈐ ∠DAC,

㈑ AD”∥BC” 5-3 ④ 유형 16 cm 6-1 65˘ 6-2 ③ 유형 18 cm¤ 7-1 48 cm¤7-2 10 cm¤

유형

EXERCISES

061~064쪽 2 3 1 4 6 7 5 유형`` △DCE와 △FBE에서 CE”=BE”, ∠DCE=∠FBE (엇각), ∠DEC=∠FEB (맞꼭지각)이므로 △DCE™△FBE (ASA 합동) ∴ BF”=CD”=4 cm 또` AB”=CD”=4 cm이므로 AF”=AB”+BF”=4+4=8(cm)

2

유형`` AD”∥BC”이므로 ∠DAC=∠x (엇각) AB”∥DC”이므로 ∠ABD=∠y (엇각) 이때 △ABD에서 (70˘+∠x)+∠y+26˘=180˘ ∴ ∠x+∠y=84˘

1

-1 AB”∥DC”이므로 ∠BEC=∠DCE (엇각) 즉, △BEC가 이등변삼각형이 므로 BE”=BC”=12 cm ∴ AE”=BE”-AB” ∴ AE”=12-8=4(cm)

1

-2 ∠CDB=∠ABD=32˘이므로 △DOC에서 ∠AOD=32˘+55˘=87˘ A E B D C 12`cm 8`cm

1

(11)

개념 BOOK

2

-1 AB”=CD”이므로 3x=x+6 ∴ x=3 이때 BC”=2x+1=2_3+1=7이므로 AD”=BC”=7

2

-2 △ABC에서 AB”=AC”이므로 ∠B=∠C AC”∥DE”이므로 ∠C=∠BED (동위각) ∴ ∠B=∠BED 즉, △DBE는 DB”=DE”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DE”=8 cm 따라서 ADEF의 둘레의 길이는 2(AD”+DE”)=2_(2+8)=20(cm)

4

-1 ③ OA”=OC”, OB”=OD”

4

-2 △OCQ와 △OAP에서 ∠OCQ=∠OAP (엇각), OC”=OA”, ∠QOC=∠POA (맞꼭지각)이므로 △OCQ≡△OAP (ASA합동) 이때 AP”=AB”-PB”=8-6=2(cm)이므로 △OCQ=△OAP=;2!;_4_2=4(cm¤ ) 유형`` AD”∥BC”이므로 ∠DAE=∠AEB=55˘ (엇각) ∴ ∠A=2_55˘=110˘ 이때 ∠A+∠D=180˘이므로 ∠x=180˘-110˘=70˘

3

-1 ∠A : ∠B=5 : 4이고, ∠A+∠B=180˘이므로 ∠A=;9%;_180˘=100˘ ∴ ∠C=∠A=100˘

3

-2 ∠DAE=∠E=∠36˘(엇각)이므로 ∠DAC=2_∠DAE=72˘ 또 ∠D=∠B=72˘이므로 △ACD에서 ∠ACD=180˘-(72˘+72˘)=36˘

3

-3 ∠ADC=∠B=64˘이므로 ∠ADF=;2!;_64˘=32˘ △ADF에서 ∠DAF=180˘-(90˘+32˘)=58˘ 이때 ∠A+∠B=180˘이므로 (∠x+58˘)+64˘=180˘ ∴ ∠x=58˘

3

유형``

AB”=CD”=8 cm, AO”=;2!; AC”=7 cm BO”=;2!; BD”=9 cm 따라서 △OAB의 둘레의 길이는 8+7+9=24(cm)

4

유형`` ①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②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③ ∠B=∠C=60˘이면 동측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가 아니 므로 AB”와 DC”는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평행사변형이 아니다. ④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 다. ⑤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평행사변형이다.

5

-3 대각의 크기가 같아야 하므로 ∠D=∠B=68˘ 이웃하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이므로 ∠BCD=180˘-68˘=112˘ △DEC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ECD=;2!;(180˘-68˘)=56˘ ∴ ∠BCE=∠BCD-∠ECD=112˘-56˘=56˘

5

유형`` ∠A+∠B=180˘이므로 ∠A=180˘-60˘=120˘ ∴ ∠BAE=∠DAE=60˘ AD”∥BC”이므로 ∠BEA=∠FAE=60˘ (엇각) 따라서 △ABE는 정삼각형이므로 BE”=AE”=AB”=6 cm ∴ EC”=8-6=2(cm) CD”=AB”=6 cm이고, 같은 방법으로 하면 △CDF는 정삼각 형이므로 DF”=FC”=CD”=6 cm ∴ AF”=8-6=2(cm) 따라서 AECF의 둘레의 길이는 AE”+EC”+CF”+FA”=6+2+6+2=16(cm)

6

(12)

02. 여러 가지 사각형

개념

CHECK

076쪽

⑴ 등변사다리꼴 ⑵ 마름모

01⑴ x=60, y=6 ⑵ x=3, y=40 ⑶ x=4, y=45 02㈎ ㄱ 또는 ㄷ, ㈏ ㄴ 또는 ㄹ

0314 cm¤

6

-1 AE”∥`FC”, AE”=FC”이므로 AFCE는 평행사변형이다.

따라서 ∠AFC=∠AEC=115˘이므로 ∠AFB=180˘-115˘=65˘

6

-2 △ABE와 △CDF에서 AB”=CD”, ∠BAE=∠DCF (엇각), ∠AEB=∠CFD=90˘이므로 △ABE™△CDF (RHA 합동) 따라서 ① AE”=CF”, ④ ∠ABE=∠CDF, ⑤ △ABE™△CDF 또 ∠BEF=∠DFE=90˘ (엇각)이므로 ② BE”∥DF”

0

1

⑴ 직사각형은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 등분하므로 △ODA는 이등변삼각형이다. ⑴∴ y=6, ∠ADO=30˘ ⑴△ABD에서 ∠ADO=30˘이므로 ⑴∠ABD=180˘-(90˘+30˘)=60˘ ⑴∴ x=60 ⑵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 로 x=3 ⑴△ABO에서 ∠AOB=90˘이므로 ⑴∠ABO=180˘-(50˘+90˘)=40˘ ⑴∴ y=40 ⑶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 ⑴이등분하므로 x=8_;2!;=4 ⑴AC”⊥BD”이므로 ∠BOC=90˘ ⑴△OBC는 OB”=O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⑴∠OCB=;2!;(180˘-90˘)=45˘ ⑴∴ y=45

0

3

AD”∥BC”이므로 △ABC=△DBC ∴ △OBC=△ABC-△ABO ∴ △OBC=△DBC-△ABO ∴ △OBC=20-6=14(cm¤ ) 유형`` △PAB+△PCD=△PAD+△PBC이므로 16+14=12+△PBC ∴ △PBC=18 cm¤

7

-1 △BCD=2△ABO=2_6=12(cm¤ ) 이때 BC”=CE”, DC”=CF”이므로 BFED는 평행사변형이다. ∴ `BFED=4△BCD=4_12=48(cm¤ )

7

-2 △AOP와 △COQ에서 AO”=CO”, ∠PAO=∠QCO (엇각), ∠AOP=∠COQ (맞꼭지각)이므로 △AOP™△COQ (ASA 합동) ∴ △AOP+△DOQ=△COQ+△DOQ

∴ △AOP+△DOQ=△COD=;4!; ABCD

∴ △AOP+△DOQ=;4!;_40=10(cm¤ )

7

유형 31 1-11-2 ④ 유형 120˘ 2-1 ①, ④ 2-2 3 cm 유형 ㄱ, ㄷ 3-13-2 ①, ③ 유형 25˘ 4-14-2 ∠x=75˘, ∠`y=30˘ 4-3 45˘ 유형 ③, ⑤ 5-1 ①, ③ 5-2 ㄴ, ㄷ 유형 35˘ 6-16-2 ② 유형 직사각형 7-17-27-3 ⑤ 유형 32 cm¤ 8-18-2 ②, ④

유형

EXERCISES

077~080쪽 2 3 1 4 6 7 8 5 유형`` 직사각형은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 므로 △OBC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즉, OB”=OC”=;2!;_10=5(cm)이므로 x=5

1

(13)

개념 BOOK △ABC에서 ∠B=90˘이므로 ∠ACB=180˘-(64˘+90˘)=26˘ 즉, ∠DBC=∠ACB=26˘이므로 y=26 ∴ x+y=5+26=31

1

-1 △EDB는 BE”=DE”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DBE=∠BDE AD”∥BC”이므로 ∠ADB=∠DBE (엇각) ∴ ∠ADB=∠BDE=∠EDC 이때 ∠ADC=90˘이므로 ∠EDC=;3!;_90˘=30˘ ∴ ∠DEC=180˘-(90˘+30˘)=60˘

1

-2 ④ AB”=AD”인 경우에만 성립한다.

③ AO”=;2!; AC”, DO”=;2!; BD”이므로 ①AO”=DO”이면 AC”=BD” ④ AC”⊥BD”이면 마름모가 된다. ⑤ ∠DAO=∠ADO이면 △AOD가 이등변삼각형이 므로 AO”=DO” ①∴ AC”=BD”

3

-2 평행사변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거나 두 대각선 이 수직으로 만나면 마름모가 된다. 유형`` △BCD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BD=∠CDB=30˘ ∴ ∠C=180˘-2_30˘=120˘ 이때 마름모는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A=∠C=120˘

2

-1 ⑤ 마름모는 평행사변형이므로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 하다.

2

-2 ∠AOD=90˘이므로 ∠ADO=180˘-(90˘+30˘)=60˘ AB”=AD”이므로 ∠ABO=∠ADO=60˘ 따라서 △ABD는 정삼각형이므로 BD”=AB”=;;™4¢;;=6(cm) ∴ BO”=;2!;BD”=3 cm A B C D 30æ 30æ 120æ

2

유형``

ㄱ. AC”=10 cm이면 AC”=BD”이므로 ABCD는 직사각형 이다. ㄷ. ∠BAD=90˘이면 ABCD는 직사각형이다. ㄴ, ㄹ. ABCD는 마름모가` 되고, 직사각형은` 되지 않는다.

3

-1 ① ∠DAB+∠ABC=180˘이므로 ①∠DAB=∠ABC이면 ∠DAB=∠ABC=90˘

3

유형`` △ABE™△ADE (SAS 합동)이므로 ∠AEB=∠AED=70˘ 따라서 △EBC에서 ∠EBC+45˘=70˘ ∴ ∠EBC=25˘

4

-1 AC”⊥BD”이고 OA”=OB”=OC”=OD”=3 cm이므로 ABCD=2△ABC ABCD={;2!;_6_3}_2=18(cm¤ )

4

-2 △BCE는 정삼각형이므로 ∠EBC=∠ECB=60˘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y=90˘-60˘=30˘ ∠ABE=∠y이고 △ABE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2!;_(180˘-30˘)=75˘

4

-3 △DAE는 DA”=DE”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DEA=∠DAE=25˘ ∴ ∠ADE=180˘-(25˘+25˘)=130˘ 따라서 ∠CDE=130˘-90˘=40˘이므로 △DCE에서 ∠DEC=;2!;_(180˘-40˘)=70˘ ∴ ∠CEF=∠DEC-∠DEA=70˘-25˘=45˘

4

유형`` ① `ABCD는 직사각형이다. ②, ④ `ABCD는 마름모이다. ③ AB”=BC”이면 평행사변형 ABCD는 마름모이다. OB”=OC”이면 마름모 ABCD는 정사각형이다. ⑤ ∠ABC=90˘이면 평행사변형 ABCD는 직사각형이다. AC”⊥BD”이면 직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5

(14)

유형`` ∠DCB=∠B=75˘, ∠BCA=∠DAC=40˘ (엇각) ∴ ∠ACD=75˘-40˘=35˘

6

-1 AD”∥BC”이므로 ∠ADB=∠DBC=40˘ (엇각) AB”=AD”이므로 ∠ABD=∠ADB=40˘ 따라서 ∠ABC=40˘+40˘=80˘이므로 ∠C=∠ABC=80˘

6

-2 ② AB”=AD”인지 알 수 없다. ③, ④ △ABC™△DCB (SAS 합동)이므로 ①∠DBC=∠ACB, AC”=DB” ⑤ △ABC=△DBC이므로 △AOB=△DOC

6

유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A+∠B=180˘ ∴ ∠EAB+∠EBA=;2!; (∠A+∠B)=90˘ △ABE에서 ∠AEB=180˘-90˘=90˘ ∴ ∠HEF=∠AEB=90˘ 같은 방법으로 하면 ∠EFG=∠FGH=∠GHE=90˘ 따라서 EFGH는 직사각형이다.

7

-1 △DEO와 △BFO에서 DO”=BO”, ∠EDO=∠FBO (엇각), ∠DOE=∠BOF=90˘이므로 △DEO™△BFO (ASA 합동) ∴ EO”=FO” (②) 따라서 `EBFD는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 등분하므로 마름모이다.

7

유형`` ABCD=△ABC+△ACD=△ABC+△ACE ABCD=20+12=32(cm¤ )

8

-1 AD”∥BC”이므로 △DBC=△ABC=35(cm¤ ) ∴ △DOC=△DBC-△OBC =35-20=15(cm¤ )

8

-2 AB”∥DC”이므로 △ADF=△BDF AE”∥BC”이므로 △DBE=△DCE ∴ △BDF=△CEF

8

5

-1 OA”=OB”=OC”=OD”인 평행사변형 ABCD는 직사각 형이다. ① AB”=AD”이면 직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③ AC”⊥BD”이면 직사각형 ABCD는 정사각형이다.

5

-2 ㄴ. OB”=OC”이면 BD”=AC”이므로 마름모 ABCD는 정사각형이다. ㄷ. ∠ABC=∠BCD이면 ∠ABC=∠BCD=∠CDA=∠DAB이므로 마름모 ABCD는 정사각형이다. ① △EBF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EBO=∠FBO ③ 마름모는 네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BE”=DE” ④ 마름모는 평행사변형이므로 BE”∥DF”

7

-2 평행사변형에 포함되는 사각형은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 을 이등분한다. ④ 등변사다리꼴의 대각선은 서로 길이가 같다.

7

-3 ⑤ 사각형에서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면 평행 사변형이다. 0170˘ 02100˘ 03직사각형 040565˘ 0685˘ 0708△DBE, △DBF, △DAF 091024 cm¤ 11마름모 12134 cm 14145˘ 1516 1724 cm¤ 184 cm¤

중단원

EXERCISES

081~083쪽

01

∠B+∠C=180˘이므로 ∠C=180˘-∠B=180˘-70˘=110˘ ∴ ∠EAF=360˘-(90˘+90˘+110˘)=70˘

02

∠FDB=∠BDC=40˘ (접은 각) ∠FBD=∠BDC=40˘ (엇각) 즉, ∠FBD=∠FDB=40˘이므로 △FBD에서 ∠BFD=180˘-2_40˘=100˘

(15)

개념 BOOK

03

AB”=DC”, AM”=DM”, MB”=MC”이면 △ABM™△DCM (SSS 합동)이므로 ∠A=∠D …… ㉠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A+∠D=180˘ …… ㉡ ㉠, ㉡`에서 ∠A=∠D=90˘ 따라서 ABCD는 직사각형이다.

04

AM”∥NC”, AM”=NC”이므로 `ANCM은 평행사변형 이다. 또한 MD”∥BN”, MD”=BN”이므로 `MBND도 평행사 변형이다. 따라서 PN”∥MQ”, MP”∥QN”이므로 `MPNQ는 평행 사변형이다.

05

ABCD는 마름모이므로 ∠A+∠B=180˘ ∴ ∠A=180˘-70˘=110˘ 정삼각형 ABP에서 ∠BAP=60˘이므로 ∠PAD=∠A-∠BAP=110˘-60˘=50˘ 또한, ABCD는 마름모이고 △ABP는 정삼각형이므로 AB”=AP”=AD” 따라서 △APD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2!;_(180˘-50˘)=65˘

06

AD”∥BC”이므로 ∠ADB=∠CBD=25˘ 이때 ∠D=∠A=110˘이므로 ∠BDC=110˘-25˘=85˘

07

△ABM=;2!;△ABC=;4!; ABCD=;4!;_16=4(cm¤ ) △CMN=;2!;△CMD=;2!;△ABM=;2!;_4=2(cm¤ ) △AND=;2!;△ACD=;4!; ABCD=;4!;_16=4(cm¤ ) ∴ △AMN ∴= ABCD-(△ABM+△CMN+△AND) ∴=16-(4+2+4)=6(cm¤ )

08

△ABE=△DBE=△DBF=△DAF

09

② 이웃하는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평행사변형은 직사각 형이다.

10

△APS™△BPQ™△CRQ™△DRS (SAS 합동) 이므로 PS”=PQ”=RQ”=RS” 따라서 `PQRS는 마름모이므로 그 넓이는 ;2!;_6_8=24(cm¤ )

11

∠AFB=∠EBF (엇각)이므로 ∠ABF=∠AFB ∴ AB”=AF” 또 ∠BEA=∠FAE (엇각)이므로 ∠BAE=∠BEA ∴ AB”=BE” 따라서 AF”=BE”이고 AF”∥BE”이므로 ABEF는 평행사변형이다. ∴ AB”∥FE” ∠ABF=∠EFB (엇각)이므로 ∠EBF=∠EFB ∴ BE”=EF”” 따라서 AB”=BE”=EF”=AF”이므로 ABEF는 마름모이다.

12

BM” : QM”=2 : 3이므로 △PBM : △PMQ=2 : 3 6 : △PMQ=2 : 3 ∴ △PMQ=9(cm¤ ) ∴ APMC=△PMC+△PCA ∴ APMC=△PMC+△PCQ ∴ APMC=△PMQ=9(cm¤ )

13

AD”∥BC”이므로 ∠ADF=∠CFD (엇각) 따라서 △CDF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F”=CD”=AB”=6 cm ∴ BF”=BC”-CF”=8-6=2(cm) △AGD에서 ∠DAG+∠ADG=90˘이고 평행사변형 ABCD에서 ∠A+∠D=180˘이므로 ∠BAG+∠FDC=90˘ ∴ ∠BAG=∠DAG 따라서 ∠DAE=∠BEA (엇각)에서 △BAE도 이등변삼 각형이므로 BE”=AB”=6 cm ∴ EF”=BE”-BF”=6-2=4(cm)

14

GB”∥DC”이므로 ∠DCG=∠BGC=55˘ (엇각) ∴ ∠BCG=∠DCG=55˘ △BCG에서 ∠BCG=∠BGC=55˘이므로

(16)

∠CBG=180˘-(55˘+55˘)=70˘ AD”∥BC”이므로 ∠FEB=∠EBC=;2!;_70˘=35 ˘ (엇각) ∴ ∠BED=180˘-35˘=145˘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CD”의 연장선 위 에 BP”=DR”가 되도록 점 R를 잡으 면 △ABP™△ADR (SAS 합동) 이때 ∠BAP=∠DAR이므로 ∠RAQ=∠DAR+∠DAQ ∠RAQ=∠BAP+∠DAQ ∠RAQ=90˘-45˘=45˘ △APQ와 △ARQ에서 AP”=AR”, ∠PAQ=∠RAQ=45˘, AQ”는 공통이므로 △APQ™△ARQ (SAS 합동) ∴ ∠x=∠AQP=180˘-(45˘+65˘)=70˘

16

OA” : OC”=1 : 2이므로

△OAD : △OCD=1 : 2, 2 : △OCD=1 : 2 ∴ △OCD=4 cm¤

이때 AD”∥BC”이므로 △ABD=△ACD ∴ △OAB=△OCD=4 cm¤

OA” : OC”=1 : 2이므로

△OAB : △OBC=1 : 2, 4 : △OBC=1 : 2 ∴ △OBC=8 cm¤ ∴ `ABCD ∴=△OAD+△OAB+△OBC+△OCD ∴=2+4+8+4=18(cm¤ )

17

△DPC=△DPM+△DMC △DPC=△DAM+△DMC △DPC=△AMC=△ABM △DPC=;2!;_6_8=24(cm¤ )

18

AB”∥DC”이고 AB”=DC”이므로 △ABE=△DBC 즉, △ABF+△FBE=△DEF+△FBE+△EBC 이므로 △ABF=△DEF+△EBC 16=△DEF+12 ∴ △DEF=4(cm¤ ) D R Q P A B C 45æ 65æ x

0

1

△AEC에서 EA”=EC”이므로 ∠EAC=∠ECA=∠a라고 하면 △ABC에서 180˘=90˘+3∠a 3∠a=90˘ ∴ ∠a=30˘ 따라서 △ABE에서 ∠x=180˘-(90˘+30˘)=60˘

0

2

①, ②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②수직이등분하므로 PD”⊥BC”, BD”=CD” ④ △ABP와 △ACP에서

AB”=AC”, ∠BAP=∠CAP, AP”는 공통 ∴ △ABP™△ACP (SAS 합동) ⑤ △PBC에서 PB”=PC”이고 ②PD””⊥BC”, BD”=CD”이므로 ②∠BPC=2∠BPD

0

3

△DBC에서 BD”=BC”이므로 ∠BDC=∠C=70˘ ∴ ∠DBC=180˘-(70˘+70˘)=40˘ △ABC에서 AB”=AC”이므로 ∠B=∠C=70˘ ∴ ∠ABD=∠B-∠DBC=70˘-40˘=30˘

0

4

∠ABC=∠ACB=;2!;(180˘-52˘)=64˘이므로 ∠DBC=;2!;∠ABC=;2!;_64˘=32˘ ∠DCE=;2!;∠ACE=;2!;(180˘-64˘)=58˘ ∴ ∠D=∠DCE-∠DBC=58˘-32˘=26˘

0

5

△ABD와 △CAE에서 ∠ADB=∠CEA=90˘, AB”=CA”, ∠ABD=90˘-∠BAD=∠CAE이므로 △ABD™△CAE (RHA 합동) 0102030426˘ 057 cm 0607080910111213D(9, 5) 1415161718마름모 19②, ③ 202127 cm¤ 222318˘ 249 cm

대단원

EXERCISES

086~089쪽

(17)

개념 BOOK 따라서 AD”=CE”=5 cm, AE”=BD”=12 cm이므로 DE”=AE”-AD”=12-5=7(cm)

0

6

△POQ와 △POR에서 OP”는 공통, ∠PQO=∠PRO=90˘, ∠QOP=∠ROP이므로 △POQ™△POR (RHA 합동) ∴ PQ”=PR”

0

7

OA”=OB”이므로 ∠OAB=∠OBA=42˘ ∴ ∠A=42˘+∠x 2(42˘+∠x)=136˘, 42˘+∠x=68˘ ∴ ∠x=26˘

0

8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6-r)+(8-r)=10 ∴ r=2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2_2-;4!;_p_2¤ =4-p(cm¤ )

0

9

AD”=AF”=x cm라고 하면 BE”=BD”=10-x(cm), CE”=CF”=13-x(cm) BE”+CE”=BC”이므로 (10-x)+(13-x)=15 2x=8 ∴ x=4 ∴ AD”=4 cm

10

BI”, CI”는 각각 ∠B, ∠C의 이등분선이므로 ∠DBI=∠CBI, ∠ECI=∠BCI 이때 DE”∥BC”이므로 ∠DIB=∠CBI (엇각), ∠EIC=∠BCI (엇각) ∴ ∠DBI=∠DIB, ∴∠ECI=∠EIC 따라서 △DBI, △ECI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즉, DI”=DB”, EI”=EC”이므로 △ADE의 둘레의 길이는 AD”+DE”+EA”=AB”+AC”=6+9=15(cm) 이때△ADE의내접원의반지름의길이가 2 cm이므로 △ADE=;2!;_2_15=15(cm¤ ) B C D A E I 9`cm 6`cm A B I r C r 6-r 8-r 8-r 6-r

11

∠A+∠B=180˘이므로 ∠A=180˘-60˘=120˘ ∠FAD=;2!;_120˘=60˘이고, ∠D=∠B=60˘ 또`` AD”∥FC”이므로 ∠EFC=∠FAD=60˘ (동위각), ∠ECF=∠D=60˘ 따라서 △ADE, △FEC는 정삼각형이다. DE”=AD”=9 cm, CD”=AB”=5 cm이므로 CE”=DE”-DC”=9-5=4(cm) 따라서 정삼각형 FEC의 둘레의 길이는 4_3=12(cm)

12

∠B, ∠C의 크기를 각각 ∠b, ∠c라고 하면 ∠b+∠c=180˘ 두 이등변삼각형 ABE, CEF에서 ∠AEB=;2!;_(180˘-∠b) ∠CEF=;2!;_(180˘-∠c) ∴ ∠x=180˘-(∠AEB+∠CEF) ∴ ∠x=180˘-;2!;_{(180˘-∠b)+(180˘-∠c)} ∴ ∠x=;2!;_(∠b+∠c)=;2!;_180˘=90˘

13

AD”가 x축과 평행해야 하므로 점 D는 직선 y=5 위에 있 어야 한다. 또` AD”=BC”=7이므로 D(2+7, 5)=D(9, 5)

14

오른쪽 그림에서 AB”∥DC” 이므로 ∠ABD=∠BDC (엇각) ∴ ∠ABE=∠EBD ∴ ∠ABE=∠BDF=∠FDC 따라서 ∠EBD=∠FDB (엇각)에서 BE”∥FD”이고, ED”∥BF”이므로 `EBFD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주어진 조건에서 BE”=ED”이므로 `EBFD는 마름 모이다. 따라서 △FBD는 FB”=FD”인 이등변삼각형이고, ∠FBD=∠FDB=;3!;_90˘=30˘이므로 x=180-2_30=120 한편 △DFO™△DFC (RHA 합동)이므로 A B D E F C O y`cm

(18)

DC”=DO”=;2!; BD”=;2!;_12=6(cm) ∴ y=6 ∴ x+y=120+6=126

15

①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같으므로 직사각형이다. ② 두 대각선이 수직으로 만나므로 마름모이다. ③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마름모이다. ④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고, 한 내각의 크기가 90˘이 므로 정사각형이다. ⑤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 마름모이다.

16

∠BCE=45˘이므로 △BCE에서 45˘+∠EBC=65˘ ∴ ∠EBC=20˘

17

△BC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DC=;2!;_(180˘-120˘)=30˘ ∴ ∠APB=∠DPH=90˘-30˘=60˘

18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BO”=DO” 즉, △BPO™△DPO (SSS 합동)이므로 ∠BOP=∠DOP=90˘ 따라서 두 대각선이 수직으로 만나므로 ABCD는 마름 모이다.

19

마름모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면 직사각형이 된다. 보기 중 직사각형의 성질이 아닌 것은 ②, ③이다.

20

△ABH와 △DFH에서 AB”=DC”이고 DF”=DC”이므로 AB”=DF”, ∠ABH=∠DFH (엇각), ∠BAH=∠FDH (엇각)이므로 △ABH™△DFH (ASA 합동) ∴ AH”=DH” …… ㉠ 같은 방법으로 △ABG™△ECG (ASA 합동) ∴ BG”=CG” …… ㉡ 이때 AD”=BC”이므로 ㉠, ㉡에 의하여 AH”=BG” 즉, ABGH는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으 므로 평행사변형이다. 그런데 AD”=2AB”에서 AH”=AB”이므로 ABGH는 마름모이다. 이때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수직으로 만나므로 ∠FPE=90˘ 따라서 △FPE는 직각삼각형이다. ③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21

AC”∥DE”이므로 △ACD=△ACE ABCD=△ABC+△ACD ABCD=△ABC+△ACE ABCD=△ABE ABCD=;2!;_(6+3)_6 ABCD=27(cm¤ )

22

∠BAC=180˘-2∠ABC ∠BAC=180˘-2_64˘=52˘ ∴ ∠BOC=2∠BAC=2_52˘=104˘ △OBC는 OB”=O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OCB=;2!;_(180˘-104˘)=38˘ ……❶ △IBC에서 ∠ICB=;2!;_64˘=32˘ ……❷ ∴ ∠OCI=∠OCB-∠ICB=38˘-32˘=6˘ ……❸

23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72˘이므로 ∠AEF=72˘ ……❶ ∠AEF=∠CEF=72˘ (접은 각)이므로 ∠AEC=2_72˘=144˘ AE”=CE”” (접은 선)이므로 이등변삼각형 EAC에서 ∠EAC=;2!;_(180˘-144˘)=18˘ ……❷ 이때 AD”∥BC”이므로 ∠ACB=∠EAC=18˘ ……❸ 360˘ 1315 ❶∠OCB의 크기 구하기 ❷∠ICB의 크기 구하기 ❸∠OCI의 크기 구하기 40 % 40 % 20 % 채점 기준 배점 ❶∠AEF의 크기 구하기 ❷∠EAC의 크기 구하기 ❸∠ACB의 크기 구하기 30 % 40 % 30 % 채점 기준 배점

(19)

개념 BOOK

24

오른쪽 그림과 같이 AE”, OD”를 그으면 ED”=OC”=OA”, AC”∥ED” 따라서 AODE는 평행사변형 이므로 AF”=FD”, OF”=EF” ∴ AF”=;2!; AD”=;2!; BC”=5(cm) ……❶

∴FO”=;2!; EO”=;2!; CD”=;2!; AB”=4(cm) ……❷

∴ AF”+FO”=5+4=9(cm) ……❸ A 8`cm 10`cm F O B C D E ❶AF”의 길이 구하기 ❷FO”의 길이 구하기 ❸AF”+FO”의 길이 구하기 40 % 40 % 20 % 채점 기준 배점

1. 도형의 닮음

도형의 닮음과 피타고라스 정리

VI

01. 도형의 닮음

개념

CHECK

105쪽 ⑴ 일정 ⑵ 같다 01⑴ 2 : 1 ⑵ 3 cm ⑶ 75˘ 02⑴ 5 : 3 ⑵ :™3º: cm ⑶ 80˘ 03⑴ 2 : 3 ⑵ x=3, y=;2(;, z=9 04

0

1

⑴ 닮음비는 대응변의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⑴AB” : DE”=4 : 2=2 : 1 ⑵ 닮음비가 2 : 1이므로 ⑴6 : DF”=2 : 1, 2 DF”=6 ∴ DF”=3(cm) ⑶ 대응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⑴∠E=∠B=65˘ ⑴∴ ∠D=180˘-(65˘+40˘)=75˘

0

2

⑴ 닮음비는 대응변의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⑴AB” : EF”=5 : 3 ⑵ 닮음비가 5 : 3이므로 ⑴BC” : 4=5 : 3, 3 BC”=20 ∴ BC”=:™3º:(cm) ⑶ ABCD에서 ⑴∠A=360˘-(70˘+75˘+135˘)=80˘ ⑴대응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E=∠A=80˘

0

3

⑴ 입체도형에서 닮음비는 대응하는 모서리의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⑴BC” : B'C'”=4 : 6=2 : 3 ⑵ 닮음비가 2 : 3이므로 ⑴AB” : A'B'”=2 : 3에서 2 : x=2 : 3 ∴ x=3AC” : A'C'”=2 : 3에서 3 : y=2 : 3 ∴ y=;2(;BE” : B'E'”=2 : 3에서 6 : z=2 : 3 ∴ z=9

0

4

다음의 경우에 닮음이 아니다. ④ 2`cm 2`cm 3`cm 4`cm

(20)

유형``

AC” : DF”=10 : 8=5 : 4이므로 △ABC와 △DEF의 닮음비는 5 : 4이다. ① AB” : DE”=5 : 4

② AB” : DE”=5 : 4이므로 8 : DE”=5 : 45 DE”=32 ∴ DE”=6.4(cm) ③ ∠E=∠B=70˘ ④ ∠C=∠F=35˘ ⑤ ∠A=180˘-(70˘+35˘)=75˘

1

-1 ∠A=∠E=120˘ ∠F=∠B=360˘-(120˘+90˘+80˘)=70˘ ∴ ∠A+∠F=190˘

1

-2 9 : A'B'”=3 : 2이므로 A'B'”=6(cm) 12 : B'C'”=3 : 2이므로 B'C'”=8(cm)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는 6+8+7=21(cm) 유형 ⑤ 1-1 190˘ 1-2 21 cm 유형 36 2-1 16 2-2 20p cm 유형 ⑴ 6 cm ⑵ 7 cm 3-13-2 6 cm 3-33-43-5 ② 유형 6 cm 4-14-24-34-44-5 5 cm

유형

EXERCISES

111~113쪽 2 3 1 4

1

유형`` GH” : G'H'”=9 : 12=3 : 4이므로 두 직육면체의 닮음비는 3 : 4이다. 12 : x=3 : 4이므로 x=16 15 : y=3 : 4이므로 y=20 ∴ x+y=16+20=36

2

-1 AC” : A'C'”=9 : 6=3 : 2이므로 두 삼각기둥의 닮음비는 3 : 2이다. 6 : x=3 : 2이므로 x=4 y : 8=3 : 2이므로 y=12 ∴ x+y=4+12=16

2

-2 두 원뿔 A, B의 모선의 길이의 비는 15 : 18 = 5 : 6이므 로 두 원뿔의 닮음비는 5 : 6이다. 즉, 원뿔 A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r : 12=5 : 6이므로 r=10 따라서 원뿔 A의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2p_10=20p(cm)

2

유형`` △ABC와 △EDC에서 ∠ABC=∠EDC, ∠C는 공통 ∴ △ABCª△EDC (AA 닮음) ⑴ CA” : CE”=AB” : ED”이므로(4+6) : 5=AB” : 3

⑴5 AB”=30 ∴ AB”=6(cm) ⑵ AB” : ED”=BC” : DC”이므로6 : 3=(BE”+5) : 6

⑴3(BE”+5)=36, BE”+5=12 ∴ BE”=7(cm)

3

02. 삼각형의 닮음 조건

개념

CHECK

110쪽 ⑴ ② SAS ③ AA ⑵ ① BC” ② CD” ③ BD” 01ㄱ과 ㄹ (AA 닮음), ㄴ과 ㅁ (SAS 닮음), ㄷ과 ㅂ (SSS 닮음) 02⑴ △ABCª△CBD (SSS 닮음) ⑵ △ABCª△EBD (AA 닮음) 03;;¡3§;; 04⑴ ;2(; ⑵ :£3™: ⑶ 15

0

3

△ABC와 △ACD에서

∠A는 공통, AB” : AC”=AC” : AD”=3 : 2 이므로 △ABCª△ACD (SAS 닮음) 3 : 2=BC” : CD”, 3 : 2=8 : CD” ∴ CD”=:¡3§:

0

4

⑴ 6¤ =x_8, 8x=36 ∴ x=;2(; ⑵ 10¤ =6(6+x), 100=36+6x, 6x=64∴ x=:£3™: ⑶ 12¤ =16_BD”, 144=16_BD” ∴ BD”=9이때 x¤ =9_(9+16)=(3_5)¤ =15¤ 이므로x=15 (∵ x>0)

(21)

개념 BOOK

3

-1 ① △ABC에서 ∠A=70˘이면 ①∠C=180˘-(50˘+70˘)=60˘ ①△DEF에서 ∠E=50˘이면 ①∠C=∠F, ∠B=∠E이므로 ①△ABCª△DEF (AA 닮음)

3

-2 △ABC와 △CBD에서 ∠B는 공통, AB” : CB”=BC” : BD”=2 : 1 ∴ △ABCª△CBD (SAS 닮음) 따라서 AC” : CD”=2 : 1이므로 AC” : 3=2 : 1 ∴ AC”=6(cm)

3

-3 △ABC와 △DBA에서 ∠B는 공통, AB” : DB”=BC” : BA”=4 : 3 ∴ △ABCª△DBA (SAS 닮음) AC” : DA”=4 : 3이므로 20 : DA”=4 : 3 ∴ DA”=15(cm)

3

-4 △ABC와 △EDA에서

AD”∥BC”이므로 ∠ACB=∠EAD (엇각) AB”∥DE”이므로 ∠BAC=∠DEA (엇각) ∴ △ABCª△EDA (AA 닮음) AC” : EA”=BC” : DA”이므로 12 : (12-4)=BC” : 10 8 BC”=120 ∴ BC”=15(cm)

3

-5 △BED와 △CFE에서 ∠B=∠C=60˘ yy ㉠ ∠BED+∠BDE=120˘, ∠BED+∠CEF=120˘이므로 ∠BDE=∠CEF yy ㉡ ㉠, ㉡에서 △BEDª△CFE (AA 닮음)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가 15 cm이고 DE”=AD”=7 cm이므로 BD”=15-7=8(cm), CE”=15-3=12(cm) 이때 BD” : CE”=ED” : FE”이므로 8 : 12=7 : FE” ∴ FE”=:™2¡:(cm) ∴ AF”=FE”=:™2¡:(cm) 유형`` △ABD와 △ACE에서 ∠ADB=∠AEC=90˘, ∠A는 공통 ∴ △ABDª△ACE (AA 닮음) 이때 AD”=20_;5@;=8(cm)이고, AB” : AC”=AD” : AE”이므로

16 : 20=8 : AE” ∴ AE”=10(cm) ∴ BE”=16-10=6(cm)

4

-1 △ADE와 △ACB에서 ∠ADE=∠ACB=90˘, ∠A는 공통 ∴ △ADEª△ACB (AA 닮음) AD” : AC”=DE” : CB”이므로

5 : 8=DE” : 6, 8 DE”=30 ∴ DE”=:¡4∞:(cm)

4

-2 ⁄ △ABD와 △ACE에서 ⁄∠ADB=∠AEC=90˘, ∠A는 공통 ⁄∴ △ABDª△ACE (AA 닮음) ¤ △ABD와 △FBE에서 ⁄∠ADB=∠FEB=90˘, ∠ABD는 공통 ⁄∴ △ABDª△FBE (AA 닮음) ‹ △FBE와 △FCD에서 ⁄∠FEB=∠FDC=90˘, ⁄∠EFB=∠DFC (맞꼭지각) ⁄∴ △FBEª△FCD (AA 닮음) ⁄, ¤, ‹에 의하여 △ABDª△ACEª△FBEª△FCD 따라서 나머지 네 삼각형과 닮음이 아닌 삼각형은 ③ △BCD이다.

4

-3 ①, ②, ③, ④ △ABHª△CAH (AA 닮음)이므로

①AH” : BH”=CH” : AH”에서 AH” ¤ =BH”_CH” ①BH” : AB”=AH” : CA”

①AH” : AB”=CH” : CA”

⑤ △ABCª△HBA (AA 닮음)이므로 ①AB” : BC”=HB” : BA” ∴ AB” ¤ =BC”_BH”

4

-4 AD” ¤ =BD”_CD”이므로

12¤ =9_y ∴ y=16 AC” ¤ =CD”_CB”이므로

4

(22)

x¤ =16_(16+9)=4¤ _5¤ =(4_5)¤ =20¤ ∴ x=20 (∵ x>0) ∴ x-y=20-16=4

4

-5 △ABF와 △DFE에서 ∠A=∠D=90˘ yy ㉠ ∠ABF+∠AFB=90˘, ∠AFB+∠DFE=90˘ ∴ ∠ABF=∠DFE yy ㉡ ㉠, ㉡에서 △ABFª△DFE (AA 닮음) 즉, AB” : DF”=BF” : FE”이므로 9 : (15-12)=15 : FE” 9 FE”=45 ∴ FE”=5(cm)

0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건 물의 높이를 x m라고 하면 △ABCª△EDC 이므로 1.5 : x=2.5 : 8 ∴ x=;;™5¢;;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5¢;; m이다.

05

△OAB와 △OBC의 닮음비는 OA” : OB”=8 : 12=2 : 3

따라서 OB” : OC”=2 : 3, 즉 12 : OC”=2 : 3이므로 OC”=18(cm)

△OBC와 △OCD의 닮음비는 OB” : OC”=2 : 3

따라서 OC” : OD”=2 : 3, 즉 18 : OD”=2 : 3이므로 OD”=27(cm)

06

△FBE와 △FAD에서 AD”∥BC”이므로 ∠FBE=∠FAD (동위각) ∠F는 공통 ∴ △FBEª△FAD (AA 닮음) 즉, FB” : FA”=BE” : AD”이므로 2 : (2+4)=BE” : 9 6 BE”=18 ∴ BE”=3(cm) ∴ CE”=BC”-BE”=9-3=6(cm)

07

△ABE와 △CDA에서 ∠BAE=∠DCA (엇각), ∠AEB=∠CAD (엇각)이므로

△ABEª△CDA (AA 닮음)

이때 닮음비는 AE” : CA”=9 : 12=3 : 4이므로 AB” : CD”=3 : 4, 7 : CD”=3 : 4 ∴ CD”=;;™3•;;(cm) BE” : DA”=3 : 4, 8 : DA”=3 : 4 ∴ DA”=;;£3™;;(cm) 따라서 △ACD의 둘레의 길이는 AC”+CD”+DA”=12+;;™3•;;+;;£3™;;=32(cm)

08

BD”가 접는 선이므로 ∠EBD=∠CBD AD”∥BC”이므로 ∠CBD=∠EDB (엇각) ∴ ∠EBD=∠EDB 따라서 △EB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F”=FD”=10(cm) 또, △FED와 △ABD에서 1.5`m 2.5`m 8`m x`m A E B C D

01

AD”” : A'D'”=5 : 10=1 : 2이므로 BC”” : B'C'”=1 : 2, 3 : B'C'”=1 : 2 ∴ B'C'”=6(cm)

02

ABCDª HIJA이므로 AB”” : HI”=AD”” : HA” AB”” : 3=(4+8) : 4

4 AB”=36 ∴ AB”=9(cm) ABCDª AEFG이므로 AB””” : AE”=AD””” : AG”

9 : AE””=12 : 20 ∴ AE”=15(cm) ∴ BE”=AE”-AB”=15-9=6(cm)

03

△ACB와 △ECD에서 AB”∥DE”이므로 ∠A=∠E (엇각), ∠B=∠D (엇각) ∴ △ACBª△ECD (AA 닮음)

따라서 AB””” : ED”=AC””” : EC”, 즉 7 : DE”=3 : 6 이므로 3 DE”=42 ∴ DE”=14(cm) 01020314 cm 04;;™5¢;; m 0527 cm 066 cm 0732 cm 080910;;ª7§;; cm 1112;;£2∞;; cm 1314;;∞5¢;; cm 158.4 164 : 1 17;;¡5ª;; 186 cm

중단원

EXERCISES

114~116쪽

(23)

개념 BOOK ∠DFE=∠DAB=90˘, ∠ADB는 공통 ∴ △FEDª△ABD (AA 닮음) 즉, FD”” : AD””=EF” : BA”이므로 10 : 16=EF” : 12 ∴ EF”=:¡2∞:(cm)

09

△AGE와 △ADC에서 ∠EAG는 공통, ∠AGE=∠ADC=90˘ ∴ △AGEª△ADC (AA 닮음) 따라서 AG””” : AD”””=GE” : DC”이므로 5 : 8=GE” : 6 ∴ GE”=:¡4∞:(cm)

10

△ADF와 △ABC에서 ∠ADF=∠ABC=90˘, ∠A는 공통 ∴ △ADFª△ABC (AA 닮음) 정사각형 DBEF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AD”=(6-x) cm 즉, AD”” : AB”=DF” : BC”이므로 (6-x) : 6=x : 8 6x=48-8x, 14x=48 ∴ x=:™7¢: 따라서 정사각형 DBEF의 둘레의 길이는 :™7¢:_4=:ª7§:(cm)

11

AD” ¤ =BD”_DC”이므로 4¤ =BD”_6 ∴ BD”=;3*;(cm) ∴ △ABD=;2!;_;3*;_4=:¡3§:(cm¤ )

12

직각삼각형 DAC에서

DE” ¤ =AE”_CE”이므로 3¤ =AE”_4 ∴ AE”=;4(;(cm) AD” ¤ =AE”_AC”이므로 AD” ¤ =;4(;_{;4(;+4}=;4(;_:™4∞:={:¡4∞:}¤ ∴ AD”=:¡4∞:(cm) DC” ¤ =CE”_CA”이므로 DC” ¤ =4_{4+;4(;}=4_:™4∞:=25=5¤ ∴ DC”=5(cm) 따라서 ABCD의 둘레의 길이는 2_{:¡4∞:+5}=:£2∞:(cm)

13

△ICD는 세 각의 크기가 각각 108˘, 36˘, 36˘인 이등변삼 각형이다. 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ICD와 닮음인 삼각형 을 찾으면 △HBC, △FAB, △GEA, △JDE, △ABE, △BCA, △CDB, △DEC, △EAD, △FCE, △HDA, △IEB, △`JAC, △GBD로 14개이다.

14

△DEF와 △ABC에서 ∠DEF=∠BAE+∠ABE ∠DFE=∠CBF+∠ABE=∠ABC ∠DFE=∠CBF+∠BCF ∠DFE=∠ACD+∠BCF=∠ACB ∴ △DEFª△ABC (AA 닮음) DF”” : AC”=3 : 5이므로 EF”” : 7=3 : 5 ∴ EF”=:™5¡:(cm) DE”” : 6=3 : 5 ∴ DE”=:¡5•:(cm) 따라서 △DEF의 둘레의 길이는 :¡5•:+:™5¡:+3=:∞5¢:(cm)

15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8이고, = 이므로` EC”=;3@;_18=12이다. △EDB와 △FEC에서 ∠B=∠C, ∠B+∠BDE=∠DEF+∠CEF이다. 이때 ∠B=∠DEF=60˘이므로 ∠BDE=∠CEF ∴ △EDBª△FEC (AA 닮음) 즉, BD” : CE”=BE” : CF”이므로 BD” : 12=6 : 7.5 7.5BD”=72 ∴ BD”=9.6 ∴ AD”=18-9.6=8.4

16

제 n단계에서 지워지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처음 정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n은 자연수)이다. 따라서 제10단계에서 지워지는 정삼각형과 제12단계에서 지워지는 정삼각형의 닮음비는 : =2¤ : 1=4 : 1이다.

17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5k이고, BD” : DC”=3 : 2 이므로 BD”=;5#;_5k=3k △BDF와 △CAD에서 ∠B=∠C=60˘ 1 1452⁄ ¤ 1 1452⁄ ‚ 1 14 1 12 BE” 11EC”

(24)

∠BDF+∠BFD=120˘이고, ∠BDF+∠CDA=120˘ 이므로 ∠BFD=∠CDA ∴ △BDFª△CAD(AA 닮음) 따라서 BD” : CA”=BF”: CD”, 즉, 3k : 5k=BF” : 2k이므로 5BF”=6k ∴ BF”=;5^;k ∴ AF”=AB”-BF”=5k-;5^;k=;;¡5ª;;k ∴ a=;;¡5ª;;

18

AD” ¤ =5_20=100=10¤ ∴ AD””=10(cm) 점 M은 직각삼각형 ABC의 외심이므로 AM”=BM”=CM”=;2!; BC”=:™2∞:(cm) ∴ DM”=BM”-BD”=:™2∞:-5=:¡2∞:(cm) ∠ADM=90˘이므로 △ADM의 넓이는 ;2!;_10_:¡2∞:=;2!;_:™2∞:_DE” ∴ DE”=6(cm)

2. 닮음의 활용

01. 삼각형과 평행선

개념

CHECK

125쪽 ⑴ AE”, CE” 01⑴ 8 ⑵ 12 02⑴ 8 ⑵ 4 036 cm 044 cm

0

1

⑴ 6 : (6+9)=x : 20이므로15x=120 ∴ x=8 ⑵ 3 : 6=(x-8) : 8이므로6(x-8)=24, x-8=4 ∴ x=12

0

2

⑴ 6 : 9=x : 12이므로 9x=72 ∴ x=8 ⑵ 5 : 10=x : 8이므로 10x=40 ∴ x=4

0

3

AD”는 ∠A의 이등분선이므로 AB” : AC”=BD” : CD” 8 : 12=(10-CD”) : CD” 8 CD”=120-12 CD” ∴ CD”=6(cm)

0

4

AD”는 ∠A의 외각의 이등분선이므로 AB” : AC”=BD” : CD”, 7 : 5=(BC”+10) : 10, 5 BC”+50=70, 5 BC”=20 ∴ BC”=4(cm) 02.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개념

CHECK

131쪽 ⑴` ;2!; ⑵ 직사각형 01x=50, y=3 02x=8, y=12 03⑴ 15 ⑵ 24 04⑴ 9 ⑵ 8

0

1

AM”=MB”, AN”=NC”이므로 MN”∥BC” ∠AMN=∠MBC=50˘ (동위각)이므로 x=50 y=MN”=;2!; BC”=3

0

2

AM”=MB”, MN”∥BC”이므로 AN”=NC” ∴ x=2_4=8 y=BC”=2 MN”=2_6=12

0

3

⑴ DF”=;2!; BC”=6

DE”=;2!; AC”=4, EF”=;2!; AB”=5∴ (△DEF의 둘레의 길이)=6+4+5=15 ⑵ EF”=GH”=;2!; AC”=4, EH”=FG”=;2!; BD”=8∴ ( EFGH의 둘레의 길이)=2(4+8)=24

0

4

⑴ x=;2!;(AD”+BC”)=;2!;_(8+10)=9 ⑵ PN”=;2!; BC”=;2!;_14=7이므로 QN”=7-3=4∴ x=2 QN”=2_4=8 유형 28 1-1 15 1-2 ㄴ, ㄷ 1-31-41-5 6 유형 ;;™4∞;; 2-1 ;;¡2¡;; 2-2 18 2-3 22 유형 3 cm 3-1 7 3-2 ① 유형 4 cm 4-1 13 4-2 4 cm 4-3 8 cm 4-4 14 cm 유형 2 cm 5-1

유형

EXERCISES

132~134쪽 2 3 1 4 5

(25)

개념

BOOK

유형``

(x+8) : 8=9 : 3이므로

3(x+8)=72, x+8=24 ∴ x=16 3 : 9=4 : y이므로 3y=36 ∴ y=12 ∴ x+y=16+12=28

1

-1 (6+4) : 6=15 : x이므로 10x=90 ∴ x=9 4 : 6=y : 9이므로 6y=36 ∴ y=6 ∴ x+y=9+6=15

1

-2 ㄱ. (6-2) : 2+3 : 1이므로 BC”와 DE”는 평행하지 않다. ㄴ. (8-6) : 6=(12-9) : 9이므로 BC”∥DE”이다. ㄷ. 24 : 16=21 : 14이므로 BC”∥DE”이다. ㄹ. 3 : 9+4 : 8이므로 BC”와 DE”는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BC”∥DE”인 것은 ㄴ, ㄷ이다.

1

-3 AE”=2EB”이므로 AE” : EB”=2 : 1

△ABC에서 2 : 3=EN” : 24, 3 EN”=48 ∴ EN”=16(cm) △BAD에서 1 : 3=EM” : 21, 3 EM”=21 ∴ EM”=7(cm) ∴ MN”=16-7=9(cm)

1

-4 AC”를 긋고 AC”와 EF”의

교점을 H라고 하자. △ABC에서 3 : 8=EH” : 16, 8 EH”=48 ∴ EH”=6(cm) △CDA에서 5 : 8=FH” : 8 ∴ FH”=5(cm) ∴ EF””=6+5=11(cm)

1

-5 △CAB에서 CF” : CB”=2 : 3 ∴ CF” : FB”=2 : 1 한편` FB” : BC”=1 : 3이므로 1 : 3=2 : x ∴ x=6 A B C F D E H 8`cm 16`cm

1

유형`` 4 : 5=2 : x이므로 4x=10 ∴ x=;2%; 4 : 5=3 : y이므로 4y=15 ∴ y=;;¡4∞;; ∴ x+y=;2%;+;;¡4∞;;=;;™4∞;;

2

-1 (4+a) : 6=5 : 5이므로 4+a=6 ∴ a=2 4 : (2+6)=x : 11이므로 8x=44 ∴ x=;;¡2¡;;

2

-2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p와 평행한 직선 p'을 그으면 3 : (3+6)=4 : (x-6)이므로 3(x-6)=36, x-6=12 ∴ x=18

2

-3 (8-a) : a=6 : 10이므로 6a=10(8-a), 6a=80-10a 16a=80 ∴ a=5 5 : (5+6)=10 : x이므로 5x=110 ∴ x=22 {8-a}cm a`cm 10`cm 6`cm 6`cm l m n x`cm 3`cm 6`cm 6`cm l p p' m n {x-6}cm 6`cm 4`cm 6`cm 4`cm 11`cm 6`cm 5`cm 5`cm x`cm a`cm l m n

2

유형`` 10 : 6=5 : DC”이므로 10DC”=30 ∴ DC”=3(cm)

3

-1 8 : 4=14 : x이므로 8x=56 ∴ x=7

3

(26)

유형``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DBC에서 BC”=2MN”=2_9=18(cm) △ABC에서 PQ”=;2!; BC”=;2!;_18=9(cm) ∴ PR”=9-5=4(cm)

4

-1 AM”=MB”, MN”∥BC”이므로 NC”=AN”=4(cm) ∴ x=4+4=8 y=;2!; BC”=;2!;_10=5 ∴ x+y=8+5=13

4

-2 △ABF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DE”∥BF”, DE”=;2!; BF”=;2!;_16=8(cm) △CDE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GF”=;2!; DE”=;2!;_8=4(cm)

4

-3 점 E에서 BD”에 평행한 선분을 그어 AC”와 만나는 점을 F라고 하면 △ABC에서 BC”=2 EF” △GEF™△GDC (`ASA 합동) ∴ EF”=DC” BD”=BC”+CD”=2 EF”+EF”=3 EF” 3 EF”=24 ∴ EF”=8(cm) ∴ CD”=EF”=8(cm)

4

-4 AE”=EB”, AH”=HD”, BF”=FC”, CG”=GD” 이므로 EF”∥HG”, EH”∥FG” 따라서 EFGH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AC”⊥BD”이므로 EF”⊥EH” 즉, ∠HEF=90˘이므로 EFGH는 직사각형이다. △ABD에서 EH””=;2!; BD”=;2!;_6=3(cm) △ABC에서 EF”=;2!; AC”=;2!;_8=4(cm) ∴ (`` `EFGH의 둘레의 길이)=2_(3+4)=14(cm) B C D G F A E 24`cm

4

유형`` AD”∥BC”이고 AE”=EB”, DF”=FC”이므로 AD”∥EF”∥BC”, EF”=;2!;(5+9)=7(cm) △ABD와 △ACD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EM”=NF”=;2!;AD”=;2!;_5=;2%;(cm) ∴ MN”=7-2_;2%;=2(cm)

5

-1 △ABD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MP”=;2!; AD”=4(cm)이므로 MQ”=2 MP”=8(cm) ∴ BC”=2 MQ”=2_8=16(cm)

5

3

-2 BD” : CD”=AB” : AC”=9 : 6=3 : 2 이때 △ABD : △ADC=BD” : CD”이므로 12 : △ADC=3 : 2, 3△ADC=24 ∴ △ADC=8(cm¤ ) 03. 삼각형의 무게중심

개념

CHECK

139쪽 ⑴` 무게중심 ⑵ 2, 1 01⑴ 6 ⑵ 18 028 03⑴ 6 cm¤ ⑵ 6 cm¤ ⑶ 18 cm¤ 0415 cm 055 cm¤

0

1

⑴ x=;3@;_9=6 ⑵ 12 : x=2 : 3, 2x=36 ∴ x=18

0

2

GD”=;2!; AG”=;2!;_24=12이므로 GG'”=;3@; GD”=;3@;_12=8

0

3

⑴ △GBC=2△GFB=2_3=6(cm¤ ) ⑵ GDCE=2△GFB=2_3=6(cm¤ ) ⑶ △ABC=6△GFB=6_3=18(cm¤ )

0

4

두 대각선 BD와 AC의 교점을 O라고 하면 두 점 P, Q는 각각 △ABC, △ACD의 무게중심이므로 BP”=PQ”=QD”=5 cm ∴ BD”=3_5=15(cm)

(27)

개념 BOOK

0

5

점 P는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APO=;6!;△ABC △APO=;6!;_{;2!; `ABCD} △APO=;1¡2; `ABCD △APO=;1¡2;_60=5(cm¤ ) 04. 닮은 도형의 넓이와 부피

개념

CHECK

145쪽 ⑴` m¤ , n¤ , m‹ , n‹ 019 : 25 02900 mL 03120 cm‹ 04⑴ 10 cm ⑵ 0.75 km¤

0

1

∠ADB=∠BDC=90˘ ∠ABD=90˘-∠BAD=∠ACB ∴ △ABDª△ACB (AA 닮음) 이때 두 삼각형의 닮음비가 6 : 10=3 : 5이므로 두 삼각형 의 넓이의 비는 3¤ : 5¤ =9 : 25이다.

0

2

두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닮음비가 2 : 3이므로 겉넓이의 비는 2¤ : 3¤ =4 : 9이다. 따라서 큰 상자를 칠하는 데 필요한 페인트의 양을 x mL 라고 하면 4 : 9=400 : x 4x=3600 ∴ x=900 따라서 큰 상자를 칠하는 데 필요한 페인트의 양은 900 mL이다.

0

3

두 사면체 A, B의 닮음비가 2 : 3이므로 부피의 비는 2‹ : 3‹ =8 : 27이다. 사면체 A의 부피를 x cm‹ 라고 하면 x : 405=8 : 27 27x=3240 ∴ x=120 따라서 사면체 A의 부피는 120 cm‹ 이다.

0

4

⑴ 5(km)=500000(cm)이므로 ⑴500000_ =10(cm) ⑵ 3_50000¤ =7500000000(cm¤ )=0.75(km¤ ) 1 11150000 유형 4 cm 1-1 18 cm1-21-3 15 cm¤ 유형 8 cm 2-1 9 cm 2-2 4 cm¤ 2-3 7 cm¤ 유형 32 cm¤ 3-1 24 cm¤3-2 1 : 8 : 27 3-3 384 cm¤ 유형 81p cm‹ 4-1 28분 4-2 125개 4-3 25 : 16

유형

EXERCISES

146~147쪽 2 3 1 4 유형`` 점 G는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GD”=;3!; AD”=;3!;_18=6(cm) 점 G'은 △GBC의 무게중심이므로 GG'”=;3@; GD”=;3@;_6=4(cm)

1

-1 △AGG'ª△AEF (SAS 닮음)이므로 2 : 3=6 : EF”, 2 EF”=18 ∴ EF”=9(cm) BE”=ED”, DF”=FC”이므로 BC”=2 EF”=2_9=18(cm)

1

-2 △GBC=6△G'BD=6_3=18(cm¤ ) ∴ △ABC=3△GBC=3_18=54(cm¤ )

1

-3 점 G는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BDGF=△FBG+△GBD BDGF=;6!;`△ABC+;6!;`△ABC BDGF=;6@;`△ABC BDGF=;3!;_45=15(cm¤ )

1

유형``

AC”, BD”의 교점을 O라고 하면 BM”=MC”, AO”=OC”, CN”=ND”이므로 점 P, Q는 각각 △ABC, △ACD의 무게중심 이다. 따라서 BP”=PQ”=QD”이므로 PQ”=;3!; BD”=8(cm)

2

-1 두 점 P, Q는 각각 △ABC, △ACD의 무게중심이므로 BP”=PQ”=QD”=6 cm ∴ BD”=3 BP”=18(cm)

2

(28)

유형`` △ADEª△ABC (AA 닮음)이고 닮음비가 3 : 5이므로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9 : 25이다. 따라서 △ADE : `DBCE=9 : 16이므로 9 : 16=18 : `DBCE, 9 `DBCE=288 ∴ `DBCE=32(cm¤ )

3

-1 △GEDª△GBC (SAS 닮음)이고 닮음비가 1 : 2이므로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1 : 4이다. ∴ △GBC=4_6=24(cm¤ )

3

-2 △ABB'ª△ACC'ª△ADD' (AA 닮음)이고 닮음비가 1 : 3 : 6이므로 세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1 : 9 : 36이다. ∴ △ABB' : BCC'B' : CDD'C'=1 : 8 : 27

3

-3 두 상자 A, B의 닮음비는 3`: 4이므로 겉넓이의 비는 3¤ `: 4¤ =9`: 16이다. 구하는 포장지의 넓이를 x cm¤ 라고 하면 216`: x=9`: 16, 9x=216_16 ∴ x=384 따라서 상자 B의 겉면을 싸는 데 384 cm¤ 의 포장지가 필 요하다.

3

유형`` 두 컵 A, B의 겉넓이의 비가 4 : 9=2¤ : 3¤ 이므로 닮음비가 2 : 3이다. 따라서 두 컵 A, B의 부피의 비는 8 : 27이다. 8 : 27=24p : (B의 부피), 8_(B의 부피)=648p ∴ (B의 부피)=81p(cm‹ )

4

-1 물의 높이와 그릇의 높이의 비가 1 : 2이므로 4분 동안 채운 물과 그릇의 부피의 비는 1 : 8이다. 현재 물의 양과 그릇을 가득 채울 때까지 더 넣어야 할 물 의 양의 비는 1 : (8-1)=1 : 7 따라서 이 그릇에 물을 가득 채우려면 4_7=28(분)이 더 걸린다.

4

-2 큰 쇠구슬과 작은 쇠구슬의 닮음비가 5 : 1이므로 두 쇠 구슬의 부피의 비는 5‹ : 1=125 : 1이다. 따라서 큰 쇠구슬 한 개를 녹이면 작은 쇠구슬 125개를 만들 수 있다.

4

-3 두 직육면체 P, Q의 부피의 비가 250 : 128=5‹ : 4‹ 이므로 두 직육면체의 닮음비는 5 : 4이다. 따라서 두 직육면체의 겉넓이의 비는 5¤ : 4¤ =25 : 16이다.

4

△CBD에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MN”=;2!; BD”=;2!;_18=9(cm)

2

-2 점 P는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OPMC=;3!;`△ABC=;3!;_;2!; ABCD OPMC=;6!;` ABCD=4(cm¤ )

2

-3 AC”와 BD”의 교점을 O라고 하면 AN”=ND”,

BO”=OD”, DM”=MC”이므로 점 P, Q는 각각 △ABD, △DBC의 무게중심이다. 이때 AP”=PQ”=QC”이므로 △BPQ=;3!;`△ABC=;3!;_;2!; ABCD △BPQ=;6!; ABCD=;6!;_42=7(cm¤ )

01

3 : 5=2 : x ∴ x=;;¡3º;;

3 : 5=y : (y+4), 5y=3(y+4), 2y=12 ∴ y=6 ∴ x+y=;;¡3º;;+6=;;™3•;; 01;;™3•;; 026 : 2 : 1 0312 cm 0416 05x=12, y=;;∞3™;; 06;;¡2∞;; cm 076 cm 0816 cm 0924 cm 108 cm 1112 cm 123 cm 1316 cm¤ 1452 L 151 : 7 : 19 16125개 171860 m 199 205 : 4 214 : 5 22;;™2∞;; cm¤ 232 : 1 24A : 120 g, B : 270 g, C : 480 g

중단원

EXERCISES

148~151쪽

참조

관련 문서

allowed to received $4 million worth of government currency to be used in the sale of tungsten and purchase of wheat and fertilizer at an official exchange rate of 6,000 won

앞으로의 첨단의료장비는 고해상도 3D 영상과 실시간 입체영상인 4D 영상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형 고해상도(High Resolution) PET- CT 및 PET-MRI

- 한국의 대미 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미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세계경제 전체로 확산될 경우를 대비. ㆍ미국경제는 전세계

※ 교직관련 교과목[교직이론(교직소양, 교육실습 포함),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의 경우는 비고란에 현장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교과 내용학의 경우 주차별

▶ 편의를 줄이는 방법으로 표본에 대해 표본의 크기를 반으로 하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한 부분은 판별함수를 만드는데 이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만든 판별함수를 이용해

§ 외환시장에서 거래 두 당사자가 같거나 서로 다른 두 통화를 대상으로 현물환거 래와 선물환 거래를 동시에 체결하고 미래의 시점에서 양국 통화간의 금리차에

부록 경제활동인구조사 개요... 부록

평면도형에서 닮은 도형의 성질로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일정함을 알고, 닮은 도형에서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를 닮음비라 함을 알게 한다.. 또한, 닮은